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지하주거 거주가구의 사회경제적 특성

수도권 임차가구에서 지하주거와 비주택은 저소득층이 주로 거주하는 주택유형이다 (<표 3-8> 참고). 거주가구의 소득수준은 아파트, 지상주거, 지하주거, 비주택의 순 서로 낮아지는데, 저층주거지 내에서 지상주거와 지하주거 사이에 큰 차이가 있으므 로, 지하주거는 소득수준에서 지상주거보다는 비주택에 가깝다. 소득수준 차이에 따라 저소득 비율은 지하주거와 비주택에서 각각 74.7%와 85.8%로 월등히 높다. 저소득 은 전국을 기준으로 하위 40%로 정의한다.

그리고 주택유형별 자산과 부채도 소득수준과 유사한 형태를 보인다(<표3-8> 참 고). 아파트, 지상주거, 지하주거, 비주택의 순서로 낮아지고, 지하주거는 지상주거보 다는 비주택과 더 비슷하다. 하지만 지하주거와 비주택의 자산-부채 구조는 상당히 다 르다. 평균 자산은 지하주거가 비주택보다 거의 2배 가까이 높지만, 평균 부채는 거의 똑같다. 이에 따라 비주택은 자산보다 부채가 훨씬 많은 위험한 구조를 띤다. 따라서 소득, 자산, 부채를 기준으로 지하주거보다는 비주택이 더 취약하다고 볼 수 있다.

(단위: 만원)

구분 평균 소득 평균 자산 평균 부채 저소득 비율

수도권 임차가구 284 16,254 9,901 42.9%

아파트 임차가구 351 29,125 12,887 29.3%

저층주거지 지상주거

임차가구 262 10,279 7,276 45.5%

저층주거지 지하주거

임차가구 182 4,042 4,339 74.7%

비주택 임차가구 150 2,134 4,263 85.8%

주: 저소득층은 전국을 기준으로 하위 40%로 정의함

자료: 2019년 주거실태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활용해서 연구진 작성 표 3-8 | 수도권 임차가구의 가계금융

수도권 임차가구에서 소득변동성이 큰 비정규직은 주로 지하주거와 비주택에 거주한

수도권 임차가구 2,114,581 890,076 156,558 435,286 2,354 3,598,855 (58.8%) (24.7%) (4.4%) (12.1%) (0.1%) (100%)

아파트 임차가구 896,893 189,817 89,644 154,530 1,428 1,332,312 (67.3%) (14.3%) (6.7%) (11.6%) (0.1%) (100%) 저층주거지 지상주거

임차가구

918,588 470,949 47,144 212,893 926 1,650,500 (55.7%) (28.5%) (2.9%) (12.9%) (0.1%) (100%) 저층주거지 지하주거

임차가구

48,247 75,629 3,575 15,520 - 142,971 (33.7%) (52.9%) (2.5%) (10.9%) - (100%)

비주택 임차가구

35,731 86,533 2,545 6,333 - 131,142

(27.2%) (66.0%) (1.9%) (4.8%) - (100%) 주: 가구수는 전수화 가중치를 곱한 값임. 이탤릭체 수치는 표본이 30개 미만인 경우를 가리키므로 해석에 주의가 필요함 자료: 2019년 주거실태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활용해서 연구진 작성

표 3-9 | 수도권 임차가구의 고용형태

수도권 임차가구에서 지하주거의 가구구성은 노년 가구주 비율이 높고 비주택보다

1,933,068 2,115,135 440,349 1,571,761  2,026,864  4,489,028  (43.1%)  (47.1%)  (9.8%)  (35.0%) (45.2%) (100%)

아파트 임차가구

576,222 866,417 182,460 908,700 358,201 1,625,098 (35.5%) (53.3%) (11.2%) (55.9%) (22.0%) (100%)

저층주거지 지상주거 임차가구

934,390 926,697 184,036 577,397  1,031,575  2,045,123  (45.7%) (45.3%) (9.0%) (28.2%) (50.4%) (100%)

저층주거지 지하주거 임차가구

63,093 102,896 39,452 45,436  124,223  205,441  (30.7%) (50.1%) (19.2%) (22.1%) (60.5%) (100%)

비주택 임차가구

88,973 99,788 20,718 4,054  201,076  209,953  (42.5%) (47.6%) (9.9%) (1.9%) (95.8%) (100%) 주: 가구주 연령대에서 청년은 19~39세를, 중장년은 40~64세를, 노년은 65세 이상을 가리킴. 자녀양육가구는 자녀가 있는 가구를 의미함. 이탤릭체 수치는 표본이 30개 미만인 경우를 가리키므로 해석에 주의가 필요함 자료: 2019년 주거실태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활용해서 연구진 작성

표 3-10 | 수도권 임차가구의 가구구성

수도권 임차가구에서 점유형태를 기준으로 지하주거보다 비주택이 더 불안정하다

수도권 임차가구 2,079,314 291,631 1,430,301 662,651 4,463,897 (46.3%) (6.5%) (31.9%) (14.8%) (100%)

아파트 임차가구 912,231 223,605 458,669 21,141 1,615,646 (56.5%) (13.8%) (28.4%) (1.3%) (100%) 저층주거지 지상주거

임차가구

973,192 57,233 688,546 316,349 2,035,320 (47.8%) (2.8%) (33.8%) (15.5%) (100%) 저층주거지 지하주거

임차가구

68,442 4,762 90,529 41,043 204,776 (33.4%) (2.3%) (44.2%) (20.0%) (100%)

수도권 임차가구에서 평균 RIR를 기준으로 주거비 부담이 가장 높은 주택유형은 아

하지만 주거비 과부담 가구를 소득수준과 주거환경으로 분해해서 살펴보면 상당히

저소득 32,228 82,996 63,197 573,053

중소득 2,811 9,740 43,907 351,182

고소득 1,036 5,891 9,806 144,452

아파트 임차가구 (636,173)

저소득 2,420 6,141 17,704 170,458

중소득 2,443 4,901 35,176 247,016

고소득 1,036 5,407 9,518 133,953

저층주거지 지상주거 임차가구 (474,736)

저소득 18,255 41,322 35,012 267,886

중소득 367 4,315 8,335 90,888

고소득 - 484 289 7,583

저층주거지 지하주거 임차가구 (50,459)

저소득 5,923 17,120 733 25,381

중소득 - 523 - 779

고소득 - - -

-비주택 임차가구 (69,178)

저소득 3,749 14,144 3,527 47,758

중소득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