•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성인교육과 포스트모더니즘

문서에서 인적자원개발: 다학문적 접근 (페이지 103-109)

나. 지식기반사회에서의 H RD

2. 성인교육과 포스트모더니즘

성인교육은 보통 앤드라고지 (Andragogy)라는 용어를 써서 아동 교육, 혹 은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을 일컫는 페타고지(Pedagogy)와 구분되어 사 용되고 있다. 성인교육은 HRD분야의 이론적 토대를 성립하는데 있어서, 앞 서 기업교육의 여러 이론과 더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 하고 있다.

HRD분야의 많은 글들이 성인교육관련 학회지에 발표되고, HRD분야의 전문 가들이 대부분 성인교육관련 학회나 모임 등에 관여하고 있다는 것만 봐도 HRD 분야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성인교육에 대한 이해도 반드시 동행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성인교육의 정의는 HRD의 정의에서와 마찬가지로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 는데, OECD가 보고한 성인학습보고서와 유네스코의 정의에 의하면 (한준상, 1999, p . 125에서 재 인용), 성인교육이란 사회가 요구하는 공식적인 학교교 육활동을 끝냈거나 지나쳐 버린 사람들, 그래서 그들의 일상생활이 교육활동 과는 아무래도 거리가 멀이진 사람들이 그들의 삶속에서 요청되거나 현실적 인 필요로 인해 생겨지는 학습욕구나 훈련의 욕구를 충족시켜주기 위해 (성 인)교육기관이 의도적으로 제공하거나 그런 욕구를 갖고 있는 성인들이 전개 하는 교육활동 을 의미한다고 한다. 그러나 한준상이 지적했듯이 (1999, p.

125), 이런 국제기관들이 내린 정의는 성인교육활동의 형태를 주로 학교 외 활동 으로 제한시켜 구분짖고 있는데, 요즘에 와서는 그런 제한적 정의 대신 좀더 확대된 형식으로 정의를 내리고 있다. 곧, 성인교육활동의 형식을 세 개의 유형, 즉, 형식적 성인교육활동 (비영리교육기관 혹은 영리기관으로서 의 법적 지위를 인정받은 교육기관에서 공식적으로 제공하는 교육활동), 무 형식적 성인교육활동 (비영리기관으로 인정받은 각종 종교기관, 시민단체, 도 서관, 박물관, 동호인 학습모임, 매체활용 성인학습활동으로 사회개발과 문화 적 활동에 초점), 그리고 탈형식적 성인교육 (기관자체의 조직 발전과 소속 원의 교육적 욕구 충족을 위한 교육으로 군대, 국회, 정부의 부처별 공무원 교육, 기업교육훈련 등)으로 구분하여 성인교육을 좀더 포괄적의미와 범위까 지 포함시키고 있다.

그러나 Knowles(1980)가 제시하였듯이, 어떤 형태의 성인교육이든 간에 이 들이 공통적으로 고려해야하는 것은 성인학습의 몇 가지 속성이라고 할 수 있다. 첫째, 성인학습은 자기주도적, 자율적 학습으로 이뤄져야한다는 점, 둘 째, 성인학습은 성인 학습자가 지니고 있는 경험을 교육현장에 충분히 활용, 인정해주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한다는 점, 셋째, 성인학습은 구체적으로 자 신의 삶, 현업, 직장 등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실천적 학습을 강조해야한다 는 점, 넷째, 성인학습은 개별학습뿐만 아니라 다른 학습자들과의 협동학습, 참여학습을 통해 상호간의 경험, 학습자원을 공유하고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는 점이다(Candy, 1991; Knowles, 1980; Merrium, 1993;

Mezirow, 1985, 1990; Pratt, 1993).

이러한 특성은 기존의 학교교육에서뿐만 아니라, 기업교육, 나아가 대부분 의 교육기관에서 보여주던 전형적인 수업환경 (수동적 학습자, 교강사 중심 적, 주도적 학습, 학습과 현업, 삶과의 분리, 암기. 주입식 위주의 수업)과 분 명 구분되는 성인교육의 특성이라고 할 수 있다.

성인교육의 철학적 사조의 변천은 교육철학계에서 논의하던 기존의 여러 가지 사상적 기반5) 위에서 살펴볼 수도 있지만 그보다는 Mezilow (1990)가 하버마스의 세 가지 지식 형태6)를 이용해서 구분한 성인교육의 이론적 토대 는 성인교육의 특성을 좀더 잘 설명해주고 있다. 즉 기능적인 지식에 해당하 는 성인교육은 도구적인 성인교육 으로, 실천적 지식에 해당하는 성인교육은 대화중심적 성인교육 으로, 그리고 해방적 지식에 해당하는 성인교육은 전환 이론 (transformative theory)에 입각한 의식개혁의 성인교육'으로 분류하였 다. Mezilow의 성인교육 분류와 유사한 방식으로 Daloz(1986)는 도구적인 성 인교육을 교과중심성인교육 으로, 대화중심 성인교육을 수요자 중심 성인교 육 으로, 의식개혁의 성인교육은 참여와 자기 해방적 성인교육 (한준상, 1999, p . 142에서 재인용)으로 재분류하고 있다. 이것을 다시 한준상(1999)의 말을 빌어 구분해보면, 특정 기술과 지식의 습득, 문제해결을 위한 생각과 절차 등의 학습 등과 같은 일련의 인지주의적 문제해결 전략을 강조하는 문제해 결 성인학습, 자기 주도적 학습의 실천과 더불어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 대 화를 중요시하는 네트워킹 학습, 그리고 학습자신의 자기성찰과 자기 결

5) 예를 들어 흔히 교육철학계에서 구분하던 식으로 인문주의적 성인교육철학, 실용주의적 성인교육철학, 행동주의적 성인교육철학, 인간주의적 성인교육철 학, 비판 주의적 성인교육철학등으로 대분하는 경우를 의미한다(기영화 역, 1997).

6) H aberm as (1987)가 소통행위이론(The theory of com m u nicative action) 에서 제시하고 있는 지식분류틀은 첫째, 기능주의적인 지식 (technical knowledge) (사물이나 현상을 설명하는데 인과관계가 아주 분명한 지식), 둘째, 실천적인 지식 (practical knowledge) (사람들이 세상을 어떻게 살아가는지, 그들의 가 치나 규범은 어떤 것인지, 사람들이 관계를 어떻게 맺고, 어떻게 대처하며 살 아가야할 지에 도움이 되는 지식), 셋째, 해방적 지식 (emancipatory knowledge) (개인의 비판적인 성찰과 의식을 통해 얻어지는 암묵적인 지식)을 말한다.

(서규환 역, 1995).

단, 그리고 자기 책무성, 그리고 그것에 기초한 민주시민 사회 능력을 강조 하는 개조주의 학습 으로 구분할 수 있다.

반면에 위의 세 사람과는 달리 Merrium (1993)은 성인교육을 크게 두 가지, 곧 자기주도적 학습 (Self-directed learning: SDL)과 전환이론 (transform ative learning)으로 분류해서 설명하고 있다. SDL은 (성인)학습자 개인적 특성 (학 습에 대한 주인의식, 자율성, 통제권)에 대한 전제로부터 시작해서 이런 학습 자의 자율성을 보장하고 더욱 발전시키는데 적당한 학습환경(Candy, 1991)과 그에 맞는 교사의 역할 (학습의 안내자, 조력자), 학습자의 인식변화 (학습환 경의 주체로서의 인식)(Candy, 1991)등을 강조하고 있다.

반면에 전환이론은 비판적 성찰과 의식(critical reflection & consciousness) 을 강조하는 것으로서, 주어진 상황, 환경, 개념, 이론, 실천 등을 있는 그대 로 받아들이지 않고, 그 이면에 깔려 있을 법한 개념이나 전제에 대한 철저 한 재규명으로부터 시작하여 그것에 대하여 이미 주어져있는 해석이나 의미 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시도하는 것을 강조한다. 전환이론의 대표적 이론가 인 Freire(1973)의 이론은 다분히 사회적, 이념적 측면을 강조하는 전환이론 으로서, 비판적 의식을 통한 사회개혁이나 사회변화를 강조한다. 반면에 Mezilow와 Daloz의 전환이론은 이보다는 좀더 인지적 측면에서의 비판적 성찰과 의식을 강조하는 것으로서, 어떤 문제해결에 필요한 대안 에 대한 좀 더 폭넓고 다른 생각이나 관점을 갖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단적, 전략적 의미로 사용되며, 이를 통한 학습자의 인지적 구조에 변화를 일으켜 새로운 인지구조를 형성하거나, 혹은 경험에 대한 새로운 의미부여와 해석 등을 가 져올 수 있다는 의미로 접근하고 있다.

결국 Merrium의 구분은 Knolw es의 성인학습이론을 성인학습의 출발점으 로 전제하면서, 앞서 세 사람이 지적한 도구적 성인교육보다는 실천적 성인 교육과 해방적 성인교육에 중점을 두고 성인학습을 분류하고 있다(<표 Ⅲ-2 참조).

보통 도구적 성인교육, 교과중심 성인교육, 문제해결 성인학습은 주로 이 전의 행동주의적 학습원칙에 입각하여 이루어지던 수동적인 학습유형을 일 컫는 것으로서, HRD에서 이야기하는 훈련 에 해당하는 성인교육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HRD나 기업교육이 점차 훈련에서 교육, 수행에서 학습으로의 전 환을 꾀하고 있듯 이 성인교육 역시 점차 그 무게중심을 도구적 성인교육에 서 대화중심적 성인교육과 의식개혁의 성인교육으로 옮기고 있다. 이런 무게 중심의 이동 역시 시대적 상황과의 관계속에서 그 근거와 타당성을 찾아볼 수 있는데, 바로 포스트모더니즘이라는 시대적 특성과 연결지을 수 있다 (Usher et al., 1997).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논의는 앞서 학습조직의 경우에서와 마찬가지로 그 논의가 광범위하지만, 여기서는 이 글의 목적에 맞도록 비교적 좁고 제한 적 의미에서 그 논의를 전개하려고 한다. 포스트모더니즘의 키워드는 한마 디로 탈정전화, 탈중심화, 해체, 인간 본성의 부활, 인간성의 복원, 인간성을 향한 항해라고 요약할 수 있다 (한준상, 1999, p . 45).

이것을 좀더 풀어 설명하자면, 그것은 몇 가지로 요약해 볼 수 있다.

(Bloland, 1995). 우선, 그것은 기존의 모더니즘 시대에 이루어졌던 위계질서 (예를 들어, 학문간의 위계, 교사와 학생간의 위계)와 이분법적 구분(이성과 감성, 대학과 사회, 상류문화와 대중문화)의 임의성 혹은 작위성(arbitrariness) 에 대한 논의를 의미한다. 다른 용어로, 파격성, 문화적 일탈, 장르 허물기,

<표 Ⅲ-2> 성인교육의 구분

하버마스의 지식분류

M ezilow 의

구분 D aloz의 구분 한준상의 구분 M erriu m 의 구분

기능주의적 지식

도구적 성인교육

교과중심 성인교육

문제해결 성인학습

실천적 지식 대화중심적 성인교육

수요자중심

성인교육 네트워킹 학습 SDL

해방적 지식 의식개혁의 성인교육

참여와 자기해방적

성인교육

개조주의 학습 전환이론

크로스 오버 현상, 다원주의, 해석의 다층성 (한준상, 1999, p . 28)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 사회, 문화, 경제 모든 분야에 스며있는 위계질서는 매우 임의 적인 기준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기 때문에, 이런 작위적 위계질서와 영역구 분에 의해 배제되거나 무시되어졌던 주변그룹, 소수그룹 (여성, 유색인종, 동 성연애자들)에게 관심을 돌리는 것을 의미한다.

이런 위계질서 해체를 교수-학습환경에서 찾아볼 때, 지금껏 주체적 역할 을 하던 교사의 역할에 변화가 오면서, 중심에서 주변으로 이동하게 되고, 반면에 지금껏 객체적 위치에 있던 학생들은 주체적, 중심적 위치로 회복되 고, 나아가 학습에 관한 참여권, 선택권, 자율권이 학생들에게 대폭 이양되는 현상으로 풀어볼 수 있다. 결국 이 모든 것은 기존의 작위적 기준에 의해 이 루어졌던 영역구분과 위계질서에 대한 의문과 도전이며, 지금껏 배제되거나 주변화되어 왔던 집단의 중심적 참여를 의미하고 있다.

포스트모더니즘이 추구하는 기존 개념이나 전제에 대한 의문제기는 비단 작위적 위계질서에 대한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다. 기존에 모든 활동의 가 치판단 기준이 되었던 효율성, 효과성이라는 두 준거가 오히려 확대. 발전되 면서 성과성(perform ability) 이라는 새로운 가치판단 기준이 중요하게 된다.

Crook와 그의 동료들(1992, p . 31)에 따르면 성과성이라는 것은 가장 적은 비용에 결과물을 전달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하며, 지식의 잣대가 되었던 진리 라는 개념의 대체개념이다 라고 하였다. 따라서 흔히 그것이 사실(true)인 가? 정당(just)한가? 라는 유형의 질문들이 오히려 그것이 효율적인가? 시장 성이 있는가? 팔 수 있는 것인가? 양적 정보로 변환될 수 있는가? (Bloland, 1995, p . 536)와 같은 유형의 질문으로 바뀌고 있다. 이는 앞서 언급했던 지 식사회의 특징, 곧 지식에 대한 개념{사물화, 시장성, 활용성)과도 연결되며, 나아가 르네상스 인본주의 사상에서부터 비롯되었던 교육의 기본전제, 곧 미 학적 의미(자기 수양과 도야)와 수행성, 실천성 (책무성, 윤리성, 인간관계론) 과 관련지어 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오늘날 성인교육의 이론적, 실천적 역할, 위치, 그리고 변화의 방향 (곧 , 대화중심적 성인교육, 수요자 중심 성인학습, 자기주도적 성인학 습, 참여와 해방의 성인학습 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것이 속한 시대적

상황, 곧 포스트모던 사회의 요구와 특성(탈중심성, 다양성, 복잡성, 개별성, 성과성, 다원성)에 대한 인식이 함께 병행될 때 그 이론적 논의의 타당성을 좀더 견고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문서에서 인적자원개발: 다학문적 접근 (페이지 103-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