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이론적 시사점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89-192)

본 연구의 이론적 시사점은 크게 네 가지 측면에서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5개년 동안 다문화청소년의 가족지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변화양상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들을 종단적으로 분석하 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특히, 다변량 잠재성장모형 분석을 통해 각각의 예 측요인이 삶의 만족도 변화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검증결과는 기존의 횡단연구에서 파악하기 힘들었던 종단적인 영향요인들을 파악함으로써 다 문화청소년의 삶의 만족도를 향상 시킬 수 있는 의미 있는 함의를 제시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중요한 연구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가족지 지, 삶의 만족도, 사회적 위축, 다문화수용성의 관계에서 횡단연구의 한계 를 보완하고 종단연구를 통해 결과를 도출함으로써 기존 연구들과의 차별 성을 갖는다.

둘째, 본 연구는 연구대상자를 다문화청소년으로 특정함으로써 다문화 청소년으로 인해 생길 수 있는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의 차별성을 고려하 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다문화청소년의 삶의 만족도 변화궤적에 대한 선

행연구들은 청소년기 발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개인 특성뿐만 아니라 가 족, 그리고 이들이 관계를 맺고 있는 사회적 요인들까지 살펴보지 않고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다문화청소년의 생태 체계적 요인을 반영하지 못한 측면이 있었다. 또한 다문화청소년들은 다문화가정 특성에서 오는 언어와 외모로 인한 사회적 차별과 편견으로 심리·정서적인 문제 발생과 태어나 면서 부터 부모의 이중문화를 습득해야 하는 문제들을 안고 있다. 따라서 비(非)다문화청소년과 다른 특성에서 큰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이를 반영 할 수 있는 변인인 사회적 위축과 다문화수용성을 종단적 매개효과로 살 펴보는 것은 다문화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 요인을 살필 뿐만 아니 라 다문화청소년을 위한 정책수립에도 반드시 고려할 사항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다문화청소년의 가족지지와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사회적 위축과 다문화수용성의 부분매개효과를 검증한 연구결과로 다문화 청소년들의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사회적 위축을 감소시키고 다 문화수용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개입전략에 대한 구체적인 근거자료 제공 의 의의를 갖는다.

셋째, 본 연구는 다문화청소년의 가족지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변 화양상에서 중간체계인 동아리활동과 외체계인 학교 밖에서 도움 주는 어 른에 따른 집단 간 차이를 보이는지 실증적 연구를 통해 규명하였다. 청 소년은 가장 많은 시간을 학교에서 보내고 있기 때문에 학교는 지식 전달 이상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으며, 청소년들이 학교에서 느끼는 만족감은 현재뿐만 아니라 미래의 삶에도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비(非) 다문화청소년 및 교사와의 관계 형성, 개인적 정체성과 관련된 정서 경험 향상을 위한 다양한 동아리활동은 다문화청소년의 삶의 만족도를 위한 중 요 변인으로 고려되어야 할 사항으로 여겨진다. 또한 최근 코로나19의 상 황에서 등교 및 학원이용 제한과 다문화가정의 맞벌이 및 가정해체로 인 한 보호자의 부재한 상황은 돌봄의 사각지대에 놓일 가능성이 있다. 이에 방과 후 돌봄이 필요한 다문화청소년을 위해 지역사회 중심의 청소년 방 과 후 아카데미와 같이 학교 밖에서 도움을 줄 수 있는 사회적 지지체계

의 구축이 필요하다. 본 연구결과는 다문화청소년의 가족지지와 삶의 만 족도 관계에서 동아리활동과 학교 밖에서 도움 주는 어른 유무에 따른 차 이 검증한 결과로 다문화청소년의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한 다양한 동아 리활동 개입 전략 및 미시체계, 중간체계 뿐만이 아닌 외체계인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 방안의 필요성에 대한 근거자료로 의의를 갖는다.

넷째, 본 연구는 종단자료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다문화청소년패널 조사(MAPS)를 활용하여 다문화청소년의 삶의 만족도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떠한 변화추세를 보이고 있는지 실증적 연구를 통해 규명하였다.

기존의 다문화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들은 소규모 표 본의 설문조사에 기초한 실태조사이거나 극소수의 표본 사례에 초점을 맞 춘 분석이어서 그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활용한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MAP)의 표본은 크기가 크며 다양한 변인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전국적 대표성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다문화청소년의 장기적인 삶의 만족도의 발달궤적을 관찰할 수 있는 장점 을 지닌 패널이라고 할 수 있다.

다문화청소년과 관련된 연구는 시기적으로 1990년대 후반부터 시작된 국제결혼으로 출생한 자녀가 진학하는 시점인 2010년을 기점으로 다문화 청소년의 개인 내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들에 대해 사회적 관심을 받기 시 작하면서 이와 관련하여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대부분은 특정 시점 에서만 삶의 만족도를 이해하고자 하는 횡단연구에 그쳤다. 다문화청소년 의 종단데이터의 부재로 발달궤적에 대한 연구는 한계가 있었으나, 2011 년부터 조사된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MAPS)의 데이터가 2018년 오픈되 면서 삶의 만족도에 관한 종단적 연구가 최근에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청소년을 대상으로 가족지지, 삶의 만족도, 사회적 위축, 다문화수용성 각각의 변인들에 대한 변화궤적을 살펴보고, 다문화청 소년의 가족지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과정 속에서 경험하게 되는 독 특하고 영향력 있는 변인인 사회적 위축과 다문화수용성을 매개변인으로 설정하여 그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또한 청소년기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

는 학교 내에서의 동아리활동과 사회 지지체계인 학교 밖에서 도움 주는 어른의 유무에 따른 차이 검증을 통해 효과를 확인하였다. 다문화청소년 의 가족지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관계에서 매개변인의 종단적 변화에 따른 삶의 만족도의 영향력을 살펴본 연구가 미비한 상황에서, 다문화청 소년의 삶의 만족도의 발달궤적을 살펴봄으로써 포괄적이고 구체적인 정 책적 지원의 근거자료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89-1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