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정책추진체제 수준별 정보취약계층 도서관서비스 지원 전략

○ 전술한 정보취약계층 대상 도서관서비스의 전략 모형을 기반으로 하여 광 역자치단체의 지역대표도서관 및 각 기초자치단체의 개별 도서관은 도서관서 비스의 목표를 설정하고, 가용자원을 최대한 활용하며, 각각 도서관이 초점을 맞출 역할을 위해 서비스를 기획 및 운영할 수 있다. 그러나 장애인, 노인, 저 소득층, 농산어촌 주민, 다문화 가정 등 정보취약계층의 다양한 하부집단에게 도서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특수한 정보요구와 정보환경에 따 른 맞춤화된 서비스가 필요하고, 사실상 대부분의 도서관들은 개별적으로 지 역사회 내 정보취약계층의 모든 요구에 평등하게 대응하기 어렵다.

○ 모든 도서관들이 한정된 예산과 인력만을 가진 상황에서 지역사회의 다수 자가 아니라 소수자인 정보취약계층의 요구에 우선순위를 두기 어려우며, 그 가운데서도 하부집단의 크기와 가시성 등에 따라 종종 차이가 생겨나는 것은 피할 수 없는 현실이다. 따라서 도서관들이 가능한 여러 가지 방법으로 네트 워크를 구성하고 지역, 지방 및 국가차원에서 협력함으로써 정보취약계층이

이용할 수 있는 자원과 서비스의 범위를 증대시키며, 도서관서비스 접근성 및 접근의 질을 개선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이처럼 정보취약계층 대상 중앙집중식 도서관서비스를 추진하고, 도서관 간 협력을 촉진하는 데 있어서 크게 두 가지 사업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첫째 는 정보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하는 도서관서비스 지원센터를 설립 및 운영하는 것이며, 둘째는 정보취약계층을 위한 정보포털을 구축하고 운영하는 것이다.

이러한 사업은 중앙정부로서 대통령소속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와 국립중앙도 서관 및 광역자치단체가 전면에 나서서 세부적인 계획 수립과 함께 예산을 확 보하고, 전문인력과 관련 설비를 확충하여 추진해야 성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우선 정부 및 광역자치단체 차원에서의 정보 취약계층에 대한 도서관서비스 정책 방향을 제시하고, 다음으로 기초자치단체 및 개별 도서관 차원에서의 현상을 고려한 도서관서비스 정책 방향을 제시하 고자 한다.

3.1 정부 및 광역자치단체 차원에서의 도서관서비스 정책 방향

(1) 정보취약계층 도서관서비스 지원센터의 설립과 활용

○ 광역자치단체 자체 및 지역대표 도서관을 포함한 모든 도서관들이 공통적 으로 가진 예산의 부족, 서비스, 프로그램 운영의 어려움, 전문인력의 부족이 라는 문제를 다소나마 해소하기 위하여 <그림 V-3>의 ‘정보취약계층 지원센 터를 통한 도서관서비스 협력 체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정보취약계층을 위해 중앙집중식 서비스를 제공하고 도서관 간 협력을 촉진하기 위하여 ‘정보취약 계층 도서관서비스 지원센터’를 설립하는 방안을 생각해 볼 수 있다.

<그림 Ⅴ-3> 정보취약계층 지원센터를 통한 도서관서비스 협력 체계

1) 운영 주체와 목표

○ 상기 모형의 정보취약계층 지원센터의 설립 및 운영 주체는 대통령소속 도 서관정보정책위원회일 수도 있고, 모든 광역자치단체의 지역대표도서관들이 공동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개별 광역자치단체의 지역대표도서관이 자체 지 역을 위하여 그 역할을 직접 수행할 수도 있다. 그리고 현재 국립장애인도서 관지원센터를 운영하고 있는 국립중앙도서관이 설립하고 운영할 수도 있고, 상기 기관들이 함께 참여할 수도 있다. 누가 이 지원센터의 설립 및 운영 주 체가 되든 무엇보다도 중앙집중식 서비스를 통하여 개별 도서관들이 달성하기 어려운 업무 효율화 및 도서관서비스 품질의 제고를 목표로 하게 된다는 점은 확실하다.

2) 주요 추진 업무

가. 공동 업무

○ 정보취약계층 지원센터는 정보취약계층의 고유한 정보요구를 반영한 공동

수서, 공동편목, 종합목록 구축 및 유지, 프로그램 개발, 서비스 표준과 지침 의 개발, 요구분석과 연구, 정보포털 구축, 전문인력의 자문, 교육 및 파견, 홍 보와 리에이종, 기타 다양한 업무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특히 다양한 외국어 전문인력이 필요한 다문화가정을 위한 공동수서와 편목, 다양한 장애유형의 요구에 따른 서비스와 프로그램 개발, 다양한 하부집단을 위한 서비스 표준과 지침 마련 등 시급한 업무들을 정보취약계층 지원센터가 중앙에서 전담함으로 써 보다 효율적, 실용적이며 비용효과적인 업무 처리가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업무들을 개별도서관이 각기 수행할 경우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도서관 간 중 복과 시간, 재정, 인력 낭비 등을 해소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 정보취약계층 지원센터가 처리하는 업무는 지역의 공공도서관과 이동도서 관, 작은도서관, 그리고 주민자치센터 등에 설치된 서비스 포인트 등과 같이 도서관의 계층적 협력구조 내 모든 도서관에서 공유하게 되며, 이로 인해 장 애인, 저소득층, 노인, 농산어촌 주민, 다문화가정 등 모든 정보취약계층이 서 비스의 혜택을 향유할 수 있게 된다.

○ 중앙집중식 서비스의 효과에 대해서는 IFLA의 ‘다문화 사회: 도서관 서비 스 지침’75)에서 대규모 도서관과 서비스가 다문화 자원과 전문적 지원 제공에 중심 역할을 맡고 더 작은 규모의 도서관들이 빌리고 교환할 수 있는 중앙집 중식 대출 컬렉션을 제공하는 것이 다양한 지역사회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데 실용적이며 비용효과적인 모형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특히 중앙집중식 구매, 편목 및 처리는 다음과 같이 여러 가지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옴을 강조하였다.

① 노력의 중복을 피할 수 있다.

② 다른 언어로 된 자원 입수 시 작은 도서관이 경험하는 곤란을 방지한다.

③ 더 폭넓은 범위와 깊이의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④ 지역 도서관 컬렉션은 책과 기타 매체의 교환을 통해 지속적 쇄신될 수 있다.

⑤ 종합목록이 모든 도서관이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⑥ 효과적인 상호대차 시스템이 실행될 수 있다.

75) IFLA. 2009. Multicultural Communities: Guidelines for Library Services. 3rd ed. The Hague:

International Federation of Library Associations and Institutions. pp.5-6.

○ 정보취약계층 지원센터의 중요한 기능 가운데 하나는 전문인력이 개별 도 서관 서비스의 자문, 교육 및 파견 업무 등을 수행하고, 홍보와 마케팅, 리에 이종 등 다양한 업무를 주관할 수 있다는 점이다. 개별 도서관이 다양한 정보 취약계층의 하부집단을 위해 전문인력을 각각 고용하는 것이 비현실적인 시점 에서 정보취약계층 지원센터에 소속된 전문인력이 필요시 개별 도서관의 요구 에 따라 업무를 지원해 주는 것 또한 경제적인 인적 자원 활용 방안이 될 수 있다.

나. 서비스 지침과 표준 개발

○ 정보취약계층 대상 도서관서비스를 효율화하기 위해서는 서비스를 위한 표 준과 지침을 개발하고, 서비스와 프로그램 아이디어 뱅크 등을 운영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정보취약계층에 대한 적절한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서는 예를 들 어 영국 MLA의 ‘장애 포트폴리오 지침’이나 장애인 서비스 툴키트의 ‘학습모 듈’과 같이 우선 사서들이 장애 및 장애인을 이해하고, 그들을 위한 도서관 서 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적합한 소양과 능력을 계발할 수 있게 하는 각종 표 준, 지침, 도구 등이 필요하다. 또한 IFLA와 같은 국제기구의 “이동도서관 지 침”, “다문화도서관 지침”, 미국 ALA의 “장애인 서비스 지침”, “노인 대상 서 비스 지침” 등과 같이 모든 도서관의 사서들이 특정한 이용자 집단의 요구를 이해하고, 그들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의 기준과 절차, 범위 등을 명문화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정보취약계층 지원센터에서 수행할 수 있다.

○ 또한 다양한 정보취약계층 하부집단을 위한 서비스와 프로그램 아이디어 뱅크 등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 도서관 운영평가에서 매년 우수 프 로그램으로 선정되는 도서관 등 국내외 모범적인 서비스와 프로그램 사례들을 수집하고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며, 다른 도서관들이 참조하여 활용할 수 있 게 함으로써, 모든 도서관들이 각자 프로그램을 짜내느라고 시간, 인력, 재정 을 소모하지만 결국은 중복되는 대동소이한 프로그램을 양산하는 문제점을 개 선할 수 있다.

다. 교육

○ 정보취약계층 지원센터가 사서 및 일반 이용자를 교육하여 정보취약계층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고, 서비스 능력을 지속적으로 계발할 기회를 제공하는 것 이 바람직하다. 도서관이 한정된 자원 내에서 정보취약계층 대상 도서관서비 스의 제공을 정당화시키려면, 무엇보다도 일선 도서관 현장에서 사서를 포함 한 도서관 직원 및 일반 이용자들의 정보취약계층에 대한 인식 개선 및 공감 대 형성이 필요하다.

○ 우선 사서들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현재 우리나라의 정보취약계층 가운 데 장애인 서비스를 위해서는 국립중앙도서관이 사서교육 과정에서 관련 프로 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이 제공하는 사서교육 과정에는 2011

○ 우선 사서들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현재 우리나라의 정보취약계층 가운 데 장애인 서비스를 위해서는 국립중앙도서관이 사서교육 과정에서 관련 프로 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이 제공하는 사서교육 과정에는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