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조절효과 검증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06-116)

본 연구에서 조절변수로 선정한 사이버 사회적 지지와 리더-멤버 교환관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3단계에 걸쳐 회귀분석을 계층적으로 실시하여 회 귀분석의 설명력의 증분(△R2)값을 통해 회귀식의 유의성을 분석하는 조절효과 검증방법인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의 회귀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제1단계:y=

β

0+

β

lXl+ε

제2단계:y=

β

0+

β

lXl+β2X2+ε

제3단계:y=β0+βlXl+β2X2+β3X3+ε Y:종속변수

X1:독립변수 X2:조절변수

X3:Xl과 X2간의 상호작용 항

β

0:상수,

β

l

β

2

β

3:회귀계수,ε:잔차 항

1)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1)직무요구와 직무소진 및 직무열의 간의 관계에서의 조절효과

<가설 7>과 <가설 8>은 사회복지사의 사이버 사회적 지지가 직무요구 와 직무소진,직무열의 간의 관계에서 조절역할을 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 다.사이버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에 대한 분석결과는 <표 4-34>와 같다.

<표 4-34>에서 보는 바와 같이,직무요구가 직무소진 및 직무열의를 설명 해 주는 수준은 p<0.001유의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조 절효과 분석결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직무요구와 사이버 사회적 지지 간의 상호작용 항이 투입된 3단계에서 △R2값이 각각 0.049와 0.055로 유의 수준 P<0.05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사이버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 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사회복지사의 사이버 사회적 지지수준이 높은 경우 에는 직무요구 수준의 증가로 인한 직무소진의 증가와 직무열의의 감소 라는 부정적인 현상을 완화시켜주는 보호요인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음 을 의미하는 것이다.따라서 “사이버 사회적 지지가 직무요구와 직무소진 및 직무열의 사이의 관계를 조절할 것이다.”라는 <가설 7>과 <가설 8>은 채택되었다.

<표 4-34> 직무요구와 직무소진 및 직무열의 간의 관계에서의 조절효과

종속변수 독립변수

직무소진

β R2 △R2 F P

직무요구 사이버 사회적 지지 조절항:직무요구*사이버 사회적 지지

.308 -.226 -.232

.095 .146 .195

.095 .051 .049

21.716 11.513 10.048

.000***

.000***

.027* 종속변수

독립변수

직무열의

β R2 △R2 F P

직무요구 사이버 사회적 지지 조절항:직무요구*사이버 사회적 지지

-.415 .231 .313

.167 .238 .293

.167 .071 .055

41.429 16.327 13.275

.000***

.000***

.022*

*:p<0.05**:p<0.01 ***:p<0.001

(2)직무자원과 직무소진 및 직무열의 간의 관계에서의 조절효과

<가설 9>와 <가설 10>은 사회복지사의 사이버 사회적 지지가 직무자원과 직 무소진 및 직무열의 간의 관계에서 조절역할을 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사이 버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에 대한 분석결과는 <표 4-35>와 같다.<표 4-35>에 서 보는 바와 같이,직무자원이 직무소진 및 직무열의를 설명해 주는 수준은 p<0.01유의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조절효과 분석결과를 구 체적으로 살펴보면,직무자원과 사이버 사회적 지지 간의 상호작용 항이 투입된 3단계에서 △R2값이 각각 0.020,0.068로 유의수준 p<0.05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 고 있어 사이버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사회복지사의 사이버 사회적 지지수준이 높은 경우에는 낮 은 경우보다 직무자원이 직무소진을 더 줄여주고 직무열의를 더 증가시키게 함 을 의미한다.따라서 “사이버 사회적 지지가 직무자원과 직무소진 및 직무열의 사이의 관계를 조절할 것이다.”라는 <가설 9>와 <가설 10>은 채택되었다.

<표 4-35> 직무자원과 직무소진 및 직무열의 간의 관계에서의 조절효과

종속변수 독립변수

직무소진

β R2 △R2 F P

직무자원 사이버 사회적 지지 조절항:직무자원*사이버 사회적 지지

-.140 -.039 -.040

.036 .070 .090

.036 .034 .020

8.444 8.130 4.109

.000***

.000***

.032**

종속변수 독립변수

직무열의

β R2 △R2 F P

직무자원 사이버 사회적 지지 조절항:직무자원*사이버 사회적 지지

.435 .413 .415

.266 .455 .523

.266 .189 .068

48.387 42.049 41.536

.000***

.000***

.021**

*:p<0.05**:p<0.01 ***:p<0.001

(3)직무소진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의 조절효과

<가설 11>은 사회복지사의 사이버 사회적 지지가 직무소진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조절역할을 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사이버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 과에 대한 분석결과는 <표 4-36>과 같다.<표 4-3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직 무소진이 이직의도를 설명해 주는 수준은 유의수준 p<0.05에서 통계적으로 유 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조절효과 분석결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직무소진 과 사이버 사회적 지지 간의 상호작용 항이 투입된 3단계에서 R2값이 0.045로 유의수준 p<0.05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사이버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 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사회복지사의 사이버 사회적 지지수준이 높은 경우에는 낮은 경우보다 직무소진이 높더라도 이직의도를 더 줄여줌을 의미한다.따라서

“사이버 사회적 지지가 직무소진과 이직의도 사이의 관계를 조절할 것이다.”라 는 <가설 11>은 채택되었다.

<표 4-36> 직무소진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의 조절효과 종속변수

독립변수

이직의도

β R2 △R2 F P

직무소진 사이버 사회적 지지 조절항:직무소진*사이버 사회적 지지

.502 -.443 -.441

.252 .344 .389

.252 .092 .045

68.911 48.349 39.774

.000***

.001**

.021**

*:p<0.05**:p<0.01 ***:p<0.001

(4)직무열의와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의 조절효과

<가설 12>는 사회복지사의 사이버 사회적 지지가 직무열의와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조절역할을 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사이버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에 대한 분석결과는 <표 4-37>과 같다.<표 4-37>에서 보는 바와 같이,직무열 의가 이직의도를 설명해 주는 수준은 p<0.05유의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 게 나타났다.조절효과 분석결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직무열의는 사이버 사회 적 지지 간의 상호작용 항이 투입된 3단계에서 R2값이 0.056로 유의수준 p<0.05에 서 유의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사이버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사회복지사의 사이버 사회적 지지수준이 높은 경우에는 낮은 경우보다 직무열의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감소효과는 더 크다는 것을 의미 한다.따라서 “사이버 사회적 지지가 직무열의와 이직의도 사이의 관계를 조절 할 것이다.”라는 <가설 12>를 채택하였다.

<표 4-37> 직무열의와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의 조절효과 종속변수

독립변수

이직의도

β R2 △R2 F P

직무열의 사이버 사회적 지지 조절항:직무열의*사이버 사회적 지지

-.620 -.554 -.517

.385 .589 .645

.385 .204 .056

59.640 36.139 29.387

.004**

.005**

.024*

*:p<0.05**:p<0.01 ***:p<0.001

2)리더-멤버 교환관계의 조절효과

(1)직무요구와 직무소진 및 직무열의 간의 관계에서의 조절효과

<가설 13>과 <가설 14>는 사회복지사의 리더-멤버 교환관계가 직무요구와 직무소진,직무열의 간의 관계에서 조절역할을 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리더 -멤버 교환관계의 조절효과에 대한 분석결과는 <표 4-38>과 같다.<표 4-38>

에서 보는 바와 같이,직무요구가 직무소진과 직무열의를 설명해 주는 수준은 p<0.05 유의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조절효과 분석결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직무요구와 리더-멤버 교환관계 간의 상호작용 항이 투 입된 3단계에서 R2값이 각각 0.058,0.041로 유의수준 p<0.05에서 모두 유의적 으로 증가하고 있어 리더-멤버 교환관계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직무요구와 관련하여,사회복지사의 리더-멤버 교환관계 의 수준이 높은 경우에는 낮은 경우보다 직무요구 수준의 증가로 인한 직무소 진의 증가와 직무열의의 감소라는 부정적 현상을 완화시켜주는 보호요인으로 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의미한다.따라서 “리더-멤버 교환관계가 직무요구와 직무소진,직무요구와 직무열의 사이의 관계를 조절할 것이다.”라는 <가설 13>과 <가설 14>는 채택되었다.

<표 4-38> 직무요구와 직무소진 및 직무열의 간의 관계에서의 조절효과 종속변수

독립변수

직무소진

β R2 △R2 F P

직무요구 리더-멤버 교환관계 조절항:직무요구*리더-멤버 교환관계

.308 -.280 -.202

.257 .348 .406

.257 .091 .058

21.716 16.703 12.112

.000***

.011* .011***

종속변수 독립변수

직무열의

β R2 △R2 F P

직무요구 리더-멤버 교환관계 조절항:직무요구*리더-멤버 교환관계

-.415 .327 .310

.343 .407 .448

.343 .064 .041

41.429 22.723 8.415

.000***

.003**

.021*

*:p<0.05**:p<0.01 ***:p<0.001

(2)직무자원과 직무소진 및 직무열의 간의 관계에서의 조절효과

<가설 15>와 <가설 16>은 사회복지사의 리더-멤버 교환관계가 직무자원과 직 무소진,직무열의 간의 관계에서 조절역할을 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리더-멤버 교환관계의 조절효과에 대한 분석결과는 <표 4-39>과 같다.<표 4-39>에서 보는 바와 같이,직무자원이 직무소진,직무열의를 설명해 주는 수준은 p<0.05유의수준 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조절효과 분석결과를 구체적으로 보면,직 무자원과 리더-멤버 교환관계 간의 상호작용 항이 투입된 3단계에서 R2값이 0.072, 0.059로 유의수준 p<0.05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사이버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사회복지사의 리더-멤버 교환관계의 수준이 높은 경우는 낮 은 경우보다 직무자원이 많을수록 직무소진을 더 줄여주며 직무열의를 더 높여 줌 을 의미한다.따라서 “리더-멤버 교환관계가 직무자원과 직무소진,직무자원과 직무 열의 사이의 관계를 조절할 것이다.”라는 <가설 15>와 <가설 16>는 채택되었다.

<표 4-39> 직무자원과 직무소진 및 직무열의 간의 관계에서의 조절효과 종속변수

독립변수

직무소진

β R2 △R2 F P

직무자원 리더-멤버 교환관계 조절항:직무자원*리더-멤버 교환관계

-.425 -.316 -.125

.262 .334 .349

.262 .072 .015

16.051 7.499 4.109

.000***

.002**

.015*

종속변수

독립변수

직무열의

β R2 △R2 F P

직무자원 리더-멤버 교환관계 조절항:직무자원*리더-멤버 교환관계

.435 .359 .225

.309 .495 .554

.309 .186 .059

76.489 51.462 28.387

.000***

.002**

.023*

*:p<0.05**:p<0.01 ***:p<0.001

(3)직무소진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의 조절효과

<가설 17>은 사회복지사의 리더-멤버 교환관계가 직무소진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조절역할을 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리더-멤버 교환관계의 조절 효과에 대한 분석결과는 <표 4-40>과 같다.<표 4-40>은 사회복지사의 리더 -멤버 교환관계가 직무소진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조절역할을 하는지에 대한 분석결과,직무소진이 이직의도를 설명해 주는 수준은 p<0.05 유의수준 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구체적으로 살펴보면,직무소진과 리더 -멤버 교환관계 간의 상호작용 항이 투입된 3단계에서 R2값이 0.041로 유의수 준 p<0.05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리더-멤버 교환관계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사회복지사의 리더-멤버 교환관계의 수준이 높은 경 우에는 낮은 경우보다 직무소진의 증가로 인한 이직의도의 증가현상이 더 낮음을 의미하는 것이다.따라서 “리더-멤버 교환관계가 직무소진과 이직의 도 사이의 관계를 조절할 것이다.”라는 <가설 17>은 채택되었다.

<표 4-40> 직무소진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의 조절효과 종속변수

독립변수

이직의도

β R2 △R2 F P

직무소진 리더-멤버 교환관계 조절항:직무소진*리더-멤버 교환관계

.502 -.559 -.590

.359 .359 .400

.359 .252 .041

68.911 56.766 32.193

.000***

.002**

.019*

*:p<0.05**:p<0.01 ***:p<0.001

(4)직무열의와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의 조절효과

<가설 18>은 사회복지사의 리더-멤버 교환관계가 직무열의와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조절역할을 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리더-멤버 교환관계의 조절효과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06-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