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친환경 미생물제제 수요전망

4.1. 미생물제제 수요 전망 개요

○ 친환경농업에 사용되는 미생물제제와 사료용 생균제는 정확한 시장 규모나 추정치에 대한 자료가 없음. 따라서 2008년 추산된 미생물제제 종류별 생산 액 규모13)를 기준으로 친환경농업 재배면적의 증가 추세를 적용하여 미생 물농약, 미생물비료, 친환경유기농자재의 각 생산액을 전망함.

그림 3-6. 미생물제제 수요 전망 개요

○ 또한 축산업에서 허용되는 사료용 항생제 수의 감소 및 완전 폐지(2011년 7월) 정책에 따라 사료용 생균제가 사료용 항생제를 대체하는 것으로 가정 하여 수요 규모를 전망함.

13) 농림수산식품부(2009)

○ 친환경농업에 사용되는 미생물제제(미생물농약, 미생물비료, 친환경유기농 자재)와 축산업에 사용되는 사료용 생균제의 생산액 전망치의 합을 미생물 제제 산업의 시장 규모 전망치로 제시함.

○ 또한 추정된 국내의 미생물제제 수요 규모를 바탕으로 전라남도가 차지하 는 비중을 제시하고 향후 해외로부터 수입되는 미생물제제 제품의 일부를 대체하는 경우와 국내 제품의 수출을 확대하는 경우의 시나리오를 가정하 여 전망한 수요 규모를 제시함.

4.2. 미생물제제 종류별 수요 전망

4.2.1. 친환경농업 인증 재배면적 전망

가. 친환경농업 인증 재배면적 전망의 기본 가정

○ 유기농, 무농약 인증 재배면적은 과거 5년(2005~2009년)의 평균 증가율을 적용하고, 증가율은 체감하는 것으로 가정함.

- 저농약의 신규인증 폐지(2010년) 및 완전 폐지(2015년)의 영향에 따라 2014년 저농약 인증의 50%가 유기(20%), 무농약(30%) 인증으로 진입한다고 가정

○ 저농약 인증 폐지 계획에 따라 향후 저농약 인증 재배면적은 점차 감소하다 가 2015년부터 없는 것으로 가정

- 최근 2년(2008~2009년)의 감소율 적용

○ 친환경농업 육성 정책에 대한 정부의 구체적인 계획이 발표된 바 없으므로 다른 정책적 영향은 없는 것으로 가정

표 3-16. 친환경농업 인증 재배면적 전망의 기본 가정 내 용

유기, 무농약

・ 과거 5년(2005~2009)의 평균 증가율 적용

・ 저농약 신규인증 폐지 및 완전폐지(2015년) 영향에 따라 저농약 인증의 50%가 유기(20%). 무농약(30%) 인증으로 진입

저농약 ・ 2008~2009년의 감소율 적용

○ 전라남도 친환경농업 인증 재배면적

- 전라남도의 유기, 무농약 인증 재배면적 전망은 2009년을 기준으로 전국 인증면적 중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적용하여 산출하였으며, 저농약은 전체 인증 재배면적의 최근(2008~2009년) 감소율을 적용

나. 친환경농업 인증 재배면적 전망

○ 우리나라의 친환경농업 인증 재배면적(유기, 무농약, 저농약 인증)은 2009 년에 201,688 ha로 전체 경지면적의 약 11.6%를 차지함.

○ 위에서 살펴 본 가정을 적용하여 인증 재배면적을 전망한 결과, 2020년에 우리나라 친환경농업 인증 재배면적은 391,240 ha로 총 경지면적 1,760,000 ha14) 중 22.2%를 차지할 전망

- 인증 재배면적은 과거의 증가 추세를 유지해 오다가 2015년 저농약 인증 완전 폐지에 따라 다소 감소할 전망

14)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전망 2010」 전망치

그림 3-7. 전국 친환경농업 인증 재배면적 전망

○ 2020년 전라남도의 친환경농업 인증 재배면적은 111,602 ha로 총 경지면적 의 6.3%, 전체 인증면적의 28.5%에 이를 전망임.

- 전라남도의 친환경농업 인증 재배면적의 경우도 우리나라 전체 인증면적 의 변화와 비슷한 양상을 보임. 그러나 저농약 인증 재배면적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기 때문에 저농약 인증 폐지 이후 총 인증면적의 감소는 상대적 으로 전국에 비해 클 것으로 전망됨.

그림 3-8. 전라남도 친환경농업 인증 재배면적 전망

- 따라서 향후 저농약 인증 농가의 무농약 및 유기 인증 진입 정도에 따라 총 인증 재배면적이 크게 달라질 수 있음.

4.2.2. 친환경농업 미생물제제 수요 전망

가. 친환경농업 미생물제제 수요 전망의 기본 가정

○ 미생물농약, 미생물비료, 친환경유기농자재의 사용량은 친환경농업 인증 재 배면적에 비례하는 것으로 가정

○ 따라서 2008년 친환경농업 미생물제제 시장 규모를 기준으로 친환경농업 인증 재배면적 전망에서 도출된 증가율을 적용하여 생산액 규모를 추정함.

○ 미생물농약, 미생물비료, 친환경유기농자재가 전체 미생물 제제 중에서 차 지하는 비율은 2008년 생산액 자료에서 나타난 비율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적용함(표 3-17).

표 3-17. 미생물농약, 미생물비료, 친환경유기농자재의 생산액 규모(2008년 기준)

단위: 억 원, %

생산액 구성비

미생물농약 17.8 5.6

미생물비료(토양미생물제제) 200.0 62.6

친환경유기농자재(목록공식제 등록 제품 생산액) 101.9 31.9

계 319.7 100.0

주: 친환경유기농자재(목록공시제 등록제품)는 농약연보(2010)의 ‘생물농약 등’ 항목 자료.

자료: 농림수산식품부(2009)

나. 친환경농업 미생물제제 수요 전망

○ 미생물제제 시장규모는 2008년 319.7억 원에서 2020년 718.3억 원으로 증 가할 전망임.

- 미생물비료, 미생물농약, 친환경유기농자재는 기존의 친환경농업 인증 재 배면적 증가와 함께 꾸준히 증가할 전망이지만, 저농약 인증의 완전 폐지 에 따라 2015년에 일시적으로 감소했다가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할 전망

그림 3-9. 친환경농업 미생물제제의 생산액 전망

표 3-18. 친환경농업 미생물제제의 생산액 전망

단위: 억 원

  2008 2011 2015 2020

미생물농약 17.8 28.4 34.4 40

미생물비료 200 318.6 386.9 449.4

친환경유기농자재 101.9 162.3 197.1 228.9

소계(미생물) 319.7 509.2 618.4 718.3

4.2.3. 사료용 생균제 수요 전망

가. 사료용 생균제 수요 전망의 기본 가정

○ 사료용 생균제의 사용량은 사료용 항생제와 대체 관계인 것으로 가정

- 축산업에 허용된 사료용 항생제 수가 감소하는 기간 동안에는 사료용 생균 제 시장이 일정하게 성장하는 것으로 가정함.

○ 배합사료에 첨가되는 사료용 생균제의 중량 비율15)은 일정한 것으로 가정

○ 사료용 항생제 첨가가 금지되는 시기인 2011년 7월을 기준으로 그 전까지 매년 20% 성장을 유지하는 것으로 가정하고16), 사료용 항생제 사용이 전면 금지되는 2011년 이후부터는 증가율이 체감하는 것으로 가정.

나. 사료용 생균제 수요 전망

○ 사료용 생균제는 사료용 항생제 허용 종류수 감소에 따라 연평균 20%로 성 장해 왔으며 2007년을 기준으로 생산액은 500억 원에 달함.

- 2007년의 500억 원을 기준으로 과거의 성장 추세를 유지할 경우 사료용 생균제의 시장 규모는 항생제 사용이 금지되는 2011년까지 약 889억 원 으로 증가할 전망임.

- 2011년 이후부터는 기존의 사료용 항생제 허용 종류수가 감소되어 온 시 기보다 성장 속도가 완만해질 것으로 가정하여 증가율의 체감을 적용하 여 추정함. 그 결과, 사료용 생균제 수요 규모는 2020년에 1,075억 원에 이를 전망임.

15) 일반적으로 사료용 생균제는 사료 중량의 0.12~0.3%에 해당되는 양이 투입되며, 사료용 항생제가 사료 중량의 0.02~0.05%인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투입되는 중량이 큰 편임(전 문가 조사 결과).

16) 사료용 첨가제(생균제, 악취저감제) 생산액은 2007년 기준 500억 원이며 연평균 20%씩 성장해 옴(농림수산식품부, 2009).

그림 3-10. 사료용 생균제 수요 전망

4.3. 미생물제제 시장 전망

4.3.1. 미생물제제의 국내 시장 전망

○ 기존의 친환경농업 인증 재배면적의 증가 추세와 사료용 생균제 시장의 성 장 추세를 바탕으로 미생물제제의 국내 수요 규모를 종합적으로 전망하면

<표 3-19>에서 보는 바와 같음.

○ 미생물농약, 미생물비료, 친환경유기농자재, 사료용 생균제의 수요 규모는 2008년에 약 910억 원에서 점차 증가하여 2011년에 약 1,398억 원, 2015년 에 1,668억 원, 2020년에 약 1,793억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됨.

- 단, 기존의 성장 추세만을 고려했기 때문에 다른 요인들의 영향 정도에 따 라 수요 규모는 크게 달라질 수 있으며, 해당 연구 범위 밖의 미생물제제는 추정에서 제외함.

2008 2011 2015 2020

미생물 농약 17.8 28.4 34.4 40.0

미생물 비료 200.0 318.6 386.9 449.4

친환경유기농자재

(목록공시 제품) 101.9 162.3 197.1 228.9

사료용 생균제 590.0 888.6 1,049.9 1,074.8

계 909.7 1,397.8 1,668.2 1,793.1

표 3-19. 미생물제제 수요 전망

단위: 억 원

주 1) 2008년은 수요 전망 기준 연도

2) 2008년 사료용 생균제는 2007년(500억 원)을 기준으로 전망한 수치

4.3.2. 시나리오별 미생물제제 시장 전망

○ 우리나라의 미생물제제 수요 전망을 바탕으로 전라남도의 친환경농업 인증 재배면적 목표치에 따른 미생물제제 수요 규모를 전망함. 또한 2014년 이후 부터는 해외로부터 수입되는 미생물제제의 일부를 국내 제품으로 대체할 경우와 국내의 고품질 미생물제제 개발에 따라 수출을 확대하는 경우를 가 정하여 수요를 전망함.

○ 시나리오 1

- 전라남도가 기존의 친환경농업 육성 정책 기조를 유지 및 강화할 경우 2020년에는 전체 친환경농업 인증 재배면적의 70%까지 증가할 수 있을 것이라는 낙관적인 목표치를 설정하여 추정

- 현재(2009년) 전라남도의 친환경농업 인증 재배면적은 전체 인증면적의 51.9%를 차지

○ 시나리오 2(base line)

- 친환경농업 인증 재배면적 증가 추세와 사료용 생균제 사용량 증가에 따른 미생물제제 수요 전망의 기본 시나리오(2020년 1,793억 원 규모)

○ 시나리오 3 (2014~2020년)

- 시나리오 2의 30%에 해당하는 수입제품을 국내 제품으로 대체할 경우17)

○ 시나리오 4 (2014~2020년)

- 시나리오 3에서 수입대체 30%와 수출을 30% 확대할 경우 표 3-20. 미생물제제 수요 전망 시나리오

기본 가 정

시나리오 1

・ 전라남도의 친환경농업 미생물제제 수요 전망

- 전라남도의 친환경농업 인증 재배면적이 2020년까지 우리나라 전체 인증 재배면적의 70%를 차지

시나리오 2 ・ 기본 시나리오

- 기본 국내 수요(2020년 1,793억 원 규모) 시나리오 3

(2014~2020)

・ 수입대체효과 적용

- 국내 수입 규모의 30%를 대체할 경우 시나리오 4

(2014~2020)

・ 수출확대효과 적용

- 시나리오 3(국내 수요 + 수입대체효과 전망)의 30%를 수출 확 대할 경우

그림 3-11. 시나리오별 미생물제제 수요 전망

17) 정확한 수입 자료를 얻기는 불가능하며, 일반적으로 70~80%를 수입한다고 가정

○ 우리나라의 미생물제제 수요 전망(시나리오 1)을 바탕으로 전라남도의 친환 경농업 인증 재배면적이 2020년까지 전체의 70%를 차지한다고 가정하여 추정한 결과, 2020년 전라남도의 미생물제제 수요 규모는 1,255억 원에 이

○ 우리나라의 미생물제제 수요 전망(시나리오 1)을 바탕으로 전라남도의 친환 경농업 인증 재배면적이 2020년까지 전체의 70%를 차지한다고 가정하여 추정한 결과, 2020년 전라남도의 미생물제제 수요 규모는 1,255억 원에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