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마 . 인증 교육훈련 프로그램

문서에서 기업내 인력개발 활성화 방안 (페이지 98-102)

인증 교육훈련 프로그램(이하 인증 교육훈련 이라 함)은 IS O 9000 인증 관련교육을 비롯하여 모두 12개 교육훈련과정으로 분류하였다. 인증 교육훈 련과정을 운영하고 있는 사업장은 < 표 Ⅳ- 24>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사 대 상 업체의 21.6%로서, 50인 이상 300인 미만 사업장의 31.4%가 이 교육훈련 과정을 운영하고 있으며 50인 미만 사업장은 10.2%만이 운영하고 있다. 1개 사업장 당 평균 실시 건수는 2.5건으로 1,000인 이상 사업장이 4.3건으로 가 장 많았고 50인 이상 3000인 미만 사업장이 2.0건으로 가장 적었다. 교육훈 련과정별로 보면, IS O 9000 인증 관련 교육과정이 59.3%로 가장 많았고, 다 음은 IS O 14,000 인증 관련 교육과정이 15.8%를 차지하고 있다. 사업장 규 모가 작을수록 IS O 9000, 사업장 규모가 클수록 IS O 14000 인증 관련 교육

또한 이들 과정의 교육훈련 대상은 전체적으로 볼 때, 전 직원(19.6% )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 곳이 가장 많았고, 직급별로는 중견관리자(19.2% )를 대 상으로 운영하는 사업장이 가장 많았다. 특히, 다른 교육훈련 프로그램에 비 하여 생산 기술・기능직의 참여가 13.0%로 상대적으로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다.

< 표 Ⅳ- 49> 사업장 규모별 인증 교육훈련과정

(단위: 건, % ) 5인 - 4 9인 5 0 인- 29 9인 3 0 0인 - 9 99 인 100 0 인이상 ISO9000 32(78.0) 80(64.0) 41(50.6) 9(34.6) 162(59.3) IS O14000 1(2.4) 16(12.8) 20(24.7) 6(23.1) 43(15.8) QS9000 3(7.3) 10(8.0) 7(8.6) 2(7.7) 22(8.1)

100PPM 3(2.4) 7(8.6) 2(7.7) 12(4.4)

6SIGMA 10(8.0) 4(4.9) 1(3.8) 15(5.5)

기타 5(12.2) 6(4.8) 2(2.5) 6(23.1) 19(7.0) 41(100) 125(100) 81(100) 26(100) 273(100)

< 표 Ⅳ- 50> 인증 교육훈련과정별 교육훈련 대상

(단위: 건, % ) IS O

9 0 00

IS O 14 00 0

Q S 9 0 00

100

P P M 6 S IGM A 기타

신입사원 9(5.6) 2(4.7) 11(4.1)

초급관리 16(10.0) 5(11.6) 1(4.5) 1(8.3) 3(20.0) 26(9.6) 중견관리 31(19.4) 8(18.6) 3(13.6) 4(33.3) 3(20.0) 3(15.8) 52(19.2) 임원급관리 10(6.3) 3(7.0) 2(9.1) 2(16.7) 1(6.7) 18(6.6)

생산감독직 10(6.3) 4(9.3) 14(5.2)

사무관리 25(15.6) 3(7.0) 5(22.7) 2(13.3) 2(10.5) 37(13.7) 생산기술 9(5.6) 5(11.6) 2(9.1) 1(8.3) 3(20.0) 4(21.1) 24(8.9) 생산기능 7(4.4) 2(4.7) 1(6.7) 1(5.3) 11(4.1)

영업직 4(2.5) 4(1.5)

전직원 29(18.1) 8(18.6) 6(27.3) 2(16.7) 2(13.3) 6(31.6) 53(19.6) 기타 10(6.3) 3(7.0) 3(13.6) 2(16.7) 3(15.8) 21(7.7) 160(10) 43(100) 22(100) 12(100) 15(100) 19(100) 271(100)

교육훈련 방법으로는 사외 세미나 또는 연수(37.0% )가 가장 많았고, 다음 은 사내 연수가 29.3%를 차지하고 있다. 교육훈련과정별로는 100PP M 과정의 경우 사내 연수가 41.7%로 주류를 이루고 있다.

교육훈련 장소는 사내 현장(53.7% )이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산업교 육 전문기관(37.8% )이 다음을 차지하고 있다. 교육훈련과정별로는 100PPM 과정의 75.0%가 사내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6SIGM A과정의 경우 53.3%가 산업교육 전문기관을 이용하고 있다.

< 표 Ⅳ- 51> 인증 교육훈련과정별 교육훈련 방법

(단위: 건, % ) IS O

90 0 0

IS O 140 0 0

QS 90 0 0

10 0

P P M 6 S IGM A 기타 OJT 17(10.5) 9(20.9) 5(22.7) 4(33.3) 6(31.6) 41(15.0) 사내연수 51(31.5) 11(25.6) 7(31.8) 5(41.7) 2(13.3) 4(21.1) 80(29.3) 사외연수 58(35.8) 19(44.2) 7(31.8) 3(25.0) 8(53.3) 6(31.6) 101(37.0) 국내단기연수 11(6.8) 1(2.3) 2(9.1) 2(13.3) 16(5.9)

통신연수 1(2.3) 1(4.5) 3(15.8) 5(1.8)

기타 25(15.4) 2(4.7) 3(20.0) 30(11.0)

162(100) 43(100) 22(100) 12(100) 15(100) 19(100) 273(100)

교육훈련 강사는 전체적으로 전문교육기관의 강사가 63.5%를 차지하고 있는데, 이는 다른 교육훈련 프로그램에 비하여 이들의 참여가 월등히 높은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100PPM 과정의 경우 83.3%가 전문교육기관의 강사를 활용하고 있다.

또한 인증 교육훈련과정의 전체 평균 시간은 29.7시간으로 나타나고 있으 며, 사업장 규모별로는 50인 미만 사업장이 13.6시간으로 가장 짧았다. 훈련 과정별로는 IS O 14000 인증 관련 교육과정이 34시간으로 가장 길었고, QS 9000 인증 관련 교육과정은 24시간으로 가장 짧았다.

< 표 Ⅳ- 52> 인증 교육훈련과정별 교육훈련 장소

(단위: 건, % ) IS O

9 0 00

IS O 14 0 00

QS 9 0 00

10 0

P P M 6 S IGM A 기타 사내현장 87(54.7) 25(58.1) 13(59.1) 9(75.0) 5(33.3) 6(31.6) 145(53.7)

연수원 6(3.8) 2(4.7) 1(4.5) 9(3.3)

산업교육기관 61(38.4) 15(34.9) 8(36.4) 3(25.0) 8(53.3) 7(36.8) 102(37.8)

공공훈련기관 4(21.1) 4(1.5)

민간훈련기관 2(10.5) 2(.7)

기타 5(3.1) 1(2.3) 2(13.3) 8(3.0)

159(100) 43(100) 22(100) 12(100) 15(100) 19(100) 270(100)

< 표 Ⅳ- 31>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24시간 과정이 16.8%로 가 장 많았고, 40시간(15.9% )이 다음을 차지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24시간 이하 가 50%를 차지하고 있으며, 전체 과정의 33.6%가 훈련비용이 인정되지 않 는 20시간 미만으로 운영되고 있다.

< 표 Ⅳ- 53> 인증 교육훈련과정별 교육훈련 강사

(단위: 건, % ) IS O

90 0 0

IS O 140 0 0

QS 90 0 0

10 0

P P M 6 S IGM A 기타 사내강사 18(11.3) 2(4.7) 2(9.1) 1(8.3) 1(6.7) 24(8.9) 사내전문인력 36(22.5) 14(32.6) 5(22.7) 1(8.3) 1(6.7) 6(31.6) 63(23.2)

국내대학교수 4(2.5) 2(13.3) 6(2.2)

전문교육강사 97(60.6) 27(62.8) 15(68.2) 10(83.3) 10(66.7) 13(68.4) 172(63.5)

기타 5(3.1) 1(6.7) 6(2.2)

160(100) 43(100) 22(100) 12(100) 15(100) 19(100) 271(100)

< 표 Ⅳ- 54> 인증 프로그램 평균 교육훈련시간

구분 빈도 평균 표준편차

사업장규모

5인- 49인 50인- 299인 300인- 999인 1000인 이상

41 117

68 6

13.6 25.3 37.4 140.0

7.9 23.3 22.4 307.8

232 29.7 53.6

훈련과정

ISO9000인증 ISO14000인증 QS9000인증 100PPM 6SIGMA 기타

141 38 17 8 14 13

24.9 34.0 24.0 29.5 28.5 21.1

24.9 21.3 14.2 17.2 10.7 12.5

231 26.5 22.4

문서에서 기업내 인력개발 활성화 방안 (페이지 98-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