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재가노인지원서비스의 제공내용

제1절 일반적 제공실태와 문제점

2) 재가노인지원서비스의 제공내용

현재 제공되고 있는 재가노인지원서비스의 내용은 <표 3-16>과 같이 제시되어 있다. 크게는 예방적 사업과 사회안전망 구축사업, 그리고 긴급 지원사업으로 구분되어 있는데, 사회안전망 구축사업은 유관제도로의 연 계지원과 교육지원, 지역사회네트워크 지원의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사례 관리로 되어 있어서 어디까지나 간접서비스에 해당하고, 예방적 사업이 재가노인지원서비스의 중심적인 서비스라 할 수 있다. 예방적 사업에는 일상생활 지원, 정서 지원, 주거환경개선 지원, 여가활동 지원, 상담 지 원, 지역사회자원 개발 등이 포함되어 있는데, 대부분의 서비스들이 매 달, 또는 주 단위로 정기적으로 제공된다기보다는 지원욕구가 발생할 때 마다 서비스가 수시로 부정기적으로 제공된다고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 다. 예를 들면, 이미용서비스, 김장서비스, 명절 ․ 생신서비스, 장보기서비 스, 주거환경서비스, 나들이서비스, 문화체험서비스 등은 매일, 매주 또 는 매달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시 제공되는 서비스로 보여진다.

이러한 재가노인지원서비스의 이용절차를 보면, 대상자 선정이후 구체 적인 서비스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 욕구조사를 실시하고, 각 욕구는 이 에 대응할 수 있는 각종 서비스를 지역사회 자원연계를 통해서 해결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그림 3-1 참조).

31) 한국재가노인복지협회 내부자료(2015) 참조

70 노인돌봄(케어)서비스의 제공주체간 역할정립과 연계체계 구축

제3장 노인돌봄(케어)서비스의 제공실태와 문제점 71

〔그림 3-1〕 재가노인지원서비스의 이용절차

자료: 경북 A재가노인지원센터 사업내용에서 발췌함(http://www.adnoin.or.kr).

한편, 〈표 3-17>은 정부의 지침대로 재가노인지원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의 실제적인 사업내용을 예시해 놓은 것이다. A기관의 경우, 각종 서 비스를 연간 단위, 월 단위, 또는 분기별 등 정기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 기도 하고, 특정 서비스에 한해서는 연간 수혜인원수를 정해서 제공하기 도 한다. 특히, 전절에서도 지적하였듯이 재가노인지원서비스 대상자는 신체적 기능상태가 대체적으로 양호하기 때문에 일상생활의 지원내용도 신체케어보다는 사회적 활동지원에 집중하고 있다. 그런데, 지역사회자 원연계사업32)을 보면, 각종 필요한 서비스를 적절하게 관계기관에 연계 하여 지원하고 있다는 점이 재가노인지원센터의 장점인 것 같다.

32) 사실, 현재 재가노인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지역자원연계사업(국비 50%, 지방비 50%)이 시범사업을 거쳐 유지되고 있는데, 지방자치단체로서는 국비가 지원되는 사업에 치중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지역사회자원연계사업이 활성화되어 있음.

72 노인돌봄(케어)서비스의 제공주체간 역할정립과 연계체계 구축

자료: http://www.adnoin.or.kr (경북 A 재가노인지원센터 홈페이지)참조

제3장 노인돌봄(케어)서비스의 제공실태와 문제점 73

이러한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인력은 사회복지사인데, 주로 사 회복지사는 사례관리, 상담 및 자원연계를 담당하고, 무료급식, 이미용 등과 같은 직접서비스는 지역사회내 자원을 동원하여 제공하고 있다.

대체적으로 재가노인지원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은 재가노인지원센터 의 명칭으로 운영되고 있고, 동 센터에서는 기관마다 차이가 있어서 재가 노인지원서비스만을 제공하는 기관이 있는가 하면, 장기요양서비스사업 (방문요양, 방문목욕 등)도 아울러 운영하는 기관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 의 기관에서는 재가노인지원서비스와 장기요양서비스를 같이 취급하고 있는 실정이다. 2015년 현재, 재가노인지원센터는 전국적으로 474개소 가 설치, 운영되고 있으며, 이용정원이 총 23,700명인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33)

3) 문제점과 개선방향

현재, 재가노인지원서비스는 그 대상자가 장기요양등급자 및 등급 미 인정자를 모두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노인돌봄종합서비스와 다르다.

지역사회내에는 장기요양등급 미인정자에게 다양한 제공주체가 각종 서 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 수급대상자의 기능상태를 보면 차이가 거의 없 는 실정이다. 일단, 장기요양등급 인정자들은 기능상태의 중증도에 따라 서 5개의 등급으로 구분되어 있지만, 노인돌봄종합서비스나 재가노인지 원서비스(장기요양대상자 제외)를 제공받는 수급자들은 기능상태가 거의 동일하고, 심지어는 신체적 및 인지적 기능상태가 정상적인 경우가 보편 적이어서 개념상의 돌봄(케어) 수급자에 적합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전반적으로 장기요양등급자 이외의 노인을 대상으로 한 지역

33) 한국재가노인복지협회 내부자료(2015) 참조

74 노인돌봄(케어)서비스의 제공주체간 역할정립과 연계체계 구축

서비스는 통합될 필요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