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본 연구의 두 번째 설문영역인 정부 정책 방향에 관한 설문 중, 첫 번째 질문으로 향후 실업계 고교가 일정한 방향으로의 체제 전환을 추구해 나간 다고 할 때, 이를 지원하기 위한 정부의 대책은 어떠한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라는 질문을 던졌다. 이 설문에 대한 응답자의 반응 결과는〈표 Ⅳ-5〉와 같다.〈표 Ⅳ-5〉에서 보면, 기능인력 수급에 대한 종 합적인 정책개발 이 정부의 대책으로 수립되어야 한다는 응답에 대해 응답자 전체의 38.7%가 찬성하는 높은 응답 비율을 나타내 보였으며, 다음으로 입 학자원 감소에 대처할 수 있는 정책 지원 이라는 응답이 23.9%, 수업연한, 학제 등 교육과정 자율적 운영 대책 지원 이라는 응답에는 13.8%, 실업계 고 교와 산업체간의 산학협동 활성화 지원 에는 10.9%의 순으로 응답율을 나타 내 보였다. 기능인력 관련 정보서비스 체제 구축 지원 (4.8%)과 저학력 및 취약계층에 대한 직업교육 활성화 지원 (1.8%)이라는 응답에는 반응율이 저 조하였다. 이러한 전체적 결과를 응답자의 배경 변인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학교 계열에 따른 구분에서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 타내 보였다(χ²=33.044, p〈.01).〈표 Ⅳ-5〉에서 계열별 학교 형태에서의 결과를 살펴보면, 사립 실업계 고교의 정부 지원 방식에 대해 기능인력 수 급에 대한 종합적인 정책 개발 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는 응답에 공업계 (49.4 %), 종합고(40.4 %), 상업계(31.85)의 순으로 나타나 공업계의 반응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입학자원 감소에 대처할 수 있는 정책 지원 이 가장 중요하다는 응답에는 상업계(25.35), 종합고(23.4%), 공업계(21.8%)의 순으로 나타나 상업계의 반응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응답 결과는 사립 실업계 고교가 정부의 지원 방식을 기대하는데 있어, 기능인력 관련 정보서

92

-비스 체제 구축이나 저학력 및 취약계층에 대한 직업교육 활성화 지원과 같 은 측면보다는 정부 주도의 종합적인 기능인력 수급 정책의 개발과 실제 일 선학교에서의 신입학생의 감소에 따른 피해 등을 보완할 수 있는 구체적인 대책을 더욱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해 볼 수 있다. 한편, 학교 소재지, 전교 학생 수, 그리고 직위에 따른 집단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 보이지 않았다.

〈표 Ⅳ-5〉 정부의 지원 방식

설문 4 1 2 3 4 5 6 7 8 df χ² p

서울 사례수 26 6 12 6 25 1 1 77

21 29.849 .095

% 33.8 7.8 15.6 7.8 32.5 1.3 1.3 100.0

광역시 사례수 65 5 35 2 16 31 10 1 165

% 39.4 3.0 21.2 1.2 9.7 18.8 6.1 .6 100.0

일반시 사례수 88 14 23 5 26 51 12 1 220

% 40.0 6.4 10.5 2.3 11.8 23.2 5.5 .5 100.0

군읍면 사레수 56 4 14 4 18 38 11 145

% 38.6 2.8 9.7 2.8 12.4 26.2 7.6 100.0 전 체 사례수 235 29 84 11 66 145 34 3 607

% 38.7 4.8 13.8 1.8 10.9 23.9 5.6 .5 100.0

공업계 사례수 84 4 21 1 15 37 7 1 170

14 33.044 .003

% 49.4 2.4 12.4 .6 8.8 21.8 4.1 .6 100.0

상업계 사례수 94 20 54 7 28 75 17 1 296

% 31.8 6.8 18.2 2.4 9.5 25.3 5.7 .3 100.0

종합고 사례수 57 5 9 3 23 33 10 1 141

% 40.4 3.5 6.4 2.1 16.3 23.4 7.1 .7 100.0 전 체 사례수 235 29 84 11 66 145 34 3 607

% 38.7 4.8 13.8 1.8 10.9 23.9 5.6 .5 100.0

700명 미만

사례수 67 8 22 4 17 57 16 1 192

14 20.247 .123

% 34.9 4.2 11.5 2.1 8.9 29.7 8.3 .5 100.0 700명

이상~1200 명 미만

사례수 90 14 28 1 26 46 6 1 212

% 42.5 6.6 13.2 .5 12.3 21.7 2.8 .5 100.0 1200명

이상

사례수 78 7 34 6 23 42 12 1 203

% 38.4 3.4 16.7 3.0 11.3 20.7 5.9 .5 100.0 전 체 사례수 235 29 84 11 66 145 34 3 607

% 38.7 4.8 13.8 1.8 10.9 23.9 5.6 .5 100.0

교장 및 교감

사례수 70 6 26 4 8 39 7 1 161

14 20.015 .130

% 43.5 3.7 16.1 2.5 5.0 24.2 4.3 .6 100.0

교사 사례수 152 22 51 7 56 99 22 2 411

% 37.0 5.4 12.4 1.7 13.6 24.1 5.4 .5 100.0 법인

관계자

사례수 13 1 7 2 7 5 35

% 37.1 2.9 20.0 5.7 20.0 14.3 100.0 전 체 사례수 235 29 84 11 66 145 34 3 607

% 38.7 4.8 13.8 1.8 10.9 23.9 5.6 .5 100.0

※ 1: 기능인력 수급에 대한 종합적인 정책개발 2: 기능인력 관련 정보서비스 체제 구축 지원 3: 수업연한, 학제 등 교육과정 자율적 운영 대책 지원 4: 저학력 및 취약계층에 대한 직업교육 활성화 지원 5: 실업계 고교와 산업체의 산학협동 활성화 지원 6: 입학자원 감소에 대처할 수 있는 정책 지원 7: 직업교육에 대한 중장기적 전망 제시와 지원 8: 평생직업교육 체제 구축

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