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사회적자본이 창직동기 및 창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사회적자본이 창직동기 및 창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Copied!
1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018년 12월

사회적자본이 창직동기 및 창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임한규(웰스터디 대표이사)*, 이우진(국민대학교 경영학부)**

< 목 차 >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연구가설 2-1.. 창직

2-2. 창직동기 및 창직의도 2-3. 사회적 자본

III. 연구방법 3-1. 연구대상 3-2.. 변수의 측정

IV. 분석결과

4-1. 요인분석 및 신뢰성 4-2. 상관관계 분석 4-3. 가설검증 V. 결론 및 토의

5-1. 연구결과의 요약 및 해석 5-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 참고문헌

Abstract

< 요 약 >

현대 사회는 인공지능 로봇 및 IT 기술의 발전과 사회적 여건의 변화로 인해 고등교육을 받은 전문직도 일자리가 사라지는 것에 위협을 받고 있다. 앞으로 우리는 우리가 해오고 있는 일을 로봇 이 대신하고 있는 모습을 지켜보고 있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미래모습에 대비하기 위해 정부에서 는 새로운 직업을 개발하고 이런 활동을 독려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개발하고 있다. 민간에서도 자신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새로운 직업을 스스로 만드는 창직 활동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창직 활동들은 기존 직업이 아닌 새로운 형태의 직업을 만들어내기 때문에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 선행연구와 정부기관의 자료를 토대로 사회적 자본의 개념과 구성요소 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시도하고 사회적 자본이 창직동기 및 창직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연구모형을 설계하고 그에 따른 가설을 전제로 실증분석을 위한 자

• 투고일 : 2018.6.10. • 수정일 : 2018.7.15. •게재확정일 : 2018.11.24

* 웰스터디 대표이사

(2)

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한 조사는 2016년 4월1일부터 5월30일까지 실시하였으며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 증한 후 통계패키지(SPS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사회적자본 중 규범, 신뢰, 네트워크는 창직동기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 면, 참여는 창직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어 참여와 관련된 활동은 예비창직 가 및 일반인에게 창직가들과의 교류나 활동이 창직 동기를 불러일으키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그리 고 창직동기는 창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어 창직동기와 창직의도는 매우 밀접한 관 계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키워드 : 사회적자본, 창직동기, 창직의도, 창직, 일자리

Ⅰ. 서 론

정부나 기업에서 제공하는 일자리가 점차적으로 줄어들고 있는 불안한 사회 상황을 타 개하기 위해 창업이나 창직에 대한 관심은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2016년 한국고용정보 원은 도심RPG개발자, 3D프린팅숍매니저, 온라인스타일리스트, 스마트팜구축자 등 국내외 직업 중에서 창직 아이디어 발현을 지원할 목적으로 창직 가능한 직업 45개를 발굴하였다.

이처럼, 미래모습에 대비하기 위해 정부에서는 새로운 직업을 개발하고 이런 활동을 독려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개발하고 있다. 민간에서도 자신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바 탕으로 새로운 직업을 스스로 만드는 창직 활동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창직 활동 들은 기존 직업이 아닌 새로운 형태의 직업을 만들어내기 때문에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고 있다.

새로운 직업을 만들어내는 창직 활동은 단순히 창직한 당사자만의 고용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새로운 직업을 만들게 되면 그 직업을 하고자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더 많은 일자리를 만들어내고 이는 곧 더 큰 대규모 고용으로 이어지게 된다. 실업률의 증가와 같 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직은 꼭 필요한 것이며, 일자리 창출이라는 중요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으로 국가 경제발전의 새로운 정책이 될 수 있다. 하지만 현재 상황으로는 대규모 일자리를 창출한 창직의 성공 사례는 많지 않다. 또한, 창직을 장려하 거나 창직한 당사자를 보호하는 등 정부의 정책도 다양하지 않고, 그 정책성과도 눈에 띄

(3)

게 드러나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의 상황이다. 따라서 창직을 장려하고 창직 사업이 성공 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정부 차원에서 다양한 제도를 만들어 구축할 의무가 있다.

선행 연구에 의하면 사회적 자본이 창업의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발표되고 있 다고 알려지고 있다. 사회적 자본은 창업 단계에서 창업자가 가진 네트워크를 통해 습득 한 정보를 활용해 환경을 해석함으로써 기회포착에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 자본의 한 분야 인 신뢰가 바탕이 되었을 때 자원몰입이 높아진다. 또한, 네트워크 사회적 관계의 상호작 용을 통해서 나오게 된 자원에 접근하거나 자원을 더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창직에 관심이 대두되고 있는 사회 현실에 발맞추어 사회적 자본과 창업의도에 관한 연구는 이루어지고 있으나 창직의 개념이 등장한지 여러 해가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사회적 자본이 창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논의되고 있지 않고 있다. 따라서 창직의 중요성이 점차 늘어나고 있으며, 그에 따른 제도적 여건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에 바람직한 제도적 여건을 구축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창직동기와 창직의도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사회적 자본이 창직동기 및 창직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 이 론적·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존 선행연구와 정부기관의 자료를 토대로 사회적 자본의 개념과 구성요소에 관하여 이론적 고찰을 시도하고, 이러한 항목들 이 창직의도 및 창직동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도출하고자 한다. 또한 사회적 자본 이 창직의도 및 창직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연구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 하여 실증분석을 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자본의 개념을 재정리하여 사회적 자본의 항목에 관한 이론적 논의를 진행하고자 한다. 기존 사회적 자본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들은 사회적 자본을 크게 3가지로 구조적, 관계적, 인지적 차원으로 나누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자본을 크게 신뢰, 네트워크, 규범, 참여의 네 가지 차원으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한다.

둘째, 사회적 자본의 항목들이 창직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설문조사를 바탕 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설문조사는 예비창직가와 현재 창직하여 사업을 경영 하고 있는 창직가들을 대상으로 실시하고자 한다.

셋째, 창직동기가 창직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바탕으 로 실증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창직동기 및 창직의도에 관한 선행연구는 현재 전무한 실정이다. 하지만 개념이 유사한 창업동기 및 창업의도의 경우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데 창업동기의 요인으로는 정책적 지원사항, 창업의도, 기업가 정신 등이 제기되고 있다. 이 를 참고하여 창직동기가 창직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설문조사 자료를 토대로 실

(4)

증분석을 실시하고 하고자 한다.

Ⅱ. 이론적 배경 및 연구가설

2.1 창직(創職, Job Creation)

창직(創職)이라는 용어는 2009년 7월 26일 매경Economy의 <‘1인 창직(創職) 시대 두드 리면 열린다: 1인 창직시대 살아가는 법: 마음을 열면 기회가 널려 있다’>에서 처음 신문 지면에서 소개 되었다.(김중진 외, 2012). ‘1인 창조기업’의 ‘창조‘가 구직이나 창업의 의미 뿐만 아니라 새로운 직업 발굴을 통해 새로운 직업을 창조하고 새로운 고용을 창출해내자 는 일자리 창출의 의미도 포함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장우 외(2010)는 창직의 개념을 크게 개념적 정의와 정책적 정의로 분류하였다. 개념 적 정의로 자신이 지닌 재능과 아이디어를 활용하여 적극적으로 현실화하여 경제, 예술, 사회적 가치를 창출해 창조적인 일감과 일자리를 만들어 나가고 자기주도적으로 직업과 일자리를 개척하는 활동이며, 정책적 정의로 창직은 자신의 능력과 적성을 중심으로 새로 운 경제패러다임(창조경제)과 사회적 네트워크를 적극 활용해 스스로의 일자리를 만들고 자기 자신을 고용하는 창조적 활동으로 정의하고 있다. 덧붙여 창직은 평생 직장이 아닌 평생 직업을 찾는 활동이라는 점에 중점을 두고 창직을 스스로의 직무개발, 직업개발 활 동 및 자기 고용 과정으로 설명하고 있다.

김진수(2011)는 창직은 자신의 아이디어를 개발하여 기존 직업업 다른 새로운 부가가 치를 창출함으로써 새로운 직업을 만들어내고 일자리를 개발하는 것이라고 정의하였다.

한국고용정보원(2011)은 창조적 활동을 중심으로 개인의 지식, 기술, 능력을 계속적으 로 수익을 얻고, 자신이 분야에서 계속할 수 있는 새로운 직업을 개발해 내고 이를 통해 스스로 할 수 있는 일을 개발하여 노동시장에 들어오는 것으로 개념을 정립하고 있다.

이를 토대로 창직의 개념을 정리해보면 창직이란 기술과 사회의 변화에 따라 기존 직 업과 다른 새로운 형태의 직업을 만들어 활동하는 진로의 한 형태로 창조적인 아이디어와 경험을 통해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2.2 창직동기 및 창직의도

(5)

창업동기는 창업의 성공여부뿐만 아니라 창업기업이 성공하는데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창업동기는 새로운 사업 조직을 만들고자 하는 욕구를 의미한다. 창업 동기는 새로운 사업기회를 포착하는 것뿐만 아니라 새로운 사업을 시작하 고자 하는 의지가 나타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창업 동기는 창업하는데 있어 창업가적인 행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창업 동기는 창업가의 개인적 성 향과 환경에 의해서 유발된다. 또한, 창업가의 능력이나 창업의 목표, 사업 아이디어와도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유봉호, 2015).

창업 동기는 창업의 성공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고, 창업 이후에도 창업 기업의 특성 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이기에 더욱 부각되고 있다.

‘100인의 서울창업포럼 정책자료집(2015)’에 수록된 ‘창직을 장려하기 위한 서울시 정책 제안(임한규)’에서 스토리코치, 정리컨설턴트, 메이커스 컬티베이터, 지식경영바리스타, 기록관리디자이너, 전략명함 코디네이터, 앱티스트, 스마트프로듀서, 아이성향그림분석전 문가, 공부환경조성전문가 등 10명의 창직가를 대상으로 진행된 인터뷰 사례를 살펴보면, 창직준비단계에서 창직동기는 일상생활에서 영감을 얻거나, 사회변화에 주목하고, 현재 사업의 차별화를 주기 위해서 새로운 직업을 만들게 되었다고 하였다.

이를 토대로 창직동기를 살펴보면, 새로운 직업을 만들어 기존 노동시장이 아닌 새로 운 노동시장에 진입하여 새로운 사업기회를 포착하고 이를 통하여 새로운 가치를 실현하 고자 하는 촉진제의 역할을 한다. 창직활동을 통해 구현되는 운영형태를 보면 창업, 프리 랜서, 취업 등의 형태로 나타나고 있어 창직동기는 창직가의 개인적인 성향과 환경에 의 해서 달라질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창업은 하나의 조직을 만들어가는 과정으로서 계획적이고 의도된 행동을 통해 이루어 지며, 시간의 흐름에 따라 조직이 만들어져 가는 일련의 과정으로 볼 수 있다(윤남수, 2012). 창업의도는 창업이 진행되는 과정을 이해하는데 핵심적인 개념으로서, 창업에 대한 행위 의도적 태도를 의미하며, 창업이라는 긴 과정의 첫 단계이다(장해윤, 2009). 의지는 행동을 결정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변수이다(Fishbein and Ajzen. 1975 : 윤남수, 2012).

따라서, 창업의도는 태도와 경험을 창업이라는 행동으로 매개하는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윤방섭, 2004 : 윤남수 2012)

창업의도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Krueger and Carsrud(1993)은 창업의도를 창업 에 대한 행위의도적 태도를 의미하여 창업의 시작이라고 하였고, 이지우(2000)는 창업하는 데 있어 창업의도는 창업과 관련된 행동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갖는 변수라 하였다. 박시 사·강성일(2007)은 기업의 설립은 창업의도가 꼭 있어야 하며 창업의도가 없으면 창업행 위로 이어지지 않기 때문에 창업의도는 기업을 설립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첫 번째 단

(6)

계로 보고 있다.

결론적으로 창업의도는 위험과 불확실성 상황에서 새로운 부를 창출하는 능력을 갖춘 개인 또는 집단이 성장과 이윤을 추구하는 혁신적, 경제적 조직체를 설립하는 창업 행동 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변수로서 새로운 기업의 설립을 목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창 업행동을 이해하는 데 있어 가장 핵심적인 개념이 된다고 하였다(임송희, 2016).

창업의도 및 창업의도는 주변환경이 창업에 얼마나 우호적인지 또는 위협적인지에 관 한 평가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그리고 이들 평가는 자신이 그런 기회를 활용하고 위협 요인을 극복할 수 있는지에 관한 주관적 판단에 의해 결정된다(백효정, 2011). 자기유능성 과 네트워크 환경은 창업의도에 큰 영향을 주며 창업의도와 관련하여 개인의 경력 지향성 이 중요한데 그 중에서 사업지향성이 창업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윤방섭, 2004). 반면 창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정부가 시행하는 다양한 정책적·제도적 지 원은 창업의도를 지닌 사람들로 하여금 실제 창업을 실천하도록 하는 측면에서는 도움을 주겠지만 창업과정 중 우선적 단계라 할 수 있는 창업의도를 형성하는데 있어서는 한계가 있다는 연구결과도 제기되고 있다(윤방섭, 2004 : 백효정, 2011). 또한, 창업동기와 창업의 도 간의 연구를 살펴볼 때 창업동기에서 사업가로서의 욕구가 높거나 취업의 대안이 높을 수록 창업의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김성순, 2010 : 백효정, 2011)

창업의도는 창업가적 행동을 하고자 하는 마음의 상태로서, 창업과정의 첫 단계라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창업의도는 대상이 스스로 미래에 창업할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 또 는 창업을 위한 관심과 노력을 어느정도 기울이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도라고 할 수 있 다.(Ajzen, 1991 : Crant, 1996 : 유봉호, 2015). Krueger, et al.(2000)은 창업에 대한 높은 관심과 이를 수행하고자 하는 노력이 바로 창업의도라며, 신뢰할만한 창업 예측변수라고 주장하였다(유봉호, 2015). 유봉호(2015)는 근본적으로 의도는 행동을 결정하는 중요한 변 수이기 때문에 창업의도 또한 창업을 위한 행동을 유발시키는 촉진제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창업을 하고자 결정하고 행동을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창업의도가 선행 되어야만 한다고 하였다.

이를 토대로 창직의도를 살펴보면, 창직의도는 창직활동을 하고자 하는 마음의 상태를 말하며 창직활동을 하기 위한 가장 첫 번째 단계라고 할 수 있다. 새로운 직업을 만들어 간다는 목적을 두고자 하는 의도로서 창직활동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변수로 볼 수 있다.

창직의도는 기존 직업의 한계를 극복하고 기존 직업과 차별화된 가치를 가지는 새로운 형 태의 직업을 창조하고자 하는 마음으로 시장의 위험과 불확실한 상황에서 주도적으로 행 동하고자 하는 핵심적인 개념이다.

(7)

2.3 사회적 자본

인지적 차원(cognitive dimension)의 사회적 자본은 자원에 대한 표현(representation), 해 석(interpretation), 그리고 각 부분의 의미 시스템들 간의 공유를 뜻한다(Cicoure, 1973 : 이성조, 2014). Hedberg(1981)는 조직은 사람들마다 다 다른 두뇌를 가지고 있지만, 대신 인지적 체계를 가지고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즉, 조직의 인지적 체계란 특정한 조직구성 원의 유입 또는 유출과 관계없이 조직행동의 일관성을 유지 시켜 주는 것을 말한다. 그리 고 조직의 규범, 가치, 문화 등을 보조․발전시켜주는 기본 메커니즘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김대석, 2013). Nahapiet & Ghoshal(1998)은 정보가 개인의 인지능력에 의해 지식으로 바 뀌어지며, 자본은 사회적 상황 속에서 내재된다는 점에서 볼 때 인지적 측면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한다(이성조, 2014).

인지적 차원이 사회적 자본으로 고려할 수 있는 이유는 조직 구성원들이 상황과 의미 를 같이 함으로써 그 조직이 필요로 하는 중심가치가 무엇인지를 생각하고, 공동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역할을 하게 된다(한진우 외, 2009).

사회적 자본이 연결망을 포함한 사회조직의 형태와 연관된 것이며, 객관적이고 외적으 로 관찰 가능한 것을 의미한다(이성조, 2014). 그것에 대해 설명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네트워크의 차원이다. 네트워크는 행위자들이 구체적인 관계를 보여준다는 점에 서 신뢰구조가 이루어지는 미시적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다(이성조, 2014).

신뢰구조가 사회적 자본 형성에 참여하는 방식도 신뢰의 사회적 네트워크를 통하는 것 이며 사람들이 반복적인 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사회적 자본이 주는 혜택이나 성과, 또한, 이익창출은 네트워크로부터 시작되며, 그 속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는 다음의 특징을 갖는다.(이성조, 2014).

네트워크가 다양한 관계자 집단이 독립성을 지켜 나가면서 상호간의 신뢰를 바탕으로 공동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네트워크는 상호의존성이 매우 강 조되고 있으며, 행위자간 관계의 맥락이 중요시 하고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공동의 목표 를 달성하기 위하여 긴밀한 상호의존 관계를 지니고 있으나 개별적인 조직은 자신의 특별 한 목표와 관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수평적 관계를 이루게 된다.(이성조, 2014).

둘째, 사회구조의 차원으로 사회구조는 네트워크와 함께 사회협력과 관련있는 사회구 조적인 특성을 나타내는 요소를 말한다(이성조, 2014). 또한, 사회구조는 문화적 요인과 사 회갈등으로 구분되는데, 문화적 요인은 사회의 협력에 영향을 주는 사회저변에 있는 문화 적인 배경이며, 수평적 사회관계가 발달한 문화일수록 사회협력 수준이 높은 경향을 나타 내는 것이다.(이동원 외, 2009)

(8)

위의 논의를 바탕으로 가설을 설정하면 다음과 같다.

가설1. 사회적 자본 중 규범은 창직동기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2: 사회적 자본 중 신뢰는 창직동기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3: 사회적 자본 중 네트워크는 창직동기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4: 사회적 자본 중 참여는 창직동기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5: 창직동기는 창직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그림 1> 연구모형

Ⅲ. 연구방법

3.1 연구대상

본 연구는 “사회적 자본이 창직동기 및 창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는 것으 로서 예비 창직가들과 기존 창직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무작위 추출법을 이용하여 연구 대상자를 선정하였다.

설문조사는 창직경험이 있는 사람 또는 창직교육을 받은 사람을 대상으로 면담조사로 이루어졌으며 조사간 응답자들에게 보충 설명해주어 설문에 대한 이해를 도왔기 때문에 비교적 정확한 응답을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설문조사 시 ‘사회적 자본이 창직동기

(9)

및 창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하여 조사의 목적과 방법 등을 상세히 알려준 후 응답 자가 직접 기입하는 자기 기입방법으로 진행하였으며 평균 응답시간은 10-15분이 소요되 었다. 조사기간은 2015년 7월 1일부터 2016년 5월 30일까지 배포된 70부의 설문지 중에서 불성실하게 응답하거나 창직의 개념을 잘 모르고 응답한 설문지 20부를 제외한 50부가 유 효 설문지로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 수집은 설문지를 작성하여 직접 연구자가 조사하는 방법으로 진행 하였다. 즉, 본 연구는 설문지를 통한 양적연구로써 질적연구도 선행연구 등에서는 같이 병행하여 연구 의 자료로 활용하였다. 연구 분석 방법은 가설과 설문지를 통한 질적연구로 진행되었다.

설문지 통계는 SPSS 23 IBM 프로그램으로 가설의 신뢰도와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 의 가설검증을 위한 자료 분석방법으로는 단계적 회귀분석방법을 이용하였다.

3.2 변수의 측정

본 연구에 사용된 변수는 모두 선행연구에서 타당성과 신뢰성이 확인된 도구를 활용하 였다.

<표 1> 조작적정의

본 연구에서 연구모형의 설정과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 하여 조사하였다. 사용한 설문내용은 선행 연구 분석을 통해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설정 하였다. 조사는 사회적 자본이 창직동기 및 창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목 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측정항목의 설정은 조사의 필요에 따라 사

요인 선행연구 정의

사회적자본

이승배(2013), 박지유(2014), 진관훈(2012), 윤두섭 외(2004)

사회적 자본은 개념을 어떤 곳에 사용하느냐에 따라 정의는 달라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회적 자본은 사회 구성원들이 공동 목표를 추구하 는데 있어 함께 힘을 합쳐 이루어가게 하는 자본을 말한다. 사람과 사람 사이의 협력과 더불어 사회적인 활동을 불러일으키는 네트워크, 규범 등을 포함한다.

창직동기(8) 강순빈(2012), 백효정(2011)

창직동기는 창조적인 아이디어를 통해 자신의 개성과 특성을 활용해 기 존에 없는 직업이나 직종을 주도적으로 만들어내거나 재설계하고자 하 는 마음을 가지고도록 하는데 미치게 되는 원인 및 요인을 말한다.

창직의도(7) 이승배(2013), 박지유(2014)

창직의도는 기존 직업의 한계를 극복하고 기존 직업과 차별화된 가치를 가지는 새로운 형태의 직업을 창조하고자 하는 마음으로 시장의 위험과 불확실한 상황에서 주도적으로 행동하고자 하는 핵심적인 개념이다.

(10)

회적자본에 29문항, 창직동기에 8문항, 창직의도에 7문항,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10문항 등 4개 영역 55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각 설문지의 내용은 총 55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평가척도는 러커트(Likert) 5점 척도를 이용하여 ‘전혀 그렇지 않다’, ‘그저 그렇다’, ‘보통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로 구분하였다.

Ⅳ. 분석결과

연구대상의 통계학적 특성으로 성별, 결혼여부, 연령, 창직경험, 창직관련교육여부, 경 력, 동거가족수, 최종학력, 연평균소득, 거주지역을 빈도분석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먼저 성별을 살펴보면, 남성은 15명으로 30.0%, 여성은 35명으로 70.0%으로 나타났다. 결혼여부 를 살펴보면, 기혼은 37명(74.0%), 미혼은 13명(26.0%), 20대는 2명(4.0%), 30대는 20명 (40.0%), 40대는 26명(53.0%), 50대 2명(4.0%)으로 나타났다. 창직 경험을 살펴보면, 있음은 54.0%(27명), 없음 46.0%(23명)으로 나타났다. 창직 교육 경험을 살펴보면, 있음은 80.0%으 로 40명, 없음은 20.0%으로 10명으로 나타났다. 사회생활 경력을 살펴보면, 1년 이상~3년 미만은 12.0%으로 6명, 3년 이상~5년 미만은 16.0%으로 8명, 5년 이상~10년 미만은 24.0%

으로 12명, 10년 이상 48.0%으로 24명으로 나타났다. 동거 가족수를 살펴보면, 0명은 4명 으로 8.0%, 1명은 7명으로 14.0%, 2명은 11명으로 22.0%, 3명은 16명으로 32.0%, 4명은 10 명으로 20.0%, 5명 이상은 2명으로 4.0%으로 나타났다. 최종학력을 살펴보면, 고등학교 졸 업은 5명(10.0%), 전문대학 졸업은 4명(8.0%), 대학교 졸업은 37명(74.0%), 대학원 졸업 이 상 4명(8.0%)으로 나타났다. 월평균을 살펴보면, 100만원 미만은 6.0%(3명), 100만원~300만 원은 44.0%(22명), 300만원~500만원 미만은 30.0%(15명), 500만원~700만원 미만은 16.0%(8 명), 700만원 이상 4.0%(2명)으로 나타났다. 거주지역을 살펴보면, 서울은 56.0%으로 28명, 경기도는 18.0%으로 9명, 인천은 4.0%으로 2명, 부산은 4.0%으로 2명, 대구는 6.0%으로 3 명, 경상권은 4.0%으로 2명, 대전은 6.0%으로 3명, 강원도는 2.0%으로 1명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은 모두 유효하다.

4.1 요인분석과 신뢰성

요인분석으로 통하여 4가지 요인을 묶어줌으로써 변수들의 단순화를 하였다. 직교 회전 방법인 베리맥스 회전을 통하여 요인 회전을 하였으며, KMO와 Bartlett의 구형성 검증도 동시에 하였다. 먼저 KMO를 보면, 일반적으로 0.7이상이면 양호한 것으로 판단된다.

(11)

KMO이 0.799가 나왔으므로 양호하다고 판단이 된다. 다음은 Bartlett으로 요인분석 사 용이 가능한지 판단하는 검정으로 0.05보다 훨씬 작은 값이 나왔으므로 요인분석의 사용 이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요인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요인은 4가지로 규범, 참여, 네트워 크, 그리고, 신뢰으로 상위변수가 나타났다.

동일한 개념에 대해 반복된 측정을 통해 동일한 측정값을 얻을 가능성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신뢰도 검증 혹은 ‘Cronbach 알파검증’이라고 한다. 보통 논문에서는 0.6이상이면 신 뢰도가 있다고 판단을 한다.

먼저 규범을 살펴보면, 신뢰도의 값이 0.888으로 높은 신뢰도를 보이고 있다. 다음은 참 여를 살펴보면, 신뢰도의 값이 0.823으로 높은 신뢰도를 보이고 있다. 다음은 네트워크를 살펴보면, 신뢰도의 값이 0.782으로 보통 신뢰도를 보이고 있다. 마지막으로 신뢰를 살펴 보면, 신뢰도의 값이 0.654으로 낮은 신뢰도를 보이고 있다.

<표 2> 상관관계 결과

** 상관이 .01 수준에서 유의(양쪽), * 상관이 .05 수준에서 유의(양쪽)

4.2 상관관계 분석

참여와 창직동기를 살펴보면, 상관계수가 0.305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 를 보이고 있다. 참여와 창직의도를 살펴보면, 상관계수가 0.385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창직동기와 창직의도를 살펴보면, 상관계수가 0.342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 관계를 보이고 있다.

4.3 가설검증

위의 연구결과를 통해 ‘사회적 자본이 창직동기 및 창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

규범 참여 네트워크 신뢰 창직동기 창직의도

규범 1

참여 .033 1

네트워크 .138 .276 1

신뢰 .035 .254 .034 1

창직동기 .096 .305* -.188 .202 1

창직의도 .222 .385** -.052 .057 .342* 1

(12)

설을 검증해보면 사회적 자본 중 규범, 네트워크, 신뢰는 창직동기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참여만이 창직동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고 창직동기는 창직의도에 긍정(+)의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가설에 대한 검증 결과를 요약할 수 있다.

<표 3>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긍정심리자본의 조절효과

가설 가설내용 검증결과

H1 사회적 자본 중 규범은 창직동기에 긍정(+)의 영향일 미칠 것이다. 기각 H1 사회적 자본 중 신뢰는 창직동기에 긍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기각 H1 사회적 자본 중 네트워크는 창직동기에 긍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기각 H1 사회적 자본 중 참여는 창직동기에 긍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채택

H1 창직동기는 창직의도에 긍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채택

사회적 자본 중 규범, 신뢰, 네트워크, 참여가 창직동기에 영향을 미치고 창직동기가 창 직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에서 참여를 제외한 규범, 신뢰, 네트워크는 통계적으로 유 의하지 않아 기각되었다. 먼저, 규범에서는 사회의 법질서가 공정하게 확립되어 있고 사회 구성원들의 준법정신이 강하다고 생각하면 창직하고자 하는 동기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설정하였지만 기각된 것으로 보아 법질서, 준법정신, 청렴도 등 규범이 창직동기 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된다. 그리고 신뢰에서는 사회적 자본 중 신뢰감이 높 으면 창직동기에 영향을 미친다고 설정하였지만 기각된 것으로 보아 성공한 사업가나 우 리나라의 정부 및 공공기관, 사회기관에 대한 신뢰감이 창직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 지 않는다고 해석된다. 그리고 네트워크에서는 사회적 관계망에 참여하여 활동하는 것이 창직동기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을 설정하였으나 기각되었다. 이는 현재 창직 관련 단체 가 많지 않고 창직 관련 단체에 대한 접근성이 낮아 기각되지 않았나 하는 해석을 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자본 중 참여는 창직 관련 단체에 적극적으로 활동할 시 창직동 기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창직 관련 단체에서 창직에 성공하여 활동하고 있는 창직가들을 직접 만나게 되면 창직 동기가 높아진다고 해석된다. 사회적 자본 중 참 여로 인해 창직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면 창직동기는 창직하고자 하는 창직의도 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도 채택되었다. 즉, 창직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자본 중 참 여를 통해 창직의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도출해볼 수 있다.

(13)

Ⅴ. 결론 및 토의

5.1 연구결과의 요약 및 해석

정부에서 이러한 새로운 직업을 개발하여 알맞은 정책을 개발하는 동시에 민간에서도 외국의 직업 사례를 참조하여 우리나라의 사회변화에 발맞추어 새로운 직업을 창직하는 활동들이 늘어나고 있다.

창직에 관심이 대두되고 있는 사회 현실에 발맞추어 사회적 자본과 창업의도에 관한 연구는 이루어지고 있으나 창직의 개념이 등장한지 여러 해가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사회적 자본이 창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논의되고 있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주제인 사회적 자본이 창직동기 및 창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여러 가지 각도로 분석하여 구체적으로 연구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적 자본의 창직동기 및 창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로 이를 토 대로 정책적·이론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문 헌연구를 토대로 사회적 자본을 기존 선행연구와는 다르게 네 가지 항목으로 구분하였으 며 이 네 가지 구성요소가 창직동기 및 창직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기 위해 설문조사를 토대로 하여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요인분석으로 통하여 4가지 요인을 묶어줌으로써 단순화된 변수를 도출하였다.

직교 회전 방법인 베리맥스 회전을 통하여 요인 회전을 하였으며, KMO와 Bartlett의 구형 성 검증도 동시에 하였다. 먼저 KMO를 보면, 일반적으로 0.7이상이 나오면 양호한 것으로 판단한다. 요인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요인은 2가지로 창직동기, 그리고, 창직의도로 상위 변수가 나타났다. 또한, 참여와 창직동기를 살펴보면, 상관계수가 0.305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참여와 창직의도를 살펴보면, 상관계수가 0.385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창직동기와 창직의도를 살펴보면, 상관 계수가 0.342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창직동기가 창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 다. 이 분석에서도 설명력이 11.7%으로 보통인 편이다. 유의수준은 0.05(95%)을 기준으로 보고 있다. 0.05보다 높으면 유의하지 않는 결과이고 낮으면 유의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SPSS 통계프로그램으로 요인들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사회적 자본 중 규범, 신뢰, 네트 워크는 창직동기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사회적 자본 중 참여만이 창 직동기에 영향을 미치고 창직동기가 창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의

(14)

법질서나 준법정신, 사업가나 정부에 대한 신뢰도가 창직동기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 로 해석되었다. 또한, 네트워크도 창직동기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결과가 나왔는데 이는 현재 창직 관련 단체가 많지 않고 접근성 또한 낮아 네트워크를 가질 만한 기회가 적어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사회적 자본 중 참여만이 창직동기에 긍정적 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는 창직 관련 단쳬에 활동하게 되면 먼저 창직을 하여 활동하고 있는 창직가들을 직접 만나볼 수 있기에 창직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 고 있음을 확인해볼 수 있었다. 참여로 인해 긍정적인 영향을 받은 창직동기는 창직의도 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결과가 나왔다.

이러한 결과로 유추해 볼 때 사회적 자본 중 참여는 창직동기에 영향을 미치고 창직동 기와 창직의도는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판단된다. 사회의 다양한 직업의 생성을 통 해 일자리를 창출하고자 할 때 사회적 자본 중 참여에 보다 많은 기회를 제공하는 정책과 활동을 만들어간다면 창직하고자 하는 사람들의 창직동기를 높여 창직으로 이어지게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창직은 기존 직업이 아닌 새로운 직업이나 직종을 만들어내는 활동으로 우리 사회에 다양한 분야와 더불어 여러 연령층에서 다양한 일자리를 만들어내어 일자리를 만들어내 게 된다. 우리 사회가 창직을 장려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사회 구성원들의 창직 동기를 높 이는데 필요한 사회 환경을 만들어줄 필요가 있다.

본 연구가 우리 사회가 창직을 장려하기 위해 사회 환경을 만드는 정책이나 기회를 만 들어 줄 때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5.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

사회적자본이 창직동기 및 창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은 아래와 같다.

첫째, 기존의 창업학 분야의 선행연구를 통해 사회적 자본이 창직동기 및 창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구성 요인 4가지를 선정하였으나 창직동기 및 창직의도에 대한 선행연구의 부족으로 해당 구성 요인으로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사회적 자본이 창직동 기 및 창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한 일반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사회적 자본만으로 창직동기 및 창직의도를 설명하기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사 회적 자본 이외에도 개인특성 요인과 환경 요인, 교육 여부 등 다양한 변수를 고려한 창직 동기 및 창직의도 결정요인에 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15)

셋째, 창직동기 및 창직의도에 관한 설문조사를 진행하기에 창직에 대한 개념을 명확 히 알거나 실제 창직활동을 하고 있는 대상자를 충분히 찾기 어려워 일반화에 어려움이 있다. 향후 창직에 대한 관심 확대와 개념의 전파 등으로 창직이 일반화된 이후 충분한 설문대상자를 확보가 필요하다.

(16)

참 고 문 헌

강민석(2012), 창업교육 서비스 품질이 교육만족과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강순빈(2012), 창업자의 창업동기 및 창업가정ㅅ힌 그리고 창업사전준비가 기업성과에 미 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소기업 창업자를 중심으로, 중앙대 산업창업경영대학원, 국 내석사.

김대석(2013), 지역사회 사회적 자본이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성순(2010), 한국과 중국의 잠재적 창업가의 창업의지에 관한 비교연구

김중진·김한준·최영순(2015), 우리들의 직업 만들기 2016 중장년층을 위한 창직가이드, 한국고용정보원.

김중진(2012). 창직, 신직업 발굴 및 가이드라인 개발. 한국고용정보원

김중진·박봉수(2012), 새로운 직업을 만들자, 취업난이 풀린다, 한국고용정보원

김진수(2011). 청년창직을 통한 지속가능ㅎ안 일자리 창출 방안 연구, (사)한국창업경영연 구원.

박시사·강성일(2007), “개인특성과 창업의지의 관계에 관한 연구,” 관광학연구, 제31권, 제2호, pp. 187-204.

박순미(2000), “조직의 사회적 자본이 새로운 지적창출에 미치는 영향”, 「인적자원개발연 구」, 제2권 제1호, pp. 171-203.

박지유(2013), 창업가 특성과 사회적자본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백효정(2011), 여성창업 및 고용촉진제도가 창업동기 및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기혼여성의 창업시장 확대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산업창업경영대학원.

서희정(2010), 사회적 자본형성 관점에 따른 중학교 사회과 교과서 내용 분석

이동원·정갑영·박준·채승병·한준. 2009 「제3의 자본: 사회적 자본은 어떻게 증진되 는가?」 삼성경제연구소.

이승배·유왕진, 중소기업 창업자의 사회적 자본이 창업의도와 기회발견에 미치는 영향 에 관한 연구.

이장우 외 (2010). 청년창직·창업인턴 성과평가 및 활성화 방안 연구, (재)창조경제연구 원.

이지우(2000), “개인특성과 창업의지 사이의 관계,” 중소기업연구, 제40권, 제1호, pp.

121-146.

이성조(2014), 사회적 자본 정책의 우선순위 결정에 관한 연구 : 대전광역시 정책을 중심으 로, 배재대학교 행정학과 정책학.

(17)

이병권:전인오(2014), 창업동기요인이 예비창업자와 기창업자의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기업가정신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엄태성(2009), Holland의 직업성격유형과 직업가치가 외식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임송희(2016), 대학의 기업가정신 교육 서비스 품질의 교육만족도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 향에 관한 연구.

임한규(2015), 2015 100인의 서울창업포럼 정책자료집 ‘창직을 장려하기 위한 서울시 정책 제안’, 서울특별시·서울산업진흥원.

유봉호(2015). 성취욕구와 창업가정신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벤처창업연구, 10(3), 51-60.

윤백중(2012), 대학생의 기업가정신과 창업동기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요인, 호서대학 교 벤처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윤남수(2012), 잠재적 창업자의 창업동기 요인이 기업가정신 및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경제학회.

윤방섭(2004), “창업 의지의 결정요인: 개인특성 및 환경요인,” 한국산학경영연구, 제17권, 제2호, 89-110.

장대성·임성배, EO(Entrepreneurial Orientation)와 창업성과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대한 경영학회지.

장해윤(2009), 외식업 성공결정요인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강원도 주요 도시 예비 창업자를 대상으로.

한진우:유철우:최영찬(2009), 이터넷 지식공유에 영향을 미치는 연구 : 사회적 자본 이론과 자기표현욕구를 중심으로.

현대경제연구원(2016), 청년 고용보조지표의 현황과 개선방안, 16029 (통권658호) 1-2.

Ajzen, I.(2005) Attitudes, personality and behaviour (2nd ed.), Berkshire, England: Open University Press.

Begley, T.M. and Boyd, D.P.(1987),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Performance in Entrepreneural Firms and Smaller Businesses,”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2: 79-93.

Coleman, James S.(1988).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Supplement) 94: s95-s120.

Crant, M. J.(1996). The proactive personality scale as a predictor of entrepreneurial intentions, Journal of Small Business Management, 34(3), 42-49.

(18)

Fishvior: M. and I. Ajzen(1975),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rach. Reading, MA: Addison-Wesley.

Fukyuama, Francis(1999). “The Great Disruption: Human Nature and the Reconstruction of Social Order” The Atlantic Monthly (May.1999) : 55-80.(1995). Trust: the Social Virtues and the Creation of Prosperity. New York: Free Press.

Frey, C. B. & Osborne. M. A. (2013). The future of employment: how susceptible are jobs to compuerisation?. Oxford University.

Johnson, B. R.(1990), Toward a multidimensional model of entrepreneurship: The case of achievement motivation and the entrepreneur, Entrepreneurship Theory of Management Journal, 29, 262-279 .

Knack and Keeper. 1997. “Does Social Capital have an Economic Payoff? A Cross-Country Investigation.”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107: 35-78.

Krueger, N. F. Jr. and A. L. Carsrud(1993), “Entrepreneurial intentions: Apply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ur,” Entrepreneurship & Regional Development: An International Journal, Vol, 5, No. 4, pp 351-330.

McFadyen, M. A., Cannella, A.A.(2004), “Social Capital and Knowledge Creation : Dimminishing Returns of Number and Strength of Exchange Relationship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7(5), pp.735-746

Naffziger, D.W., Hornsby, J.S. and Kuratko, D.F.(1994), “A Proposed Research Model of Entrepreneurial Motivation,”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18(3), 29-42.

Putnam. 2000. Bowling Alone: The Collapse and Revival of Community. Touchstone Books : 정승헌 역. 2009 「나 홀로 볼링」. 페이버로드.

Shane, S., Lock, E.A. and Collins, C.J.(2003), “Entrepreneurial Motivation,” Human Resource Management Review, 13(2), 257-279.

Taormina, R. J. & Lao, S. K.(2007). Measuring Chinese entrepreneurial motivation-personality and enviromental variables, International Journal of Entrepreneurial Behaviour & Research, 13(4), 200-221.

Timmons, J. A. (2003), New Venture Creation: Entrepreneurship for 21st Century, 6th ed., Homewood, Illinois: Irwin-McGraw-Hill.

Vaghely, I. P. and Julien, P. A.(2008), “Are opportunities recognized or constructed? An information perspective on entrepreneurial opportunity identification”, Jorunal of Business Venturing, In press of on-line.

(19)

The impact of social capital on the degree of job creation motivation and intention

Modern society is threatened as jobs disappear, even for highly educated professionals, due to changes in social conditions and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t robots and IT. In the future, it is predicted that robots will perform much of the work that is presently carried out by humans. To prepare for the future, is developing new types of employment and policies to encourage this development. In the private sector, the activity of job creation is gradually increasing based on own creative ideas. These movements contribute to job creation since new job types are being created instead of traditional jobs.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are to perform a theoretical study on the social capital concept and its elements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data from government agencie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on the motives for and objectives of job creation. For these purposes, the research model was designed. Accordingly, a survey was conducted on job creators and potential job creators, who have interests in job creation, to collect data for empirical analysis of the hypothesis.

The data collection survey was conducted from April 1 to May 30, 2016. After verifying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tatistical package SPSS. The conclusions generated from analysis of the results are as follows.

Norms, trust, and networks in social capital did not affect the motivation for job creation. Conversely, participation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motivation for job creation.

The participation activities increased motivation for job creation according to the actions or exchanges of the job creator with potential job creators and normal people. Moreover, the analysis shows that motivation affected the objective of job creation. It was determined that the motivation for job creation was highly correlated with the objective of job creation.

Keywords : job creation, entrepreneurship, startup

참조

관련 문서

개인적 요인 요인 요인 요인, 사회적 사회적 사회적 사회적 영향 영향 영향 영향, 행동 행동 행동 행동 계속에 계속에 계속에 대한 계속에 대한 대한 대한 관심

셋째,노인의 학대피해경험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사회적 지지의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먼저,노인의 학대피해경험이 정신건강에 미치

구체적으로는 첫째, 사회적 자본이 물리적비용 과 심리적 반응, 그리고 삶의 질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 둘째, 물리적비용과 심리적 반응이 삶의 질에 미치는

본 논문에서는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환경과 요인들, 그 중에서 도 창업자의 역량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창업성공을 위한 창

셋째,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과 심리적 소진은 사회적 유능감에 사회적 지지와 물질적지지 정도에 따라 일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다문

하지만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의 의의를 살펴본다면 대부분 의 연구들은 일반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연구한 데 비해 본 연구는 여성독거 노인에서 가족 및

이상과 같이 지역축제의 사회적 영향 정도를 측정하는 측정도구 개발에 있어서 축제의 환경적 요소와 일반적 감정이 축제의 사회적 영향과 어떤 관계를

의 역할이 최근에 와서 매우 중요시되고 있다 그러나 여러 가지 법률의 정비와 사회적 관심에도 불구하고 의 교육훈련 및 인 적자원개발 관련 사업에 대한 정부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