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기타 분야 유기농업 기술개발 성과 현황

세부기술 관련 연구

부록 2

「유기농업 기술 가치평가 및 신기술 수요 농업인 조사표」

안녕하십니까?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정부 출연 연구기관으로 농업분야의 연구사업을 수행하고 있 으며, 우리 자원환경연구부에서는 농촌진흥청의 의뢰로 유기농업 기술 가치평가 및 신기술 수요예측 연구 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본 설문조사는 유기농업기술의 가치에 에 대하여 농업인들의 반응을 알아보고 앞으로 귀하가 필요로 하는 유기농업 기술로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파악하고자 실시하는 것입니다. 답변해 주시는 내용은 연구자 료 이외에 다른 용도로는 절대 사용되지 않을 것이며, 개인에 관한 사항은 일체 공개 되지 않음을 약속드립니다.

바쁘시더라도 설문조사에 많은 협조를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조사기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자원환경연구부 주소: (우)130-710, 서울시 동대문구 회기로 117-3

조사관련 문의: 김창길 선임연구위원(연구책임) 02-3299-4265, changgil@krei.re.kr 정학균 부연구위원 02-3299-4248, hak8247@krei.re.kr 문동현 초청연구원 02-3299-4340, dhmoon0326@krei.re.kr

※ 응답자 정보

성 명 성 별 ① 남 ② 여

나 이 세 전화번호

거주지역 ① 경기 ② 강원 ③ 충북 ④ 충남

⑤ 전북 ⑥ 전남 ⑦ 경북 ⑧ 경남

지역형태 ① 평야지대 ② 산간지대 ③ 준산간지대 ④ 도시근교 학 력 ① 초졸이하 ② 중졸 ③ 고졸 ④ 대졸 ⑤ 대학원 졸

총농사경력 ① 5년미만 ② 5∼15년 ③ 15∼25년 ④ 25∼35년 ⑤ 35년 이상 친환경농업 유형 ① 저농약 ② 무농약 ③ 유기농업

친환경농사경력 ① 5년미만 ② 5∼15년 ③ 15∼25년 ④ 25∼35년 ⑤ 35년 이상 총재배면적

(친환경포함)

① 0.5ha미만 ② 0.5∼1ha ③ 1∼1.5ha ④ 1.5∼2ha

⑤ 2∼2.5ha ⑥ 2.5ha 이상 ( )ha

친환경재배면적 ① 0.5ha미만 ② 0.5∼1ha ③ 1∼1.5ha ④ 1.5∼2ha

⑤ 2∼2.5ha ⑥ 2.5ha 이상 ( )ha

읽어보기

유기농업의 목적은 생태적, 사회적,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농업을 만드는데 있습 니다. 작물생육에 필요한 양분은 외부유입에 의존하기보다 지역 내 자원순환 및 윤작, 녹비, 미생물 등 지속적인 생물적 공급체계에 주로 의존합니다. 유기농업은 단순히 화 학비료나 농약과 같은 인공합성물질을 대체하는 차원이 아닌 그 이상의 의미가 있습 니다.

※ 유기농업 기술은 양분관리기술, 잡초관리기술, 해충관리기술, 병해관리기술 등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습니다. 다음 표는 대표적인 유기농업 기술을 분류 하여 나타낸 것입니다. 참고하시어 이어지는 질문에 답하여 주십시오.

표. 주요 유기농업 기술 종류

※ 다음은 유기농업 기술개발에 대한 질문입니다. 다소 복잡하고 현실적이지 않은 기술조합이 구성된 경우도 있어 답변에 좀 어려움이 있습니다. 평소 중요하다고 생각하시는 기술에 높은 비중을 두고 응답해주시면 됩니다.

(1) ‘토양양분관리기술’, ‘잡초관리기술’, ‘병해충관리기술’, ‘적정투자금액’의 조합으 로 구성된 각각의 선택지를 비교해보십시오.

(2) 정부에서 아래 5가지 조합(종류)의 유기농업 기술 개발을 한다면, 귀하께서는 어떤 것을 선택하시겠습니까? <적정투자금액>의 예산을 고려하여, 6가지 선택대안 중 하나를 골라 주십시오.

응 답 예 시

순위 ( 5 )위 ( 3 )위 ( 2 )위 ( 1 )위 ( 4 )위 ( 6 )위

※ 다음은 실제 질문입니다. 위의 “응답예시”를 참고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실제 응답에 응하여 주시길 바랍니다.

- 총 5개의 세트(SET)로 구성되어 있으며, 1개 세트에는 6개의 선택대안이 있습니다.

선택지 별로 제시된 적정투자금액과 적용기술을 고려하여 하나를 선택하여 주십시오.

( )위 ( )위 ( )위 ( )위 ( )위 ( )위

( )위 ( )위 ( )위 ( )위 ( )위 ( )위

선택지 별로 제시된 적정투자금액과 적용기술을 고려하여 하나를 선택하여 주십시오.

( )위 ( )위 ( )위 ( )위 ( )위 ( )위

( )위 ( )위 ( )위 ( )위 ( )위 ( )위

선택지 별로 제시된 적정투자금액과 적용기술을 고려하여 하나를 선택하여 주십시오.

( )위 ( )위 ( )위 ( )위 ( )위 ( )위

( )위 ( )위 ( )위 ( )위 ( )위 ( )위

선택지 별로 제시된 적정투자금액과 적용기술을 고려하여 하나를 선택하여 주십시오.

( )위 ( )위 ( )위 ( )위 ( )위 ( )위

( )위 ( )위 ( )위 ( )위 ( )위 ( )위

선택지 별로 제시된 적정투자금액과 적용기술을 고려하여 하나를 선택하여 주십시오.

( )위 ( )위 ( )위 ( )위 ( )위 ( )위

( )위 ( )위 ( )위 ( )위 ( )위 ( )위

※ 다음 질문을 읽고 해당 번호에 체크표시(√)하여 주십시오.

3. 다음의 잡초관리기술 중에서 현재 적용하고 있는 기술은? (복수응답 가능)

4. 다음의 해충관리기술 중에서 현재 적용하고 있는 기술은? (복수응답 가능)

5. 다음의 병해관리기술 중에서 현재 적용하고 있는 기술은? (복수응답 가능)

6. 유기농업 기술 관련하여 위의 질문 이외에 현장에서 말씀하시고 싶은 의견이 있으면, 간략히 기술해 주십시오.

부록 3

「유기농업 기술개발의 우선수위 관련 전문가 조사표」

우리 연구원에서는 2012 농촌진흥청 어젠다과제로 “유기농업 기술 가치평가 및 신기술 수요 예측”에 관한 연구과제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유기농업 전문가(또는 정책담당자)들을 대상으로 유기농업 기술개발 우선순위 결정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자 합니다. 본 설문조사결과는 유기농업 기술개발 관련 기초자료로 활용되는 중요한 조사 이므로 적극 협조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조사표에 관한 문의사항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자원환경연구부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조사기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자원환경연구부 주소: (우)130-710, 서울시 동대문구 회기로 117-3

조사관련 문의: 김창길 부장 02-3299-4265, changgil@krei.re.kr 문동현 연구원 02-3299-4340, dhmoon0326@krei.re.kr

※ 응답자 정보

성 명 전화번호

이메일주소 소 속 담당업무

※ 본 설문서의 각 문항을 답변하는 요령은 다음과 같습니다.

○ 유기농업 기술을 “토양·양분관리기술”, “잡초관리기술”, “병해충관리기술”, “기타기술”

그림 1. 주요 유기농업 기술 종류 및 주요내용

2. 다음은 “토양·양분관리기술”에 대한 내용입니다. 이와 관련하여 상대적인 중요도를 평가하시고

4. 다음은 “병충해관리기술”에 대한 내용입니다. 이와 관련하여 상대적인 중요도를 평가하시고 해

○ 유기농업 기술 투자를 평가함에 있어서 평가항목으로 “기술성”, “시장성”, “공공성”을

∙시장성장성(market growth)을 고려한 투자수익성(profitability)으로 써, 해당 기술의 잠재적 성장 가능성을 고려하여 해당 기술개발비에

참고문헌

강원희, 홍성유. 2006. “해양심층수 처리가 육묘 시 도장억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기농 업학회지 14(1): 85-95.

고병대 외 3인. 2011. “찰옥수수 유기종자 생산 기술.” 한국유기농업학회 학술발표대회 논 문집: 37-40

곽승준, 유승훈, 장정인. 2006. “컨조인트분석을 이용한 한강하구의 가치추정.” 경제학연 54(4): 141-161.

곽승준. 2005. 환경친화적 기술혁신에 대한 가치평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정책자료.

권성애 외 9인. 2009. “당근 유기종자 채종기술 확립.” 한국유기농업학회 학술발표대회 논 문집: 297

권영립. 2009. “유기농업 시범마을에서 유기농자재의 활용 효과.” 한국유기농업학회 학술 대회 논문집: 313

김도익 외 6인. 2006. “친환경 딸기 재배 농가에서 칠레이리응애를 이용한 점박이응애 생물 적 방제.” 한국유기농업학회지 14(3): 315-323.

김도익 외 6인. 2010a. “제충국, 멀구슬 추출물의 천적에 대한 독성 및 배추좀나방 방제 효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18(4): 559-571.

김도익 외 6인. 2010b. “제충국 계통의 특성과 추출방볍에 따른 벼멸구, 점박이응애, 목화진 딧물의 살충활성 검정.” 한국유기농업학회지 18(4).: 573-586

김명기. 고종태. 이종인. 2004. “고랭지 채소농가의 경영실태 분석-강원도 정선군 남면 무릉 리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식품유통연구 . 21(2): 1-21.

김미희 외 4인. 2007. “식량작물재배에 관한 전통농업기술의 개발가치 평가.” 농업사연구 6(1): 1-47.

김미희, 안옥선, 이상영. 2008. “원예작물재배에 관한 전통농업기술의 개발가치 평가.” 농 업사연구 7(2): 193-228.

김병무, 송경환. 2004. “친환경농산물의 생산실태 및 소비확대에 관한 연구.” 한국유기농 업학회지 12(3): 265-278.

김상오 외 3인. 2007. “중요도-성취도분석을 이용한 소비자의 친환경농산물 구매결정요소 평가.” 한국유기농업학회지 15(4): 339-353.

김석은 외 3인. 2002. “한우브랜드 농가의 경영효율성 분석.” 농업경영·정책연구 29(3호):

403-416.

김성수, 이민수, 최영찬. 2003. “농업부문 연구투자의 효율성 분석.” 한국농촌지도학회지 .

류종원. 2009. “가축분뇨 발효액비 시용시기와 시용량이 벼의 수량과 미질에 미치는 영향.”

녹비작물 재배에 의한 식물양분 환원효과.” 한국유기농업학회지 20(1): 37-48.

Adamowicz., J. Louviere, and M. Williams. 1994. “Combining Revealed and Stated Preference Methods for Valuing Environmental Amenities.” Journal of

Environmental Economics and Management 26: 271-292.

Bateman, D and N. Lampkin. 1986. “Economic Implication of a Shift to Organic Agriculture in Britain.” Agricultural Administration 22: 89-104.

Catherine Greene et al. 2009. “Emerging Issues in the U.S. Organic Industry.” USDA Economic Information Bulletin 55.

IFOAM. 2011. The World of Organic Agriculture: Statistics and Emerging Trends. FIBA Lasalle T. J and P. Hepperly. 2008. Regenerative Organic Farming: A Solution to Global

Warming. Research Paper. Rodale Institute.

Mackenzie, J. 1993. “A Comparison of Contingent Preference Models.”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75: 593-603.

Muller A. 2009. “Benefits of Organic Agriculture as a Climate Change Adaptation and Mitigation Strategy for Developing Countries.” Discussion Paper Series.

Environment for Development.

National Sustainable Agriculture Coalition. 2009. Agriculture and Climate Change: Impacts and Opportunities at the Farm Level. A policy position paper.

Sandhu, H. S., S. D. Wratten., R. Cullen, and B. Case. 2007. “The future of farming: The value of ecosystem services in conventional and organic arable land. An ex-perimental approach.” Ecological Economics 64: 835-848.

Steever, W. H. Callaghan-Perry, M., Searles, A., Stevens, T. and Svobada, P. 1998. “Public Attitutes and Values for Wetland Conservation in New South Wales, Australia.”

Journal of Environmental and Economics Management 54: 1-14.

Stern, S. 1997. “Simulation-Based Estimation”, Journal of Economic Literature 35:

2006-2039.

등 록 제6-0007호(1979. 5. 25) 인 쇄 2012. 12.

발 행 2012. 12.

발행인 이동필

발행처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30-710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회기동 4-102 02-3299-4000 http://www.krei.re.kr 인 쇄 문원사

02-739-3911~5 E-mail: munwonsa@chol.com

• 이 책에 실린 내용은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공식 견해와 반드시 일치하 는 것은 아닙니다.

• 이 책에 실린 내용은 출처를 명시하면 자유롭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무단 전재하거나 복사하면 법에 저촉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