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나. 실업계 고교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당면과제

4) 교육 내용과 교육 방법

1950년 이후 실업계 고교의 교육 내용은 특정 직무 수행에 필요한 능력을 연마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지식기반사회가 도래하면서 지식정보기술의 유용기간이 짧아지고, 인력이 고도화하면서 새로운 작업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직업기초능력의 습득의 필요성이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실업계 고 교교육이 직업기초능력의 함양에 중심이 되어야 하는지, 아니면 직무수행 능 력의 개발에 중심을 두어야 하는지에 대한 논의가 있어야 할 것이다.

구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연평균 증가율 농업계열 8,150 (2.8) 5793 (1.9) 3436 (2.0) 2913 (1.7) 2411 (1.4) -0.26 공업계열 109,967 (37.9) 94610 (45.6) 79252 (46.9) 87,620 (51.5) 92641 (54.5) -0.04 상업계열 165,761 (57.2) 122825 (48.7) 79,888 (47.3) 72246 (42.5) 65449 (38.5) -0.12 기타 6,121 (2.1) 6273 (3.8) 6424 (3.8) 7221 (4.3) 9496 (5.6) 0.12 전체 290,000 (100.0) 229,500 (100.0) 169,000 (100.0) 170,000 (100.0) 170,000 (100.0) -0.12

한편에서는 특정 직무수행 능력에 대한 수요가 있으며, 실업계 고교 졸업 생들의 업무능력의 부적절성에 대한 산업체의 불만이 있기 때문에 직무수행 능력에 초점을 맞춰야한다는 주장이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지식의 유용기 간이 짧은 지식기반사회에서는 산업체에서 즉각 활용할 수 있는 기능인력을 양성하는 기능에서 벗어나 ,기초적인 직업능력의 배양에 강조점을 두는 동시 에, 평생학습사회에서의 계속교육에 필요한 능력과 기술을 가르치는 기능을 강화하여야 할 것이라고 보고 있다(정태화, 2000a).

이에 대하여 강무섭 외(2000)의 연구에서는 직업교육의 내용면에서 학교 계열에 따라 각각 기초 직업능력이나 특정 전문지식과 기능을 함양하는 방 안을 제안하고 있다. 기초 직업능력의 내용에 대한 한국직업능력개발원과 한 국직업교육학회의 공동연구는 기초 직업능력의 영역과 하위 요소를 다음 <표 II-10>과 같이 구명하고 있다(정철영 외, 1998).

<표 II-10> 우리 나라의 직업기초능력의 영역과 하위요소

직업기초

능력의 영역 직업기초능력의 하위요소

의사소통능력 읽기 능력 쓰기 능력 듣기능력 말하기 능력

비언어적 표현능력 외국어 읽기 능력

수리능력 사칙연산이해능력 통계와 확률에 대한 계산능력

도표능력

문제해결능력 사고력 문제해결능력 대안선택능력

대안적용능력 대안평가능력

자기관리 및 개발 능력

자기관리능력 진로개발능력

직업에 대한 건전한 가치관과 태도

자원활용능력 자원확인능력 자원조직능력 자원계획능력

자원할당능력

대인관계능력 협동능력 리더십능력 갈등관리능력

협상능력 고객서비스능력

정보능력 정보수집능력 정보분석능력 정보조직능력

정보관리능력 정보활용능력 컴퓨터사용능력

기술능력 기술이해능력 기술선택능력 기술적용능력

조직이해능력 국제감각 체제이해능력 경영이해능력

업무이해능력

자료: 정철영 외(1998). 직업기초능력에 관한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 분석. 한국직업능력 개발원.

32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실업계 교육 내용에 관해서는 실무 중심적인 내 용이어야 한다는 견해와 기초직업능력 배양에 힘써야 한다는 논의 등이 존 재한다. 그러나 여기에서 주목할 점은 학교 교육 내용은 단위 학교의 교육 목표에 따라 결정된다고 하는 점이다. 즉, 단위학교의 교육 내용은 개개 학 교가 진학, 취업, 진학과 취업 중 어느 것을 교육 목표로 설정했는가에 의해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단, 취업을 교육 목표로 하는 학교의 경우 에도 평생교육 체제 속에서 교육받을 기회에 대한 준비는 이루어져야 할 것 이다.

Ⅲ. 사립 실업계 고교의 운영 실태 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