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WEEKLY ASEAN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WEEKLY ASEAN"

Copied!
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주간아세안동향 2019-10호(2019.8.16)

WEEKLY ASEAN

52차 아세안 외교장관회의 브리핑

인도태평양에 관한 아세안의 관점 AOIP) 평가

5G와 아세안 연계성

동남아 뎅기열 주의보

아세안의 출산율

역내 BRI(일대일로) 투자

(2)

대표부 주요 활동 소식 아세안 주요 회의 및 소식

제3차 아세안 팀 코리아 포럼 (8.14, 마닐라)

사진: 주아세안대표부

ㅇ 임성남 대사는 주필리핀 한국 대사관에서 이번 포럼을 주재하고, 필리핀 현지에서 활 동하고 있는 한국 공공기관장 및 기업인들 과 함께 신남방정책 추진을 통한 한-아세 안 경제협력 방안을 협의함.

ㅇ 이번 회의에서는 필리핀 경제 성장 잠재력 에 맞춘 한국의 맞춤형 경제협력 방안을 비롯하여 역내 교역과 인프라 수요가 급증 하는 것을 고려하여 한국의 상품 수출 및 건설사 진출, 해외 금융지원을 효과적으로 연계할 수 있는 방안 마련에 대해 논의함.

제52차 아세안 외교장관회의 결과 브리핑 (8.13 자카르타) ㅇ 제52차 아세안 외교장관회의 및 관련 회의

(아세안 확대외교장관회의, APT, EAS, ARF) 가 7.30-8.2간 방콕에서 개최되었으며, 페 루의 동남아우호협력조약(TAC) 가입, 사무 국-태국-제3국(노르웨이, 터키, 스위스)*간 3 자회의, 아세안 외교장관과 아세안정부간 인권위원회(AICHR) 회의, 메콩 회의, 중- 아세안 청년리더 장학금 행사, AHA 센터- 스위스 간 양해각서(MoU) 서명식이 개최됨.

* 노르웨이 및 스위스는 2016년 아세안 부분대화상 대국 지위 획득, 터키는 2017년 아세안의 부분화 상대국 지위 획득

ㅇ 금번 외교장관회의는 사람 중심의 공동체 실현을 위한 아세안의 의지를 재확인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올해 아세안 의장국 수임 과제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파트너십 협 력 강화(Advancing Partnership for Sustainability)' 및 9월 개최 예정인 SDG 정상회의(Summit)에 대한 아세안의 기여방 안에 대해서도 논의됨.

ㅇ 한편, 이번 회의에서는 유해 폐기물의 국경 간 불법이동 제한 성명 채택을 통해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협력 강화 필요성을 확 인하고, 주요국 간 무역긴장 발생 상황에 우려를 표명하면서 경제 상황에 맞는 유연 성 발휘를 요청함.

ㅇ 인도태평양에 관한 아세안의 관점(AOIP) 채 택을 통한 아세안 중심성 재확인과 남중국 해 행동규범(CoC) 1회독 완료를 주요 성과

(3)

아세안 - 대화상대국

- 한반도 문제 관련, 당사국들의 노력을 환 영하며, 완전한 비핵화(CVID)와 대북제재 를 위한 유엔 안보리 결의안 이행 필요성 에 대해 논의

동남아 지역 뎅기열 확산 (8.13, 신화통신)

ㅇ 동남아시아에서 뎅기열 발생 후 올해 1월 부터 수백 명 사망자 발생함.

- 방글라데시는 20년 만에 가장 큰 영향, 올해 1월부터 8월까지 총 43,271명 환자 등록, 미얀마는 올해 3,100건 뎅기열 사 건 및 10건 사망자 발생

- 태국은 49,174건 기록, 64명 사망, 캄보디 아의 경우 13,000건 발생, 지난해 같은 기간 5배, 베트남 2019년 7월까지 10명 사망자 포함 105,000 명 이상 뎅기열 환 자 기록, 라오스도 올해 치명적인 뎅기열 사례 급증

아세안-중국 청소년 교류 축제 (8.15, Vietnam+) ㅇ 2019년 8월 13일, 제7차 아세안-중국 청소

년 교류 축제가 중국 Haikou에서 개막 - 베트남,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필리핀,

라오스, 미얀마, 캄보디아 등 7개 아세 안 국가 및 중국 하이난에서 온 약 100 명의 청소년들이 회의, 교류, 방문, 음악 공연 및 스포츠 경기 참여 예정

(4)

주요 기사 및 논문

인도태평양에 관한 아세안의 관점(AOIP)이 유의 미한 이유(8.11, EAF)

기고인: Amitav Acharya, America 대학교 교수 ㅇ 아세안이 제34차 아세안 정상회의(6.23, 방 콕)에서 AOIP를 채택하게 된 배경에는 아 세안의 리더 격인 인도네시아가 미국이 보 는 인태전략과 차별을 두어 아세안의 중심 성과 아세안 방식(ASEAN way)에 방점을 둔 접근방식을 선호하였기 때문임.

- 미국의 인태전략은 자유와 개방(free and open)을 주요 개념으로 선정하고, 중국을 고립(isolation)하는데 중점을 둔 반면, - AOIP는 자유의 개념보다는 포용과 개방

(inclusive and open)을 필두로 중국을 포함 한 인도태평양전략을 구사한 것으로 관찰 - AOIP는 아세안의 전통적인 가치, 즉 합의

기반, 규범, 정치, 외교에 기반한 아세안 의 방식 강조

ㅇ 따라서, AOIP는 전략적 수사와 군사적 표현 을 모두 피하고 일종의 지침(guide)으로 채 택되었으며, 법률 문서 또는 조약이 아닌 아세안이 나아가야할 정치적 외교적 방향 을 제시한 것으로 평가함.

- 서양의 관점에서 볼 때 중국을 견제하지 않은 AOIP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 것도 아니며 중요하지 않다고 보는 견해가 지 배적이나,

- AOIP에 명시된 규범은 아세안이 창설 때 부터 지속해온 일종의 관습이며, 지역 안 보 내 아세안의 주요 역할은 갈등 해결 또는 강대국간 대립 관리 보다는 규범 마 련(norm-setting) 및 자신감 (confidence-building) 회복임.

자유(freedom of navigation)'는 포함하고 있음.

- 이러한 외교적 수사는 아세안이 지역 합 의 설계자(consensus builder)로서의 전형 적인 역할을 자처한 것으로 평가

ㅇ AOIP는 아세안의 외교적·정치적 주장 행위 (assertion) 이상·이하도 아니며, 강대국이 아닌 아세안 스스로가 만들어낸 개념으로 평가함.

5G와 아세안 연계성 (8.12, New Straits Times) 기고인: Sameer Kumar, 말레이시아 말라야

대학교 조교수

ㅇ 5G 기술이 개인의 삶과 비즈니스에 많은 변화를 가져다 줄 것은 확실하나, 5G 기술 활용에는 고비용, 4G와의 호환 불가, 규제 문제는 물론 미국의 화웨이 금지 등이 불 확실성을 더 키우고 있음.

ㅇ 아세안 연계성 마스터플랜(MPAC 2025)은 주요 5개 분야(지속가능한 인프라, 디지 털 혁신, 원활한 물류, 우수 규제 및

인적 이동)를 다루고 있으며, 원활하고 포 괄적이며 연결되고 통합된 아세안 증진을 목표로 삼고 있음.

- 상기 5개 분야 가운데 특히 디지털 혁신 은 ICT 인프라 또는 전자상거래 개발 등 여타 전략과 부합하는 만큼 중요

- 다만, MPAC 2025에 명시된 목표를 달성 하기 위해서는 효과적인 빅 데이터, 로봇 기술, 사이버-물리 시스템, 블록체인, 클 라우드 등 디지털 기술의 효과적인 배치 (deployment) 없이는 불가

- 파괴적 기술은 무인 자동차, VR 게임, 원 격 수술, 드론을 활용한 물류와 농업, 스 마트 홈과 장비 등에 이미 내재

(5)

국가 금액

(백만 US$) 투자분야

인도네시

3080 에너지, 교통, 금속

캄보디아 2530 교통, 농업

싱가포르 1910 엔터테인먼트, 금속, 교통,

부동산

베 트 남 1 5 8 0 에 너 지 , 기 술 , 농 업

필 리 핀 1 1 6 0 에 너 지 말레이시

4 4 0 에 너 지

태 국 4 1 0 에 너 지 , 금 속

ㅇ 혁신적인 아세안을 지향함에 있어 디지털 기술, 특히 5G를 활용한 디지털 혁신은 필 수인데, 5G의 속도는 스파이 행위와 방사 능 위협 등 건강 문제도 일부 야기할 수 있다는 일각의 우려 섞인 의견이 존재함.

ㅇ 그럼에도 불구하고 5G 기술은 아세안의

‘great equalizer'가 될 수 있으며, 회원국 간 경제개발 격차 줄이고 지역의 GDP 규 모를 늘릴 수 있음.

- 신제품 생산, 생산 가격 절감을 통한 새 로운 일자리 창출 기대

- 대부분 아세안 회원국은 5G 배치 전략 수립

동남아시아 지역의 중국 일대일로 투자 전망 (8.14, The Straits Times)

ㅇ 동남아시아의 중국 일대일로 관련 투자 회 복 전망

- 미중 무역 갈등으로 인한 징벌적 관세를 피하기 위해 중국 기업의 제조업 시설 동남아 이전

- 일대일로 관련 국가에 대한 해외투자는 중국의 총 해외투자보다 빠르게 증가 - 지난해 하반기 무역 갈등 및 스리랑카,

파키스탄, 말레이시아 등의 국가의 ‘채무 의 덫(debt trap)’으로 투자 크게 감소, 하지만 올해 이 지역의 투자 급증

- 동남아시아의 투자 및 건설 계약은 작년 하반기 55억 달러에서 올해 상반기 110억 달러로 2배 증가

표. 2019년 상반기 동남아시아 중국 투자 및 건설 계약

ㅇ 올해 상반기 새로운 일대일로 투자는 인 도네시아, 캄보디아, 싱가포르, 베트남에 집중

- 2013년 이후 일대일로 누적 투자규모는 인도네 시아, 싱가포르 순임, 말레이시아의 새 정부는 동해안 철도망 및 반다르 말레이시아 프로젝트 의 재협상으로 투자 흐름 회복할 것으로 전망

ㅇ 미중 무역 갈등으로 기업의 공급망의 일 부 동남아시아 이전, 중국의 대 동아시아 투자 증가 추세

- 베트남, 태국, 말레이시아가 수혜국임, 일례로 올해 7개월 동안 베트남의 중국, 홍콩 외국인 직접투자는 200프로 증가

ㅇ 동남아시아 기술부문에 대한 중국 투자 25억 달 러 기록, 미국의 중국 기술 투자에 대한 감시 및 장벽으로 인해 아세안에 더 많은 투자 예상 - 동남아시아의 5G 모바일 네트워크 개발 및

출시로 인해 Huawei와 같은 중국 전자통신업 체들의 투자가 동남아시아 지역에 유입될 것 으로 전망

(6)

아세안 출산율 감소 (8.15, The ASEAN POST) ㅇ 아세안 국가들은 높은 경제 성장률을 달성

하고 있는데 반해, 출산율은 정반대임 - 동남아시아의 총 출산율(TFR*)은 1970년 5.5명에

서 2017년 2.1명으로 크게 감소, 지속적인 출산 율 감소는 역내 경제 성장 동력에 부정적인 영향 을 줄 것으로 예상

* The total fertility rate

ㅇ 세계은행 통계에 따르면, 브루나이, 태국, 싱가포르, 말레시아 및 베트남은 비교적 낮 은 TFR을 기록

- 아세안 일부 국가의 경제활동인구는 단기적으로 빠르게 증가하고 있지만, 줄어들 것으로 전망 - 2015년 65세 이상 아세안 인구 7.7%, 2035년까

지 15.5%로 2배 증가 예상, 고령화 인구는 국가 재정에 영향을 줌

ㅇ 2019년 Economist Intelligence Unit 보고 서, ‘노동력 감소(The Disappearing Workforce)’에 따르면서, 출산율 주요 감소 요인으로 고령화 사회의 전환, 급격한 도시 화와 탈 농촌화 등을 지적함.

- 노인 의료 및 관련 인프라 비용 지출 증대 - 빠른 도시화 및 육아 비용 증대 및 육아

가치관 전환, 여성들의 고등교육 및 경제 적 활동 등

ㅇ (해결방안) 출산율이 낮은 지역에 출산 및 육아를 위한 지원 환경 조성, △가족 친화적 정책 확장, △가족계획 및 출산율 관련 인 식 제고, △불임치료 등의 관련 치료에 대 한 지원, △보육 환경 지원(세금감면, 현금 인센티브 및 보조금 지원) 등이 있음.

ㅇ 아세안 국가들의 고령화 사회로의 전환, 노 령인구 증대로 생산성 감소, 국가 의료 시 스템 재정 부담 증가, 인력 감소로 인한 제

(7)

주아세안대표부는 아세안 관련 주요 뉴스 및 아 세안 사무국이 제공하는 정보를 요약·정리하여

<ASEAN WEEKLY>를 발간하고 있습니다.

대표부 홈페이지를 방문하시면 주간 아세안 동 향을 비롯하여 월간 아세안 뉴스레터, 아세안 각종 현안과 경제 통계 등 아세안 관련 제반 정 보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주아세안대표부에서 작성한 자료를 타 보고서 또는 기사 등에서 인용하거나 활용하기를 원하 실 경우 출처를 명확하게 밝혀 주시기 바랍니다.

Sentral Senayan II, 23F, JL. Asia Afrika No.8, Gelora Bung Karno Jakarta, 10270

TEL: +62 21 2795-1830

Email: kor_asean@mofa.go.kr

Website: http://overseas.mofa.go.kr/asean-ko Facebook: @ROKASEAN2012

Twitter: @ROKASEAN1989

참조

관련 문서

[r]

ㅇ 올해 창설 55주년을 맞이하는 아세안은 눈부신 발전 (extraordinary development)을 이루어왔으며, 아시아의 황금기를 위해 도약하는 길목에 서 있음.. 중국은

[r]

[r]

* virtual Train the Trainers Workshop on the ASEAN Tourism Professional

[r]

[r]

[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