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다. 이러한 방향의 과학기술 인적자원의 개발에 보다 많은 관심과 노력을 기 울일 때, 과학기술은 보다 건전한 방향으로 발전하면서 인간사회에 보다 친 숙한 모습을 띠게 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고에서 과학기술 인적 자원과 관련된 주요한 쟁점 들을 포괄적으로 다루지는 못했다. 무엇보다도 본 고에서 제시된 논점이 인 력 양성의 양적・질적 측면과 관련된 기존의 논의들과 통합적으로 고려되어 야 할 것이다. 규범적 능력이 없는 기술적 능력은 위험하지만, 동시에 기술 적 능력이 없는 규범적 능력은 공허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한다면, 과학기술 인적자원개발과 관련된 향후의 연구 및 논의는 실력있는 과학기술 자의 양성, 과학기술자의 사회수용능력 강화, 사회 전체의 과학기술에 대한 이해도 제고라는 세 가지 주제가 종합적으로 고려되는 가운데 추진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참고 문헌

김환석, 과학기술에 대한 사회학적 이해 , 과학사상 제20호 (1997년 월).

송성수 엮음(1995). 우리에게 기술이란 무엇인가 : 기술론 입문. 녹두.

송성수 엮음(1999). 과학기술은 사회적으로 어떻게 구성되는가. 새물결.

송성수(2000). 과학기술의 근대적 담론을 넘어서: 사회구성주의적 과학기술 관과 그 의미 , 과학사상 제32호.

송성수・김동광(2000). 과학기술 대중화를 보는 새로운 시각 , 과학기술정 책 3/ 4월호.

윤정로(2000). 『과학기술과 한국 사회』 문학과 지성사.

이무근(2000). 인적자원개발: 다학문적 접근. 제5차 KRIVET HRD 정책포럼.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이영희(2000). 과학기술의 사회학 : 과학기술과 현대사회에 대한 성찰 한울 아카데미.

장회익(1990). 과학과 메타과학. 지식산업사.

장회익(1998). 삶과 온생명. .솔.

조인래 편역(1997). 쿤의 주제들 : 비판과 대응.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조홍섭 편역(1984). 현대의 과학기술과 인간해방 : 민중을 위한 과학기술론.

한길사.

홍성욱(1999). 1960년대 인간과 기계의 관계 , 제42회 전국 역사학대회 발표 자료집 .

홍성욱(1999). 생산력과 문화로서의 과학기술. .문학과 지성사.

홍욱희(1998). 생물학의 시대. 범양사출판부.

中山 茂, 이필렬・조홍섭 옮김(1982). 과학과 사회의 현대사. 풀빛.

Basalla, G.(1988). Evolution of technolog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국역: 김동광 옮김, 기술의 진화 (까치, 1996)].

Bloor, D., Knowledge and social imagery (London : Routledge and Kegan Paul, 1976) [국역: 김경만 옮김, <지식과 사회의 상> (한길사, 2000)].

Chalmers, A.F.(1985). What is this thing called science?: A n assessment of the

nature and status of science and its method, 2nd edition (St . Lucia, Qu eensland : University of Qu eensland Press, 1982) [국역: 신일철・

신중섭 옮김, 현대의 과학철학. 서광사.

Fujimura, J.(1987). Constructing Do–able Problems in Cancer Research : Articulating Alignm ent , Social studies of science 17, pp .257-293.

Harrison, A.J.(1994). 사회문제 해결에 있어서 과학자, 기술자, 일반인의 역 할 , 프레이저・콘하우저 편저, 송진웅 옮김, 과학교육에서의 윤 리와 사회적 책임. 명경. pp .56-60.

Jasanoff, S., et al.(1995). (ed s.), Handbook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London : Sage Publications.

Kuhn, T.S.(1970). The structure of scientif ic revolutions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국역: 김명자 옮김, 과학혁명의 구조. 동아출판사.

Laud an, L.(1990). Science and relativism: Some key controversies in the philosophy of science.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국역: 이 범 옮김, 포스트모던 과학논쟁. (새물결, 1997)].

Merton, R.K.(1942). Science and Technology in a Dem ocratic Order , Journal of legal and political sociology 1, pp .115-126 [Merton (1973)에

The N ormative Structure of Science 라는 제목으로 재수록].

Merton, R.K.(1973). The sociology of science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3) [국역: 석연호・양종회・정창수 옮김, 과학사회학 총2권 (민음사, 1998)].

Mulkay, M.J.(1976). N orms and Ideology in Science , Social science inf ormation 15 (1976), pp .637-656.

Vergragt, P.(1988). The Social Shaping of Indu strial Innovations , Social studies of science 18, pp .483-513.

Webster, A.(1991).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 New directions (London : Macmillan Education Ltd ., 1991) [국역: 김환석・송성수 옮김, <과학 기술과 사회: 새로운 방향> (한울, 1998)].

Winner, L., Up on Opening the Black Box and Finding It Empty: Social

Constructivism and the Philosophy of Technology , Science, technology & human values 18 (1993), pp .362-378.

제 6 장 : 경제학적 관점에서 본

문서에서 인적자원개발: 다학문적 접근 (페이지 186-1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