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전라남도 친환경 농업미생물산업연구센터의 육성방향

그림 4-1. 농업미생물산업연구센터 육성방향

비전

추진 목표

미생물제제를 이용한

신성장 산업 창출 및 기업경쟁력 강화 안전한 농자재 공급으로 친환경농업 확대

친환경농업미생물 R&D를 기초로 친환경농업과 전후방산업 지원

1

화학비료, 농약을 대체할 농생명산업 인프라 구축

2

양질의 값싼 미생물제제 공급체계 구축

3

미생물의 고부가가치화 및 발효산업의 원천기술 확보

4

현장밀착형 미생물 R&D를 통해 제품기준 정립

5

농업미생물제제의 안전성, 기능성 등 품질인증

6

미생물제제 교육과 컨설팅의 R&D로 피드백

육성 방향

3.1. 비전과 목표

○ R&D를 기초로 신성장산업체인 미생물제제 기업(후방산업)을 지원하고 농 업인에게 안전하고 기능성 있는 농업미생물제제를 공급하여 친환경농업의 확대(전방산업)를 지원함.

- 친환경 농업미생물제제 산업화를 위해 기업을 유치하고 지원함.

- 농업미생물제제의 기준 정립 및 품질인증을 통해 농업인에게 신뢰성을 확보함.

3.2. 육성 방향

3.2.1. 화학비료, 농약을 대체할 친환경 농생명 산업의 인프라 구축

○ 향후 농업은 식품안전성 중시, 환경 중시의 농업생산인 친환경농업이 대세 이므로 농약과 화학비료의 대체 효과를 지닌 친환경 농업미생물의 수요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 세계적으로 식품안전성이 강화되며 친환경농산물의 시장 확대가 예상되 는 가운데, 우리나라 환경에 적응한 미생물(토착미생물)의 제품화(=산업 화)는 친환경농업의 핵심 농자재이고, 친환경 농업미생물제제는 향후 성 장 가능성이 큰 전략 산업임.

○ 미생물 R&D 등 친환경 농업미생물제제 이용 종합 방제 프로그램(IPM) 연 구 및 통합관리 시스템 개발은 친환경농업의 성장에 반드시 필요한 선행과 제임.

- 미생물제제의 개발에는 미생물 자원 확보와 막대한 예산이 소요됨.

- 그러므로 미생물 자원 확보가 용이한 중앙(또는 지방)정부 산하 연구소 (센터)가 미생물 R&D를 통해 미생물제제를 개발하고, 이를 기업에 기술

이전하여 보급해야 함.

3.2.2. 양질의 값싼 미생물제제 공급으로 친환경농업 육성의 기반조성

○ 친환경 농업미생물제제는 농업분야에 새로운 고부가가치가 기대되는 산업 으로서, 농업인이 사용하기 편리하고 값싼 친환경 농업미생물제제의 공급 은 친환경농업 육성의 기반조성에 해당함.

- 친환경 농업미생물산업연구센터는 R&D 등 기술지원으로 기업의 기술력 향상을 유도하고 상품화에 필요한 행정, 제도 등의 컨설팅을 통합적으로 지원하여 친환경 농업미생물제제 산업을 육성할 필요가 있음.

- 현재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친환경 농업미생물제제는 상대적으로 낮은 방제율, 효능효과 검증 미진, 대부분 액상 제형으로 유통되며 유통과정 중 효능 저하, 비싼 제품 가격 등이 친환경 농업미생물제제 시장 확대의 걸림돌로 작용함.

○ 우리나라 미생물 연구성과는 많으나 제제화(=산업화)로 연결되지 못하고 사장되는 반면, 농업미생물제제의 수입이 증가하고 있음.

- 친환경 농업미생물제제 생산 기업이 대부분 영세하여 품질 보증이나 사 후관리 등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안전성, 기능성이 확보되지 않은 미생물제제의 난립으로 친환경 농업미생물제제의 수요에 부응하지 못하 고 있음.

- 농가 또는 생산자단체에서 미생물 배양 등 자가제조 형태가 증가하고 있 으나 효능·효과가 검증되지 않다보니 친환경농업의 생산 불안정 요인으 로 작용함.

3.2.3. R&D로 미생물의 고부가가치화, 발효산업의 원천 기술 확보

○ 발효산업의 핵심은 바로 미생물이고, 같은 재료라 해도 다른 미생물을 거치

면 다른 제품이 되므로 향후 발효산업은 무궁무진한 가능성이 있는 부문임.

- 예를 들면, ‘쌀’의 발효 산업으로 막걸리나 바이오연료 등은 원료는 쌀이 지만 미생물이 다른 전혀 다른 상품이고 발효과정을 거치며 부가가치가 크게 증가함.

- 미생물 활용 분야는 기술집약적 산업이고 저탄소 녹색기술 산업을 선도함.

○ 그러므로 농업미생물산업연구센터는 미생물제제 산업화를 통해 전라남도 가 추진하는 생물산업 육성기반을 확고히 마련하고 신기능성 미생물소재 클러스터를 구축하는데 주도적 역할을 할 수 있음.

3.2.4. 현장밀착형 미생물 R&D를 통해 제품기준 정립

○ 농업미생물제제의 관리 차원에서 제품 기준을 설정하는 것은 미생물제제의 공정성 확보에 필요하며 미생물제제 시장 확대에 기여함.

- 현재 농업미생물제제의 산업화의 큰 걸림돌은 미생물제제의 제품 표준 화, 미생물제제의 안전성과 기능성의 검증, 제품효능을 보증할 제도와 기관이 없어 혼란이 가중되고 있음.

- 미생물제제제의 기준과 표준화된 배양 및 관리, 유통매뉴얼 등은 미생물 제제의 신뢰도를 높여 공정한 시장 형성 및 활성화에 기여할 것임.

○ 따라서 친환경 농업미생물산업연구센터는 농업미생물제제의 안전성, 기능 성을 분석·검토 등 제품기준과 생산·유통 과정에서의 품질관리 지침을 설정 하여야 함.

3.2.5. 농업미생물제제의 안전성, 기능성에 대한 품질인증

○ 친환경 농업미생물제제는 효능이 검증되지 않은 제품이 유통되면서 시장의 혼란을 가중시키는 측면도 큼. 따라서 미생물제제의 안전성, 기능성 등 품

질을 인증하는 공인 기관이 필요하지만 아직 실질적인 인증기관이 없음.

- 공인기관이라 할 수 있는 농촌진흥청, 도농업기술원 등이 친환경농업 육 성에 의지가 약하기 때문으로 판단됨.

○ 친환경농업 육성에 의지가 강하고 친환경 농업미생물제제 품질인증의 필요 성을 먼저 인식하고 있는 전라남도는 농업미생물제제에 대해 자체적인 품 질관리 체계를 갖추어 친환경농업을 리드해야 함.

- 품질인증은 미생물제제 산업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수요자(농업인)의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으므로 농가소득 증대에 기여함.

- 중앙정부의 시책을 기다릴 필요없이, 필요에 따라 신뢰체계를 갖추는 것 은 시장 선점의 좋은 기회임.

- 친환경 농업미생물산업연구센터는 R&D를 통한 기술개발과 더불어 품질 인증을 수행하고 품질인증 과정의 노하우를 피드백하여 R&D에 접목하 는 등 미생물제제의 제품기준 설정과 품질인증의 관리 체계를 일원화 함.

3.2.6. 농업인을 대상으로 미생물제제에 대한 교육 및 컨설팅 지원

○ 미생물제제에 대한 농업인의 인식 제고를 위해 표준화된 배양 및 관리, 유 통 매뉴얼을 제공하고 이에 대한 교육 실시가 필요함.

- 현재 친환경 농업미생물제제 공급의 1/3은 지자체의 친환경농자재 지원 사업으로 이루어지고 있음.

- 친환경농업 경영에 미생물제제의 수요가 있으므로 지원하고 있으나 미 생물제제의 사용 및 관리 교육이 부족하다보니 효과가 낮고 그에 따라 미생물제제에 대한 신뢰가 낮음.

○ 미생물제제 산업의 발전에는 농업인의 미생물제제 수요와 이용이 증가하여 실질적인 소득 효과로 나타나야 함.

- 신뢰할 수 있는 농업 미생물제제의 공급과 함께 농업인의 토양에 적합한

미생물제제의 선택 및 미생물제제의 올바른 사용과 관리에 대한 교육이 필요함.

- 그러므로 친환경 농업미생물산업연구센터는 R&D 사업이 피드백 되도록 농업인의 교육과 현장 컨설팅을 주요 사업으로 책정해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