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부문별 현황

03 지방 중소도시 현황과 특성

2. 부문별 현황

이연구는지방중소도시현황과특성을비교・분석하고지방중소도시가처해있는

상황을정확하게진단하기위해인구・사회, 산업・경제, 물리・환경등다양한부문에서

현황분석을실시하였다. 인구・사회부문에서는도시수변화와인구수변화, 인구구 조변화, 가구수변화등을살펴보고, 산업・경제부문에서는산업별종사자수변화와

실업률변화, 유동인구수변화, 재정자립도등을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물리・환경

부문에서는노후건축물과개발행위허가건수및면적변화, 도시지역면적변화를살 펴보았다. 이를통해지방중소도시의특성을대도시등과비교・분석하고, 지방중소 도시 간 인구규모에 따라 현황과 그 특성을 비교・분석하였다.

1) 인구・사회 부문1)

(1) 최근20년간지방중소도시수변화전망

통계청자료를활용하여1999년부터2019년까지20년간지방중소도시수변화를

살펴보면대도시는1.8% 증가한반면지방중소도시는평균22.4%가 감소한것을

볼수있다. 특히대도시의경우특・광역시및수도권, 지방대도시의도시수증가가

두드러지게나타나고있다. 특・광역시및수도권, 지방대도시인구는꾸준한증가세 를나타내는반면, 지방중소도시는도시인구감소로인해인구5만이상50만미만에

해당하는도시수는점차감소하였으며, 5만미만소도시수는큰폭으로증가하고있 음을확인할수있다. 특히, 지방중소도시중에서도5만이상15만미만도시수는

20년간27.0%가 감소하여가장큰폭으로감소하는추세에있으며, 이는인구감소에

따라 5만 이상 15만 미만의 도시가 5만 미만의 소도시에 편입된 것으로 보여 진다.

1) 인구・사회 부문에서는 지방 중소도시 수, 인구 수(총 인구, 유소년인구, 생산가능인구, 노인인구, 인구구조), 유동인 구 수(전출, 전입, 순이동), 가구 수(총 가구, 1인 가구. 4인 이상 가구)를 분석하였으나, 본 연구에서 집중적으로 살펴본 지방 중소도시 수, 인구(총인구, 생산가능인구, 인구구조)를 제외한 세부자료는 부록내용 참조

지방도시 수 변화 양상

(단위: 개)

구분 인구규모 과거 추세 장래 추계 증감률

1999년 2009년 2019년 2025년 2030년 2035년 ~2019년1999 ~2035년2019 ~2035년1999 대도시

112 113 114 114 113 113 +1.8 -0.9 +0.9 특・광역시 및 수도권,

지방 대도시 87 90 93 93 94 94 +6.9 +1.1 +8.0 수도권 중소도시 25 23 21 21 19 19 -16.0 -9.5 -24.0 지방

중소 도시

85 72 66 65 68 68 -22.4 +3.0 -20.0

30만 이상~50만 미만 6 5 5 5 6 6 -16.7 +20.0 0.0 15만 이상~30만 미만 16 14 15 15 15 15 -6.3 0.0 -6.3 5만 이상~15만 미만 63 53 46 45 47 47 -27.0 +2.2 -25.4 소도시 5만 미만 32 44 49 50 48 48 +53.1 -2.0 +50.0 자료: 국가통계포털 각 지자체별 주민등록인구(http://kosis.kr, 국가통계포털. 1999, _______. 2009a, _______. 2019d) 및 장래인

구추계 데이터(http://kosis.kr, 국가통계포털. 2020d, _______. 2020i, _______. 2020n)를 기준으로 연구진 재구성 (https://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Index.do?menuId=M_01_01&vwcd=MT_ZTITLE&parmTab Id=M_01_01#V.1, 2020년 8월 검색)

*시군구별 장래인구의 경우 각 지방자치단체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세종시 장래인구추계는 시도 자료를 참고함.

**행정구역 수는 2019년 기준으로 통・폐합하였으며, 전국 229개를 기준으로 작업함 *** +/- : 증가/감소 표 Ⅲ-3 | 도시 규모별 수 변화(1999년, 2009년, 2019년, 2025년, 2030년, 2035년 기준)

(2) 인구수변화

최근 20년간 인구 수 변화의 경우 전국 인구가 9.5% 증가하는 동안 대도시는

16.5% 증가, 지방중소도시는평균16.8% 정도의인구가감소하였다. 대도시에포함 된특・광역시및수도권, 지방대도시, 수도권중소도시는모두인구가증가하고있는

반면, 지방중소도시의경우15만이상30만미만도시를제외하고30만이상50만

미만, 5만이상15만미만도시에서각각 13.9%, 29.5%가 큰폭으로감소하고있는

것을볼수있다. 소도시는20년간44.8%가 증가하고있는것으로나타나지만이는

5만 미만의 도시 수 자체가 증가한 영향으로 보여 진다.

(단위: 명, %) 표 Ⅲ-4 | 총 인구 수 변화(1999년, 2009년, 2019년, 2025년, 2030년, 2035년 기준)

인구규모 과거 추세 장래 추계 증감률

1999년 2009년 2019년 2025년 2030년 2035년 ~2019년1999 ~2035년2019 ~2035년1999 전국 47,335,678 49,773,145 51,849,861 52,606,337 52,952,925 52,852,754 +9.5 +1.9 +11.7

대도

35,293,270 38,645,832 41,109,030 41,662,819 41,372,041 41,201,887

+16.5 +0.2 +16.7 (74.5) (77.6) (79.2) (79.2) (78.1) (77.9)

특・광역시 및 수도권, 지방 대도시

30,868,493 33,716,133 36,210,724 36,677,001 37,287,824 37,107,337

+17.3 +2.5 +20.2 (65.2) (67.7) (69.8) (69.7) (70.4) (70.2)

수도권 중소도시

4,424,777 4,929,699 4,898,306 4,985,818 4,084,217 4,094,550

+10.7 -16.4 -7.5 (9.3) (9.9) (9.4) (9.5) (7.7) (7.7)

지방 중소 도시

10,868,525 9,589,696 9,041,095 9,191,587 9,893,778 9,932,583

-16.8 +9.9 -8.6 (23.0) (19.3) (17.4) (17.5) (18.7) (18.8)

30만 이상

~50만 미만

2,068,033 1,835,103 1,781,445 1,889,607 2,432,963 2,442,384

-13.9 +37.1 +18.1 (4.4) (3.7) (3.4) (3.6) (4.6) (4.6)

15만 이상

~30만 미만

3,439,551 3,325,850 3,481,014 3,526,024 3,537,267 3,530,035

+1.2 +1.4 +2.6 (7.3) (6.7) (6.7) (6.7) (6.7) (6.7)

5만 이상

~15만 미만

5,360,941 4,428,743 3,778,636 3,775,956 3,923,548 3,960,164

-29.5 +4.8 -26.1 (11.3) (8.9) (7.3) (7.2) (7.4) (7.5)

도시5만 미만 1,173,883 1,537,617 1,699,736 1,751,931 1,687,106 1,718,284

+44.8 +1.1 +46.4 (2.5) (3.1) (3.3) (3.3) (3.2) (3.3)

자료: 국가통계포털 각 지자체별 주민등록인구(http://kosis.kr, 국가통계포털. 1999, _______. 2009a, _______.

2019d) 및 장래인구추계 데이터(http://kosis.kr, 국가통계포털. 2020d, _______. 2020i, _______. 2020n)를 기준으로 연구진 재구성

(https://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Index.do?menuId=M_01_01&vwcd=MT_ZTITLE&parmTa bId=M_01_01#V.1, 2020년 8월 검색)

*시군구별 장래인구의 경우 각 지방자치단체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세종시 장래인구추계는 시도 자료를 참고함

**( ) : 전국 인구 대비 비중 *** +/- : 증가/감소

(3) 생산가능인구변화

생산가능인구는 최근 20년간 전국적으로 9.3% 증가하는 동안 대도시는 평균

17.1% 증가, 지방중소도시에서는평균19.3%가 감소하였다. 대도시에포함된특・

광역시및수도권, 지방대도시, 수도권중소도시는생산가능인구가모두증가하고있 으나, 지방 중소도시는 15만 이상 30만 미만 도시를 제외하고는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인구5만이상15만미만도시에서35.3%가 감소하였으며, 향후지방중 소도시에서의 생산가능인구는 더욱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단위: 명, %) 표 Ⅲ-5 | 생산가능인구 수 변화(1999년, 2009년, 2019년, 2025년, 2030년, 2035년 기준)

인구규모 과거 추세 장래 추계 증감률

1999년 2009년 2019년 2025년 2030년 2035년 ~2019년1999 ~2035년2019 ~2035년1999 전국 34,184,009 36,256,450 37,356,074 35,764,526 33,900,507 31,707,810 +9.3 -15.1 -7.2

대도

25,771,078 28,698,424 30,179,524 28,886,131 27,092,757 25,367,752

+17.1 -15.9 -1.6 (75.4) (79.2) (80.8) (80.8) (79.9) (80.0)

특・광역시 및 수도권.

지방 대도시

22,681,593 25,155,049 26,626,319 25,467,427 24,452,338 22,891,738

+17.4 -14.0 +0.9 (66.4) (69.4) (71.3) (71.2) (72.1) (72.2)

수도권중소도시

3,089,485 3,543,375 3,553,205 3,418,704 2,640,419 2,476,014

+15.0 -30.3 -19.9 (9.0) (9.8) (9.5) (9.6) (7.8) (7.8)

(4) 인구구조변화

1999년 2009년 2019년 2025년 2030년 2035년 ~2019년1999 ~2035년2019 ~2035년1999

지방중소 도시

7,602,223 6,583,062 6,138,141 5,884,306 5,927,095 5,520,330

-19.3 -10.1 -27.4 (22.2) (18.2) (16.4) (16.5) (17.5) (17.4)

30만 이상

~50만 미만

1,443,067 1,314,849 1,289,581 1,298,320 1,562,100 1,467,691

-10.6 +13.8 +1.7 (4.2) (3.6) (3.5) (3.6) (4.6) (4.6)

15만 이상

~30만 미만

2,419,369 2,339,239 2,430,785 2,305,779 2,167,815 2,011,113

+0.5 -17.3 -16.9 (7.1) (6.5) (6.5) (6.4) (6.4) (6.3)

5만 이상

~15만 미만

3,739,787 2,928,974 2,417,775 2,280,207 2,197,180 2,041,526

-35.3 -15.6 -45.4 (10.9) (8.1) (6.5) (6.4) (6.5) (6.4)

도시5만 미만 810,708(2.4) 974,964(2.7) 1,038,409(2.8) 994,089(2.8) 880,655(2.6) 819,728(2.6) +28.1 -21.1 +1.1 자료: 국가통계포털 각 지자체별 주민등록인구(http://kosis.kr, 국가통계포털. 1999, _______. 2009a, _______.

2019d) 및 장래인구추계 데이터(http://kosis.kr, 국가통계포털. 2020d, _______. 2020i, _______. 2020n)를 기준으로 연구진 재구성

(https://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Index.do?menuId=M_01_01&vwcd=MT_ZTITLE&parmTa bId=M_01_01#V.1, 2020년 8월 검색)

*시군구별 장래인구의 경우 각 지방자치단체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세종시 장래인구추계는 시도 자료를 참고함

**( ) : 전국 생산가능인구(15세~64세) 대비 비중 *** +/- : 증가/감소

총가구 수

2019년 2035년 증감률

유소년 인구 생산가능

인구 노인 인구 유소년

인구 생산가능

인구 노인 인구 유소년

인구 생산가능 인구 노인 인구 전국 12.5 72.0 15.5 11.3 60.0 28.7 -9.35 -16.73 +85.40

대도시

12.7 73.4 13.9 11.6 61.6 26.8 -8.19 -16.13 +92.59 특・광역시

및 수도권,

지방 대도시 12.5 73.5 14.0 11.6 61.7 26.7 -7.06 -16.10 +91.18 수도권

중소도시 13.9 72.5 13.6 11.7 60.5 27.8 -15.68 -16.64 +104.70

지방 중소도시

12.3 67.9 19.8 10.6 55.6 33.8 -13.42 -18.14 +70.49 30만 이상

~50만 미만 14.8 72.4 12.8 12.6 60.1 27.3 -15.02 -16.99 +113.41 15만 이상

~30만 미만 12.9 69.8 17.3 11.2 57.0 31.8 -12.92 -18.41 +83.91 5만 이상

~15만 미만 10.6 64.0 25.4 9.0 51.6 39.5 -15.43 -19.43 +55.34 소도시 5만 미만 8.5 61.1 30.4 7.2 47.7 45.1 -15.47 -21.91 +48.40 자료: 국가통계포털 각 지자체별 주민등록인구(http://kosis.kr, 국가통계포털. 2019d) 및 장래인구추계 데이터(http://kosis.kr,

국가통계포털. 2020n)를 기준으로 연구진 재구성

(https://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Index.do?menuId=M_01_01&vwcd=MT_ZTITLE&parmTab Id=M_01_01#V.1, 2020년 8월 검색)

* +/- : 증가/감소

*시군구별 장래인구의 경우 각 지방자치단체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세종시 장래인구추계는 시도 자료를 참고함 (단위: %)

2) 산업・경제 부문2)

(1) 산업별종사자수변화

지방중소도시에서의산업구조를분석하기위하여한국표준산업분류대분류를기분 으로농업, 임업및어업, 광업, 제조업, 건설업, 도매및소매업, 숙박및음식점업, 정보통신업등으로구분하여현황분석을실시하였다. 그결과, 전국적으로농업, 임업

및어업(5,322.5% 증가), 전문과학및기술서비스업(80.2% 증가), 사업시설관 리, 사업지원및임대서비스업(193.9% 증가)에서증가폭이크며, 광업(99.0% 감 소)은 감소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도시에서가장두드러지는특징은지방중소도시에비해건설업(4.5% 증가)과도 매및소매업(12.5% 증가), 숙박및음식점업(29.9% 증가), 정보통신업(13.8% 증 가) 등의산업부문에서사업체종사자수가높게증가하고있다는것이다. 지방중소 도시는대도시증가추세와달리종업, 임업및어업과제조업(37.5% 증가)의증가폭 이큰것으로나타났다. 반면, 정보통신업(21.9% 감소), 도매및소매업(10.8% 감 소), 국제및외국기관(2.4% 감소) 산업이감소하고있으며, 특히30만이상50만

미만 도시의 도매 및 소매업은 25.2%로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2) 산업・경제 부문에서는 산업별 종사자 수, 실업률, 재정자립도 및 재정자주도를 분석하였으나, 본 연구에서 집중적 으로 살펴본 산업별 종사자 수, 실업률 분석을 제외한 세부자료는 부록내용 참조

표 Ⅲ-7 | 산업별 종사자 수 변화(2005년, 2010년, 2015년 기준)

(단위: 종사자 수, %) 종사자 수사업체

A. 농업, 임업 및 어업 B. 광업 C. 제조업

2005 2010 2015 증감률 2005 2010 2015 증감률 2005 2010 2015 증감률 전국 28,786 1,646,666 1,560,935 +5,322.5 1,983,887 18,640 19,407 -99.0 3,713,709 3,682,566 4,286,275 +15.4

대도시

17,123 397,262 371,499

+2,069.6 459,808 7,270 9,165

-98.0 2,993,589 2,966,226 3,420,813 +14.3 (59.5) (24.1) (23.8) (23.2) (39.0) (47.2) (80.6) (80.5) (79.8) 특광역시

-97.4 2,505,679 2,548,113 2,904,720 +15.9 (46.7) (17.4) (17.4) (15.0) (33.3) (40.1) (67.5) (69.2) (67.8) 수도권 (34.3) (55.0) (54.2) (58.7) (49.7) (34.7) (18.3) (18.3) (18.7) 30만 이상 2005 2010 2015 증감률 2005 2010 2015 증감률 2005 2010 2015 증감률 전국 71,605 76,628 97,537 +36.2 57,720 80,482 101,312 +75.5 1,441,992 1,471,090 1,501,491 +4.1

대도시

48,892 53,270 64,083

+31.1 44,094 62,279 75,744

+71.8 1,153,338 1,189,603 1,205,298 +4.5 (68.3) (69.5) (65.7) (76.4) (77.4) (74.8) (80.0) (80.9) (80.3) 특・광역시

1,002,517 1,059,592 1,063,167 +6.0 (61.3) (61.8) (59.1) (63.1) (66.4) (63.8) (69.5) (72.0) (70.8) 수도권 (29.8) (28.2) (31.7) (21.3) (20.2) (21.4) (18.0) (17.2) (17.4) 30만 이상

종사자 수사업체

G. 도매 및 소매업 H. 운수 및 창고업 I. 숙박 및 음식점업 2005 2010 2015 증감률 2005 2010 2015 증감률 2005 2010 2015 증감률 전국 2,997,958 2,963,974 3,258,067 +8.7 891,862 1,028,224 1,165,696 +30.7 1,492,923 1,620,011 1,912,245 +28.1

대도시

2,461,230 2,523,159 2,768,611

+12.5 741,302 861,062 977,147

+31.8 1,168,099 1,294,525 1,517,668 +29.9 (82.1) (85.1) (85.0) (83.1) (83.7) (83.8) (78.2) (79.9) (79.4) 특・광역시

및 수도권, 지방 대도시

2,181,967 2,263,852 2,447,676 +12.2

653,990 764,672 846,690 +29.5

1,019,441 1,156,980 1,342,072 +31.6 (72.8) (76.4) (75.1) (73.3) (74.4) (72.6) (68.3) (71.4) (70.2) 수도권

중소도시

279,263 259,307 320,935

+14.9 87,312 96,390 130,457 (16.2) (13.3) (13.3) (15.7) (15.0) (14.7) (18.8) (17.3) (17.5) 30만 이상

~50만 미만

227,420 165,623 170,043

-25.2 56,988 63,521 63,329

167,266 162,484 171,408

+2.5 53,995 65,688 70,186

2005 2010 2015 증감률 2005 2010 2015 증감률 2005 2010 2015 증감률 전국 627,059 585,445 694,457 +10.7 633,210 752,016 809,325 +27.8 421,240 450,390 525,490 +24.7 (90.9) (92.7) (93.4) (84.2) (86.7) (86.5) (89.3) (89.5) (88.2) 특・광역시

및 수도권, 지방 대도시

512,098 493,409 584,136

+14.1 479,108 595,036 634,692

+32.5 327,334 358,705 411,475 +25.7 (81.7) (84.3) (84.1) (75.7) (79.1) (78.4) (77.7) (79.6) (78.3) 수도권

사업체 2005 2010 2015 증감률 2005 2010 2015 증감률 2005 2010 2015 증감률 전국 574,746 837,720 1,035,640 +80.2 386,827 738,063 1,136,759 +193.9 741,448 910,689 951,972 +28.4 (92.2) (92.4) (91.2) (87.1) (86.7) (85.5) (72.6) (71.9) (72.1) 특・광역시

및 수도권, 지방 대도시

473,959 701,807 855,085

+80.4 298,555 572,968 843,622

+182.6 458,908 572,451 595,439 +29.8 (82.5) (83.8) (82.6) (77.2) (77.6) (74.2) (61.9) (62.9) (62.5) 수도권 2005 2010 2015 증감률 2005 2010 2015 증감률 2005 2010 2015 증감률 전국 1,305,479 1,648,292 1,726,517 +32.3 693,545 1,109,786 1,542,971 +122.5 279,856 332,351 405,576 +44.9

대도시

1,059,093 1,371,788 1,426,375

+34.7 556,773 894,181 1,229,676

+120.9 228,140 279,283 334,127 +46.5 (81.1) (83.2) (82.6) (80.3) (80.6) (79.7) (81.5) (84.0) (82.4) 특・광역시

및 수도권, 지방 대도시

945,480 1,242,020 1,280,534

+35.4 499,171 807,465 1,096,134

+119.6 193,723 245,282 288,815 +49.1 (72.4) (75.4) (74.2) (72.0) (72.8) (71.0) (69.2) (73.8) (71.2) 수도권

중소도시

113,613 129,768 145,841

+28.4 57,602 86,716 133,542 (17.5) (15.3) (15.5) (17.8) (17.3) (17.6) (16.2) (13.8) (14.1) 30만 이상

(2) 실업률변화

2009년부터2019년까지최근10년간도시별실업률현황을살펴보면, 2009년전국 평균3.2%에서2019년3.7%로0.5%p 증가율을보이고있다. 대도시와지방중소도 시는전국추세와비슷하게모두실업률이증가하는추세를보이고있으며, 특히, 지방 2005 2010 2015 증감률 2005 2010 2015 증감률 2005 2010 2015 증감률 2005 2010 전국 803,112 931,197 1,032,706 +28.6 51,732 106,607 93,206 +80.2 9,011 11,110 12,438 +38.0 69,663 1,198,451

대도시

632,396 756,685 834,538

+32.0 46,042 91,643 81,244

+76.5 7,927 10,105 11,371

+43.4 66,520 927,683 (78.7) (81.3) (80.8) (89.0) (86.0) (87.2) (88.0) (91.0) (91.4) (95.5) (77.4) 특・광역시

및 수도권, 지방 대도시

554,005 674,239 735,427

+32.7 42,124 82,930 73,181

+73.7 5,688 6,172 6,775

+19.1 59,872 801,472 (69.0) (72.4) (71.2) (81.4) (77.8) (78.5) (63.1) (55.6) (54.5) (85.9) (66.9) 수도권

151,698 154,013 171,812

+13.3 5,268 13,563 10,422 자료 : 국가통계포털(http://kosis.kr, 국가통계포털. 2005a, _______. 2010a, _______. 2015a 기관별 통계-지방지

치단체-산업체 조사 부문) 연구진 재구성

(https://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Index.do?menuId=M_01_01&vwcd=MT_ZTITLE&parmTa bId=M_01_01#V.1,, 2020년 7월 검색) *( ): 전국 사업체 종사자 수 대비 비중 ** +/- : 증가/감소

인구규모 2009년 실업률(%) 2019년 실업률(%) 증감률(%p)

전국 3.20 3.70 +0.50

대도시 2.75 3.59 +0.84

특・광역시 및 수도권 3.10 3.81 +0.71

수도권 중소도시 2.40 3.37 +0.97

중소도시지방

2.09 2.69 +0.60

30만 이상~50만 미만 2.60 3.65 +1.05

15만 이상~30만 미만 2.00 2.63 +0.63

5만 이상~15만 미만 1.67 1.78 +0.11

소도시 5만 미만 1.21 1.16 -0.05

자료: 국가통계포털(http://kosis.kr, 국가통계포털. 2009b, _______. 2019e 지역별고용조사 부문) 연구진 재구성 (https://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Index.do?menuId=M_01_01&vwcd=MT_ZTITLE&parmT abId=M_01_01#MT_CTITLE_7.3, 2020년 8월 검색)

표 Ⅲ-8 | 실업률 변화(2019년, 2019년 기준)

3) 물리・환경 부문4)

(1) 20년이상노후건축물

20년이상노후건축물은전국평균58.3%와비교할때, 대도시는전국평균보다

낮은56.9%로양호한수준이다. 반면지방중소도시에서준공20년이상노후건축물 이전체건축물중에차지하는비중은59.2%로전국평균(58.3%)을약간상회하는

수준이며, 특히5만이상15만미만도시와소도시는각각 59.8%, 60.3%로노후건 축물의 비율이 전국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다.

4) 물리・환경 부문에서는 20년 이상 노후건축물, 30년 이상 노후건축물, 개발행위허가 건수 및 면적, 도시지역 면적을 분석하였

4) 물리・환경 부문에서는 20년 이상 노후건축물, 30년 이상 노후건축물, 개발행위허가 건수 및 면적, 도시지역 면적을 분석하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