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가설 검증 결과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74-189)

가설 가설내용 검증

결과 연구문제

2.

다문화 청소년의 가족지지, 삶의 만족도, 사회적 위축, 다문화수용성 각각의 성장변화에 따른 종단적 상호 성장 변화관계는 어떠한가?

가설 2.1. 가족지지의 성장변화는 사회적 위축의 성장변화에 유

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부분 지지 가설 2.2. 가족지지의 성장변화는 다문화수용성의 성장변화에 유

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부분 지지 가설 2.3. 가족지지의 성장변화는 삶의 만족도의 성장변화에 유

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지지

가설 2.4. 사회적 위축의 성장변화는 삶의 만족도의 성장변화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부분 지지 가설 2.5. 다문화수용성의 성장변화는 삶의 만족도의 성장변화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부분 지지

<표 4-39> 연구문제 3. 가설 검증 결과

가설 가설내용 검증

연구문제 결과 3

다문화 청소년의 가족지지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사 회적 위축과 다문화수용성의 종단매개효과는 어떠한가?

가설 3.1 가족지지는 사회적 위축을 매개로 하여 삶의 만족도 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부 분 지지 가설 3.2. 가족지지는 다문화수용성을 매개로 하여 삶의 만족

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부 분 지지

<표 4-40> 연구문제 4. 가설 검증 결과

가설 가설내용 검증

결과

연구문제 4.

동아리활동과 학교 밖에서 도움을 주는 어른 유무에 따 라 다문화청소년의 가족지지가 사회적 위축, 다문화수용 성을 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차이가 있는 가?

가설 4.1.

동아리활동 유무에 따라 가족지지의 성장변화가 사회 적 위축의 성장변화에 미치는 영향은 차이가 있을 것 이다.

기각

가설 4.2. 동아리활동 유무에 따라 가족지지의 성장변화가 삶의 만족도의 성장변화에 미치는 영향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기각 가설 4.3.

동아리활동 유무에 따라 가족지지의 성장변화가 다문 화수용성의 성장변화에 미치는 영향은 차이가 있을 것이 다.

기각

가설 4.4.

동아리활동 유무에 따라 사회적 위축의 성장변화가 삶 의 만족도의 성장변화에 미치는 영향은 차이가 있을 것 이다.

부분 지지

가설 4.5.

동아리활동 유무에 따라 다문화수용성의 성장변화가 삶 의 만족도의 성장변화에 미치는 영향은 차이가 있을 것 이다.

기각

제 5 절 연구결과와 종합적 논의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MAPS) 8차년도 자료 중 5개년도인 4차(중1), 5차(중2), 6차(중3), 7차(고1), 8차(고2)까지 다문화청소년의 삶의 만족도, 가족지지, 사회적 위 축, 다문화수용성의 발달궤적을 추정하고 변수들 간 종단적 인과관계를 확인하였다. 또한 가족지지와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사회적 위축과 다문 화수용성의 종단 매개효과 및 집단 간(동아리활동, 학교 밖에서 도움 주 는 어른) 차이 검증을 실시하였다.

다문화청소년 총 1,169명을 대상으로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한 주요 연구 결과와 논의는 다음과 같다.

가설 4.6.

학교 밖에서 도움 주는 어른의 유무에 따라 가족지지 의 성장변화가 사회적 위축의 성장변화에 미치는 영향 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기각

가설 4.7.

학교 밖에서 도움 주는 어른의 유무에 따라 가족지지 의 성장변화가 삶의 만족도의 성장변화에 미치는 영향 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기각

가설 4.8.

학교 밖에서 도움 주는 어른의 유무에 따라 가족지지 의 성장변화가 다문화수용성의 성장변화에 미치는 영향 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부 분 지지

가설 4.9.

학교 밖에서 도움 주는 어른의 유무에 따라 사회적 위 축의 성장변화가 삶의 만족도의 성장변화에 미치는 영 향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기각

가설 4.

10.

학교 밖에서 도움 주는 어른의 유무에 따라 다문화수용 성의 성장변화가 삶의 만족도의 성장변화에 미치는 영 향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기각

1. 특성별 차이 분석 결과

본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연구 대상으로 최종 선 정된 다문화청소년이 1,169명으로 남자 575명(49.2%), 여자 594명(50.8%) 으로 비슷한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어머니 출신국가의 경우, 일본 413명(35.3%), 필리핀 305명(26.1%), 중국 (조선족) 206명(17.6%) 순으로 일본과 필리핀, 중국(조선족) 비율이 79%

를 차지했으며, 아버지 출신국가의 경우에는 한국 1083명(92.6%), 일본14 명(1.3%)로 부 출신국가가 한국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연구 대상자의 어머니 학력의 경우에는, 고졸 545명(46.6%), 전문대졸 298(25.5%), 대졸 184명(15.7%)으로 나타나 다문화청소년의 어머니 학력 이 대부분 고졸이상인 1027명(87.8%)으로 고학력으로 분석되었다.

가구의 경제적 수준의 경우, 보통이하의 수준이 대부분이었으며, 어려운 편이다 504명(43.1%), 보통이다 478(40.9%), 아주 어렵다 153명(13.1%) 순 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본 연구의 주요 변수인 다문화청소년의 삶의 만족도는 측정시점 1차(2014년)에서 3.3362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측정시점 5차(2018년)에서 는 3.0308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는 삶의 만족도가 특정한 시기에 경험하는 것이 아닌 이전 상태가 이후 상태까지 지속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한 것으로 이전 시점의 상태가 잘 형성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다문화청소년의 가족지지는 측정시점 1차(2014년)에서 3.2027점으로 가 장 높았고, 측정시점 4차(2017년)에 3.1658점으로 계속 낮아지다가 5차 (2018년)에서 3.1738점으로 다소 상승하였다. 이처럼 가족지지가 점차 낮 아지는 이유는 청소년 시기에는 가족과의 일차적 인간관계에서 벗어나 친 구 및 교사나 또래 등 다양한 사람들과의 관계형성이 많아지는 단계로 타 인에 의해 제공되는 지지는 증가하는 반면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지지 는 점차 감소함 보여준 김혜수(2014)의 연구와 맥을 같이 한다.

다문화청소년의 사회적 위축은 측정시점 1차(2014년)에서 2.2534점으로 가장 낮았고, 측정시점 5차(2018년)에서는 2.3935점으로 꾸준히 증가하여 학년이 올라갈수록 사회적 위축이 더 높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문화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은 측정시점 1차(2014년)에서 3.0808점으 로 가장 낮았고, 측정시점 5차(2018년)에서는 3.2267점으로 가장 높게 나 타나 저학년 다문화청소년이 고학년으로 올라갈수록 다문화수용성 정도가 높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 가설 검증 결과

가. 연구문제 1의 가설검증 결과

연구 문제 1의 가족지지와 삶의 만족도, 사회적 위축, 다문화수용성 각 각의 종단적 성장 변화는 어떠한가에 대한 연구문제 1의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삶의 만족도의 잠재성장모형은 선형 성장모형이 RMSEA=.062 (괜찮은 적합도), TLI=.971(좋은 적합도), CFI=.960(좋은 적합도)를 보여 선형 성장모형을 최종적으로 선택하고 모수를 추정하였다. 삶의 만족도의 초기값이 3.353, 변화율이 -.082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 시간이 흐름에 따라 1년에 초기값 3.353에 -.082만큼 변화하며 초기 삶의 만족도 의 수준에서 다문화청소년들의 개인차가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초기값과 변화율의 상관이 -.018로 나타나 P<.001 수준에서 유의미하므로 초기 삶 의 만족도가 높은 다문화청소년들은 성장 변화속도가 완만히 이루어지고 초기 삶의 만족도가 낮은 청소년들은 성장 변화속도가 급격히 이루어지며 삶의 만족도의 초기값과 변화율에 다양한 개인차가 존재함을 알 수 있다.

둘째, 가족지지의 잠재성장모형은 선형 성장모형이 RMSEA=.040 (좋은 적합도), TLI=.991(좋은 적합도), CFI=.987(좋은 적합도)를 보여 선형 성장 모형을 최종적으로 선택하고 모수를 추정하였다. 가족지지의 초기값이

3.203, 변화율이 -.009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 시간이 흐름에 따 라 1년에 초기값 3.203에 -.009만큼 변화하며 초기 가족지지의 수준에서 다문화청소년들의 개인차가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초기값과 변화율의 상 관이 -.017로 나타나 P<.001 수준에서 유의미하므로 초기 가족지지가 높 은 청소년들은 성장의 변화속도가 완만히 이루어지고 초기 가족지지가 낮 은 청소년들은 성장의 변화속도가 급격히 이루어지며 가족지지의 초기값 과 변화율에 다양한 개인차가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셋째, 사회적 위축의 잠재성장모형은 선형 성장모형이 RMSEA=.053 (좋은 적합도), TLI=.986(좋은 적합도), CFI=.980(좋은 적합도)를 보여 선 형 성장모형을 최종적으로 선택하고 모수를 추정하였다. 사회적 위축의 초기값이 2.279, 변화율이 .032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 시간이 흐름에 따라 1년에 초기값 2.279에 .032만큼 변화하며 초기 사회적 위축의 수준에서 다문화청소년들의 개인차가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초기값과 변 화율의 상관이 -.026로 나타나 P<.001 수준에서 유의미하므로 초기 사회 적 위축이 높은 청소년들은 성장의 변화속도가 완만히 이루어지고 초기 사회적 위축이 낮은 청소년들은 성장의 변화속도가 급격히 이루어지며 사 회적 위축의 초기값과 변화율에 다양한 개인차가 존재함을 알 수 있다.

넷째, 다문화수용성의 잠재성장모형은 선형 성장모형이 RMSEA=.047 (좋은 적합도), TLI=.979(좋은 적합도), CFI=.971(좋은 적합도)를 보여 선 형 성장모형을 최종적으로 선택하고 모수를 추정하였다. 다문화수용성의 초기값이 3.094, 변화율이 .031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 시간이 흐름에 따라 1년에 초기값 3.094에 .031만큼 변화하며 초기 다문화수용성 수준에서 다문화청소년들의 개인차가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초기값과 변 화율의 상관이 -.026로 나타나 P<.001 수준에서 유의미하므로 초기 다문 화수용성이 높은 청소년은 성장의 변화속도가 완만히 이루어지고 초기 다 문화수용성이 낮은 청소년은 성장의 변화속도가 급격히 이루어지며 다문 화수용성의 초기값과 변화율에 다양한 개인차가 존재함을 알 수 있다.

나. 연구문제 2의 가설검증 결과

연구 문제 2의 다문화청소년의 가족지지, 삶의 만족도, 사회적 위축, 다 문화수용성의 성장변화에 따른 종단적 상호 성장변화관계는 어떠한가에 대한 연구문제 2의 분석결과 다변량 잠재성장 수정모형의 적합도 지수가 RMSEA<.064, TLI>.901, CFI >.915로 좋은 모형 적합도를 나타내어 그 에 따라 경로계수를 추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지지 초기값은 사회적 위축 초기값에 매우 유미하게(P<.001) 부적인 영향(β=-.284)을 미쳤으나 변화율에는 유의미하지 않았고 가족지 지 변화율은 사회적 위축변화율에 매우 유미하게(P<.001) 부적인 영향(β

=-.313)을 미쳤다.

둘째, 가족지지 초기값은 삶의 만족도 초기값에 매우 유의미하게 (P<.001) 정적인 영향(β=-.676)을 미쳤으나 변화율에는 유의미하지 않았 다. 가족지지 변화율은 삶의 만족도 변화율에 매우 유미하게(P<.001) 정 적인 영향(β=.760)을 미쳤다.

셋째, 가족지지 초기값은 다문화수용성 초기값에 매우 유의미하게 (P<.001) 정적인 영향(β=.531)을 미쳤으나 변화율에는 유의미(P<.05)하게 부적인 영향(β=-.184)을 미쳤다. 가족지지 변화율이 다문화수용성 변화율 에도 매우 유미하게(P<.001) 정적인 영향(β=-.531)을 미쳤다.

넷째, 사회적 위축 초기값은 삶의 만족도 초기값과, 변화율에 유의미한 부적인 영향(β=-.108, β=-.118)을 미쳤으며, 사회적 위축 변화율이 삶의 만족도 변화율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다섯째, 다문화수용성 초기값은 삶의 만족도 초기값에 매우 유의미하게 (P<.001) 정적인 영향(β=.203), 변화율에는 유의미(P<.01)하게 부적인 영 향(β=-.219)을 미쳤다. 가족지지 변화율은 삶의 만족도 변화율에는 유의 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종합해보면, 중1 시기의 가족지지가 높을수록 중1 시기의 사회적 위축 은 낮아짐을 의미하며, 또한 중 1시기에서 고 2까지 가족지지의 변화율이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74-1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