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시간적 범위

서울의 환경정책 가운데 기후ㆍ에너지ㆍ대기, 자원순환(물ㆍ폐기물) 등 2개 분야를 중심으로 서울의 환경경쟁력 확보를 위한 민선5기 정책방향을 검토한다.

2) 내용적 범위

◦환경경쟁력 개념 정의 및 지표 정리

국내외 도시경쟁력 평가 사례를 바탕으로 환경경쟁력 개념을 도출하고, 서울의 환경경쟁력 비교 평가체계 마련에 필요한 환경경쟁력 평가지표를 분류ㆍ정리한다.

◦Global Standard 기반 환경조건 분류 및 평가지표

일반시민, 전문가를 대상으로 서울의 환경수준, 환경정책의 방향, 도시 경쟁 력 등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통합환경 목표관리 평가지표를 개발ㆍ적용 하여 Global Standard에 기반한 서울의 환경경쟁력 수준을 진단한다.

◦서울의 환경경쟁력 SWOT 분석

기후ㆍ에너지ㆍ대기, 자원순환(물ㆍ폐기물) 등 2개 분야로 구분하고, 분야별 SWOT 분석을 통해 서울의 환경경쟁력 비교우위 확보 전략을 도출한다.

◦해외 사례 분석

선진도시에서 추진 중인 통합 환경관리 전략 사례의 수집 및 비교 분석을 바 탕으로 제반 시사점을 도출하여, 향후 서울의 환경경쟁력 비교우위 확보 전략 수립에 원용한다.

◦환경경쟁력 비교우위 확보전략

서울의 환경경쟁력 취약 및 강점요인을 진단하여, 환경경쟁력 비교 확보요인 을 도출한다. 또한 세계 대도시 환경정책의 새로운 흐름인 통합 환경관리 전략의

정책형성 과정(정책개발-결정-이행ㆍ평가)과 연계가 용이하고, 시민의 환경 체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가치 창출형 통합 환경관리 전략 마련을 검토한다.

3) 대상적 범위

화석연료 연소에 의한 기후변화 대응 및 적응, 에너지ㆍ자원 위기 극복, 대기 환경 개선 등 부문별 관리를 지양하고, 기후ㆍ에너지ㆍ대기 통합관리를 검토하 며, 폐기물 관리와 물순환도 분야별 개별 관리에서 자원순환의 통합관리로 유 도한다. 이에 따라 서울의 환경경쟁력 비교우위 확보를 위해 우선적으로 기후 변화에의 대응 및 적응ㆍ에너지 관리ㆍ청정대기, 자원순환(폐기물 관리ㆍ물순 환) 등 2개 분야를 중심으로 분석한다.

분석의 공간적 범위는 서울시로 한정하나 환경경쟁력 확보를 위한 지속가능 한 통합관리 등과 연계된 지역은 예외로 적용한다.

2. 연구방법

1) 문헌 연구 및 기초자료 조사

도시의 환경경쟁력 향상을 둘러싼 국내외 동향을 파악하고, Global Standard 수준에 기반한 서울의 환경경쟁력 수준 진단에 필요한 관련 문헌을 검토하며, 서울시 환경정책의 비교 경쟁력 배양과 관련된 기초정보를 수집한다.

2) 해외 선진사례 조사

선진도시에서 추진 중인 통합 환경관리 전략 사례를 수집 및 비교 분석하여, 시민 눈높이 맞춤형 통합 환경관리 전략의 수립ㆍ추진에의 원용 가능성을 모색 한다. 대상도시는 서울을 포함한 도쿄, 런던, 파리, 베를린, 뉴욕, LA, 토론토 등 8개 도시이며, 베이징ㆍ상하이는 참고도시로 정책사례를 검토한다.

3) 설문조사

제1절 도시경쟁력 개념 및 선행연구 고찰 제2절 패러다임의 변화

제3절 Global Standard 기반 환경경쟁력 평가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