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전라남도 친환경농업 미생물제제 산업화 연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전라남도 친환경농업 미생물제제 산업화 연구"

Copied!
20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C2010-28 | 2010. 10.. 전남 친환경농업 미생물제제 산업화 연구. 김 정 이 박. 연 은 웅 순. 중 미 연 철. 연 구 위 원 연 구 위 원 초청연구원 위촉연구원.

(2) 연구 담당 김연중 정은미 이웅연 박순철. 연 연 초 위. 구 위 구 위 청연구 촉연구. 원 원 원 원. 연구 총괄, 제1장, 제2장, 제5장, 제6장, 요약 제4장, 요약 제2장, 제3장, 요약 제2장, 자료수집 및 분석.

(3) i. 머 리 말. 국민경제의 발전으로 소득수준이 향상되면서 소비자는 건강을 위해 안전 농 산물의 소비를 확대하고 있으며, 정부는 신성장동력원으로 친환경농업을 적극 육성하는 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OECD 국가도 환경오염 및 잔류농약 등 부작 용 때문에 화학농약과 화학비료 사용을 줄이는 친환경농업정책을 적극 추진하 고 있는 실정이다. 전라남도 지역은 정책적으로 친환경농업을 육성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전체 친환경농산물의 52%가 전라남도에서 생산되고 있고, 현재 전라남도 경지면적 의 34%가 친환경 재배면적이며, 2014년까지는 전라남도 재배면적의 45%까지 를 무농약 인증 면적 이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친환경농산물 생산을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것이 미생물농약, 비료, 생균제 등의 미생물제제이다. 그러나 미생물제제 생산업체가 영세하여 생산한 미생물 제품의 단가가 높고, 품질이 균일하지 않아 최종수요자인 농가가 이용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전라남도는 농업미생물제 제의 산업화 방안을 모색 중이다. 그 일환으로 전라남도는 농업미생물제제연구센터를 설립·육성하여 친환경 미생물제제의 품질인증사업, 미생물제제의 제형화 기술 등 R&D 지원, 농가 및 미생물제제 생산업체의 교육, 컨설팅, 홍보 등을 강화하여 양질의 미생물제제 의 공급확대와 수요자인 농가의 만족을 증대시키고자 한다. 이 연구 수행과정에서 현지조사 및 자료지원에 적극 협조해 주신 전라남도 도청 담당자 및 생물방제센터 담당자, 기획위원회 그리고 관심을 가져준 많은 분과 연구가 원만하게 진행되도록 조언과 격려를 보내주신 정병재국장님께 감 사드린다.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전라남도에 농업용미생물연구센터가 설립 되어 친환경농업의 메카로 자리매김하길 바란다. 2010. 10. 한국농촌경제연구원장 오 세 익.

(4)

(5) iii. 요. 약. 국민경제의 발전으로 소득수준이 향상되면서 소비자는 건강을 위해 안전 농 산물의 소비를 확대하고 있으며, 정부는 신성장동력원으로 친환경농산물 생산 을 확대하는 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OECD 국가도 환경오염 및 잔류농약 등 부작용 때문에 화학농약과 화학비료 사용을 줄이고 있는 실정이다. 전라남도 지역은 정책적으로 친환경농업을 육성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전체 친환경농산물의 52%가 전라남도에서 생산되고 있고, 현재 전라남도 경지면적 의 34%가 친환경 재배면적이며, 2014년까지는 전라남도 재배면적의 45%까지 를 무농약 인증 면적 이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친환경농산물 생산을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것이 미생물농약, 비료, 생균제 등의 미생물제제이다. 그러나 미생물제제 생산업체가 영세하여 생산한 미생물 제품의 단가가 높고, 품질이 균일하지 않아 최종수요자인 농가가 이용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전라남도는 농업미생물제 제의 산업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그 일환으로 전라남도는 농업미생물제제연구센터를 설립·육성하여 친환경 미생물제제의 품질인증사업, 미생물제제의 제형화 기술 등 R&D 지원, 농가 및 미생물제제 생산업체의 교육, 컨설팅, 홍보 등을 강화하여 양질의 미생물제제 의 공급확대와 수요자인 농가의 만족을 증대시키고자 한다. 친환경 농산물의 시장 규모는 확대되어갈 전망이다. 2009년 친환경농산물 시 장규모는 2008년 대비 17% 정도 증가한 3조 7,355억 원으로 증가하였다. 저농 약 신규 인증제가 폐지되는 2010년에는 증가세가 둔화되어 4조 940억 원, 2013 년에는 5조 955억 원으로 추정된다. 저농약 인증제 자체가 폐지되는 2015년에 는 저농약 농가 일부가 무농약 인증이나 유기 인증으로 전환을 가정하면 2013 년보다 감소한 4조 9,216억 원이 될 것으로 전망이고, 이후 점차 회복되어 2020 년에는 전체 농산물 시장규모의 20%인 7조 676억 원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미생물산업화에 가장 큰 문제점은 크게 산업규모의 영세성과 제도적.

(6) iv 장치 미흡, 종합 컨트롤 타원 부재, 산업화 연구 지원 및 핵심원천기술 개발미 흡, 소액·다건식 분산 투자 그리고 미생물자원의 다양성 부족 등이다. 농식품 미생물 관련 업체는 영세한 중소업체의 비율이 높아 우수 제품의 생 산·공급에 한계가 있다. 친환경유기농자재의 경우 미생물농약·비료와 사용목 적은 동일하나 관련법률 상 등록기준에 차이가 있어 운영상 상충되는 부분이 있으며 특히, 자가제조 미생물제에 대한 효능, 안전성 등에 대한 과학적 검증이 미흡하여 농업인의 신뢰를 저하시킨다는 문제가 제기된다. 미생물 연구를 네트 워크·집적화 하는 “종합 컨트롤 타워”의 부재로 미생물 산업 발전을 위한 체계 적 지원이 미흡한 실정이다. 미생물제제의 수요는 2020년에 지금보다 2배 이상 증가할 전망이다. 미생물 농약, 미생물비료, 친환경유기농자재, 사료용 생균제의 수요 규모는 2008년에 약 910억 원에서 점차 증가하여 2011년에 약 1,398억 원, 2015년에 1,668억 원, 2020년에 약 1,793억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우리나라의 미생물제제 수요 전망을 시나리오를 구성하여 전망해 보면 다음 과 같다. 시나리오 1은 전라남도 지역에 국한하여 미생물제제를 공급하는 경 우, 시나리오 2는 전국을 대상으로, 시나리오 3은 수입량의 30%를 대체하는 경 우, 시나리오 4는 오히려 미생물제제를 수출하는 경우이다. 시나리오 1에 의하면 2020년의 미생물제제의 수요 규모는 1,255억 원, 시나 리오 2는 1,793억 원, 시나리오 3은 2,331억 원, 시나리오 4는 3,030억 원으로 추정된다. 전라남도 미생물제제 산업의 중장기 발전 방향은 크게 3가지를 들 수 있다. 첫째 친환경농업미생물산업연구센터 설립, 운영이다. 센터의 비전과 목표는 R&D를 기초로 신성장산업체인 미생물제제(후방산업) 기업지원과 안전하고 기 능성 있는 농업미생물제제를 공급하여 친환경농업(전방산업)을 지원하는 것이 다. 센터의 육성방향은 화학비료, 농약을 대체할 친환경 농생명 산업의 인프라 구축하고, 친환경농업 육성에 필요한 양질의 값싼 미생물제제 공급할 수 있는 기능을 가져야 하며, 미생물의 고부가가치화, 발효산업의 원천 기술 확보해야 한다. 더 나아가 현장밀착형 미생물 R&D를 통해 제품기준을 정립하고 농업미.

(7) v 생물제제의 안전성, 기능성에 대한 품질인증하는 기능을 가져야 한다. 또한 농 업인을 대상으로 미생물제제에 대한 교육 및 컨설팅을 지원하여 농업인의 미 생물제제 수요와 이용이 증가하여 실질적인 소득 효과를 가져야 한다. 센터 설립의 투자효과는 초과수익 발생은 사업개시 4년 후인 2014년 이후이 며 이 시기부터 자립화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수익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배양 및 제품화 시설의 규모 차이에서 발생한다. 시설 규모의 차이에 비례하여 감가상각비 등 비용과 시설 및 설비의 임대 수수료를 포함하 는 직접 수입이 증가하고, 기업의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미생물제제 배양 및 제품화 시설을 구비하여 장비의 가동률과 연간 이용률을 높여야 수익이 발 생할 수 있다. 첫째, 센터는 기업 유치가 무엇보다 중요하며, 미생물제제 R&D를 기초로 제 품 및 제형화 기술 개발을 지원하고 각종 등록업무와 행정 업무의 지원 등을 연 계하여 농업미생물 관련기업의 집적화가 필연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둘째, 생물관련업체간 네트워크구축으로 시너지 효과를 창출해야 한다. 전라 남도는 생물산업의 진흥을 위한 7개의 특화연구센터가 이미 설립되어 운영 중 이므로 각 연구센터의 업무와 기능 중 일부를 미생물연구센터와 연계·협력하 여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전국에 산재한 미생물 관련 연구기관과 산·학·관·연간 클러스터를 형성 하여 시너지 효과를 얻어야 한다. 클러스터를 형성할 경우 비용절감 및 효과 극대 화, 지역혁신체계 조성, 지역경쟁력의 종합적 접근 강화 등의 장점을 얻게 된다. 한편,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농업미생물제제의 산업화 육성을 통한 친환경농 산물의 안정적 생산 기반 조성에 초점을 두고 있다. 그러나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친환경농산물을 활용한 고부가가치 발효식품 산업의 발전 가능성이 높고 미생물 전반의 기초연구 차원에서 발효미생물 산업 육성이 중요해 질 것으로 예 상된다. 따라서 <부록 1>에서 발효미생물산업의 현황을 검토하고 전라남도의 발 효미생물산업의 발전 방향을 제시한다..

(8)

(9) vii ABSTRACT. Study on Industrialization of Eco-Friendly Microbial Materials in Jeollanamdo. Jeollanamdo is promoting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The province produces 52% of all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in Korea. Currently, 34% of cultivated land in the region are for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and the local government plans to expand the ratio of pesticide-free acreage to total cultivation land to 45% by 2014. Microbial materials such as microbial pesticides, fertilizers, and probiotics are essential parts of organic farming. But because of the small scale of microbial production, the price of microbial materials is high and the quality is inconsistent, and this makes it very difficult for farmers to use them. To overcome this problem, Jeollanamdo is presenting ways of industrializing microbial materials. As part of this effort, Jeollanamdo plans to expand the supply of high-quality microbial materials and increase the satisfaction level of farmers. The methods to be use for achieving the goal are to provide assistance in technology-related fields, like formulation of microbial materials, launch quality assurance projects, educate farmers and microbial materials producers, and strengthen consulting and publicity promotion. The market size of eco-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is projected to grow from 3.7355 trillion won in 2009. Even though the increase rate of the market will slow down from 2010, when there will be no more labeling of new low-pesticide products, the market size is still expected to grow to 4.094 trillion won in 2010 and to 5.0955 trillion won in 2013. In 2015, when the labeling of low-pesticide products will be abolished altogether, the market is predicted to shrink to 4.9216 trillion won if we assume that some low-pesticide crops will be labeled as pesticide-free or organic. However, the market is projected to gradually recover afterward to 7.0676 trillion won in 2020 to account for 20% of the entire agricultural products market. According to four different scenarios, the demand for microbial materials in 2020 will be different. Scenario 1 puts the demand at 125.5 billion won, and scenarios 2, 3, and 4 put the projections at 179.3 billion,.

(10) viii 233.1 billion, and 303 billion won respectively. The mid- and long-term development strategy for the microbial materials industry in Jeollanamdo can largely be summed up in three directions. First, the strategy is set on establishing and operating a microbiology research center for eco-friendly agriculture. The center's vision and goals are set on supporting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by providing assistance to producers of microbial materials who, as new engines of growth, can supply safe and functional microbial materials. Second, synergy effects should be created through a network among bio-firms. Since there already are seven specialized research centers in the region for bio-industry promotion, synergy effects can be created if some of the operations and functions of each research center are exercised in conjunction with the microbiology research center. Third, microbiology-related research institutes across the country should form a cluster with the government, industries, and academia to create synergy effects as building the cluster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costs, maximizing the profits, and enhancing the regional competitiveness.. Researchers: Kim, Yean-Jung; Jeong, Eun-Mee; Lee, Woong-Yeon; Park, Soon-Chul E-mail address: yjkim@krei.re.kr, jeongem@krei.re.kr.

(11) ix. 차. 례. 제1장 서 론 1. 연구 필요성 ··································································································· 1 2. 연구 목적 ······································································································ 3 3. 연구 범위 ······································································································ 4 4. 연구 방법 ······································································································ 6 5. 연구 진행과 체계 ························································································· 8 제2장 친환경 농업의 현황과 전망 1. 친환경농업 현황 ························································································· 11 2. 전라남도 친환경농산물 생산 현황 ··························································· 18 3. 친환경농업육성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22 4. 국·내외 친환경농산물 시장 전망 ····························································· 31 제3장 농업미생물제제 산업화 방안 1. 친환경 농업미생물제제 산업의 현황 ······················································· 39 2. 친환경 미생물제제 이용실태와 문제점 ··················································· 56 3. 친환경 농업미생물제제 기술수준과 개발방향 ········································ 64 4. 친환경 미생물제제 수요전망 ···································································· 70 5. 미생물제제 산업화 방안 ·········································································· 83 제4장 친환경 농업미생물산업연구센터의 설립 타당성 분석 1. 전라남도 친환경 농업미생물산업연구센터 설립 필요성 ······················· 89 2. 전라남도 친환경 농업미생물산업연구센터의 특성 ································· 95 3. 전라남도 친환경 농업미생물산업연구센터의 육성방향 ······················· 101.

(12) x 4. 전라남도 친환경 농업미생물산업연구센터의 추진전략과 기능 ·········· 106 5. 친환경 농업미생물산업연구센터 투자효과 ············································ 111 제5장 농업미생물산업연구센터의 중장기 발전 방안 1. 농업미생물산업연구센터의 중장기 로드맵 ············································ 121 2. 전라남도 생물산업 관련업체간 네트워크 강화 ···································· 126 3. 전국 미생물관련업체 클러스터 구축 ····················································· 128 제6장 요약 및 결론 ························································································ 133 부록 1. 발효미생물 산업 현황과 육성사례 ················································ 137 부록 2. 친환경농업 미생물제제 산업화 관련 전문가조사 ······················· 167 부록 3. 친환경농업 미생물제제 산업화 관련 농가조사 ··························· 175 참고문헌 ········································································································· 183.

(13) xi. 표 목 차. 제1장 표 1- 1. 연구대상 미생물제제 ······································································· 5 표 1- 2. 농가 조사 개요 ················································································ 7 표 1- 3. 전문가 조사 개요 ············································································ 8 표 1- 4. 연구진행 경과 ·················································································· 8 제2장 표 2- 1. 친환경농산물 생산현황 ································································· 12 표 2- 2. 친환경농산물 인증유형별 생산현황 ············································ 13 표 2- 3. 친환경농산물 품목별 생산량 ························································ 14 표 2- 4. 시도별 친환경농산물 인증실적(2009년) ····································· 16 표 2- 5. 인증유형별 친환경농산물 등록건수 ············································ 17 표 2- 6. 친환경인증 유형별 생산 실적 ······················································ 20 표 2- 7. 친환경유기농자재 사용기준(친환경농업육성법 시행규칙) ········ 23 표 2- 8. 친환경유기농자재 목록공시의 절차 ············································ 24 표 2- 9. 유기농산물에 대한 친환경유기농자재 목록공시 수(2009년) ···· 26 표 2-10. 친환경농산물 시장규모 전망 ························································ 32 표 2-11. 인증단계별 친환경농산물 시장전망(2015년 이후 저농약 폐지 시) ·· 33 표 2-12. 대륙별 유기농업 실천 현황(2007년 기준) ·································· 34 표 2-13. 중국의 녹색식품 생산, 소비, 수출 현황 ····································· 36 표 2-14. 일본의 유기농산물 인증물량(2007년) ········································· 37 제3장 표 3- 1. 화학농약과 미생물농약 비교 ························································ 40.

(14) xii 표 3- 2. 축산용 생균제 ················································································ 44 표 3- 3. 사료용 생균제 제품의 종류 ························································· 45 표 3- 4. 미생물 산업의 문제점 ··································································· 46 표 3- 5. 세계의 주요국 및 약제별 생물농약 시장 현황 ························· 50 표 3- 6. 미생물제제 관리제도 ····································································· 53 표 3- 7. 관련 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에 대한 전문가 의견 ············ 55 표 3- 8. 미생물제제 인지도 ········································································· 57 표 3- 9. 미생물제제 종류별 효과에 대한 만족도 ····································· 58 표 3-10. 미생물제제 사용 비중 ··································································· 60 표 3-11. 미생물제제 구입 경로 ··································································· 60 표 3-12. 미생물제제 사용량 증감 계획 ······················································ 63 표 3-13. 국내 미생물제제 기술수준 ··························································· 64 표 3-14. 10년 후 국내 미생물제제 기술수준 전망 ··································· 65 표 3-15. 향후 미생물제제 제품의 개발 방향 ············································ 69 표 3-16. 친환경농업 인증 재배면적 전망의 기본 가정 ··························· 72 표 3-17. 미생물농약, 미생물비료, 친환경유기농자재의 생산액 규모 (2008년 기준) ················································································· 74 표 3-18. 친환경농업 미생물제제의 생산액 전망 ······································· 75 표 3-19. 미생물제제 수요 전망 ··································································· 78 표 3-20. 미생물제제 수요 전망 시나리오 ·················································· 79 표 3-21. 미생물제제 시나리오별 시장 전망 ·············································· 80 표 3-22. 미생물제제 종류별 시장 전망 ······················································ 82 표 3-23. 친환경농업 미생물제제 산업의 SWOT 분석 ····························· 83 표 3-24. 미생물제제 산업화 요건 ······························································· 85 표 3-25. 미생물제제 산업화 촉진을 위한 단기적 방향 ··························· 87 표 3-26. 미생물제제 산업화 촉진을 위한 장기적 방향 ··························· 87.

(15) xiii 제4장 표 4- 1. 미생물 연구 관할 부처와 역할 ···················································· 90 표 4- 2. 미생물제제 분야별 투융자 계획 ·················································· 92 표 4- 3. 기관별 미생물제제 투융자 계획 ·················································· 92 표 4- 4. 2011년도 농림수산식품부 R&D 사업 추진계획 ························ 93 표 4- 5. 전라남도의 생물산업 육성 지역 특화 연구센터 ························ 94 표 4- 6. 국내 각종 미생물연구센터와 주요업무 ······································· 96 표 4- 7. 전라남도 친환경 농업미생물산업연구센터의 SWOT 분석 ······· 97 표 4- 8. 미생물제제 산업화 지원의 역할과 내용 ··································· 108 표 4- 9. 미생물제제의 품질관리체계 구축의 역할과 내용 ···················· 110 표 4-10. 단계별 연구센터 로드맵 ····························································· 112 표 4-11. 단계별 연구센터 비용과 수입 구조 ·········································· 113 표 4-12. 연구센터의 시나리오별 투자 비용과 수입의 가정 ·················· 114 표 4-13. 비용 산출근거 ·············································································· 116 표 4-14. 직접수입의 산출근거 ··································································· 117 표 4-15. 간접수입의 산출근거 ··································································· 118 표 4-16. 시나리오별 수익성 비교 ····························································· 119 제5장 표 5- 1. 연구센터의 중장기 로드맵 ······················································· 122 표 5- 2. 연구센터의 중장기 업무 로드맵 ·············································· 125 표 5- 3. 전라남도 생물산업 관련 연구센터 현황 및 주요 업무 ·········· 127 표 5- 4. 미생물 관련 주요 연구기관 및 주요 업무 ······························· 130.

(16) xiv. 그 림 목 차. 제1장 그림 1- 1. 화학비료 및 농약 사용량 변화 추이 ······································· 2 그림 1- 2. 연구체계도 ···················································································· 9 제2장 그림 2- 1. 연도별 친환경농산물 재배면적 및 생산량 ····························· 12 그림 2- 2. 친환경농산물 품목별 생산량(2009년) ····································· 15 그림 2- 3. 지역별 친환경농산물 인증건수(2009년) ·································· 18 그림 2- 4. 전라남도 친환경농산물 재배면적 및 생산량 ························· 19 그림 2- 5. 유형별 친환경농산물 인증건수 및 농가수(2009년) ··············· 21 그림 2- 6. 친환경농업 인증 재배면적 현황(2009년) ································ 21 그림 2- 7. 인증단계별 친환경농산물 시장 전망 ······································· 33 그림 2- 8. 세계 주요국의 유기농업 실천면적(2007년 기준) ··················· 35 제3장 그림 3- 1. 해외 미생물농약 시장 ······························································· 49 그림 3- 2. 생물농약 세계시장 추이 ··························································· 50 그림 3- 3. 미생물제제 사용 경험 ······························································· 57 그림 3- 4. 미생물제제 이용의 목적 ··························································· 61 그림 3- 5. 미생물제제의 문제점 및 개선 방향 ········································ 62 그림 3- 6. 미생물제제 수요 전망 개요 ······················································ 70 그림 3- 7. 전국 친환경농업 인증 재배면적 전망 ····································· 73 그림 3- 8. 전라남도 친환경농업 인증 재배면적 전망 ····························· 73 그림 3- 9. 친환경농업 미생물제제의 생산액 전망 ··································· 75.

(17) xv 그림 3-10. 사료용 생균제 수요 전망 ························································· 77 그림 3-11. 시나리오별 미생물제제 수요 전망 ·········································· 79 그림 3-12. 미생물제제 종류별 사용량 전망 ·············································· 81 그림 3-13. 미생물제제 산업화 저해 요인 ·················································· 86 그림 3-14. 전라남도 미생물제제 산업화 방향 ·········································· 88 제4장 그림 4- 1. 농업미생물산업연구센터 육성방향 ·········································· 101 그림 4- 2. 농업미생물산업연구센터 추진전략 ········································· 107 그림 4- 3. 연도별 수익성 전망 ································································· 120 제5장 그림 5- 1. 전라남도 생물산업 관련 연구센터 위치 ······························· 128 그림 5- 2. 미생물 관련 전국 주요 연구기관 및 업체 ··························· 131.

(18)

(19) 1. 제. 서. 1. 장. 론. 1. 연구 필요성. ○ 국민경제의 발전으로 소득수준이 향상되면서 고품질 안전 농산물의 소비가 증가하고 있으며, 건강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친환경 농산물에 대한 소비자 의 인식이 증가하고 있음. ○ 최근, 정부시책으로 추진 중인 농업미생물자원의 활성화 방안은 안전농산물 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 증가로 화학비료와 농약을 절감할 수 있는 녹색기술 소재로 미생물이 부각되고 있으며, 친환경농업을 위한 관련 미생물제제 시 장은 크게 확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 그러나 우리나라 농업생산은 농약과 화학비료의 과다사용으로 농산물에 잔 류농약 등이 검출되고, 토양은 부식되어 땅심이 떨어지고, 용수가 오염되는 등 농업환경의 심각성이 대두되고 있음. - 우리나라 화학비료 사용량이 1999년 84만 2천톤에서 2009년 50만톤으로 연평균 5.1% 큰 폭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농약 사용량도 1999년 2만 5,800 톤에서 2009년 2만 1,900톤으로 연평균 1.6% 감소추세에 있음..

(20) 2 - 화학비료, 화학농약의 단위면적당 사용량 감소로 인해 이를 대체할 수 있 는 미생물제제 수요는 매년 증가 추세에 있음. - 그러나 미생물제제 생산업체가 영세하여 제품 생산단가가 높고, 품질이 균 일하지 않아 농가 수요자가 이용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음. 그림 1-1. 화학비료 및 농약 사용량 변화 추이. 자료: 농림수산식품부 친환경농업과. ○ 전라남도는 2004년부터 5개년 생명식품산업계획을 수립하여 친환경농산물 인증면적이 전국 인증면적의 52%를 달성하였음. 그리고 생명식품산업 제2 차 5개년 계획을 수립하여 2014년까지 전라남도 경지면적의 45%1)까지 무 농약 이상의 친환경농업을 확대할 계획임. ○ 따라서, 전라남도에서 추진하고 있는 생명식품산업 제2차 5개년 계획과 연 계한 친환경 농업미생물산업연구센터를 설립하여 농업미생물자재개발, 효 능분석, 품질인증, 인력양성, 산업화 지원 등을 적극 추진함으로서 전라남도 는 농업미생물산업을 신성장동력원으로 발전시킬 필요가 있음.. 1) 전라남도는 2009년말 기준 친환경농산물인증면적이 경지면적의 33.8%임..

(21) 3. 2. 연구 목적. ○ 이 연구의 1차적인 목적은 친환경농업용미생물제제의 산업화 방안을 모색 하는 것임. 산업화방안으로 제시할 수 있는 것은 농업용미생물제제를 전담 할 수 있는 친환경농업미생물산업연구센터를 설치, 범위가 넓은 생물관련 업체와 기관과의 네트워크 구축, 더 나아가 산·학·관·연 간의 클러스터를 형성하여 농업용미생물제제 산업의 전후방 관련 산업을 육성하는 것임. ○ 이 연구의 최종 목적은 전라남도에 농업미생물산업연구센터를 설치·운영하 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음. 따라서 전라남도에 농업미생물산업연구센터 설 립의 필요성과 타당성을 분석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음. - 전라남도 지역은 우리나라 친환경 농산물을 52% 생산하고 있는 곳으로 친 환경 농산물을 생산하는데 투입되어야 하는 미생물 농약, 비료, 생균제 등 을 원활하게 공급, 관리할 수 있는 센터의 설립 타당성을 제시하는 것임. ○ 친환경농업용 자제로 활용할 수 있는 미생물제제의 산업화를 총괄하는 기 구로 농업미생물산업연구센터(가칭)의 역할, 임무, 운영 방법을 제시하고 연구센터의 중장기 발전 방안을 제시하는 것임. - 농업미생물산업연구센터의 비전 제시, 육성방향, 추진전략을 수립하고자 함. - 농업미생물산업연구센터의 연차별 중장기 로드맵 작성과 향후 자립화 방 안 제시 - 미생물제제 산업과 관련된 기관과의 네트워크 및 산·학·관·연 클러스터를 구축하여 미생물연구센터의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방안 제시.

(22) 4. 3. 연구 범위. 3.1. 시간적 범위 ○ 농업미생물산업연구센터 설립·운영 및 친환경 농업미생물제제의 산업화 - 1단계: 2011~2013년(설립 운영) - 2단계: 2014~2016년(투자유치, 산업화 정착) - 3단계: 2017~2020년(산업화를 위한 연관 산업 육성). 3.2. 공간적 범위 ○ 농업미생물산업연구센터 설립 타당성 관련 연구: 전라남도 ○ 미생물제제 시장성 분석: 전라남도, 전국. 3.3. 내용적 범위 3.3.1. 연구 내용 ○ 농업미생물산업의 산업화 방안 ○ 산업화 방안으로 전라남도 농업미생물산업연구센터 설립·운영 방안 ○ 연구센터의 역할, 수익성 및 발전 방안 ○ 향후 센터의 발전 방안 - 미생물관련 업체간 네트워크 - 산·학·관·연클러스터 구축 방안 등.

(23) 5. 3.3.2. 연구 범위 한정(발효미생물 제외) ○ 이 연구에서 다루는 미생물제제의 범위는 친환경농업을 육성하는데 투입요 소로 필요한 미생물 농약, 미생물비료, 친환경유기농자재, 자가제조 유용미 생물, 사료첨가제에 한정하였음. - 전라남도가 친환경 농산물 생산의 메카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친환경 농자재 산업의 육성에 초점이 있어야 하며, 이러한 측면에서 농업과 관련 된 미생물제제만을 연구 범위로 제한함. - 농업미생물제제 산업화는 친환경 농산물 안정생산 및 기반을 조성하기 위 해 중요한 부분이며, 향후 성장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므로 이 연구 의 직접적인 범위에 해당됨. - 그러나 중장기적으로 친환경미생물제제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발효미 생물에 대한 기초 연구가 필요하기 때문에 친환경농업미생물산업연구센터 의 중장기 계획에는 발효미생물과 관련된 내용을 언급함. 표 1-1. 연구대상 미생물제제 산업구분. 미생물제제. 축산업. 연구범위. 관련법·제도. 미생물 농약. 농약관리법. 미생물비료(토양미생물제제). 비료관리법. 친환경유기농자재. 친환경농업육성법(목록공시, 인증제도). 자가제조 유용미생물. 관리법 없음. 지자체 공급 및 농가 자가제조 활용. 사료첨가제(생균제). 사료관리법. ○ 그러나 발효식품(발효미생물)은 농업 투입재인 농업미생물제제보다 범위가 크고 다양한 제품으로 구성되어 있는 산업이므로 이 연구에서 함께 다루기 에는 한계가 있음. - 국내 농식품 미생물산업 전체(4조 2천억원) 중 발효식품시장이 3조 5천억.

(24) 6 원으로 84%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반면, 이 연구에서 다루는 친환경미생 물제제는 아주 미미한 수준에 불과함. - 이 연구에서 발효미생물까지 다룬다면 발효미생물제제에 연구의 초점이 맞추어져야 하는 어려움이 있음. ○ 단, 몇 가지 측면에서 볼 때 발효미생물 분야 또한 미생물 산업 육성차원에 서는 일부 관련이 있음. 또한 향후 친환경농업 미생물제제를 포함한 미생물 산업 전반에 걸쳐 중요한 육성 기반이 될 수 있는 분야이므로 이 연구의 부 록2)에서 관련 산업 현황과 방향을 별도로 제시함. - 발효미생물 분야는 미생물산업의 중장기적인 육성 측면에서 볼 때, 친환경 농산물을 활용한 고부가가치 창출에 기여가 가능한 주력 분야가 될 가능성 이 높음. - 게다가 이 연구의 주된 대상인 친환경미생물제제 산업에 있어서도 미생물 에 대한 기초 연구는 필수적이기 때문에 발효미생물 산업 육성을 통해 기 여가 가능한 부분도 클 것으로 예상됨. - 전라남도의 경우 우리나라에서 친환경농산물 인증 재배면적이 가장 넓어 생산량이 가장 많고, 수산물(어류, 젓갈류)도 풍부하여 발효식품과 관련된 미생물산업에 있어서도 경쟁력을 갖출 잠재성이 충분함.. 4. 연구 방법. ○ 친환경농업 미생물제제 관련 정책자료 및 통계자료 이용과 분석 - 정책자료(중앙정부, 지방정부 자료 취합) 이용 - 통계자료(생산량, 시장규모, 협의회 자료, 수출입 자료 등) 이용. 2) <부록1> 참조.

(25) 7 ○ 친환경농산물 생산농가의 미생물 종류별 활용실태 농가조사 - 미생물제제를 사용하는 친환경농업 실천 농가의 미생물제제에 대한 인지도, 사용경험, 이용 시 문제점 등을 파악하기 위해 전라남도 곡성, 담양, 장성 지 역의 123호 농가(수도작, 채소, 과일 재배 농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실시 - 농가 조사는 2010년 8월 4~13일(10일) 동안 개별 면담 조사를 통해 실시하 였으며, 조사 내용은 미생물제제 사용실태(인지도, 사용 경험, 만족도, 구입 경로), 이용 시 문제점 및 개선 방향, 미생물제제별 사용 전망, 농가의 제품 개발 수요 등 표 1-2. 농가 조사 개요 내 조사 시기 조사 대상. 용. 2010년 8월 4일 ∼ 2010년 8월 13일(10일) 전라남도 곡성, 담양, 장성 지역의 친환경농업인 대상 -123호 농가(수도작, 채소, 과일 재배 농가) 미생물제제 사용실태(인지도, 사용 경험, 만족도, 구입 경로). 조사 내용. 미생물제제 이용 문제점 및 개선 방향 미생물제제 사용 전망 미생물제제 제품 개발 방향. ○ 친환경 미생물제제관련 전문가 및 제품 공급업체 조사 - 국내 미생물제제의 기술수준과 산업화 방향에 대한 국내 전문가들의 의견 을 파악하기 위해 미생물 관련 연구기관, 미생물자원 관리기관, 미생물제 제 제조업체 등에 재직 중인 전문가 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함. 이 중 회수된 전문가 조사 결과 중 유효한 응답 내용을 제시한 24명의 전문 가 의견을 분석 - 전문가 조사는 2010년 8월 4~13일(10일) 동안 우편 및 팩스 조사를 통해 실시하였으며, 사전에 방문 및 면담조사를 통해 조사표를 수정하여 활용.

참조

관련 문서

미리 만들어 놓은 질문에 응시자가 응답하도 록 하는 방법으로 면접관이나 응시자가 그들 생각을 자유롭게 펼칠 수 없다.. 응시자의 상황판단과

- 석탄가스화 기술 : 석탄을 고온, 고압하에서 가스화시켜 CO와 H₂를 주성분으로 하는 합성가스를 생성하는 기술. - 저온습식 및 고온건식 탈황 기술 : 합성가스 내에

유연한 데이터의 이동성 | 엔터프라이즈 수준의 클라우드 향 데이터 서비스 | 운영 및 관리 통합... 데이터베이스 인프라의

□ 대부분의 증강현실 기술이 시각적 출력 생성에 초점을 두고 있으나, 스피커를 통합한 프로토타입 안경을 사용하여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음향을 동반한

실리콘 박막 태양전지 모듈 제조 공정. BIPV 적합성

자료공조 경찰이 필요로 하는 모든 수사정보를 자료화함으로써 그 시점의 모든 경찰이 이를 자기수사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외에 그 자료가 영구히 남아서 미래의

정보와

위해서는 높은 단량체 전환율, 높은 단량체 순도, 높은 반응수율, 화학적 등가의 작용기를 사용해야 한다. 단량체의 전환율에 따라 단량체의 분포가 달라지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