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바 . 핵심 전문가 양성과정

문서에서 기업내 인력개발 활성화 방안 (페이지 102-107)

13.6 25.3 37.4 140.0

7.9 23.3 22.4 307.8

232 29.7 53.6

훈련과정

ISO9000인증 ISO14000인증 QS9000인증 100PPM 6SIGMA 기타

141 38 17 8 14 13

24.9 34.0 24.0 29.5 28.5 21.1

24.9 21.3 14.2 17.2 10.7 12.5

231 26.5 22.4

바 . 핵심 전문가 양성과정

핵심 전문가 양성 과정은 품질관리 전문가 과정을 비롯하여 모두 11개 교 육훈련과정으로 분류하였다. 핵심 전문가 양성 과정을 운영하고 있는 사업 장은 < 표 Ⅳ- 24>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사 대상 업체의 20.0%로서, 1,000 인 이상 사업장의 48.7%가 이 과정을 운영하고 있는데 비하여 50인 미만의 사업장의 경우 8%만이 운영하고 있다. 1개 사업장 당 평균 실시 건수는 3 건으로 50인 이상 3000인 미만 사업장이 평균 4.4건으로 가장 많았고, 1,000인 이상 사업장은 평균 3.4건으로 나타나고 있다.

교육훈련과정별로는 재무관리(18.7% )를 비롯해서 품질관리(17.4% ), 마케팅 관리(16.7% ) 전문가의 양성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사업장 규모별로 보면 300인 미만 사업장의 경우 품질관리 전문가 양성이 상대적으로 가장 많은데 비하여 300인 이상 사업장은 마케팅 관리 전문가 양성이 상대적으로 가장 많았다.

< 표 Ⅳ- 55> 사업장 규모별 핵심 전문가 교육훈련과정

(단위: 건, % ) 5 인- 49 인 5 0 인- 29 9인 3 0 0인 - 9 99 인 10 0 0인이상 품질관리 5(21.7) 37(27.0) 8(10.7) 2(3.1) 52(17.4) 생산관리 1(4.3) 14(10.2) 5(6.7) 3(4.7) 23(7.7) 재무관리 2(8.7) 26(19.0) 14(18.7) 14(21.9) 56(18.7) 마케팅관리 1(4.3) 14(10.2) 14(18.7) 21(32.8) 50(16.7) 안전문제 4(17.4) 8(5.8) 11(14.7) 1(1.6) 24(8.0) 환경문제 1(4.3) 4(2.9) 8(10.7) 1(1.6) 14(4.7) 자금관리 3(13.0) 16(11.7) 9(12.0) 13(20.3) 41(13.7) 무역실무 3(13.0) 8(5.8) 4(5.3) 5(7.8) 20(6.7)

크레임처리 1(4.3) 4(2.9) 3(4.7) 8(2.7)

기타 2(8.7) 6(4.4) 2(2.7) 1(1.6) 11(3.7)

23(100) 137(100) 75(100) 64(100) 299(100)

또한 이들 양성 과정의 대상자는 중견관리자(26.8% )와 초급관리자(15.8% ) 등 관리자를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 양성 과정별로 볼 때, 생산관리 및 안 전문제 전문가의 경우 생산감독직을 포함한 생산 기술・기능직의 참여가 다 른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과정보다 상대적으로 그 참여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교육훈련 방법으로는 사외 세미나 또는 연수(52.0% )가 가장 많았고, 다음 은 사내 연수가 22.8%를 차지하고 있다. 교육훈련과정별로 보면 품질관리, 생산관리, 환경문제, 무역실무 전문가 양성 과정의 경우는 사외 세미나・연 수, 크레임 처리 및 마케팅 관리 전문가 양성 과정의 경우는 사내 연수가 상대적으로 가장 많았다.

< 표 Ⅳ- 56> 핵심 전문가 교육훈련과정별 교육훈련 대상

품질관리 1(1.9) 11(21.2) 30(57.7) 7(13.5) 1(1.9) 2(3.8) 52(100) 생산관리 1(4.3) 7(30.4) 13(56.5) 1(4.3) 1(4.3) 23(100) 재무관리 2(3.6) 13(23.2) 28(50.0) 7(12.5) 4(7.1) 1(1.8) 1(1.8) 56(100) 마케팅관리 1(2.0) 19(38.8) 24(49.0) 3(6.1) 1(2.0) 1(2.0) 49(100) 안전문제 2(8.3) 5(20.8) 12(50.0) 4(16.7) 1(4.2) 24(100) 환경문제 2(14.3) 1(7.1) 8(57.1) 3(21.4) 14(100) 자금관리 3(7.3) 4(9.8) 21(51.2) 8(19.5) 1(2.4) 2(4.9) 2(4.9) 41(100) 무역실무 3(15.0) 2(10.0) 11(55.0) 3(15.0) 1(5.0) 20(100)

크레임처리 4(50.0) 3(37.5) 1(12.5) 8(100)

기타 2(18.2) 5(45.5) 2(18.2) 2(18.2) 11(100)

교육훈련 장소는 산업교육 전문기관(48.7% )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다 음으로 그룹 또는 자사의 연수원(21.5% ), 사내 현장(19.8% )의 순으로 이용되 고 있다. 양성 과정별로는 생산관리 및 무역 실무 전문가 과정의 경우 사내 현장의 이용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마케팅 관리 전문가 과 정은 그룹 또는 자사의 연수원이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다.

< 표 Ⅳ- 58> 핵심 전문가 교육훈련과정별 교육훈련 장소

(단위: 건, % )

사내현장 연수원 산업교육기관 국내대학 기타

품질관리 13(25.0) 3(5.8) 29(55.8) 2(3.8) 5(9.6) 52(100) 생산관리 8(33.3) 3(12.5) 10(41.7) 1(4.2) 2(8.3) 24(100) 재무관리 11(20.0) 13(23.6) 23(41.8) 3(5.5) 5(9.1) 55(100) 마케팅 4(8.2) 26(53.1) 15(30.6) 4(8.2) 49(100) 안전문제 6(25.0) 3(12.5) 14(58.3) 1(4.2) 24(100)

환경문제 2(14.3) 3(21.4) 9(64.3) 14(100)

자금관리 5(12.2) 7(17.1) 25(61.0) 3(7.3) 1(2.4) 41(100) 무역실무 6(30.0) 2(10.0) 11(55.0) 1(5.0) 20(100)

크레임처리 2(25.0) 2(25.0) 4(50.0) 8(100)

기타 2(18.2) 2(18.2) 5(45.5) 2(18.2) 11(100) 59(19.8) 64(21.5) 145(48.7) 16(5.4) 14(4.7) 298(100)

< 표 Ⅳ- 59> 핵심 전문가 교육훈련과정별 교육훈련 강사

(단위: 건, % ) 사내

강사

사내 인력

국내 교수

국내 인사

전문

강사 기타

품질관리 9(17.3) 6(11.5) 1(1.9) 1(1.9) 34(65.4) 1(1.9) 52(100) 생산관리 4(17.4) 3(13.0) 1(4.3) 15(65.2) 23(100) 재무관리 7(12.5) 9(16.1) 5(8.9) 2(3.6) 31(55.4) 2(3.6) 56(100) 마케팅관리 4(8.2) 6(12.2) 6(12.2) 3(6.1) 29(59.2) 1(2.0) 49(100)

안전문제 3(12.5) 7(29.2) 14(58.3) 24(100)

환경문제 2(14.3) 4(28.6) 7(50.0) 1(7.1) 14(100) 자금관리 3(7.3) 4(9.8) 3(7.3) 2(4.9) 29(70.7) 41(100) 무역실무 2(10.0) 4(20.0) 1(5.0) 1(5.0) 11(55.0) 1(5.0) 20(100)

크레임처리 2(25.0) 6(75.0) 8(100)

기타 3(30.0) 6(60.0) 1(10.0) 10(100)

36(12.1) 43(14.5) 19(6.4) 10(3.4) 182(61.3) 7(2.4) 297(100)

교육훈련 강사는 전체적으로 전문교육기관의 강사가 61.3%로 가장 많았

< 표 Ⅳ- 31>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20시간과 24시간 과정이 각 각 17.1%로 가장 많았고, 45시간(15.7% )이 다음을 차지하고 있다. 전체적으 로 24시간 이하가 50%를 차지하고 있으며, 전체 과정의 23.1%가 훈련 비용 이 인정되지 않는 20시간 미만으로 운영되고 있다.

문서에서 기업내 인력개발 활성화 방안 (페이지 102-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