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SCI (수)

Ⅴ. 맺는말

지식기반사회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인적자원의 질적 제고는 생존의 문제와 직결된다. 우리 에게는 국민들의 열화와 같은 교육열이 있다. 이는 인적자원의 질적 제고를 지향하는 입장에서 는 매우 소중한 자산이 아닐 수 없다. 지난 반세기 동안 우리가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을 정도 로 급속한 교육의 양적 성장을 성취할 수 있었던 것도 이러한 국민들의 뜨거운 교육열에 힘입 은 바 크다. 그러나 교육열이 교육의 질적 제고, 나아가 인적자원개발의 효율성을 담보해주지는 않는다.

교육의 질 및 인적자원개발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교육제도라는 인프라가 정비될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현행 평준화제도와 대입제도는 원점에서부터 재검토되어야 할 것 이다. 특히 평준화제도는 지금보다 교육수요자에게 좀더 많은 선택의 폭을 부여하는 방향으로 보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공교육이 현재의 타성과 무기력함을 떨쳐버리는 한편, 교 육의 수월성과 형평성이 균형을 취하여 추구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대입제도는 한국의 초․중등교육이 다양화․특성화를 향해 나아가는 데 방향타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정비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대학의 학생선발에 과도하게 개입하는 일을 자제하고

불필요한 규제는 과감히 걷어내는 자세를 보여줄 필요가 있다. 그리고 학부모들이 학력이나 학 벌의 효과에 대한 맹신에서 탈피하여 자녀의 진로와 관련하여 좀더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적절한 정보를 제공하고, 학력이나 학벌이 아닌 전문적 능력 또는 실력에 의해 평가 받는 사회를 구현하는 데도 배전의 노력을 경주해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강창동(2003). 지식기반사회와 학교지식. 서울: 문음사.

김경근(2002). “학교선택제와 교육평등.” 교육사회학연구, 12(3): 1-23.

김경근․변수용(2003). “고교 평준화제도 존폐에 대한 학부모의 태도 결정요인.” 교육사회학연구, 13(2): 21-45.

김동석(2001). “대입제도 변천과정을 통해 본 구조적 배경과 쟁점.” 교육개발, 125: 12-19.

김관호(2003). 세계화와 글로벌 경제. 서울: 박영사.

김성인(2001). “대입전형 제도의 문제점, 분석 및 개선방안.” 교육개발, 125: 52-56.

김신일(2003). 교육사회학. 서울: 교육과학사.

박부권(2002). “고등학교 평준화 정책, 이제 바뀌어야 하는가?” 제24회 아산사회복지재단 창립기념 심포지엄 자료집, 교육환경의 변화와 교육정책의 과제, 85-107.

박부권 외(2002). 고등학교 평준화정책의 진단과 보완방안에 대한 연구. 교육정책연구 2002-특-15.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백순근(2004). “대학입학전형의 다양화․전문화․특성화.” 자율과 책무의 대학개혁: 제2단계의 개 혁. 박세일․이주호․우천식(편), 523-556.

성기선․강태중(2001). “평준화 정책과 지적 수월성 교육의 관계에 대한 실증적 검토.” KEDI 정책 포럼 자료집, 2001-2,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이상우․정권택 (2003). 청년실업 증가의 문제점과 대응방안. CEO Information, 제395호, 2003.4.9, 삼성경제연구소.

이주호․홍성창(2001). “학교 대 과외: 한국 교육의 선택과 형평.” 경제학연구, 49(1): 37-56.

Fischer, C.S., M. Hout, M.S. Jankowski, S.R. Lucas, A. Swidler and K. Voss.(1996). Inequality by design.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Thornton, C. and B.K. Eckland(1980). High school contextual effects for black and white students: A research note. Sociology of Education, 53, 247-252.

Waslander, S. and M. Thrupp(1995). Choice, competition, and segregation: An empirical analysis of a New Zealand secondary school market, 1990-93. Journal of Education Policy, 10, 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