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정보취약계층 대상 도서관서비스 전략 모형

2. 정보취약계층대상 도서관서비스 발전 전략

2.2 정보취약계층 대상 도서관서비스 전략 모형

○ 우리나라에서 정보취약계층을 위한 도서관서비스를 기획하고 운영하기 위 해서는 <그림 V-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정보취약계층 대상 도서관서비스의 전략 모형을 기획할 수 있다. 크게 세 단계로 나누어 먼저 목표와 전략을 수 립하고, 도서관 자원을 활용하며, 도서관의 역할을 정립하는 단계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목표와 정책

○ 정보취약계층을 위한 도서관서비스를 기획하고 운영하기 위해서는 앞에서 다룬 것과 같이 예산, 장서, 전문인력 등과 관련된 여러 가지 문제점 등을 감 안할 필요가 있다. 도서관 전체 예산이 한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정보취약계층 에게 적절한 예산을 할애하고, 장서를 구축하며, 전문인력을 활용할 수 있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먼저 정보취약계층에 대한 서비스의 목표, 목적, 전략, 우선순위 및 정책을 명확하게 정의해야 한다. 이들은 도서관 발전계획의 통합 적 부분을 구성해야 하며, 도서관 직원에 대한 지침 및 이용자에 대한 설명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림 Ⅴ-2> 정보취약계층 대상 도서관서비스 전략 모형

(2) 도서관 자원

○ 일단 정보취약계층 대상 도서관서비스의 목표와 정책 등이 결정되면 다음 과 같은 도서관 자원을 정보취약계층을 위하여 활용할 수 있다.

1) 시설

○ 도서관 내 모든 시설, 장비, 공간 등을 활용한다.

○ 장애인, 노인 등 정보취약계층을 위해 특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면, 시설, 장비, 표지 등을 이용자에 더욱 적합하게 구성한다.

○ 이동도서관 등과 같이 도서관 외부로 확장된 시설을 제공한다.

2) 자료

○ 정보취약계층의 정보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모든 형태와 주제의 인쇄 자료, 비인쇄자료 및 시청각자료, 대체자료 등 물리적 자원을 제공한다.

○ 도서관을 통해 접근이 가능한 모든 전자자원에 대한 접근을 제공한다.

○ 정보취약계층을 위한 참고/참조 정보포털을 구축하여 외부정원으로 연계 한다.

3) 서비스/프로그램

○ 정보취약계층을 위한 상시적 서비스/프로그램을 제공한다.

○ 필요시 정보취약계층 전체 혹은 개별 하부집단을 위한 단기적 서비스/프 로그램을 제공한다.

○ 지역사회의 외부 기관들과 파트너가 되어 협력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4) 전문인력

○ 사서가 가진 정보의 입수, 조직 및 표현기술을 정보취약계층을 위해 사 용한다.

○ 사서가 가르칠 수 있는 기술, 즉 정보 리터러시 등을 정보취약계층을 위 해 사용한다.

○ 일반인들의 정보취약계층에 대한 인식 제고와 통합을 위해 교육과 계몽 을 시행한다.

(3) 도서관의 역할

○ 정보취약계층을 위한 도서관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있어서 도서관이 할 수 있는 역할을 IFLA의 FAIFE(Freedom of Access to Information and Freedom of Expression) 위원회가 제안한 내용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 정할 수 있다.67)

1) 지역사회 구심점으로서

○ 도서관은 정보취약계층을 위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사회 각종 기관, 단 체들의 활동을 도서관을 통해 확장하도록 돕는 지역사회 구심점이 될 수

67) IFLA. FAIFE. “Public Access to Health Information: What libraries can do to spread health information.” <http://www.ifla.org/files/faife/publications/learnmat/PAHI-libraries.ppt> [cited 2011.5.30]

있다.

○ 지역사회 보건전문가, 간호사, 의사, NGO 종사자들의 정기적 방문을 조직 한다.

○ 도서관 내부 공간을 활용하거나 외부에서 활동을 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 한다.

2) 자료와 정보 코너로서

○ 정보취약계층의 정보요구에 관련된 고용, 교육, 재정, 의료, 복지, 보건 콘 텐츠 등을 수록한 인쇄 및 비인쇄 매체, 전자자원 등을 풍부하게 확보하여 제공한다.

○ 각급 정부기관, 병원, 보건소, 각종 민간단체 및 NGO 들이 생산한 리플렛, 지침서, 기타 자료 등 일반에서 구하기 어려운 회색문헌을 수집하여 제공 한다.

○ 만약 도서관이 여러 카피를 입수할 수 있으면 이용자들이 이러한 자료를 하나씩 가져갈 수 있게 하고, 만약 한 카피만 있으면 도서관에서 이용할 수 있게 한다.

○ 가능하면 도서관의 일반서가 외의 특별한 공간에 정보취약계층 관련 콘텐 츠를 이용할 수 있는 코너를 만든다.

○ 정보취약계층을 위해 일하는 정부기관, 민간단체 등의 웹사이트 등 외부정 보원에 대한 연계를 한곳에서 제공하기 위하여 정보포털을 개발하거나 도 서관 웹사이트를 확장한다.

3) 학습과 활동 시설로서

○ 정보취약계층을 위해 도서관 내 각종 활동 및 학습 목적의 동아리를 조직 하거나 그룹 활동을 지원할 수 있다.

○ 사서들이 정보취약계층의 학습과 활동을 위해 직접 그룹을 인도할 수 있 다.

○ 외부의 관련 전문가, 즉 의사, 간호사, 보건전문가, 사회복지사 등의 방문 을 그룹 프로그램의 일부로 구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 정보취약계층의 정보요구 관련 필름이나 비디오 상영, 토론회, 전시회 등을 기획하고 개최한다.

4) 아웃리치센터로서

○ 이동도서관, 우편배달 서비스, 가정방문 서비스 등을 통해 도서관의 정규 서비스 가운데 일부를 정보취약계층의 주거 및 활동공간으로 이동하여 제 공한다.

○ 지역아동센터, 경로당, 노인대학, 교회, 절 등과 같이 다양한 회합장소, 그 리고 병원, 보건소, 주민자치센터 등 지역사회 의료 및 복지관련 시설 등 을 방문함으로써 도서관이 제공할 수 있는 의료, 복지 및 보건 관련 콘텐 츠를 홍보한다.

○ 가능하다면 사서들이 지역 신문 기고와 라디오, 텔레비전 방송국, 인터넷 등을 통해 도서관이 정보취약계층을 위해 제공하는 도서관서비스를 홍보 한다.

5) 정보리터러시센터로서

○ 사서들이 사람들로 하여금 정보를 이해하도록 돕는다. 예를 들어 건강정보 팜플렛과 브로슈어, 처방과 의사의 지시, 포스터와 같은 홍보자료들을 이 해하는 데 도움을 필요로 하는 사람에게 정보를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각종 서식의 기입

○ 사서가 정보기술을 사용하여 정보취약계층 이용자들의 일반적인 정보 리터 러시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돕는다. 특히 의료, 복지 및 보건 관련 정보원 을 탐색하고 자료를 이용하는 방법을 가르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