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I. 서론

2. 조사결과

가. 응답자 특성

조사결과 총 220명이 응답하여 회수율은 25.8%로 나타났으며 응답자의 성 별분포는 ‘남성’ 73.1%, ‘여성’ 26.9%이며 결혼상태는 ‘미혼’이 79.2%로 나타 났다. 교육정도는 ‘일반고등학교 졸업’ 응답자가 54.0%로 가장 많으며 2년제

‘전문대 졸업’ 이상의 학력자는 전체응답자의 19.8%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연 령은 20~30대에 많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20대 48.4%, 30대 34.7%

이다. 기초생활 수급자는 20.8%이며 부양가족이 있는 응답자는 전체응답자의 44.5%로 나타났다. 훈련시설별로는 공단 직업전문학교 103명(46.8%), 민간직

성인 장애인의 직업능력개발을 통한 고용연계 방안 143 업훈련시설 71명(32.3%), 복지부 직업훈련시설 46명(20.9%)이다.

응답자의 장애유형별 분포는‘ 지체장애(62.4%), 청각․언어장애(7.7%), 시각 장애(7.0%), 정신지체장애(6.5%) 순으로 나타났으며9) 장애등급상 2급( 37.4%) 이 가장 높게 응답되었으며 훈련직종은 ‘정보처리․웹마스터’(25.4%)가 가장 많이 응답되었다. 조사결과 응답자중 취업자는 2003년 7월 현재 전체의 53.2%(116명)이며 미취업자는 46.8%(102명)이다.10)

나. 훈련만족도

훈련기간, 훈련방식, 교육과정, 강의내용, 취업지원, 시설 등의 6가지 차원 으로 구성된 훈련만족도(최대 5점)를 조사한 결과 공단의 직업전문학교(평균 3.51점), 민간(평균 3.15점), 복지부(평균 3.13점) 순으로 나타나 공단의 수료생 훈련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표4> 전체훈련만족도

구 분 N 평균 표준편차 F

공 단 86 3.52 .43

15.627 (p<0.001)

민 간 59 3.14 .43

복지부 34 3.16 .47

179 3.33 .47

결측값=41

다. 훈련효과 분석

1) 자격증 취득

응답장애인의 자격증 취득률은 60.2%(134명)로 나타났다. 훈련시설별로 보 면, 공단 직업전문학교(87.3%)이 민간(46.4%)과 복지부 훈련시설(28.9%)에 비

9) 중복장애는 응답자의 8.6%로서 중복장애의 유형은 '지체+언어' 1명, ‘지체+뇌병 변’ 5명, ‘정신지체+정신장애’ 3명, ‘지체+뇌병변+정신지체’ 1명, ‘언어+정신지 체’ 3명, ‘지체+언어’ 2명, ‘언어+정신지체+정신장애’ 1명, ‘시각+언어’ 1명, ‘지 체+정신장애’ 1명, ‘뇌병변+언어’ 1명이다.

10) 취업자 중 훈련전 취업경험이 있는 응답자는 59명(50.9%)으로 나타났다. 미취업자의 48.0%(49명)이 취업경험이 있으며, 26.5%(27명)가 직업훈련 후 취업경험이 있는 것으 로 나타났으며, 52.0%(53명)은 취업경험이 전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지식강국 건설을 위한 국가인적자원개발 정책토론회 144

해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정도에 있어서도 경증장애인의 취득률 (75.0%)은 중증장애인의 취득률(59.0%)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훈련기간이 길어질수록 자격취득률이 높게 나타났다.

<표4> 자격증취득 여부

(단위 : 명, %)

구분 자격증취득아니오

공단 89(87.3) 13(12.7) 102(100.0)

55.723***

민간 32(46.4) 37(53.6) 69(100.0) 복지부 13(28.9) 32(71.1) 45(100.0) 결측값=4

2) 자아효능감

고용개발원이 개발한 장애인 자아인식검사척도(KEPAD Self Concept Test for the Disabled)중 자아효능감척도를 재구성하여 훈련후 측정한 결과 시설 별 자아효능감은 공공이 평균 3.39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표5>).

<표5> 훈련시설별 훈련효과 비교

구분 N 평균 표준편차 F

자아 효능감

공공 99 3.39 .68

7.796 (p<0.05)

민간 65 2.99 .62

복지부 36 3.06 .80

합계 200 3.20 .71

교육 성취도

공공 92 3.44 .61

3.126 (p<0.05)

민간 61 3.25 .63

복지부 39 3.17 .73

합계 192 3.32 .65

3) 교육성취도

교육성취도는 교육훈련 내용의 이해와 훈련을 통한 정보와 기술 습득, 훈 련교육 이수 후 전문성 향상을 통합 측정한 점수이다(최대 5점). 훈련시설간 비교결과 공단 직업전문학교(평균 3.44점)가 가장 높고 복지부 훈련시설(평균

성인 장애인의 직업능력개발을 통한 고용연계 방안 145 3.17점)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훈련직종은 ‘IT이외’ 직종이 3.40점이며 ‘IT직 종’은 3.21점으로 나타났다. ‘단순훈련’은 2.98점으로 다른 훈련직종에 비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4) 취업여부

취업여부를 검증한 결과 장애정도와 훈련시설, 자격증취득여부에 따른 취 업여부의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훈련시설의 경우 공단이 80.6%, 민간 24.3%, 복지부 35.6%로 나타났으며, 장애정도에 있어서 경증장애 72.3%, 중증장애 49.4%, 자격증취득자는 63.9%, 미취득자는 35.8%로 나타났다.

<표6> 취업여부

(단위 : 명, %)

구분 취업여부아니오 전체

기초생활수급자 예아니오 11(26.8)92(57.9) 30(73.2)67(42.1) 159(100.0)41(100.0) 12.567***

자 격 증 취득미취득 85(63.9)29(35.8) 48(36.1)52(64.2) 133(100.0)81(100.0) 15.977***

훈련시설

공공 83(80.6) 20(19.4) 103(100.0)

60.153***

민간 17(24.3) 53(75.7) 70(100.0) 복지부 16(35.6) 29(64.4) 45(100.0) 훈련기간 6개월이하 5(23.8) 16(76.2) 21(100.0)

8.462**

7~13 72(58.1) 52(41.9) 124(100.0) 13~36 29(52.7) 26(47.3) 55(100.0)

장애유형

지체 74(56.1) 58(43.9) 132(100.0)

17.594**

뇌병변 3(25.0) 9(75.0) 12(100.0) 시각 4(28.6) 10(71.4) 14(100.0) 청각언어 14(82.4) 3(17.6) 17(100.0) 정신지체 10(71.4) 4(28.6) 14(100.0) 기타 2(66.7) 1(33.3) 3(100.0) 중복 7(36.8) 12(63.2) 19(100.0)

장애정도 경증중증 34(72.3)78(49.4) 13(27.7)80(50.6) 158(100.0)47(100.0) 7.714**

훈련직종 IT직종 57(44.2) 72(55.8) 129(100.0)

10.827**

IT이외직종 37(68.5) 17(31.5) 54(100.0) 단순훈련 11(68.8) 5(31.3) 16(100.0) n=116

지식강국 건설을 위한 국가인적자원개발 정책토론회 146

교육정도에 따른 취업여부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는데 교육수준보다 수 료생의 장애정도가 취업에 더 큰 영향을 끼치는 것이라고 추측해 볼 수 있 는데 분석결과 경증장애인과 중증장애인의 취업여부에 차이가 유의미한 것 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조사결과 1급 장애인은 취업자가 37.3%에 불과하나 3급 65.4%, 5급 80.0%로 경증장애인 일수록 취업률이 높게 나타났다.

5) 임금

조사시점에서 취업자평균임금은 87.69만원이며 수료 후 첫 직장의 월평균 임금은 79.43만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자의 임금을 결정하는데 있어 유 의미한 요인을 찾아내고자 각 변인별 평균임금을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성 별에 다른 임금 격차가 상당히 큰 것으로 나타났는데 남성취업자 평균임금 은 86.36만원이며 여성취업자는 66.07만원으로 20.29만원의 평균 임금격차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장애유형, 장애정도와 훈련기간, 장애유형에 따른 임금 차이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정도와 훈련시설, 훈련직종 등에 따 른 임금차이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표7> 취업자 임금

구분 N 평균 표준

편차 F/t

성별 남 성여 성 5827 86.3666.07 33.4330.06 7.220**

훈련기간 6개월이하 7 89.29 52.32

3.234*

7~12 53 85.83 33.72

13~36 29 68.07 20.00

장애유형

지 체 60 81.37 28.82

1.971*

뇌병변 6 92.50 40.96

시 각 5 88.00 64.96

청 각 8 85.00 28.66

정신지체 6 46.00 12.84

기 타 2 62.50 24.75

중 복 3 50.00 20.00

장애정도 경 증중 증 2367 90.3075.09 37.9629.73 3.874*

훈련직종 IT 58 89.40 34.02

7.791**

IT이외 24 67.79 21.54

단순훈련 6 49.33 16.23

n=116

성인 장애인의 직업능력개발을 통한 고용연계 방안 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