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1절 대도시 환경경쟁력 진단 지표 개발

1. 통합관리 지표 DB 구축

환경지표와 관련된 선행 연구에 의하면, 환경과 관련된 지표들은 도시경쟁력 을 평가하는 하나의 지표 또는 부문 지표로 선정되어 환경요소 간 통합관리 의 미가 반영되지 못하는 한계를 보여왔다. 그러나 이 연구는 환경경쟁력을 진단 하기 위해 환경요소 간 통합을 바탕으로 도시환경 경영가치에 맞는 목표관리 지표를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기존의 환경지속성지수(ESI), 환경성과지수(EPI), 녹색 생활역량지수(GLCI), 기후변화 적응지수, 저탄소 녹색성장 종합평가 지수, 기 후변화대응지수(CCPI), 지속가능발전지표, 녹색경쟁력 지표 등을 바탕으로 서 울의 환경경쟁력 평가에 필요한 진단지표 DB를 선별적으로 구축하였다.

이는 향후 서울의 환경경쟁력 향상을 위해 저탄소사회, 자원순환사회, Zero 배출 사회 실현 등에 핵심 경영가치를 부여할 경우, 경영가치와 상응하는 지표항목 분류에 따라 경쟁력 수준의 진단ㆍ평가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개별 경영가치의 통합관리에 의한 목표수준의 전체 달성 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1) 환경지속성지수(ESI)

지속가능한 환경정책 결정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1999년부터 세계경제포럼(WE F:World Economic Forum)의 Global Leaders for Tomorrow Environment Task Force는 콜롬비아 대학의 CIESIN(The Center for International Earth Science Imformation Network), YCELP(The Yale Center for Environment Law and Policy)와 의 공동연구를 통해 환경지속성지수(ESI) 개발을 위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1999년 처음으로 실험적 ESI를 발표한 이래 매년 정기적으로 전 세계국가의 환경지 속성을 비교ㆍ평가한 ESI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2001 ESI, 2002 ESI, 2005 ESI).

ESI 개발 프로젝트의 목적은 전 세계국가들의 환경보전과 환경적으로 지속 가능한 발전을 달성할 수 있는 역량을 평가하는 데 있다.

2005 ESI 구성요소는 환경시스템, 환경부하 경감, 인간취약성 저감, 사회ㆍ

구성요소 지표 변수

2) 환경성과지수(EPI:Envrionmental Performance Index)

3) 녹색생활역량 지수(Green Life Capacity Index)

에너지 수급 불균형을 해소하고 기후변화와 저탄소 시대에 효과적으로 대응

하기 위해서는 녹색생활이 확산되어야 한다. 녹색생활이란 산업분야는 물론 가 정, 상업, 수송 등 비산업 부문에서도 생활단계별로 친환경 소비습관을 지속적 이며 의식적으로 추구하는 것을 의미한다. 녹색생활이 사회 전반에 뿌리를 내 려야 녹색성장도 가능하기 때문이다. 녹색생활을 정착ㆍ확산시키기 위해서는 사회 전반의 역량 증대가 기본조건이 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삼성경제연구소(2010)는 개인 차원의 녹색생활 노력을 유도할 수 있 는 사회적 역량과 잠재력을 평가하기 위해 ‘녹색생활역량지수(GLCI)’를 개발하 였다. 녹색성장, 녹색산업 경쟁력 등 단기적 성과에 치중한 기존 녹색지수17)와 달리 녹색생활을 중심으로 기후변화 대응역량의 평가에 주된 관심을 두고 있다.

녹색생활 확산의 잠재력을 녹색생활역량으로 정의하고, 이를 ‘중앙의 역량’

과 ‘지역사회의 역량’으로 구분하여 지수를 구성하고 있다.

‘중앙의 역량’은 녹색생활을 촉진하기 위해 규제를 정비하고 녹색생활의 편 의를 높이는 관련 기술과 인프라를 구축하는 역량으로 녹색규제, 녹색기술 및 녹색인프라 구축 능력 등 총 10개 지표로 구성된다. ‘지역사회의 역량’은 녹색 거버넌스를 구축하고 녹색규범을 효과적으로 형성ㆍ유지하는 것과 관련된 능 력으로 12개 지표로 구성되어 있다.

자료:강희찬 외, 녹색생활혁명:기후변화 대응의 신해법, CEO Information, 2010. 8. 18(제768호)

<그림 5-2> 녹색생활역량 지수의 구조

17) 환경성과지수(Environmental Performance Index), 환경가능성지수(Environmental Sustainability Index) 등이 대표적임.

구분 지표 변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