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유기농업 기술 가치평가 및 신기술 수요 예측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유기농업 기술 가치평가 및 신기술 수요 예측"

Copied!
14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C2012-60 | 2012. 12.. 유기농업 기술 가치평가 및 신기술 수요 예측 김 창 길 정 학 균 문 동 현. 연 구 위 원 부연구위원 초청연구원.

(2) 연구 담당 김창길 정학균 문동현. 선임연구위원 부연구위원 초청연구원. 연구총괄, 수요예측 및 기술로드맵 유기농업의 기술 진단 유기농업 기술의 가치평가.

(3) i 머 리 말. 소비자의 웰빙트렌드와 정부의 적극적인 육성정책에 힘입어 유기농산물은 앞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생산현장 요구에 부응하는 생산 기반기술에 대한 수요도 증가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경축연계 유기순 환농업 실천기술의 개발 및 현장실용화, 녹비작물재배 등의 기술이 필요할 것. 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유기농업 기술개발에 대한 투자는 농촌진흥 청의 어젠다로 추진되고는 있으나 향후 유기농산물 생산 기반기술에 대한 수 요를 충족시키기에는 미흡한 수준이다. 현장의 요구에 부응한 유기농업 기술 연구개발 성과를 얻기 위해서는 기존 선행 연구결과에 대한 수요자 중심의 객 관적 평가와 함께 유기농업기술의 가치를 파악하고 미래수요를 선도적으로 예 측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유기농업 기술 전반에 대한 가치를 체계적으로 평가하고 미래의 새로운 유기농업기술 수요를 도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유기농업 기술개발의. 투자현황을 살펴보고, 유기농업 기술의 현장 적용실태를 분석하였다. 가치평가 대상의 다양한 속성과 응답자의 지불의사액 사이의 상충관계를 종합적으로 고 려할 수 있는 실험선택법을 적용하여 유기농업 기술개발의 경제적 가치를 정 량적으로 추정하였다. 더 나아가 계층분석 의사결정과정을 적용하여 유기농업 기술개발의 우선순위로 경축자원순환기술, 녹비작물, 생물농약 기술과 유황,. 난황유, 천연추출물 활용기술 등을 제시하였다. 아무쪼록 이 연구를 통해 도출 된 유기농업 기술개발의 가치 평가를 기반으로 향후 유기농업 기술개발 로드 맵을 설정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바쁜 가운데에도 본 연구의 수행에 귀중한 자문을 해 주었던 농촌진흥청의 지형진 박사, 고려대학교의 임송수 교수에게 감사드린다.. 2012. 12. 한국농촌경제연구원장 이 동 필.

(4)

(5) iii 요. ○ 생산현장. 약. 요구에 부응하는 유기농산물 생산 기반기술에 대한 수요 증가될. 것으로 전망되며, 특히 경축연계 유기순환농업 실천기술 개발, 녹비작물 등 의 기술개발 및 현장 실용화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됨.. ○ 이러한. 상황에서 유기농산물을 생산하고 있는 현장의 요구에 부응한 연구. 성과를 도출하기 위해서 기존 연구결과에 대한 수요자 중심의 객관적 평가 와 함께 유기농업기술의 가치를 생산하고 미래수요에 대해 선도적으로 예측 하는 것이 필요함.. ○ 따라서 이 연구는 기술 수요자인 농업인들이 생각하는 유기농업 기술의 경. 제적 가치를 평가하고, 여건 변화에 따른 유기농업 기술에 대한 수요를 파악 하는 데 목적이 있음. 이를 기반으로 유기농업 기술개발의 로드맵을 제시하 여 앞으로의 유기농업 기술개발의 이정표를 제시하고자 함.. ○ 기존. 국내외 유기농업 기술개발과 가치평가 관련 문헌과 일본의 유기농업. 정책 등에 대한 문헌을 검토하였음. 문헌 검토를 기초로 한국의 관련 정책자 료를 분석하였으며, 농업인 설문조사를 통하여 유기농업 기술 적용 실태를 파악하고, 유기농업 기술 가치평가를 하였다. 또한 전문가 의견을 기초로. AHP분석을 실시하여 유기농업 기술개발에 대한 우선순위를 평가하였음. 또 한 전문가 원고의뢰, 전문가 초청세미나, 정책협의회 등을 통하여 기술개발 의 로드맵을 제시하고 소요 연구비를 산출하였음.. ○ 유기농업 기술의 속성별 지불의사액을 이용하여 전체 유기농업기술의 가치 를 계측하였다. 농가당 연간 지불의사액은. 704,310~854,660원으로 나타났다..

(6) iv 전체 유기농업 기술의 가치를 계측한 결과 유기농가만 고려할 경우에는 약. 94억~114억 원, 무농약농가의 유기농 치는 약 726억~881억 원으로 파악할. 전환을 고려하면 유기농업 기술의 가 수 있다.. ○ AHP 방법론을 적용하여 유기농업 기술개발의 우선순위를 계측한 결과 퇴· 액비, 유기질비료를 포함한 경축자원순환기술이. 0.219로 가장 높게 나타났 음. 다음으로 생물농약이 0.125, 녹비작물 재배기술이 0.119로 뒤를 이었음.. ○ 유기농업 기술개발의 분야별 로드맵을 제시하였음. 유기농 경축순환체계 기. ·. 술개발을 통하여 친환경적 유기농 경축순환 시스템 구축, 유기농 토양 양분. ·. 관리 기술개발로 친환경적 유기농 토양 양분관리 시스템 구축, 유기농 잡초 방제 기술 개발로 친환경적 잡초관리 시스템 구축, 유기농 병해충방제 기술 개발로 친환경적 유기농 병해충관리 시스템 구축, 유기종자 및 육묘기술 개. 발을 통하여 친환경적 유기종자 및 육묘 시스템 구축 로드맵을 작성하였으며,. 2013년부터 2022년까지. 향후. 10년간의. 세부 기술개발 방향을 제시하였음.. ○ 유기농업 기술개발을 위해 2013년부터 2017년까지 5년간 분야별 소요 연구. ·. 비를 산정하였음. 토양 양분관리 기술개발 분야에. 25억 원, 잡초관리 기술개 발에 60억 원, 병해충방제 기술개발에 100억 원, 유기종자 기술개발에 100억 원, 유기식품 진위판단 기술개발에 15억 원이 소요될 것으로 추정되어 총 500억 원이 필요할 것으로 계측됨.. ○ 유기농업이. 건실하게 발전하기 위해 유기농 기술개발에 대한 투자 확대는. 중요한 과제이며, 기술개발이 제대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농업인과 전문가 의 신기술 수요에 부응하여 핵심과제를 발굴하여 단계적이고 지속적으로 추 진해야 할 것임..

(7) v ABSTRACT. Valuation of Organic Farming Technologies and Demand Projections for Its New Technology. Background of Research The demand for basic technologies of organic agriculture that meet farmers' needs is expected to increase. Especially,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and find better ways of putting into actual use the application technologies of organic agriculture that combines crop cultivation and livestock farming and green manure crop cultivation technologies. In this note,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economic values of organic farming technologies from the standpoint of farmers and find out the demand for the technologies in response to changing circumstances. Based on this analysis, this study attempts to present a road map and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organic farming technologies. Method of Research The research method used in this study is a literature review of domestic and foreign development of organic farming technologies and Japan's policies on organic agriculture.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Korea's related policies were analyzed and the application state of such technologies was examin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of farmers. An evaluation of organic farming technologies was made, and the priorities for the development of organic farming technologies were evaluated through an AHP analysis based on expert opinions. A roadmap for technology development of organic agriculture was also presented after holding an experts seminar and policy council meetings, and the necessary funds to conduct research for the technology development were calculated. Research Results and Implications By using the willingness to pay (WTP) for a specific technology of.

(8) vi organic farming, the total value of organic farming technologies was calculated. The annual amount of WTP per farm was 704,310~854,660 won. The calculation of the total value of organic farming technologies showed that if only the organic farms are counted the total value will amount to 9.4~11.4 billion won. If the conversion of pesticide-free farms into organic farms is taken into account, the value of organic farming technologies will amount to 72.6~88.1 billion won. The development priorities of organic farming technology are calculated by using the AHP methodology,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esource recycle technology of agriculture residues and livestock manure including compost, liquid manure, and organic fertilizers was found to have the highest priority of 0.219, followed by bio-pesticide application technology (0.125) and green manure crop cultivation technology (0.119). Roadmaps are presented for each field of technology development of organic agriculture. Specifically, roadmaps are created for the construction of following systems: an environment-friendly organic agriculture recycle system for crop and livestock farming, an environment-friendly organic soil management system, an environment-friendly weed management system, an environmentfriendly organic disease and pest management system, and an environmentfriendly organic seed and seedling production system. In addition, directions for detailed technology development for the period from 2013 to 2022 are presented. The research cost of developing technologies for organic agriculture for the 5-year period from 2013 to 2017 was calculated for each field of research, and the estimated costs, which amount to 50 billion won in total, are as follows: 2.5 billion won for soil and nutrient management technology, 6 billion won for weed control technology, 10 billion won for disease and pest control technology, 10 billion won for organic seed production technology, and 1.5 billion won for organic food verification technology. Increasing the investment for technology development of organic agriculture is an important task for sound development of organic agriculture, and in order to promote sound technology development, it is necessary to identify key tasks that meet farmers' and experts' needs for new technologies and work on the tasks continuously and step by step.. Researchers: Chang-Gil Kim, Hak-Kyun Jeong and Dong-Hyun Moon Research Period: 2012. 1 2012. 12. ~.

(9) vii 차. 제1장 서 론. 례. ················································································ 1 연구목적 ········································································································ 3 선행연구 검토 ······························································································· 3 연구방법 및 추진체계 ·················································································· 9 제2장 유기농업 기술 및 기술개발 현황 1. 유기농업의 원리와 실천 방법 ··································································· 13 2. 유기농업 기술개발의 의미와 유형 ··························································· 15 3. 유기농업 기술개발의 현황 ········································································ 20 4. 유기농업 기술개발의 투자 현황 ······························································· 35 5. 일본의 유기농업 기술개발 ······································································ 37 6. 국내 유기농업 기술의 현장 적용 실태 ··················································· 42 제3장 유기농업 기술의 가치 평가 1. 가치평가방법 ······························································································· 46 2. 추정모형 ······································································································ 52 3. 분석결과 ······································································································ 55 제4장 유기농업의 신기술 수요 1. 전문가의 분야별 유기농업 신기술 수요 ·················································· 59 2. 농업인 대상 기술개발 수요 조사 ····························································· 65 3. 유기농업 신기술 수요 요인 ······································································ 67 1. 2. 3. 4..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0) viii. 제5장 유기농업 기술개발 추진 방안 1. 2. 3. 4.. ··························································· 68 유기농업 기술개발의 우선순위 결정 ······················································· 70 분야별 기술개발 로드맵과 핵심과제 ····················································· 78 유기농업 기술개발을 위한 소요 연구비 ·················································· 89 유기농업 기술개발의 비전과 목표. 제6장 요약 및 결론 ························································································ 91 1. 부록 2. 부록 3. 부록. ·························································· 93 유기농업 기술 가치평가 및 신기술 수요 농업인 조사표 ······················ 100 유기농업 기술개발 우선순위 관련 전문가 조사표 ································ 114 유기농업 기술개발의 성과 현황. 참고문헌. ············································································································· 121.

(11) ix 표 차 례. 제2장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222222222-. 친환경 유기농업 기술 분류 및 범위(특허청). 1. 2. 3. 4.. 주요 유기농업 기술의 속성 및 속성수준. 1. 2. 3. 4.. 유기농업 기술개발에 대한 평가항목. 제3장 표 표 표 표. 3333-. 제5장 표 표 표 표. 5555-. ···························· 17 유기농업 기술 종류 ······································································· 19 재배분야별 유기재배 토양 양분관리 연구실적 ························· 23 토양·양분관리 분야의 유기농업 기술개발 주요성과 ················ 25 유기농업 잡초관리기술 ································································· 28 유기농업 해충관리기술 ································································· 30 유기농업 병해관리기술 ································································· 32 유기농업 기타기술 ········································································· 34 분야별 유기농업 기술개발 연구비 투입 현황(2009~’12) ········ 36. 1. 2. 3. 4. 5. 6. 7. 8. 9.. ··································· 49 기초통계량(n=122) ········································································· 56 추정결과 ·························································································· 57 유기농업 기술 가치 추정결과 ······················································ 58 ·········································· 71 유기농업 기술개발 평가기준 쌍대비교 결과 ····························· 76 유기농업 기술개발의 우선순위 종합평가 ··································· 77 미래 유기농업 핵심기술 개발에 필요한 소요예산 추정 ·········· 90.

(12) x. 부록 부표 부표 부표 부표. 1. 2. 3. 4.. ·. ···················· 93 잡초관리 분야 유기농업 기술개발 성과 현황 ····························· 95 병해충 관리 분야 유기농업 기술개발 성과 현황 ······················· 96 기타 분야 유기농업 기술개발 성과 현황 ···································· 98 토양 양분관리 분야 유기농업 기술개발 성과 현황.

(13) xi 그 림 차 례. 제1장 그림. 연구의 흐름도. 2- 1. 2- 2. 2- 3. 2- 4. 2- 5. 2- 6. 2- 7. 2- 8. 2- 9. 2-10.. 자연순환농업의 경종 축산 환경과의 연계성. 3- 1. 3- 2.. 실험선택법의 적용절차. 4- 1.. 농업인의 분야별 유기농업 기술 수요. 제2장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제3장 그림 그림. ·········································································· 12. 1- 1.. · ·. ························ 16 유기농업 기술개발 관련 연구 현황 ········································ 20 재배분야별 유기재배 연구 및 기술개발 현황 ························ 21 재배분야별 유기재배 연구 및 기술개발 현황 ························ 22 시설재배 및 과수 작목별 유기재배 연구 및 기술개발 현황 ·· 22 일본의 유기농업 기술개발 현황 ·············································· 37 일본의 유기농업 기술검정 및 표준재배지술지도서 작성사업 ·· 38 유기농업 실천에 있어서의 어려움 ·········································· 42 유기농업 기술 적용실태 ··························································· 43 유기농업 기술의 효과성 판단 ·················································· 45 ····························································· 48 설문에 사용된 선택대안 예시 ·················································· 51. 제4장 그림. 제5장 그림. 5- 1.. 유기농업 기술개발의 비전과 목표. ····································· 66. ············································ 69.

(14) xii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5- 2. 5- 3. 5- 4. 5- 5. 5- 6. 5- 7. 5- 8. 5- 9. 5-10. 5-11. 5-12.. ················································ 71 유기농업 기술 제1계층의 우선순위 결과 ······························· 73 유기농업 기술 평가기준의 중요도 평가 결과 ························ 73 분야별 유기농업 기술개발(제2계층)의 우선순위 결과 ·········· 75 유기농업 기술개발 평가기준 쌍대비교 결과 ························· 76 유기 경종순환체계 기술개발 로드맵 ······································· 78 유기재배 토양 및 양분관리 기술개발 로드맵 ························ 80 잡초관리 기술개발 로드맵 ························································ 82 유기농 병해충 방제 기술개발 로드맵 ····································· 85 유기종자 및 육묘 기술개발 로드맵 ········································ 87 유기농산물 진위판별 기술개발 로드맵 ··································· 88 유기농업 기술개발의 계층구조.

(15) 1. 제. 1. 서. 1.. 장. 론.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 우리나라는. 식량 증산을 위해 고투입-고산출의 집약농업이 지속됨에 따라. OECD 국가 중 단위면적당 화학비료 시비량은 5위(2007년, 340kg/ha), 단위 면적당 화학농약 살포량은 1위(2007년, 13.1kg/ha)로 나타나 비료와 농약 사 용량이 높은 수준임. 이는 농업분야의 잠재적 환경문제의 심각성을 나타내 는 지표로 화학비료와 농약을 사용하지 않는 유기농업 실천은 화학적 농자 재 투입량 감축을 위한 주요한 과제임.. ○ 농산물의 안전성과 건강을 추구하는 세계적인 웰빙 트렌드의 확산으로 유기 농식품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 특히 소득 수준이 높은 북미, 유럽 및 일본 등의 지역을 중심으로. 2000년 이후 유기농식품 소비는 지속적. 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음. 우리나라도 가족 건강을 위해 유기농산물을 찾는 소비자가 계속 늘어나고 있음.. ○ 유기농업은 최근 이상기상 등 기후변화의 원인으로 알려진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한 주요한 대안으로 부각되고 있음. 정부는 농업부문의 대표적인.

(16) 2 저탄소 농업 추진방안으로 유기농업의 확산의 과제를 제시하고 있음. 농림. 2010년 유기농식품산업 육성을 저탄소 녹색성장의 핵심정책 으로 제시하였으며, 유기농산물 생산기반의 확충, 기술개발 등 다양한 유기 농업 육성계획을 발표하였음(2011년, 친환경농업 육성 5개년 계획). 친환경 농업 직접지불제를 개편하여 2012년부터 밭작물 유기농업의 경우 ha당 79만 4천원에서 120만원으로 상향 조정하였고, 유기농업에 한해서는 지급기간을 현행 3년에서 5년으로 연장하였음. 뿐만 아니라 친환경농업육성법 전부개정 안이 국회를 통과하면서(2012년 5월) 유기농식품 산업 발전을 위한 법적 체 계가 보완되었음. 수산식품부는. ○ 유기농산물에 대한 수요의 증가와 정부의 적극적인 유기농업 육성정책 등에 힘입어 유기농산물 재배면적은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음.. 2005년 6,095ha에 불과하던 재배면적은 2011년 현재 19,312ha로 3.2배 증가하였고, 생산량은 같은 기간 68,091톤에서 123,314톤으로 1.8배 증가하였음.. ○ 국민들의 소득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유기농산물 수요는 앞으로도 지속적으. 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이에 따라 생산 현장의 유기농산물 생산 기반기술. 에 대한 수요도 커질 것으로 전망됨. 특히 민간에서 경험적으로 개발하여 실 천하고 있는 유기농업 기술을 과학적으로 검증하고 현장에서 실용화할 수 있도록 보급하는 것이 중요함. 또한, 경종과 축산을 연계한 경축 유기순환 농업기술의 개발 및 현장실용화 등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됨.. ○ 유기농산물을. 생산하는 농업 현장의 요구에 부응한 연구 성과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기존 유기농업 기술에 대한 수요자 중심의 객관적 평가와 유기농 업 기술의 경제적 가치를 평가하고, 미래 유기농업 기술수요에 대해 선도적. 으로 예측하는 것이 필요함. 본 과제는 유기농업 기술에 전반에 대한 경제적 가치를 체계적으로 평가하고 신기술 수요 도출을 기초로 분야별 기술개발 의 우선순위와 로드맵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됨..

(17) 3. 2.. 연구목적. ○ 이 연구는 기술 수요자인 농업인들이 생각하는 유기농업 기술의 경제적 가. 치를 평가하고, 여건 변화에 따른 유기농업 기술에 대한 수요를 파악하여 유 기농업 기술개발의 우선순위와 로드맵을 제시하는데 연구목적이 있음.. 3.. 선행연구 검토. 3.1. 국내연구 동향 3.1.1.. 유기농산물 생산 및 유통 분야의 선행연구. 가. 농업기술개발의 효과 ○ 유기농업에 한정하여 기술개발의 효과를 분석한 국내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 ·. 임. 하지만 농업기술의 개발 보급에 대한 효과를 평가하고 기술개발 방향을 제시한 연구는 꾸준히 수행되어 왔음.. ○ 황수철 외 4인(2009)은 농촌진흥청 기술보급사업 가운데 새기술보급사업, 탑. ·. 라이스 사업, 탑푸르트 사업에 대한 운영현황과 문제점을 조사 분석하고 개 선방안을 제시하였음.. ○ 이진홍 외 3인(2007)은 지역단위에서 발생하는 연구개발의 경제적 편익을 추 정하고, 투자효과를 분석하였음. 이 연구는 경기도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농업 기술 개발보급사업의 분야별 투자효과를 분석한 결과. 2006년 기준으로 R&D.

(18) 4 192.9억 원으로 생명공학, 경종작물, 환경 투자효과는 431.9억 원으로 추정되었음.. 분야별 가치에 대한 총 투자효과는 순이었음. 기술보급분야의 총. ○ 서동균(2005)은 농업연구 및 지도사업에 대한 투자가 한국농업의 성장과정 에서 기여한 바를 농업생산성 측면에서 실증분석하였음. 분석결과, 총산출 증가에 대한 생산성, 총투입, 생산기반에 대한 기여도는 각각. 86.2%, 5.6%,. 8.2%로 나타났으며, 농업생산에 대한 농업 과학 기술개발 보급사업의 파급 효과는 121조원으로 추정되었음.. ○ 김미희·안옥선·이상영(2008)은 원예작물재배에 있어서 전통농업기술의 개발 가치를 평가하였음. 전통지식기술을 발굴하여 유형화하고, 그 자원을 실용. 화, 상품화하고 더 나아가 세계화하기 위한 하나의 기초 작업으로, 원예작물 관련 전통기술 가운데 친환경농업기술 등으로 계속 사용하거나 현대적과학 성 등을 규명할만한 우수기술을 도출하고자 개발가치 평가를 실시하였음. 전문가 의견 분석을 통한 활용구조와 농자재 이용 현황을 분석함.. ○ 김미희 외 4인(2007)은 식량작물재배에 있어서 전통지식기술의 개발가치를. 평가하고, 농업기술에 이용가능한 자원현황을 분석하였음. 델파이기법을 적 용하여 전통지식기술의 개발가치를 평가하고,. 42개 우수항목을 도출하였음.. 이들 기술에 대한 전문가 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바탕으로 지속영농기술의 현대화를 위해서 고려되어야 할 사항들을 제시하였음. 경제성, 권리화, 과학 성 검증 등이 중요하다고 판단하였음.. ○ 노재선·홍준표·권오상(2004)은 연구개발에 의한 생산비 감소효과와 연구개 발투자의 비용을 비교하였음. 이를 위해 내부수익률을. Almon의 시차구조를 채택한 트랜스로그 비용함수를 추정하였음. 분석결과 시차 기간이 7로 주어 졌을 때, 가장 안정적인 시차구조를 가졌으며, 내부수익률은 300%로 나타나 농업부문 연구개발투자사업의 경제성이 높다고 밝힘..

(19) 5. ○ 김성수·이민수·최영찬(2003)은 시계열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농업에 대한 총. 연구비와 부문별 연구투자의 경제적 투자효과를 분석하였음. 총농업연구투자. 45.18%로 추정되었으며, 이는 30~40%인 국제수준보다 높은 수치임. 연구 투자가 생산에 미치는 시차효과는 총농업연구투자의 경우 7년으로 나타났음. 는. 나. 유기농업 기술개발 로드맵 관련 ○ 농촌진흥청(2009)은 어젠다 중심 제5차 농업과학기술 중장기 연구개발 계획. (2009-2017년)에서 친환경 유기농산물 생산기반기술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 로 증가할 것에 대비하여 민간실천 유기농업기술의 과학적 검증 및 현장실용 화, 경축연계 유기순환농업 실천기술 개발 및 현장실용화를 추진전략으로 제 시하였음. 또 중점 추진과제로 유기사료 생산 및 경축연계 유기순환 시스템 개발, 유기종자 생산 및 육묘 기술개발 등 유기농업 기술개발을 제시하였음.. ○ 농림수산식품부(2011)는 농산업 연구개발 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연구개발 투자 전략을 제시하였음. 농촌인구구조의 변화, 농산물. 개방 및 국제유통 확대, 웰빙 및 로하스 트렌드의 확산, 신기술 발전, 기후변 화 등으로 관련 환경변화를 구분하고 분석하였음. 분석내용에 기반하여 식. ·. ·. ·. 품가공 유통, 농업생산시스템, 동물육종번식 동물건강, 식물육종번식 이용, 인프라 등 5개 부문의. R&D. 로드맵을 제시하였음.. 다. 유기농업 관련분야 연구 ○ 지형진 외 7인(2007)은 유기농 엽채류에 발생하는 균핵병, 상추흰가루병 등. ·. 병해충의 발생 특성을 조사 분석하였음. 이 연구는 유채씨 기름 등의 식용유 를 닭걀 노른자로 유화시킨 현탁액을 이용하여 각종 병해충을 방제하는 기 술과 시설하우스 재배환경 개선에 의한 병해경감 방안을 제시하였음.. ○ 지형진 외 10인(2008)은 유기농 시범 마을에 유기농 재배기술 전수를 실천 함. 유기농산물 생산시 발생하는 애로사항을 수집하여 토양관리, 유기재배,.

(20) 6 병해충관리, 유기자재활용 기술 교육 및 시범포장 등을 통해 지도하였음. 현 장 시범 사업으로 토양 양분관리와 주요 병해충관리에 대한 기술을 도입하 여 마을에 전수하였음. 4년간의 지원을 통해 시범마을의 유기재배기술은 향 상되었고 유기재배농가의 경영효율화와 생산량 증가로 소득이 향상되었다 는 결론을 도출하였음.. ○ 류경열 외 6인(2008)은 딸기 재배지에서 발생하는 흰가루병, 탄저병 등의 병 충해를 방지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음. 흰가루병에 대해 공기순환팬, 식. 물성 오일, 난황유를 이용하는 기술을 개발하였고, 유용미생물 9종이 식물병 원균에 대해 길항효과가 높다는 결론을 도출하였음. 또한 태양열 소독에 의 한 탄저병, 시들음병 방제기술을 제시하였음.. ○ 농촌진흥청(2008)은 주요 녹비작물의 벼 재배 이용기술을 제시하였음. 주요 녹비작물로는 헤어리베치, 자운영, 보리 등이며, 헤어리베치, 보리는 생초 2톤 정도, 자운영은 생초. 10a당. 2.0~2.5톤 정도가 토양환원시 질소비료를 대 체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음. 뿐만 아니라 녹비작물의 토양환원시기, 벼 품 종선택 등 녹비작물 이용기술을 제시하였음.. ○ 김창길 외 6인(2010)은 유기농업 실천농가의 경영실태, 주요국 유기농업 경 영성과, 유기농클러스터의 경영실태, 유기농산물 유통시장 실태, 국내외 유. 기농산물 가격경쟁력 성공사례 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음. 이 연구는 경 영실태 진단을 통해 유기농가의 경영개선 방안을 제시하였고, 유기농산물 마케팅전략 개발을 통한 가격경쟁력 제고방안을 도출하였음.. ○ 유기농업과 관련된 그 밖의 연구로 유기농업의 기후변화 완화 및 적응 효과, 안전성, 국민건강증진에 미치는 영향 등이 있음. 유기농산물을 포함한 친환 경농산물과 국민건강증진의 관련성에 대한 최근의 연구로는 정학균 외 2인. (2012)이 있음.. 정학균 외 2인(2012)은 친환경농산물 소비가 가족 건강증진.

(21) 7 도 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음. 설문조사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교차분석과 순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음. 유기농산물을 포함한 친환경농산물 소비가 건강증진도 향상에 도움을 준다는 결과를 제시함.. ○ 유기농업은. 최소한 토양보전과 화석연료사용의 감소라는 환경비용 절감효. 과를 가지고 있으며, 이 밖에 시각적 편익, 야생동물보존, 폐기물 감소 등 일 반농업의 특성적 환경영향 효과도 가지고 있음(Bateman. and Lampkin, 1986). 이러한 유기농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Sandhu et al.(2007) 등의 연구가 진행되어 왔음.. ○ 유진채 외 3인(2010)은 유기농업 실천에 따른 공익적 기능을 정립하고, 실험 선택법을 이용하여 공익기능의 경제적 가치를 추정하였음. 이 연구는 공익. 기능을 환경오염 감소, 자연생태계 복원, 문화의 다양성 증진 및 지역사회유 지, 에너지절약과 온실가스 감소, 경관 개선이라는 5가지로 구분하였음. 지 불의사액은 유기농업 육성정책에 따른 연간 가구당 세금으로 설정하였으며, 추정결과 환경오염 감소기능이 기능. 13,691원,. 문화의 다양성. 15,906원으로 가장 높았고, 생물다양성 증진 증진 및 지역사회 유지 9,599원의 순이었음.. 3.2. 국외 연구 현황. ○. Muller(2009), National Sustainable Agriculture Coalition(2009) 등이 있음. 먼저, Muller(2009)는 유기농업이 관 행농업에 비하여 온실가스 배출량이 적고, 탄소고정 등을 통하여 온실가스 흡수 잠재력이 높음을 강조함. 따라서 유기농업이 농업부문의 기후변화 적 유기농업과 기후변화 관련 연구로는. 응 및 완화전략으로 발전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 및 정책지원이 뒷받침되어 야 함을 제시함..

(22) 8. ○ NSAC(2009)는. 유기농업에서의 토양탄소고정을 관행농업과 무경운농업과. 비교하여 우수하다는 것을 실험을 통해 보였음. 또한 유기농업은 생물다양 성을 높이고 기후변화에 적응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기후변화 완화 및 적 응에 효과적인 농업시스템임을 강조함.. ○ Lasalle and Hepperly(2008)는 현대 농법이 온실가스를 많이 배출하기 때문 에 문제가 많다고 보았음. 이에 대한 대안으로 피복작물 재배, 윤작 등을 포. 함한 유기농업의 이행을 강조하였음. 유기농업은 에너지 이용량이 적기 때 문에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임과 동시에 탄소고정 효과가 높으므로 지구온난 화 완화에 기여한다는 것을 밝힘.. ○ Sandhu et al.(2007)은 실험선택법을 이용하여 뉴질랜드 캔터베리 주에서 이 행되고 있는 관행농업과 유기농업에 대하여 비시장가치를 추정하고 비교하 였음. 분석결과 비시장가치는 관행농업의 경우 업의 경우. 1,480달러로. ha당. 연간. 유기농업이 2배 이상 높았음.. 670달러,. 유기농. 3.3. 국내외 연구현황 비교 및 필요 연구 분야. ○ 농업기술에 대하여 기술개발의 효과를 분석한 연구는 일부 있으나, 유기농업 에 한정하여 효과를 분석한 국내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임. 농업기술을 전반. 적으로 다룬 연구들은 농업기술의 개발 및 보급에 대한 효과를 부분적으로 평가하고, 기술개발의 방향성을 제시하였음.. ○ 유기농업의 기술개발 로드맵을 제시한 기존의 연구들은 다양한 방안을 제시 하였으나, 개별 방안들에 대한 중요도를 평가하여 우선순위를 제시하지는. ·. 않았음. 따라서 다양한 기술개발 방안들을 비교 평가하여 유기농업 기술개. 발의 우선순위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현장 실용화가 가능하도록 전략적.

(23) 9 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음.. ○ 이 연구는 유기농업의 기술개발의 효과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그 파급영향 을 종합적으로 계측하며, 유기농업 기술개발의 우선순위 선정을 바탕으로. 단계적이고 현장 실용화가 가능한 기술개발 로드맵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선 행연구와 차별됨.. 4.. 연구방법 및 추진체계. 4.1. 문헌연구. ○. 기존 국내외 유기농업 기술개발 및 가치평가 관련 문헌 검토. -. 유관기관 및 연구기관의 연구 결과물 검토 일본의 유기농업기술개발 관련 연구 문헌 검토. 4.2. 통계자료 분석 및 계량분석. ○. ○. 관련 정책자료 및 통계 분석. -. 친환경농업육성법 전부개정안의 유기농업 관련정책의 분석 유기농산물 생산통계의 주요 지표 트렌드 분석. 유기농업 기술에 대한 농업인 설문조사 분석. -. 유기농업 기술의 적용 실태 파악 유기농업 기술의 효과성 파악 선택실험법(CE)을 이용한 유기농업 기술의 경제적 가치적 평가.

(24) 10 -. ○. 유기농업 기술에 대한 수요 파악. 전문가 설문조사에 기초한 유기농업 기술개발의 우선순위 평가. -. 계층적 의사결정기법(AHP) 적용하여 기술개발 우선순위 선정. 4.3. 국내외 유관기관 현지조사. ○. 유기농업 기술개발 및 가치평가 관련 각계 의견조사. -. 유기농업 신기술 수요에 대한 전문가 심층면담조사 유기농가를 대상으로 기술적, 사회적, 경제적 성과에 대한 의견, 유기농. 업기술 적용의 애로사항, 유기농업기술 수요 등 조사. ○ 유기농업 기술개발와 관련된 기관을 방문하여 자료수집, 전문가들과의 정보 교류 및 네트워킹. 4.4. 전문가 의견수렴을 위한 원고의뢰 및 세미나 개최 계획. ○. ○. 유기농업 기술개발 로드맵 작성과 관련하여 분야별 전문가에게 원고의뢰. -. 토양 및 양분관리 분야: 최경주 국장(전남도 농업기술원). 병해충 관리 분야: 김용기 박사(국립농업과학원 유기농업과) 잡초관리 분야: 이병모 박사(국립농업과학원 유기농업과) 유기종자 및 육묘 기술 분야: 윤성탁 교수(단국대학교) 유지농자재 개발: 윤성희 박사(흙살림토종연구소). 일본의 유기농업 기술개발 현황: 신용광 교수(한국농수산대학). 유기농업 가치평가, 신기술수요 관련 국내외 전문가 초청 세미나 개최.

(25) 11. ○. ·. 유기농업 신기술수요 관련 농림수산식품부 국립농업과학 담당자간의 정책 협의회 개최. 4.5. 연구개발의 추진체계. ○ 이 연구는 현장실용화 유기농업 기술개발 로드맵을 제시하기 위하여 유기농 업 기술의 가치 평가 방법론과 기술개발의 우선순위를 선정방법론을 종합적 으로 검토하여 분석방법론을 선정하고, 유기농업 기술의 연구 및 보급 실태. 분석, 가치평가 및 우선순위 분석, 주요국의 유기농업 사례 분석 등의 순서 를 따라 연구를 진행함<그림. 1-1>..

(26) 12. 그림 1-1. 연구의 흐름도 ▪국내외 유기농업 기술개발 실태진단, 가 치평가 및 우선순위 관련 선행연구검토 ▪전문가 협의회와 워크숍 ▪유기농업. 기술의 가치평가 및 우선순 위 선정 분석방법론 검토 - 계량모형, 정성적 평가, AHP 분석. ▪유기농업기술의 연구 및 보급 실태 -. 분석 유기농업 기술개발 연구비 추이 유기농업 기술개발 및 현장 적용 실태. ▪분석방법론의 이론적 접근 ▪가치평가 및 우선순위 선정 관련 선행연구 검토. ▪국가 유기농업기술 연구개발비 자료 분석 ▪유기농업 기술 범주화 및 개발 단계 분석. ▪ 가치평가. ▪가치평가 및 우선순위 관련 연구 자료 검토 ▪농가·전문가 설문조사 분석. ▪해외의 유기농업 사례 분석. ▪주요국의 기술개발 벤치마킹. -. -. 및 우선순위 분석 기술개발의 경제적 가치평가 기술개발의 우선순위 결정. 일본의 기술개발 실태 검토 해외 유기농업 기술개발 시사점 도출. -. 기술 로드맵 관련 시사점 도출. ▪유기농업 기술의 진단 및 수요파악 - 유기농업 기술의 문제점 및 기술개발 수요 파악 ▪분야별 유기농업 기술개발 로드맵 제시 -. 분야별, 단계별 기술개발 로드맵 분야별 유기농업 기술수요 및 우선순위 분석 종합.

(27) 13. 제. 2. 장. 유기농업 기술 및 기술개발 현황. 1.. 유기농업의 원리와 실천 방법. 1.1. 유기농업의 원리. ○ 유기농업이란 일반적으로 유기재배로 농산물을 생산하고, 생산한 농산물을 소비자에게 공급하는 영농행위를 지칭함.. -. 유기농업은 유기농산물이 유기재배를 필요로 하는 생산자와 소비자 사 이를 순환하는 것으로 성립되는 영농행위임. 따라서 생산자와 소비자 양. 자 간에 유기재배의 가치를 인정한다는 공통적인 합의가 도출되어야 함.. ○ 유기재배는 농약·화학비료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을 원칙으로 함. 유기재. ·. 배 방법은 농약 화학비료의 기능을 보완하거나 대체하는 기술적 특징을 지 님.. -. 기본적인 대체방법의 원칙은 환경의 자원순환기능을 이용하는 것임. 유 기재배 기술의 실천안목은 환경의 자원순환기능을 충분하게 발현시킬 수 있는 조건을 정비하고, 그 기능이 효과를 발휘될 수 없는 경우에 인간 의 노동력이나 그 이외의 수단으로 보완하는 것이라 할 수 있음..

(28) 14 -. 유기농업은 화학비료와 농약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관행농업에 비하 여 농업생산 활동에 따른 환경부하를 크게 낮추고, 자원순환기능을 증진 시키는 역할을 함. 유기농업은 다양한 생물로 이루어진 생태계를 기반. 으로 자연이 가지고 있는 본래의 기능을 최대한 활용하여 병충해를 억제. -. 하면서 작물을 재배함. 유기재배는 전반적으로 농산물의 안전성을 높이고 환경부하를 낮추는 장점이 있지만, 관행농업에 비하여 노동력이 많이 투입되고, 농자재의. 비용이 높다는 단점 또한 지니고 있음. 정부는 유기재배와 관련하여 친 환경농업 실천 농업인에게 초기 소득 감소분 및 생산비 차이 보전을 위 하여 친환경농업직접지불제를 시행되고 있음.. - 유기재배는 2차적 자연환경을 형성하는 농지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적 절한 농업생산 활동을 통해 자연환경을 보전하고, 아름다운 경관을 형성 하는 등 환경보전측면에서 여러 가지 역할을 하고 있음.. ○ 유기농업에는 다양한 원류가 있으며, 유기농업의 실천 목적에 있어 구미와 우리나라 간에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 구미에서는 농업활동이 전작이 중심이었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농산물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유기질 비료를 투입하는 것이 중요함. 유기질 비료의 투입은 소비자의 수요와도 합치되어 유기농산물 생산이 확대되었음. - 우리나라의 유기농업은 당위적 행위가 아닌 선택적 행위에 따라 정의됨.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유기재배라는 것은 화학적인 합성 비료와 농약 을 사용하지 않는 재배방법을 나타냄. 유기농업은 유기재배에 따라 생산. 되는 농산물 및 이에 대한 소비활동을 전제로 한 농업생산 활동으로, 결 국 유기농산물을 매개로 하는 생산과 소비의 경제관계로서 받아들여짐..

(29) 15 1.2. 유기농업의 실천방법. ○ 유기농업 실천농가는 지역조건에 적합한 재래종(在來種)묘(苗) 등을 도입하 고, 화학비료나 농약을 사용하지 않아 생물상(. 生物相)이 풍부해진 재배환경. 아래에서 농업활동을 함. 퇴비 및 기타 유기물자재를 이용하여 흙을 만들고,. ·. 유기질비료 등을 활용해 시비를 함. 경종적 물리적인 방법, 생물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작물에 유해한 동물과 식물을 방제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이러 한 방제활동에 많은 노력이 투입됨.. ○ 유기농업은 친환경농업육성법 시행규칙(제7조)에서 제시하는 토양개량과 작 물생육을 위하여 사용 가능한 유기농자재와 병해충관리를 위하여 사용이 가 능한 유기농자재를 이용하여 유기재배를 실천함.. 2.. 유기농업 기술개발의 의미와 유형. 2.1. 유기농업 기술개발의 정의와 범위. ○. 유기농업 기술 전개의 기본 원칙. -. 경험적으로 기술을 축적한 유기농업 실천농가는 되도록 외부 투입자재 에 의존하지 않으며, 종합적으로 토양을 관리하고 저투입-저양분을 기본. 으로 시비를 하고, 자연순환을 촉진하기 위하여 일부 보조제만 이용함. 또한 작물의 생리생태적 특성을 살려 작물을 재배하며, 어느 정도의 병. 충해가 발생하더라도 천적을 이용하거나 작물 자체의 치유력에 의존하 여 문제를 해결함.. - 유기농업 경영은 복합 경영을 기본으로 하며, 유기경종과 유기축산을 연 계하는 유기자원순환농업의 구축을 지향함. 유기자원순환농업은 연계 물.

(30) 16 질순환의 균형을 추구하는 모든 농업을 포함하는데, 구체적으로는 가축. ·. ·. 분뇨 퇴 액비 등 유기질 자원을 토양에 환원시켜 토양을 건전하게 유지 보전 하면서 농업생산성을 확보하는데 목적이 있음.. 그림 2-1. 자연순환농업의 경종·축산·환경과의 연계성. 자료: 농림부(2006).. 2.2. 유기농업 기술의 유형화. ○ 농촌진흥청(2007)은 유기농업기술을 크게 유기재배기술, 유기농자재기술, 생물적 방제기술, 유기축산기술, 유기농산물 유통 및 가공기술 등으로 분류한 바 있음..

(31) 17. ○ 특허청(2009)은 기존의 농업기술 관련 특허 취득기술을 기준으로 친환경 유. ·. 기농업기술을 유기농업기술, 토양 수질 등 친환경종합관리기술, 유기농자재 관리기술, 농업미생물현장실증화, 신규아이템 등으로 분류하였음<표. 2-1>.. 표 2-1. 친환경 유기농업 기술 분류 및 범위(특허청) 대 분 류. 중분류. 신풍종 (유전자). 기술범위. ∙사과, 고추, 당근, 상추, 옥수수의 신품종 또는 유전자 등 과 관련된 기술. ∙닭, 돼지 및 기타 축산과 관련된 기계 및 시설 천연소재 항생제 ∙식물 추출물 등 천연 소재 항생제 제초제를 사용하지 ∙생분해성 비닐 등 제초제를 사용하지 않는 제초 방법 않는 제초방법 처리 ∙폐양액의 처리 및 재활용 등과 관련된 장치 및 기술 등을 토양, 수질 등 폐양액의 및 활용 포함 친환경 토양 염류제거 ∙토양의 염류제거와 관련된 기술 종합관리기술 무기 나노 담체 ∙무기 나노 담체와 관련된 기술 비료+토양개량제 ∙비료+토양개량제 중 미생물과 관련된 기술 (미생물) 유기농자재 비료+토양개량제 ∙비료+토양개량제 중 천연소재와 관련된 기술 관리기술 (천연소재) 비료+토양개량제 ∙비료+토양개량제 중 점토광물과 관련된 기술 (점토광물) 미생물농약 ∙미생물 농약 중 신규 미생물과 관련된 기술 대사 물질 등을 유기농업 기술. 친 환 경 유 기 농 업 기 술. 소분류. 농업미생물 현장실증화. 축산관련 기계 및 시설. (신규미생물). 미생물농약 (체형화, 대량생산) 미생물농약 (대사 물질 등). 신규아이템. 전체 쿼럼센싱 관련 특허. 자료: 특허청(2009),. p.18. 포함하는 경우에도 미생물 자체를 신규로 볼 경우 포함. ∙미생물 농약의 제형화 및 대량생산 등과 관련된 기술 ∙미생물 농약 중 미생물이 생산하는 대사물질 등과 관련된 기술. ∙바이오 필름을 활용한 토양, 수질 관리 및 미생물 관리 또 는 바이오 필름을 제거하는 화합물과 관련된 기술. ∙바이오 필름과 관련된 특허 중 쿼럼센싱과 관련된 기술.

(32) 18 -. 유기농업기술에는 신품종(유전자), 축산관련 기계 및 시설, 천연소재 항. 생제, 제초제를 사용하지 않는 제초방법 등이 포함되며, 토양 및 수질 등. 친환경 종합관리 기술에는 폐양액의 처리 및 활용 토양 염류 제거, 무기 나노 담체 등이 있음.. - 유기농자재 관리 기술로는 미생물 관련 기술, 천연소재 관련기술 점토광 물 관련 기술 등이 있음. - 농업미생물 현장 실증화는 미생물 농약관련 기술을 의미하는데, 신규 미 생물을 이용한 미생물 농약 기술, 미생물 농약의 체형화 및 대량생산 관 련 기술, 미생물이 생산하는 대사물질 관련 기술 등이 있음. - 그리고 바이오 필름과 관련된 신규 아이템 기술이 있음.. ○. ·. 농촌진흥청(2010)은 유기농업기술을 토양 양분관리기술, 잡초관리기술, 병해. 충관리기술, 병해관리기술, 기타기술 등 다섯 가지로 분류하여 설명함.. ○ 이 연구에서는 농촌진흥청(2010)의 기술 분류를 기본으로 하고 관련분야 연. ·. 구를 종합하여 토양 양분관리기술, 잡초관리기술, 병충해관리기술, 기타기술 등 네 가지로 유형화함<표 2-2>1.. - 토양·양분관리기술은 녹비작물 재배, 퇴· 액비, 유기질비료, 미생물 활용, 무경운(또는 부분경운) 등을 포함함. - 잡초관리기술로는 기계적 제초, 유기물 이용 피복, 화학제품 이용 피복, 동물자원 이용 등이 있음. - 병충해관리기술로는 유인 트랩, 천적활용, 생물농약, 유황 및 난황유 등 동식물 추출물 이용하는 기술 등이 있음. - 기타기술에는 유기종자·종묘 기술, 유기농산물 판별기술, 유기농산물 가 공기술 등이 포함됨.. 1. 각 분류별 기술에 대한 내용은 분야별 하기로 한다.. p.32 '3.2.. 유기농업 기술개발 현황'에서 설명.

(33) 19. 표 2-2. 유기농업 기술 종류 구 분. 세부기술 녹비작물 재배. 토양. ·. 양분 관리 기술. 퇴비, 액비 (경축자원순환) 유기질비료 미생물 활용 무경운, 부분경운 기계적 제초. 잡초 관리 기술. 유기물이용 피복 화학제품이용 피복 동물자원이용 유인 트랩. 천적 활용 병충해 관리 생물농약 기술 유황, 난황유, 동식물 추출물 천연물질 활용. ·. 유기종자 육묘 기타 기술. 유기농산물 판별 유기농산물 가공. 주요 내용 및 효과. ∙녹비작물을 통한 양분공급 ∙토양미생물 활동을 촉진하여 작물에 균형있는 양분공급 ∙토양의 물리성, 화학성, 미생물성을 개선 ∙토양에서 분해되어 양분을 생성 ∙유박, 피마자박, 팜박 등 ∙작물에 균형있는 양분공급 ∙피복작물의 토양환원으로 양질의 유기물 공급 ∙작업노력과 연료비 절약 ∙농업 여건과 환경에 맞는 제초기 사용 ∙피복작물, 볏집, 수피(樹皮)피복 등 이용 ∙비닐, 부직포, 차광막, 종이, 자연분해비닐 등 이용 ∙왕우렁이, 오리, 거위 등 유용동물을 이용하여 잡초 제거 ∙유아등, 유인액, 끈끈이 등을 이용하여 해충을 유인 퇴치 ∙천적유지식물, 진디흑파리, 무당벌레, 담배장님노린재 등 ∙효과가 늦으나, 천적 정착 후 밀도가 증가하면 효과가 큼 ∙유용미생물, 곤충에 병을 일으키는 세균을 이용한 병 방제 ∙동식물농가 자가제조 병해 방제제 활용 ∙식초나 바닷물의 희석하여 작물에 뿌려 병해 방제 ∙유기종자의 채종·생산, 육묘·재배기술 ∙유기농산물 신뢰성 제고를 위한 진위판별 기술 ∙유기농산물의 부가가치 제로를 위한 가공기술. 주: 농촌진흥청(2010)의 기술 분류를 기본으로 재분류함..

(34) 20. 3.. 유기농업 기술개발의 현황. 3.1. 유기농업 기술개발 실태. ○ 국내 친환경 및 유기재배 관련 연구 및 기술개발은 1997년 친환경농업육성 제정 이후,. 2000년을 기점으로 점차 확대되기 시작하여 2005년 이후에는 본 격적으로 활성화되어, 2011년에는 150편 이상의 학술논문 및 기술 자료가 발간되었음<그림 2-2>. - 친환경 및 유기재배 관련 연구 중 토양관리에 대한 연구는 약 51% 수준 으로 토양에 대한 연구가 집중적으로 추진되었으며, 병해충에 대한 연구 와 친환경농업 관련 실태조사 등이 각각 약 10% 수준으로 진행되었음. - 반면 토양관리와 더불어 경영, 유통, 잡초방제, 품종 및 축산 등 친환경농 업에 기본적인 분야들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으로 진행되고 있음. - 유기재배에 관련한 국내 생물다양성에 대한 연구는 최근에 들어 추진되 고 있는 상태임.. 그림 2-2. 유기농업 기술개발 관련 연구 현황(1997~2010). 자료: 학술 데이터베이스. KISS. 및. DBPIA. 친환경 및 유기재배 관련 문헌 검색.

참조

관련 문서

• 개질공정(Reforming) : 방향성

DATA 저장/편집 및 결과 Display 안전환경 관련 사규 검색 [분야별] 검색/이용. DATA 저장/편집 및 결과 Display 경미재해 통계 및

○ 본 연구에서 활용된 앱기반 피드백(에너지 절전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에 너지 다이어트 ’) 디자인적 특성이 에너지 절전 지식획득 및 쾌락적 가치인 지에 미치는

해양기상 장비도입 및 서비스 운영 가 어민 대상 해양안전 서비스 자료 제작.. 해양기상 신기술 워크숍 개최 가 제안요청서 심의

The antagonist SH-1 was somewhat effective to control common scab in the potato field with low occurrence of the disease... acidiscabies로

노인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스트레스 요인 간의 상호작용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및 노인요양보호사의 자기효능감이

모를 통해서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모종을 철저하게 방제함은 물론 방충망을 설치하여 해충 유입을 방지하고 , 적용 약제를 이용하여 발생

이러 한 지식을 활용하여 화재 예방 및 화재 발생 대처할 수 있는 표현 활동을 경험하고, 실제 간이 소화기를 만들어봄으로써 공학 및 기술 활동을 경험할 수 있도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