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저작자표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저작자표시"

Copied!
21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2)

2022년 2월 박사학위 논문

중국 노후주거지역 도시재생을 위한 CPTED요소 분석

–광저우(廣州)와 선전(深圳)을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대학원

디자인학과

형 월

(3)

중국 노후주거지역 도시재생을 위한 CPTED요소 분석

–광저우(廣州)와 선전(深圳)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the CPTED Elements for Urban Regeneration in China's Deteriorated Residential Areas

-Centered on Guangzhou and Shenzhen-

2022년 2월 25일

조선대학교 대학원

디자인학과

형 월

(4)

중국 노후주거지역 도시재생을 위한 CPTED요소 분석

–광저우(廣州)와 선전(深圳)을 중심으로–

지도교수

문정민

이 논문을 디자인학 박사학위신청 논문으로 제출함

2021년 10월

조선대학교 대학원

디자인학과

형 월

(5)

형월의 박사학위논문을 인준함

위원장 동신대학교 교수 손승광 (인) 위 원 조선대학교 교수 김승환 (인) 위 원 조선대학교 교수 김경원 (인) 위 원 조선대학교 교수 한지애 (인) 위 원 조선대학교 교수 문정민 (인)

2022년 1월

조선대학교 대학원

(6)

목 차

표 목차 ··· ⅳ 그림 목차 ··· ⅶ ABSTRACT ··· ⅷ

제1장 서론 ···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1.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 4

1.3 선행연구 분석 ··· 7

1.3.1 선행연구의 동향 ··· 7

1.3.2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및 기대효과 ··· 15

제2장 이론적 고찰 ··· 16

2.1 노후주거지역 도시재생과 CPTED ··· 16

2.1.1 도시재생의 개념 ··· 16

2.1.2 노후주거지역 ··· 17

2.1.3 중국 노후주거지역의 도시재생 현황 ··· 20

2.1.4 광저우·선전 노후주거지역의 도시재생 현황 ··· 20

2.1.5 노후주거지역의 도시재생과 CPTED ··· 22

2.2 CPTED요소 분석 ··· 32

2.2.1 한국 노후주거지역의 CPTED요소 분석 ··· 32

2.2.2 중국 노후주거지역의 CPTED요소 분석 ··· 39

2.2.3 한·중 노후주거지역의 CPTED요소 분류 ··· 45

(7)

2.3 한·중 노후주거지역의 CPTED요소 비교분석 ··· 52

2.3.1 자연적 감시 ··· 52

2.3.2 접근통제 ··· 54

2.3.3 영역성 ··· 57

2.3.4 활동지원 ··· 59

2.3.5 유지관리 ··· 61

2.3.6 주민참여 ··· 64

2.3.7 한·중 CPTED요소 종합분석 ··· 66

2.4 소결 ··· 67

제3장 광저우·선전 노후주거지역의 CPTED 사례연구 ··· 69

3.1 분석 개요 ··· 69

3.1.1 분석 프레임 ··· 69

3.1.2 사례 대상지 현황 ··· 71

3.2 광저우 사례 분석 ··· 75

3.2.1 공화촌(共和村) ··· 75

3.2.2 영경방(永庆坊) ··· 90

3.3 선전 사례 분석 ··· 105

3.3.1 대분촌(大芬村) ··· 105

3.3.2 사정촌(沙井村) ··· 120

3.4 소결 ··· 136

제4장 연구 검증 ··· 144

4.1 전문가조사 ··· 144

4.1.1 조사 개요 ··· 144

4.1.2 신뢰도 분석 ··· 145

(8)

4.1.3 CPTED요소 중요도 평가 ··· 147

4.1.4 전문가조사 결과 ··· 150

4.2 주민조사 ··· 152

4.2.1 조사 개요 ··· 152

4.2.2 신뢰도 분석 ··· 154

4.2.3 CPTED요소 중요도 평가 ··· 156

4.2.4 주민 안전감 조사 ··· 159

4.2.5 주민조사 결과 ··· 161

4.3 종합결과 ··· 163

4.4 연구검증 결과 ··· 166

제5장 결론 ··· 169

5.1 연구 결과 ··· 169

5.2 연구 한계점 및 제언 ··· 176

참고문헌 ··· 177

국문초록 ··· 183

(9)

표 목차

[표 1-1] 한국 문헌연구 ···9

[표 1-2] 중국 문헌연구 ···13

[표 2-1] 중국의 노후주거지역 문헌연구 ···19

[표 2-2] 해외의 범죄예방디자인 적용현황 ···29

[표 2-3] 한국 노후주거지역의 CPTED요소 연구논문 ···32

[표 2-4] 한국 노후주거지역의 CPTED요소 분석 ···33

[표 2-5] 중국 노후주거지역의 CPTED요소 연구논문 ···39

[표 2-6] 중국 노후주거지역의 CPTED요소 분석 ···40

[표 2-7] 한국-자연적 감시 세부항목 분류 ···46

[표 2-8] 한국-접근통제 세부항목 분류 ···47

[표 2-9] 한국-영역성 세부항목 분류 ···47

[표 2-10] 한국-활동지원 세부항목 분류 ···47

[표 2-11] 한국-유지관리 세부항목 분류 ···48

[표 2-12] 한국-주민참여 세부항목 분류 ···48

[표 2-13] 중국-자연적 감시 세부항목 분류 ···49

[표 2-14] 중국-접근통제 세부항목 분류 ···49

[표 2-15] 중국-영역성 세부항목 분류 ···50

[표 2-16] 중국-활동지원 세부항목 분류 ···50

[표 2-17] 중국-유지관리 세부항목 분류 ···50

[표 2-18] 중국-주민참여 세부항목 분류 ···50

[표 2-19] 자연적 감시의 공통점과 차이점 ···52

[표 2-20] 한·중 자연적 감시 분석결과 ···54

[표 2-21] 접근통제의 공통점과 차이점 ···55

[표 2-22] 한·중 접근통제 분석결과 ···56

[표 2-23] 영역성의 공통점과 차이점 ···57

[표 2-24] 한·중 영역성 분석결과 ···59

[표 2-25] 활동지원의 공통점과 차이점 ···60

[표 2-26] 한·중 활동지원 분석결과 ···61

[표 2-27] 유지관리의 공통점과 차이점 ···62

[표 2-28] 한·중 유지관리 분석결과 ···64

[표 2-29] 주민참여의 공통점과 차이점 ···64

[표 2-30] 한·중 주민참여 분석결과 ···66

(10)

[표 2-31] CPTED요소 분석 틀 ···68

[표 3-1] 사례분석 틀 ···70

[표 3-2] 사례 대상지 개요 ···72

[표 3-3] CPTED요소 사례분석-공화촌 ···76

[표 3-4] 공화촌-자연적 감시 ···77

[표 3-5] 공화촌-접근통제 ···79

[표 3-6] 공화촌-영역성 ···81

[표 3-7] 공화촌-활동지원 ···83

[표 3-8] 공화촌-유지관리 ···84

[표 3-9] 공화촌 CPTED요소 분석결과 ···89

[표 3-10] CPTED요소 사례분석-영경방 ···91

[표 3-11] 영경방-자연적 감시 ···92

[표 3-12] 영경방-접근통제 ···94

[표 3-13] 영경방-영역성 ···96

[표 3-14] 영경방-활동지원 ···98

[표 3-15] 영경방-유지관리 ···100

[표 3-16] 영경방 CPTED요소 분석결과 ···104

[표 3-17] CPTED요소 사례분석-대분촌 ···106

[표 3-18] 대분촌-자연적 감시 ···107

[표 3-19] 대분촌-접근통제 ···109

[표 3-20] 대분촌-영역성 ···111

[표 3-21] 대분촌-활동지원 ···113

[표 3-22] 대분촌-유지관리 ···115

[표 3-23] 대분촌 CTPED 요소 분석결과 ···119

[표 3-24] CPTED요소 사례분석-사정촌 ···121

[표 3-25] 사정촌-자연적 감시 ···122

[표 3-26] 사정촌-접근통제 ···124

[표 3-27] 사정촌-영역성 ···126

[표 3-28] 사정촌-활동지원 ···128

[표 3-29] 사정촌-유지관리 ···130

[표 3-30] 사정촌 CPTED요소 분석결과 ···135

[표 3-31] 사례분석 결과 ···137

[표 3-32] 공화촌의 CPTED요소 개선방안 ···138

[표 4-1] 전문가조사 항목 ···144

(11)

[표 4-2] 전문가 일반 정보 ···145

[표 4-3] 신뢰도 분석결과 ···146

[표 4-4] 항목 총계 ···146

[표 4-5] 6가지 CPTED요소 가중치 분석결과 ···147

[표 4-6] 자연적 감시 가중치 분석 ···148

[표 4-7] 접근통제 가중치 분석 ···148

[표 4-8] 영역성 가중치 분석 ···149

[표 4-9] 활동지원 가중치 분석 ···149

[표 4-10] 유지관리 가중치 분석 ···150

[표 4-11] 주민참여 가중치 분석 ···150

[표 4-12] 복합 가중치 분석결과 ···151

[표 4-13] 주민조사 개요 ···152

[표 4-14] 주민조사 항목 ···152

[표 4-15] 주민 일반 정보 ···153

[표 4-16] 신뢰도 분석결과 ···154

[표 4-17] 항목 총계 ···155

[표 4-18] 공화촌-CPTED요소 중요도 조사 ···156

[표 4-19] 영경방-CPTED요소 중요도 조사 ···157

[표 4-20] 대분촌-CPTED요소 중요도 조사 ···158

[표 4-21] 사정촌-CPTED요소 중요도 조사 ···159

[표 4-22] 주민 안전감 평가 ···160

[표 4-23] 보안 취약지역 단어 빈도 ···160

[표 4-24] 주민조사 분석결과 ···162

[표 4-25] 전문가 및 주민조사 결과 ···165

[표 4-26] 20가지 CPTED요소 ···168

(12)

그림 목차

[그림 1-1] 연구의 흐름도 ···6

[그림 2-1] 한국의 주택 환경 정비 전, 후 (1) ···17

[그림 2-2] 한국의 주택 환경 정비 전, 후 (2) ···17

[그림 2-3] 중국의 주택 환경 정비 전, 후 ···17

[그림 2-4] 자연적 감시 사례 ···26

[그림 2-5] 주택 환경 정비 전, 후 ···26

[그림 2-6] 출입구 최소화 ···26

[그림 2-7] 출입구 접근통제 ···26

[그림 2-8] 분야감각 증진을 위한 디자인 및 사례 ···27

[그림 2-9] 개인공간과 공공공간 ···27

[그림 2-10] CPTED요소 분류 ···51

[그림 2-11] 한·중 자연적 감시 비율 비교 ···53

[그림 2-12] 한·중 접근통제 비율 비교 ···55

[그림 2-13] 한·중 영역성 비율 비교 ···58

[그림 2-14] 한·중 활동지원 비율 비교 ···60

[그림 2-15] 한·중 유지관리 비율 비교 ···63

[그림 2-16] 한·중 주민참여 비율 비교 ···65

[그림 3-1] 광저우, 선전의 지리적 위치 ···71

[그림 3-2] 공화촌 위치도 ···76

[그림 3-3] 공화촌 평면도 ···76

[그림 3-4] 영경방 위치도 ···90

[그림 3-5] 영경방 평면도 ···90

[그림 3-6] 대분촌 위치도 ···105

[그림 3-7] 대분촌 평면도 ···105

[그림 3-8] 사정촌 위치도 ···120

[그림 3-9] 사정촌 평면도 ···120

[그림 4-1] 3가지 조사결과의 CPTED요소 ···166

[그림 4-2] 3가지 조사별 결과분석 ···166

(13)

ABSTRACT

An Analysis of the CPTED Elements for Urban Regeneration in China

Deteriorated

Residential Areas

-Centered on Guangzhou and Shenzhen-

XING YUE

Advisor : Prof. Jeong Min Moon.Ph.D.

Department of Design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China's fast urbanization process has created a large number of old residential areas. Its auxiliary facilities cannot meet the needs of urban development and cause a lot of social problems. Crime has emerged as a major threat to the safety of urban life. On the other hand, China's urban regeneration policy has changed from "incremental expansion" to

"stock-planning" and old residential areas have become the focus of renovation. Currently, China's urban regeneration focuses on environmental beautification, environmental maintenance but residents' participation are insufficient. Scholars from the U.S. and South Korea have demonstrated that proper improvement in the design and conditions of the building environment can reduce crime and fear of crime. Other areas that do not use CPTED theory for urban regeneration have improved the environment, but no significant reduction in crime rates in the region has appeared. Crime control in China relies mainly on law deterrence and crime prevention, and less on the use of environmental planning and design methods based on spatial perspective to prevent crimes. With the high crime rate in China's old residential areas, urban regeneration through CPTED strategies is necessary to reduce crime rates and residents' fear of crime.

(1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tents of CPTED elements that need to be improved in the urban regeneration of old residential areas and to draw suggestions for improvemen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PTED 6 factors (natural surveillance, access control, territoriality, activity support, maintenance, and operation management) in those areas, the paper conducted a preliminary study to investigat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 total of 28 factors(facilities, physical space, operation, and maintenance) were investigated by case study, and 28 factors were studied by experts and residents through face-to-face interviews and surveys.

The case study found that there were serious safety issues in 11 components, specifically facility C-1, A-1, physical space S-5, C-3, T-3, T-4, A-3, and operational maintenance S-6, C-4, A-4, and M-4. The results of the case study were verified by experts and residents. The top 10 most important and urgent improvements in expert surveys and residents are those that are consistent with access control C-3, C-4, and contain four elements that are not covered in the case study. On the other hand, the results of the case study basically included the results of the resident survey(except S-4, M-1). As the results of the three-way survey are all very important through research and verification, 20 Chinese old residential areas have been found to be in urgent need of improvement. Among them, access control, residents participation, importance, and urgency were the highest, followed by natural surveillance, maintenance, and activity support, and regional importance, and urgency were the lowest. By category, the operational maintenance category has the highest importance and urgency, with a total of eight elements and six elements each in the physical space and facilities category.

In this study, qualitative research and quantification research methods were conducted in parallel. For urban planners, architects and public design workers in China, this paper provides reference to the study of urban regeneration of old residential areas from the perspective of CPTED.

Key words:CPTED,Urban Regeneration,Deteriorated Residential Areas,

GuangZhou ShenZhen

(15)

제1장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중국은 개혁 개방 이후 40년 간 도시 재개발을 통한 발전을 이루었으며, 급속한 도시화로 인해 급격한 변화가 진행되면서 농촌마을, 구시가지, 도시 안의 농촌, 도시 변두리 지역에는 노후주거지역이1) 대량으로 출현하게 되었다. 노후주거지역 주변에 편의시설을 조성하는 것으로는 도시발전의 수요를 충족시킬 수 없었으며, 현 시점에서 구 시가지와 변방지역의 쇠퇴와 재생은 경제적, 사회적으로 불가피한 상황이다. 2012년 <중국국토자원공보(中国国土资源公报)>가2) "단위 국내총생산 건설 부지의 30% 감소"라는 총 목표를 제시한 것은 건설이 이미 "도시재생"3)의 시 대에 들어섰음을 의미하며, 도시재생 등의 방법을 통해 구시가지의 기능을 최적화 하고 조정해야 한다.(邹兵, 2013)4).

중국의 노후주거지역은 도시재생 차원에서 환경미화 중심의 리모델링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광저우5)와 선전6)은 중국의 4대 도시 중 하나로, 광둥성에 속해있 으며, 지리적으로 가깝다. 광저우는 <광저우시 도시재생 방법(广州城市更新办法), 2016> 정책을 내놓았고7), 선전은 <선전 도시재생 관리 방법(深圳城市更新管理办 法), 2009>을 통해8) 구도심 쇠퇴, 발전 불균형 등의 문제를 중점적으로 해결하여 도시의 주거환경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중국의 노후주거지역은 사회문제, 특히 각종 범죄사건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1) 본 연구에서는 1980년 이전에 건설된 주택단지를 중국의 노후주거지역이라 지칭하며, 오래된

시가지와 도시 속 농촌(현재는 일반적 도시지역으로 전환됨), 공공시설이 주민의 기본생활에 미치는 심각한 영향 정도와 재건축 의사 여부를 고려하여 판단한다.

2) 주관은 국토자원부, 주최는 중국 국토자원신문사이다. 주요 독자는 국토자원부서의 직원과 국 토자원부기관 신문사이다.

3) 특히 기존 도시건설용지 중 비효율적으로 사용 및 방치되거나, 도시계획에 부합하지 않게 건 설된 토지를 가리키며, 구도심, 구촌, 구공업지구와 구기업을 재생함으로써 기존 토지에 새로 운 공간을 조성한다.

4) 邹兵,「增量规划,存量规划与政策规划」,『城市规划』,2013, p.37

5) 바이두(百度) 백과: 광저우는 총 면적 7,434 km², 상주 인구 1,530만 5,900명이다. 노후 주거지 의 부지 면적은 534.63 km²이고, 인구는 600만명에 육박한다.

6) 바이두(百度) 백과: 선전 전체 면적은 1,997.47 km², 상주 인구는 1,751만 명이다. 노후주거지 의 전체 면적은 320 km², 거주 인구는 약 1200만 명이다.

7) 광저우 시인민정부홈페이지 http://www.gz.gov.cn

(16)

이에 따른 주민들의 불안감 또한 증대되고 있다.(형월·문정민, 2021)9) 광저우와 선전의 노후주거지역 또한 2010년 이후 10년 간 절도·강도 등의 형사사건 범죄가 32.4%로 크게 증가했으며, <중국범죄관리청서(中国犯罪治理蓝皮书)>10)가 발표한 2019년도 중국 범죄 관리현황에 따르면, 광둥성 범죄 발생 빈도는 건당 2.89분으 로, 높은 편임을 알 수 있다. 2020년 광둥성 특정구역에서 접수된 범죄신고 15,492건 중 절도는 8,736건으로 56.4%를 차지해 사회적으로 관심이 집중되었으 며, 도난·사기사건은 범죄 신고 건수가 많은 지역 및 노후주거지역 내 유동인구 가 원인이 되고 있다. 광둥성11) 안청 량루이궈(梁瑞國) 형사수사국 부국장은 “광 둥성 형사사건의 85%가 도난·사기(절도·강도·사기)이며, 지역적 특징이 뚜렷하 다”고 말한 바 있다.12) (인민공안부 홈페이지, 2016) 또한, 언론이 보도한 '2018 년 중국 200도시 범죄율 순위'에서 광저우가 1위, 선전이 2위를 차지한 것으로 나 타났다. 그밖에도 높은 건축밀도, 공공공간과 주차공간 부족, 주차차량의 차도점 용, 소방도로 사용 제한, 높은 실업률 등의 환경적·사회적 문제가 발생되고 있 다. 또한 현재의 도시재생사업은 주거 및 상업공간 조성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어 환경적 개선과 일자리 창출, 이웃관계 회복에는 소홀하다.(이승희, 2020) 이러한 배경으로, 안전한 주거환경 조성은 노후주거지역의 재생에 있어 최우선 과제로 떠 올랐으며, 안전한 도시와 안전 커뮤니티 등의 개념이 제시되면서(王科奇,201 5)13) 공간이 범죄에 미치는 영향은 연구의 이슈가 되었다.

복잡성과 복합성이 특징인 도시에서 각종 범죄와 재난으로부터 안전하게 지내는 것은 주민생활의 가장 기본적인 욕구이며14), 범죄 증가와 범죄불안감에 대한 인식 이 높아짐에 따라, 환경개선을 통한 범죄율 감소에 관한 연구가 강화될 필요가 있 다.(김주환, 2015)15). 환경설계예방범죄연구(Crime Prevention Through 9) 형월∙문정민, 「중국 선전, 광저우의 노후주거지역 도시재생을 위한 공간인지 분석」, vol.26,

no.1:Issue no.70, 한국 디자인 포럼, 2021, p.21.

10) <중국 범죄관리청서: 범죄태세 및 연구보고서(2019) > 는 2019년 9월 법률출판사가 펴낸 책 으로 저자는 중국 범죄학회이다.

11) 광둥, 약칭 월(粤)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성급 행정구역이며, 성도는 광저우이다. 산하에 21개 지방 시가 있으며, 면적 179,725km², 상주인구 12601만2500명이다. 중국 제1의 경제대성이며, 경제 총 량이 전 중국의 8분의 1을 차지하고, 이미 중상위 소득 국가 수준, 중진국 수준에 이르렀다.

12) SINA News http://news.sina.com.cn/c/2016-05-27/doc-ifxsqykt9786597.shtml

13) 王科奇,赵天宇,「基于防卫安全理论的长春市商住混合区街道环境设计分析」,『长春工程学院学 报(自然科学版)』,01,2015,p.52

14) 안전은 매슬로우(Maslow)의 욕구단계 이론의 2단계로 규정될 정도로 인간의 삶에서 매우 중 요한 부분이다. 미국의 심리학자 매슬로우는 1943년 ‘A Theory of Human Motivation’에서 인간의 욕구를 제시했다.

(17)

Environmental Design, 이하 CPTED)는 범죄예방 전략으로, 범죄와 범죄학, 환경과 심리학 등 서로 다른 학문과 연계하여 연구함으로써 범죄예방이 가능하다 (Randall, 2008)16). 미국, 영국은 7-80년대부터 CPTED 연구를 시작하였다. 대량의 연구를 통해 범죄 발생요인과 환경 설계 간의 연관성을 찾았고, 지역적 여건을 고 려하여 CPTED를 적용하면 범죄 발생과 범죄불안감을 줄일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곽대훈,2020)17) 또한, 도시재생에서 CPTED 이론을 적용하지 않은 지역의 경우 환경은 개선됐지만, 범죄율은 크게 감소하지 않았다는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였 다. 한국은 범죄 예방책을 마련해 200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CPTED 연구가 시작되 었다. 연구의 범위는 대부분 공동주택과 일반주택이며, 이 외에 공원시설 등이 있 었다.(정다솜,2018)18)

반면, 법적 제제, 치안, 방범 등 관리적 차원에 의존하는 중국의 범죄예방정책 은 공간기반의 CPTED 이론을 적용한 사례가 적은 편이고(黄邓楷,2020)19), 도시재 생에서도 CPTED 이론은 거의 적용되지 않고 있었다. 또한 CPTED 연구는 비교적 시 작이 늦어 연구의 범위가 대부분 일반 주거지역에 국한되어 있었으며, 대도시 또 는 노후주거지역의 연구로 확대되지 못했다. 연구방법 또한 문헌연구 및 사례조사 가 대부분으로 단일한 편이다. 따라서 중국의 현황과 환경을 고려한 CPTED 이론의 프레임 체계를 보완하고, 중국 내 CPTED의 실천과 발전을 촉진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된 CPTED요소를 비교·분석하여 한·중연구의 공통점과 차이점, 중국연구의 미흡한 점을 파악하였다. 또한 사례조 사와 전문가 및 주민조사를 통해 노후주거지역의 도시재생을 위한 CPTED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15) 김주환, 「주거재생사업에의 환경설계(CPTED)기법 적용사례연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석사 학위, 2015, p.1.

16) Randall I. Atlas,「21st Century Security and CPTED:Designing for Critical Infrastructure Protection and Crime Prevention, Second Edition」,『Boca Raton: CRC Press』,2013.

17) 곽대훈,최용성, 「CPTED의 법제화 방안에 관한 연구: 미국, 영국, 호주를 중심으로」, 『한국셉 테드학회지』, Vol.11, No.2, 2020, p.129.

18) 정다솜, 「효과적인 범죄안전마을 사업을 위한 연구: 서울시 동작구 범죄안전마을 사업을 중 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2018, p.36.

19) 黄邓楷, 「基于CPTED理论的广州大学城环境安全感知评价及优化策略研究」, 华南理工大学,

(18)

1.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주거지역은 도시공간의 중요한 구성요소로서, 경험과 기억을 통해 주민들에게 안정감을 제공하고 있다. 중국의 도시화는 농촌 및 도시 변방 지역에 흩어져 있던 인구를 노후주거지역으로 집중시켰다. 광저우, 선전 내 노후주거지역의 면적은 전 체면적의 5분의 1도 안되지만, 인구는 전체인구의 3분의 2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 러한 고밀도의 주거 환경은 많은 사회적, 안전적 문제를 가져왔다.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관련 문헌, 각종 보고서를 통해 도시재생, CPTED, 노후주거지역에 대 한 이론 정립 및 각 키워드에 대한 관계성을 고찰하였다. 또한 한·중 노후주거지 역의 CPTED요소 분석을 통해 도출된 6가지 요소를 시설물, 물리적 공간, 운영, 유 지관리 등 3가지로 분류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과 중국의 CPTED요소를 비교분 석하고 사례분석 틀을 도출했다.

두 번째, 광저우의 공화촌, 영경방, 선전의 대분촌, 사정촌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기 위해 현장실사를 진행했다.

세 번째, 연구결과를 검증하기 위해 SPSS 등의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전문가와 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신뢰도 분석, 가중치 분석 연구를 진행했다.

마지막으로, 앞서 진행된 사례분석, 전문가 및 주민 조사 결과를 종합 분석하였 다. 정량적인 연구를 바탕으로 CPTED요소별 개선사항을 제안함으로써 범죄율 저하 와 범죄에 대한 두려움 감소,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연구 는 중국의 도시계획가, 건축가, 공공설계 종사자들에게 이론과 실천적 지도를 제 공한다. 연구의 흐름은 다음 [그림1-1]과 같다.

(19)

연구의 범위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선행연구를 통해 CPTED요소와 세부항목을 분석하고, 사례분석 틀을 도출하고자 한다. 먼저 한국은 최근 5년의 학회논문, 저널논문, 학 위논문에서 CPTED 이론을 중심으로 한 주거지역 재생 논문 50편을 검색하였다. 이 중 연구검토를 통해 노후주거지역 재생 사례분석 논문 18편을 바탕으로 9개의 사 례 도시를 도출했다. 중국은 CNKI(中国知网)에서 최근 5년의 정기간행물 논문, 학 위논문을 검색하여 CPTED 이론을 적용한 15편의 노후주거지역 재생사례 논문을 발 췌하였다. 이를 통해 광저우 등 10개 사례도시를 도출했다. 다음으로, 한국과 중 국연구에서 도출된 CPTED요소의 세부 내용을 분류 및 비교해 한·중 연구의 공통 점과 차별성을 파악했다. 또한 광저우와 선전의 4개 노후주거지역을 각각 3~4개 권역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20)

[그림 1-1] 연구의 흐름도

(21)

1.3 선행연구 분석

1.3.1 선행연구의 동향

1)한국 문헌연구

한국의 CPTED 연구는 2010년부터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CPTED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박재풍 외,2017)20) 나준흠 외 (2017) 연구에 따르면, 미국, 영국, 일본 등의 선진국들은 범죄예방과 범죄발생 감소를 위한 핵심전략 중 하나로 CPTED를 선택하였고, 그 유효성에 대해 끊임없이 연구하고 있다.21) 임현서 외(2019)의 연구를 보면, 네덜란드는 CPTED에 대한 기존주택의 건의사항과 신규 주택의 요구사항을 분류해 적용방안을 제안하고 있으며,22) 오스트리아는 범죄대상 이 되기 쉬운 여성을 대상으로 범죄예방 전략을 제시했다.23) 나준흠 외(2017)은 한국은 지방정부의 법제화를 통해 CPTED 개선책을 마련함으로써 범죄예방의 효율 을 높이고 있다고 말하였다.24)

CPTED요소 측면의 선행연구를 보면, 李勝熙(2020)는 사례조사를 통해 접근통제, 영역성, 활동지원, 주민참여의 중요성을 연구하였고, 주민참여에 대한 인식정도는 여전히 낮음을 알 수 있었다.25) 주민참여는 자연적 감시를 증가시키고 심리적 범 죄 욕구를 억제하는 것에 영향을 미친다. (朱美玉, 2016)26) 따라서 지속가능한 발전 전제로서 주민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실질적인 프로그램 개발과 정책지원방 안이 필요하다. 또한 가장 중요시되는 CPTED 항목으로는 CCTV와 가로등 설치가 있

20) 박재풍 외, 「한국 셉테드학회 연구경향의 실증적 분석: 최근10년 간 한국 셉테드학회지를 중 심으로」, 한국셉테드학회, 2020, p.7.

21) 나준흠 외, 「도시재생을 통한 범죄예방환경설계(CPTED) 사례분석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17, p.263.

22) 임현서 외,「주거단지의 범죄안전을 위한 네덜란드, 오스트리아의 CPTED 가이드라인 및 실 태 분석」,『한국셉테드학회지』, Vol.10, No.1, 2019, pp.73-116.

23) 임현서외,「주거단지의 범죄안전을 위한 네덜란드, 오스트리아의 CPTED 가이드라인 및 실태 분석」,『한국셉테드학회지』, Vol.10, No.1, 2019, pp.73-116.

24) ibid.p.8.

25) 이승희, 「범죄예방환경설계(CPTED)개념을 적용한 주거지재생사업지역 안전수준평가 –제천시 사례연구」, 세명대학교, 박사학위, 2020, p.133.

(22)

었고, 이 외에 주변개방, 범죄예방지도와 범죄예방활동 등이 있다.(김신혜, 202 1)27).

정아름 외(2017)는 범죄에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 요소와 대응방안에 대한 연구 로, 인구성과 물리적 범죄예방환경이 유사하더라도 커뮤니티 활성화의 정도에 따 라 범죄예방의 유효성과 안전의식에 차이가 있음을 말하였다.28) 박주현 외(2020) 연구를 보면, 지역사회의 의식이 높을수록 이웃만족도가 높아짐에 따라 이웃 간 관계형성에 긍정적 영향을 끼친다.29) 박철현 외(2020) 연구를 보면, 범죄예방을 위한 활동 중 하나인 벽화작업은 지역사회 결속력을 유지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빈곤촌의 단기적 방안 중 하나이다. 실제로 벽화가 그려진 지역은 상대적 으로 범죄율이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이를 통해 지역에 대한 주민들의 애착과 구 역활동이 증가하였다.30) 하지만, 장기적으로 봤을 때 벽화마을의 과도한 방문객 유입은 점차 범죄발생 증가로 이어지기 때문에 후기보수가 중요하다.(이주현, 2020)31) 김부치(2016)의 연구를 보면, 도로의 유지보수와 복구는 장기적 방안이 지만, 풍선효과로 인해 다른 지역의 범죄를 증가시키고 있다.32) 또한 공공시설은 관광객들의 과도한 방문을 제한하고 주민들의 일상생활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며, 사람에게 유익한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공공시설물은 정서적 공감이 가능 한 시각적 요소로 전환함으로써 만족도가 높은 환경으로 개선될 수 있다. (이호 상, 2017)33) 한편, 김환성(2020)의 연구를 보면, 현재의 안전설계는 여성의 관점 으로 볼 때, 남성보다 여성이 범죄불안감을 쉽게 느끼도록 설계되어 있고, 10년 이상 거주한 장기주민은 범죄불안감이 상대적으로 높음을 알 수 있다.34) 노지현 27) 김신혜, 「셉테드(CPTED)를 이용한 도시재생방안에 관한 연구-P 부산시 안심마을조성사업 대

상지를 중심으로」, 동의대학교, 석사학위,2021, p.79.

28) 정아름 외,「커뮤니티 활성화가 주거지의 범죄예방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자인학회』, 30(4), 2017, p.185.

29) 박주현 외,「CPTED 사업으로 인한 근린의 물리적 환경변화가 빈곤지역 주민들의 범죄두려움 과 동네만족도, 동네애착형성에 미치는 영향 - 부산 사하구 감천2동을 대상으로」, 『대한건축 학회 논문집』, Vol.36, No.1, 2020, pp.105-111.

30) 박철현 외, 「도시재생사업에서 마을의 벽화조성이 범죄예방에 미치는 효과-부산매축지 벽화 마을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지도시설계』, Vol.21, No.4, 2020, pp.47-57.

31) 이주현 외,「벽화마을의 범죄예방효과: 부산 감천태극도 마을의 사례」,『공공정책연구』, Vol.37, No.1, 2020, pp.223-239.

32) 김부치,「CPTED기반 벽화마을의 효용성에 관한 인과지도 구축연구」, 『한국과학예술융합학 회』, 2016, pp.45-57.

33) 이호상,「범죄예방환경설계(CPTED)의 효율성 증대를 위한 커뮤니티디자인제안-커뮤니티 퍼 니쳐를 중심으로」,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2017, pp.305-318.

34) 김환성 외,「범죄예방환경설계(CPTED) 적용이 저층주거지역 거주민들의 범죄불안감에 미치

(23)

(2017)은 CPTED 관련 분석지침에 따라, 범죄 공포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인 건축, 기능, 시각요소가 골목경관의 종합적 개선지표로써 연구되었다.35)

서울 사례의 논문 4편은 범죄불안감과 공포감을 바탕으로 주민참여의 중요성을 강 조하였고, 부산 사례의 논문 6편 중 3편은 벽화 등 거리경관이 범죄 증감에 미치 는 영향을 연구해 자연적 감시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그 외 논문은 유지관리와 주민참여, 활동지원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이상 선행 연구를 종합해 보면, 대부분 낙후되고 범죄율이 높은 노후주거지역을 연구대상으로 하였고, 범죄 발생이 용이한 지역에서의 CPTED 적용이 미비함을 알 수 있었다. 도출된 CPTED요소와 세부항목에 대한 부분은 연구진마다 차이가 있지만, 자 연적 감시는 대부분의 연구에서 활용되고 있고, 영역성, 활동지원, 유지관리는 비교 적 일반화 되어있어 한국 노후주거지역의 재생에 있어 주요 4가지 요소로 나타났다.

이 외에 접근통제와 주민참여 또한 다수의 연구에서 활용되고 있다. [표 1-1]

는 영향-서울시 주민참여형 재생사업대상지를 중심으로」,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통 권』, vol.69, 2020, pp.165-176.

35) 노지현 외, 「CPTED 지표를 활용한 지역의 범죄 불안감 연구-골목길 경관요소를 중심으로」,

작자

연도 지역 제목 연구주제 연구방법

1 정아름 2017

서울

「커뮤니티 활성화가 주 거지의 범죄 예방에 미 치는 영향」

주민참여, 영역성, 자연적 감시 및 활 동지원이 중요하고, 지역사회 활성화 정도가 범죄예방과 안전의식에 영향을 미침.

문헌연구, 현지조사, 주민조사, 통계분석

2

정다솜 2018

「효과적인 범죄안전마 을 사업을 위한 연구」

커뮤니티 유지관리, 주민참여를 강조 하고, 참여대책 수립 및 지역 '생활 안전 가이드라인'을 기획함.

문헌연구, 현지조사, 주민조사

3 김환성 2020

「범죄예방 환경설계 (CPTED) 적용이 저층 주 거지역 거주민들의 범죄 불안감에 미치는 영향」

범죄에 대한 두려움은 남성보다는 여성이 높고, 10년 이상 거주한 주 민이 상대적으로 높다. 또한 CPTED 는 범죄의 두려움을 감소시키고 범 죄의도를 파악하는 데 효과적임.

문헌연구, 현지조사, 주민 설문 조사,

t-test분석 [표 1-1] 한국 문헌연구

(24)

4 강석진 2018

「거주 유형별 범죄문제 및 CPTED 인식에 대한 연구」

범죄, 범죄 공포, CPTED 조치에 대 해 주민들의 관점에서 분석해 CPTED의 활용과 개선책을 모색함.

문헌연구, 주민조사, SPSS통계분석,

교차분석, 분산항목분석

5 최강림 2016

부산

「노후주거지 재생을 위 한 범죄예방 환경디자인 사업 사례연구」

하드웨어 외에 소프트웨어를 포함한 물리적 환경과 관리 시스템을 개선 해야 하며, 유지보수에서는 주민을 관리 주체로 함

문헌연구, 사례조사, 현지조사

6 김신혜 2021

「셉테드(CPTED)를 이용한 도시재생방안에 관한 연구」

CCTV와 가로등 설치는 가장 중요한 사업이고, 다음으로 주변 개방정도, 방범지시, 범죄예방활동 등이 있음.

현지조사, AHP분석, 주민 설문 조사

7

박주현 2020

「CPTED 사업으로 인한 근린의 물리적 환경변화 가 빈곤지역 주민들의 범죄 두려움과 동네 만 족도, 동네 애착 형성에 미치는 영향」

CPTED 사업은 물리적 환경을 개선 하고 커뮤니티 의식을 향상시켜 동 네 만족도, 이웃관계 형성에 긍정적 인 영향을 미침.

문헌연구, 현지조사, 주민조사, 통계분석

8 노지현 2017

「CPTED 지표를 활용한 지 역의 범죄 불안감 연구」

거리경관 요소가 범죄에 미치는 영향 과 건축, 기능, 시각요소들이 범죄불안 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고, 이에 대한 분석지표를 형성함

문헌연구, 주민 설문 조사

9

박철현 2020

「도시재생사업에서 마 을의 벽화조성이 범죄예 방에 미치는 효과」

벽화는 활동을 증가시켜 주민들의 지역에 대한 애착을 증진시키고, 범 죄발생과 범죄불안감을 감소시킴.

문헌연구, 현지조사, 주민조사, 통계분석

10 이주현 2020

「벽화마을의 범죄예방 효과 부산 감천 태극도 마을의 사례」

벽화마을 조성 후 단기적, 장기적으로 범죄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함.

문헌연구, 현지조사, 주민조사, 통계분석

11 양혜연

2019

제주

「제주시 원도심‘안심마을 만들기’ 사업의 범죄두려움 경감에 미치는 영향」

주민이 느끼는 범죄 두려움 정도의 변화를 통해 주민 공동체를 촉진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적 요소를 연구 하고 범죄두려움을 감소시킴.

문헌연구, 현지조사, 주민조사, 통계분석

12 李勝熙 2020 제천

「범죄예방환경설계(CPTED) 개념을 적용한 주거지 재생 사업지역 안전수준」

CPTED 6가지 요소와 53개 평가지표 를 통해 노후주거지역의 안전수준을 정량적으로 측정, 평가하여 요소의 중요성을 분석함.

문헌연구, 현지조사, 주민조사, 전문가조사,

통계분석

(25)

출처 : 형월, 2021

2)중국 문헌연구

중국의 연구는 2014년부터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이론 연구는 주로 이론의 형 성과정과 CPTED요소 측면에 집중되어 실증적 연구와 체계적인 이론 프레임이 결여 되어 있다. (黄邓楷, 2018)36) 刘婧等(2017)의 연구에 따르면, CPTED요소의 중요 도 측면에서 자연적 감시, 접근통제, 유지관리는 노후주거지역의 범죄발생에 미치 는 영향이 비교적 크다.37) 또한 자연적 감시, 주거단지의 배치, 접근통제는 출입

36) 黄邓楷,「通过环境设计预防犯罪(CPTED)理论在中国的研究发展评析」,『住区』. 2018,(06), 13 정선미

2019 대전 「범죄예방환경설계(CPTED) 관점의 도시재생 연구」

마을 브랜드 구축을 통해 자연적 감 시를 제고하고, 주민참여와 마을유지 및 관리, 범죄감소에 영향을 미침.

문헌연구, 현지조사, 주민조사

14 이은영

2021

대구

「범죄 예방활동에의 CPTED 효과성과 유니버 설디자인 기준 개선방안 연구CPTED」

범죄 예방을 위한 물리적 환경 조성 을 위해 주로 안전성을 고려하고, 다 음으로 접근 가능성과 주민의 인지 성을 고려함.

문헌연구, 특징가설, UD평가지표구성

15 김주환 2015

서울, 수원, 천안

「주거재생사업에의환경 설계(CPTED)기법 적용 사례연구」

범죄에 취약한 환경특성을 분석하고, 환경개선방안 및 안전촌 CPTED 전 략 수립, CPTED의 법적·제도적 인증 시스템을 제시함.

문헌연구, 현지조사

16 임현서

2019

한국

「주거단지의 범죄안전 을 위한 네덜란드, 오스 트리아의 CPTED 가이드 라인 및 실태 분석」

한국의 도시별 CPTED 가이드라인 특 징을 분석함. 네덜란드는 CPTED에 대 한 기존주택의 제안과 신규주택의 요 구를 구분하고, 오스트리아는 여성을 위한 범죄 예방 전략을 제시함.

CPTED 안내연구, 현지조사

17 박석훈

2017

의정부

「범죄예방 환경디자인 (CPTED) 개념을 적용한 안전마을 조성에 관한 연구-의정부시 가능동을 중심으로」

브랜드 컨셉 및 디자인 전략을 수립 하고, 물리적 환경 개선을 위한 주민 의 커뮤니티 참여 및 유지보수 계획 을 수립함.

문헌연구, 구역자료조사,

현지조사, 주민인터뷰, 주민 설문조사

18 주미옥 2016

서울, 경기도

고양

「공공미술을 활용한 범죄예 방환경디자인 연구」

공공예술로 주민참여를 유도함으로 써 자연적 감시를 강화하고, CPTED 의 역할을 수행함.

문헌연구, 현지조사

(26)

구 내 절도로 인한 피해에 큰 영향을 준다. (杨刚斌, 2016)38) 陆薇(2018)는 노후 주거단지 외부환경의 안전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인 자연적 감시, 영역성, 유지 보수의 중요성 파악 및 대응책을 제시하였다.39) 刘歆懿(2019)는 범죄발생에 영향 을 미치는 구체적인 요인과 개선방안의 관점에서 보면, 주거지역의 조경환경이 주 민활동과 자연적 감시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연구되었다.40) 强靖淇 외(2020) 는 노드의 시선 침투와 감독⋅관리 측면에서 범죄예방을 위한 주거지역의 거리환 경 개선 대책을 제시하였다.41) 胡斌 외(2016)은 공간의 배치, 형태, 환경 등 커뮤 니티 경계공간의 안전설계 대책을 검토하였다.42) 翁欣然(2016)은 주택 단층화, 주 거공간 균일화, 출입구 통제강화 등 주거공간 설계의 일반적인 원칙을 제시하였 다.43) 李忻怡(2020)은 CPTED요소와 계획, 건축, 도로, 조명, 경관, 환경의 대응관 계에 대해 연구하였다.44) 胡颖(2020)은 CPTED요소를 도출한 후 어린이놀이터 평가 를 통해 범죄예방과 심리적, 물리적 범죄 발생 억제를 위해서는 안전한 생활환경 조성을 촉진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45)

이상 선행연구를 종합해보면, CPTED요소 중 자연적 감시와 유지관리에 대한 연구가 많았다. 광저우 사례 논문 2편은 모두 단지의 출입금지와 개방성, 도난여부와 관계된 연구였으며, 베이징 사례 논문 2편은 물리적인 공간과 유지관리의 상관관계를 연구했 다. 두 도시의 연구는 물리적 공간 중심이며 환경영향에 대한 분석은 부족했다.

도출된 CPTED요소와 세부항목에 대한 부분은 연구진마다 차이가 있지만, 자연적 감시 요소는 대부분의 연구에서 활용되고 있었다. 접근통제, 영역성, 활동지원 및 유지관리는 보편적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주민참여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37) 刘婧等,「老城区居住区建成环境对犯罪行为的影响研究-以S市三个居住区为例」,『2017中国城市规 划年会论文集(01城市安全与防灾规划)中国城市规划学会会议论文集』, 2017, p.75.

38) 杨刚斌,「广州门禁小区入室盗窃受害率与内部环境分析」,『人文地理』, 第3期总第149期, 2016, p.50.

39) 陆薇,「长沙老旧居住小区建筑外环境防卫安全改造策略研究」,湖南大学,硕士学位论文,2018, pp.84-85.

40) 刘歆懿,「盗窃案件高发居住区的绿化环境特征初探」,『江苏建筑』,总第200期,2019,pp.143-144.

41) 强靖淇 等,「基于CPTED理论和空间句法的住区街道空间规划设计与犯罪防控——以西安市瓦胡同小区,雁 鸣小区为例」,『智能建筑与智慧城市』,(09),2020,pp.99-100.

42) 胡斌等,「基于CPTED策略的社区边界空间安全设计」,『北京工业大学学报』,Vol.42,No.07,2016,

p.1072.

43)翁欣然,「基于CPTED理论的合肥市住区防卫空间现状研究」,合肥工业大学,硕士学位论文,2016,

pp.54-62.

44) 李忻怡,「居住区公共空间犯罪预防设计研究」,北京建筑大学,硕士学位论文,2020,p.117.

45) 胡颖,「CPTED理论在社区住宅儿童游乐区的评价应」,『智能建筑与智慧城市』,7(08),2020,p.81.

(27)

작자

연도 지역 제목 연구중점 연구방법

1 杨刚斌 2016

광저우

「Community Environmental Factor Analysis of Burglary Victimizatoin in Gated Ommunity in GuangZhou」

감시성, 아파트 조직구조, 출입통 제 등은 주거지역 범죄율에 영향 을 미치며, 유동성, 영속감, 이질성 은 이론적 가정과 불일치함.

문헌연구, 현지조사, 통계분석

2

杨刚斌 2016

「Environmental Impacts on Burglary Victimization in Gated Communities」

주택의 특징, 공공공간 사용률, 가 구 특징과 방문통제는 범죄에 영향 을 미치며. 환경 이미지, 인구 유동 성과 기능의 혼합도는 범죄에 간접 적으로 영향을 미침.

문헌연구, 현지조사, 통계분석

3 胡斌

2016

베이징

「Research of Community Safety Edge Space Design Based on CPTED Strategy」

공간배치, 공간형태, 공간환경 측면 에서 이에 대응하는 커뮤니티 경계 공간의 안전설계 대책을 검토함.

현지조사

4 李忻怡 2020

「Research on Crime Prevention Design of Public Space in Residential area」

CPTED요소와 계획, 건축, 도로, 조 명, 경관, 환경보전 주거지역 외부 공간과의 대응관계를 연구함.

문헌연구, 사회조사, 현지조사, 통계분석

5

毛媛媛 2017

S시

「Qualitative Case Study of Crime in Residential Area Based on CPTED Theory」

환경 안전성에 대한 주민들의 인식과 실제 범죄 장소가 상이함, 서로 다른 주체 간의 이익구조는 환경 설계를 통한 범죄예방에 어려움을 초래함.

문헌연구, 현지조사

6 刘婧

2017

「구시가지 주거단지 조성환경이 범죄행위에 미치는 영향연구」

절도는 주로 단지 입구, 상업시설 부 근에서 발생하며, 진입 통제, 목표 보 강, 이미지 유지 및 자연적 감시가 범 죄에 미치는 영향이 두드러짐.

문헌연구, 현지조사, 주민조사

7

王科奇 2018

창춘

「Discussion on Defense Safety Design of Open Residential Block's Outside Environment Based on Weakening Fear of Victimization」

주거건물 외 환경설계 및 개선을 통해 범죄행위의 예방 및 감소, 피 해의 공포감을 감소시킴.

문헌연구, 현지조사

8

强靖淇 2020

시안

「Residential Street Space Planning and Design and Crime Prevention Based on CPTED Theory and Space Syntax」

노드의 시선 침투와 모니터링 측 면에서 주거지역의 거리 공간에 대한 대책을 제시하여 범죄 방지 의 목적을 달성함.

문 헌 연 구 , 현지조사

[표 1-2] 중국 문헌연구

(28)

출처 : 형월, 2021 9 胡颖

2020

싱타이 주저우

「Evaluation and Application of CPTED Theory in Children's Play Area of Community Residence」

어린이 놀이터를 CPTED요소로 평 가해 범죄예방, 심리적·물리적으로 안전한 생활환경을 조성함.

문 헌 연 구 , 현지조사

10 陆薇

2018 창사

「Study on the Strategy of Safeguarding the Outer Environment Security of Buildings in ChangSha Old Residential Quarters」

건물 외부에서 발생하는 범죄와 관 련하여 공간형태의 특징을 분석하 고, 방위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들을 정리하여 방위안전 리모델링 전략을 제시함.

문 헌 연 구 , 비 교 연 구 , 현지조사

11 刘歆懿 2019

장삼각 모시

「Preliminary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Greening Environment in High-theft-cases Residential Areas」

주거지역의 녹지환경이 주민 활동 과 자연적 감시에 미치는 영향이 크고, 범죄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남.

문 헌 연 구 , 현지조사

12 韩赛楠

2019 선양시

「Study on Landscape Safety Design of ShenYang Residential Area Based on CPTED Theory」

CPTED의 이론적 성과와 주거경관 안 전설계의 주도적 방향을 명확히 하고, 경관의 안전설계 전략을 제시함.

문 헌 연 구 , 현 지 조 사 , 학제적 종 합연구

13 石琴

2018 난징

「Reserch on Urban Community Open Space Design in NanJing Based on CPTED Theory」

도시 커뮤니티 오픈스페이스에서 CPTED요소의 역할을 귀납하고, 이 에 상응하는 설계 전략을 제시함.

문 헌 연 구 , 현 지 조 사 , 분석귀납법, 시스템분석

14 翁欣然 2016 합비

「The Research on Densle Space Design in Living Districts in Hefei on the Basis of Cpted Theory」

아파트 단층화, 주거공간 균질화, 출입구 통제 강화 등 국내 주거지 역 안전공간 설계에 적용하는 일 반적 원칙을 제시

문 헌 연 구 , 현지조사, GTS, 공간구문론

15 毛媛媛

2018

중국

「Review and Reflection on Studies of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in Residential Area in China」

현재 CPTED의 실천과 이론 연구 중 부족한 점과 한계를 파악하고, 향후 연구의 발전과 실천에 대해 구체적인 방안를 제출함.

문 헌 연 구 , 통계분석、

(29)

1.3.2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및 기대효과

이상 한국과 중국 선행연구의 연구동향을 분석함으로써 도시재생에 있어 CPTED 이 론의 필요성을 인식할 수 있었다. 한국의 CPTED 연구는 2000년대부터 건축설계 및 기획, 경찰학, 범죄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었고, 연구의 공간적 범위를 보면, 작게는 공원, 초등학교, 공동주택부터 크게는 노후 주거단지, 도시계획까지 광범위 하게 연구되고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조사, 현장조사, 주민조사, 전문가조사, 통계분석 등으로 다양하다.

중국은 다른 나라에 비해 연구가 늦은 편이다. CPTED 연구가 시작된 지 약 10년 정도 되었으며, 많은 한계점이 나타났다. 연구의 범위가 노후주거지역까지 확장되지 도 못했고, 현재 건축설계, 도시설계 전문가들만 연구에 참여하고 있었다. 연구방법 또한 설문조사 연구는 거의 없었고, 전문가조사는 부재했다. CPTED요소인 주민참여 논문도 2편에 불과하며, 연구사례도 미흡한 상황이다.

위의 현황을 통해 중국 CPTED 연구의 방법과 이론적 틀이 갖추어지지 않았음을 파 악할 수 있었으며, 이에 본 연구는 문헌조사, 현지조사, 주민조사, 전문가조사, 통계 분석의 다양한 연구기법을 활용하였다. 특히, 문헌연구를 통해 CPTED요소 분석 틀을 도출하여 사례연구를 진행하였고, 전문가조사 및 주민조사를 통해 사례분석 결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의 사회적 배경을 바탕으로 한 연구로써 CPTED의 관점에 서의 노후주거지역의 도시재생을 연구하였으며, 향후 중국의 도시계획⋅건축⋅공공설 계디자이너에게 중국의 지속적인 도시재생 및 CPTED 연구를 위한 참고자료로 제공될 것이다.

(30)

제2장 이론적 고찰

2.1 노후주거지역의 도시재생과 CPTED

2.1.1 도시재생의 개념

도시는 생태주기적 발전이 있는 생명체이며, 시작, 성장, 급속한 발전, 절정, 포 화, 노화 그리고 쇠락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도시재생(Urban Renewal)은 점차 노후화되어가는 도시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전략이다. 도시재생 이라는 용어는 1949년 미국의 <주택법(Housing Act of 1949)>에서 처음 유래했으며, 도심지 빈민가나 쇠락지역의 대규모 철거 및 재건축에 초점이 맞춰졌다.

1990년대 영국은 ‘Urban Regeneration’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도시 재생은 도시혁신보다 더 광범위하고 도시발전의 지속가능성을 강조하는 개념이며, 사회∙경제∙환경적 측면을 포괄하는 다목적 시스템이다. 또한 노후화된 건물의 개선 뿐만 아니라 도시의 맥락을 보호하는 중요한 수단이 되며, 이를 통해 도시의 독특성 과 경쟁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처럼 도시의 발전 방향은 도시혁신에서 도시재생 으로, 단일건물에서 지역전체로, 경제발전 중심에서 사람중심으로 변화되어 갔다.

한국의 도시재생은 보수부터 개조까지 광범위하게 진행되며, 현재 효율적인 도시 재생을 위한 주요방법으로 부분 리모델링, 유지관리, 주민참여를 병행하고 있다.

[그림2-1 에서 2-2] 반면, 중국 일부에서 진행되고 있는 도시재생은 여전히 전면 리 모델링이 대부분이며, 진행중인 부분 리모델링은 환경 미화에만 치중되고 있어 전체 적인 계획 설계가 부족하다. 또한 리모델링 후 추가적인 시설을 갖추지 않아 공간 구성이 긴밀하며, 사회적 문제가 근본적으로 해결되지 않았다는 한계점을 갖고 있 다.[그림2-3]

(31)

[그림 2-1] 한국의 주택 환경 정비 전, 후 (1) 출처:김주환,2015

[그림 2-2] 한국의 주택 환경 정비 전, 후 (2) 출처:김신혜,2021

[그림 2-3] 중국의 주택 환경 정비 전, 후 출처:대분촌 선전 책자

2.1.2 노후주거지역

노후주거지역의 개념은 연구자마다 다르게 정의한다. 본 논문의 주요 키워드는

‘노후 단지’ ‘노후된 마을’ ‘노후 주택단지’ ‘노후 주거지’ ‘낙후된 주 거지’ ‘기존 주거지’이며, 관련 문헌들을 검색할 수 있는 중국의 웹사이트에서 문서 검색(2021년 9월 기준) 및 분석을 진행하였다.

노후주거지역에 대한 개념정의는 다음과 같다.

(32)

高莹 외 (2016)는 80-90년대 조성되어 주거환경의 질과 기능이 이미 한계에 도 달한 주거지역을 지칭한다고 말한다.

Bin Guo 외 (2018)는 전반적인 기능과 구조가 현대의 요구 조건에 미치지 못하 고, 외부적인 시설이 비교적 단순한 주거지역을 말한다.46)

谷甜甜 (2019)는 역사적 조건과 경제적 한계로 인해 도시 계획과 건설기술이 낙 후되고, 전체적인 건축의 기능이 사람들의 필요를 만족시킬 수 없는 상태를 말하 며, 경제발전과 어울리지 않고, 기초시설 등의 기본적인 조건의 개선이 필요한 곳 을 말한다. 47)

당시 건설되었던 단지(단독주택 포함)들은 건축허가 기준이 낮았으며, 부실한 전반시설로 인해 기능이 불완전하고 서비스도 완벽하지 못했기 때문에 일상생활의 불만족을 야기했다.(姜娜, 2016)48) 또한 주민들은 단지 개선에 대한 절박함이 있었으나 자금부족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张晓东 외, 2017)49)

노후주거지역의 재산권은 비교적 복잡한 문제를 가지고 있다. 기존의 재산권은 당시 도시주택재생을 위해 추진된 정책 중 하나로, 기숙사 형태의 주택들을 공장 직원들에게 매각한 개조형 주택이었다. 이때는 공유재산이 사유재산으로 바뀌는 시점이자, 사유재산권이 인정된 시기이다. 사유재산권으로 인정되는 것은 역사적 건물 및 도시개발 확장 후 도시로 속하게 된 농민들의 주택이었다.

위의 연구자들과 정책에서 정의한 노후주거지의 개념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노 후주거지역을 1980년 이전에 건설된 주택단지로 정의하며, 오래된 시가지와 도시 속 농촌(현재는 일반적 도시지역으로 전환됨), 공공시설이 주민의 기본생활에 미 치는 영향과 재건축 의사의 정도를 고려하여 판단한다. 중국의 건설부 통계에 따 르면, 2025년 말 이전까지 리모델링해야 할 노후주거지역은 17만 가구로, 인구 수 는 4,200만 가구가 넘고, 가구당 인구를 2.6명으로 계산하면 1억명 이상이다.50)

46) Bin Guo, Yang Li, Jingxue Wang. 「The improvement strategy on the management status of the old residence community in Chinese cities: An empirical research based on social cognitive perspective」 , 『Cognitive Systems Research 』 , 2018,pp.556-570

47) 谷甜甜,「老旧小区海绵化改造的居民参与治理研究——基于长三角试点海绵城市的分析」,『学术研究』,

2019,p.27

48) 姜娜, 「浅谈城市老旧小区改造」, 『建设科技』, 2016(11), pp.87-88.

49) 张晓东,胡俊成,杨青等,「老旧住宅区现状分析与更新提升对策研究」, 『现代城市研究』,2017(11)

pp.88-92

50) 新华网http://www.xinhuanet.com

참조

관련 문서

Š 안전점검 또는 정밀안전진단 결과를 통보받은 시장・군수 또는 구청장은 민간관리주체가 관리 하는 시설물중 대통령령이 정하는 시설물에 대 하는 시설물중

본 연구의 목적은 십장생문양을 비롯하여 한국의 전통문양을 토대로 현대인의 기호에 맞는 다식문양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다식떡살 전문가 면담을 통

- LED는 현재 시장에서 팔리고 있으나 지속적인 효율 향상을 위한 연구를 수행중 이며, OLED는 면(면광원) 형태의 조명에 대한 연구를 수행중이며, ESL은 미국에 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그린 리모델링 의사결정 지원프로그램은 그린 리모델링 사 업의 시행 전 리모델링 시나리오에 따라 전체 프로젝트의 효과를 정량적으로 예측 하여 사업성

특히 1158년부터 뮌헨의 중앙광장 역할을 해온 마리엔 광장(Marienplatz)은 여전히 도시 의 상징적 공간이자 시민을 위한 만남의 광장으로 인식되고

첫째, 중국의 경제호황과 한국의 경제안정이다. 이것은 한국의 대중수출품 이 자국 산업의 경쟁력이 취약한 석유화학, 철강 등의 분야에 집중되어 있다.. 이런 상황에서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2장 관련 연구에서는 비디오의 의미적 인식을 위 한 현재 연구 동향 및 기존의 모델링 방법에 대해 살펴본다.3장에서는 객체 움직 임의

기상레이더센터 ○과(팀)는 2017년도 광덕산, 고산, 성산기상레이더 유지관리 용역 비용을 재산정하면서 인건비는 유지관리 대상별로 구분하여 산출내역서 를 받았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