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인적자원개발의 평가와 활용

나. 교육훈련

4) 인적자원개발의 평가와 활용

<표 Ⅳ-46> 교육훈련비중 직업능력개발사업 보험료의 비중

(단위 : 백만원, 만원, %)

산업별

규모별 제조업 비제조업 300인

미만

300~

999인

1,000인 이상 보험료(백만원) 489(50) 383(28) 451(78) 15(21) 109(31) 1,211(26) 보험료의 비중 42.9(36) 32.9(27) 38.6(63) 33.3(14) 37.3(27) 43.6(22) 환급액 285(47) 210(30) 255(77) 19(21) 62(28) 626(28) 환급률 43.4(47) 36.6(28) 40.9(75) 48.7(20) 38.5(27) 37.5(28) 주 : ( )는 응답사업체수

산업별로는 제조업이 비제조업에 비해 보험료, 보험료의 비중, 환급액, 환 급률이 상당히 높다.

규모별로는 규모가 클수록 보험료, 보험료의 비중, 환급액은 높은 반면, 환 급률은 규모가 작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표 Ⅳ-47> 교육훈련의 평가 실시 여부

(단위 : %)

산업별

규모별 제조업 비제조업 300인

미만

300~

999인

1,000인 이상 항상 실시한다 38.6(39) 34.0(18) 37.0(57) 24.6(15) 31.9(15) 58.7(27) 경우에 따라 실시한다 49.5(50) 52.8(28) 50.6(78) 55.7(34) 53.2(25) 41.3(19) 실시하지 않는다 9.9(10) 11.3( 6) 10.4(16) 16.4(10) 12.8( 6) 0.0( 0) 별로 관심 없다 2.0( 2) 1.9( 1) 1.9( 1) 3.3( 2) 2.1( 1) 0.0( 0)

계 100.0

(101)

100.0 ( 53)

100.0 (154)

100.0 ( 61)

100.0 ( 47)

100.0 ( 46) 주 : ( )는 응답사업체수

또한 교육훈련의 평가는 주로 어떤 방식으로 하고 있는지에 대한 설문에 서는 설문조사(만족도) 58.2%로 가장 높고, 그 다음 논문・리포트 41.1%, 필기시험 37.7%, 교육훈련후 행동이나 실적 평가(관찰평가) 31.5%, 실기・

실습 16.4%, 참가자의 면접 9.6% 순으로 나타나 여러 가지 방식을 활용하 고 있음을 알 수 있다(표 Ⅳ-48 참조).

산업별로는 제조업이 비제조업에 비해 논문・리포트 , 교육훈련후 행동이 나 실적평가(관찰평가) 에 대한 비율이 높은 반면, 비제조업이 제조업에 비해

설문조사(만족도) , 필기시험 등에 대한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규모별로는 300인 미만에서 교육훈련후 행동이나 실적평가(관찰평가) 에 대한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1,000인 이상에서는 설문조사(만족 도) (82.6%), 필기시험 (69.6%)에 대한 비율이 아주 높게 조사되었다.

<표 Ⅳ-48> 교육훈련의 평가방식

(단위 : %)

산업별

규모별 제조업 비제조업 300인

미만

300~

999인

1,000인 이상 필기시험 30.1(28) 50.9(27) 37.7(55) 21.8(12) 24.4(11) 69.6(32) 교육훈련후 행동이나 실적평

가(관찰평가) 33.1(31) 28.3(15) 31.5(46) 34.5(19) 24.4(11) 34.8(16) 참가자의 면접 10.8(10) 7.5( 4) 9.6(14) 10.9( 6) 13.3( 6) 4.3( 2) 논문・리포트 45.2(42) 34.0(18) 41.1(60) 38.2(21) 35.6(16) 50.0(23) 실기・실습 16.1(15) 17.0( 9) 16.4(24) 7.3( 4) 11.1( 5) 32.6(15) 설문조사(만족도) 55.9(52) 62.3(33) 58.2(85) 34.5(19) 62.2(28) 82.6(38)

계 100.0

( 93)

100.0 ( 53)

100.0 (146)

100.0 ( 55)

100.0 ( 45)

100.0 ( 46) 주 : ( )는 응답사업체수. 복수응답.

나) 교육훈련 평가결과의 활용

교육훈련 평가결과를 어느 부분에 활용하고 있는지에 대한 설문에서는 능력개발 61.1%로 가장 높고, 그 다음 인사평가 29.3%, 경력개발 28.7%, 승진 24.8%, 배치전환 23.6%, 활용되고 있지 않음 13.4%, 보상 3.8% 순 으로 다양하게 평가결과를 활용하고 있으며, 보상과는 거의 연계가 되어 있 지 않음을 알 수 있다(표 Ⅳ-49 참조).

산업별로는 제조업이 비제조업에 비해 능력개발 에 대한 비율이 다소 높 은 반면, 비제조업이 제조업에 비해 인사평가 , 배치전환 , 승진 등에 대한 비율이 약간 높게 나타났다.

규모별로는 규모가 클수록 능력개발 , 경력개발 , 승진 , 인사평가 , 배치 전환 등에 활용하는 비율이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표 Ⅳ-49> 교육훈련 평가결과의 활용

(단위 : %)

산업별

규모별 제조업 비제조업 300인

미만

300~

999인

1,000인 이상 경력개발 28.7(29) 28.6(16) 28.7(45) 18.8(12) 26.1(12) 44.7(21) 배치전환 19.8(20) 30.4(17) 23.6(37) 20.3(13) 19.6( 9) 31.9(15) 승진 21.8(22) 30.4(17) 24.8(39) 10.9( 7) 21.7(10) 46.8(22) 보상 3.0( 3) 5.4( 3) 3.8( 6) 0.0( 0) 0.0( 0) 0.0( 0) 인사평가 26.7(27) 33.9(19) 29.3(46) 23.4(15) 19.6(9) 46.8(22) 능력개발 62.4(63) 58.9(33) 61.1(96) 64.1(41) 45.7(21) 72.3(34) 활용되고 있지 않음 13.9(14) 12.5( 7) 13.4(21) 10.9( 7) 23.9(11) 6.4( 3)

계 100.0

(101)

100.0 ( 56)

100.0 (157)

100.0 ( 64)

100.0 ( 46)

100.0 ( 47) 주 : ( )는 응답사업체수

다) 교육훈련 효과의 측정

현재 실시하고 있는 교육훈련 효과의 측정 수준은 어느 단계인지에 대한 설문에서는 과정만족도 조사 38.3%로 가장 높고, 그 다음 현업적응도 조 사 31.3%, 학습성취도 조사 28.9%, 성과향상도 조사 1.6% 순으로 나타났 고, 특히 투자효과 조사 는 아직 실시한 기업들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교육 훈련 효과 측정과 그 피드백이 낮은 수준에 있어 아직 체계화되어 있지 않 음을 알 수 있다(표 Ⅳ-50 참조).

산업별로는 제조업이 비제조업에 비해 현업적응도 조사 , 학습성취도 조 사 에 대한 비율이 약간 높은 반면, 비제조업이 제조업에 비해 과정만족도 조사 에 대한 비율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표 Ⅳ-50> 교육훈련 효과의 측정수준

(단위 : %)

산업별

규모별 제조업 비제조업 300인

미만

300~

999인

1,000인 이상 과정만족도 조사 35.8(29) 42.6(20) 38.3(49) 23.4(11) 48.7(19) 45.2(19) 학습성취도 조사 30.9(25) 25.5(12) 28.9(37) 19.1( 9) 28.2(11) 40.5(17) 현업적응도 조사 32.1(26) 29.8(14) 31.3(40) 53.2(25) 23.1( 9) 14.3( 6) 성과향상도 조사 1.2( 1) 2.1( 1) 1.6( 2) 4.3( 2) 0.0( 0) 0.0( 0) 투자효과 조사 0.0( 0) 0.0( 0) 0.0( 0) 0.0( 0) 0.0( 0) 0.0( 0)

계 100.0

( 81)

100.0 ( 47)

100.0 (128)

100.0 ( 47)

100.0 ( 39)

100.0 ( 42) 주 : ( )는 응답사업체수

규모별로는 300인 미만에서 현업적응도 조사 (53.2%)에 대한 비율이 가장 높고, 300~999인에서는 과정만족도 조사 (48.7%)에 대한 비율이 매우 높으 며, 1,000인 이상에서는 학습성취도 조사 에 대한 비율이 상당히 높게 나타 났다. 따라서 대기업보다 규모가 작을수록 현장에서 바로바로 교육훈련 효과 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이처럼 교육훈련 효과의 측정수준을 높게 평가하 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