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선행연구의 평가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78-83)

앞에서 살펴본 선행연구들을 통해 다문화청소년의 가족지지가 삶의 만 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가족지지와 사회적 위축·다 문화수용성의 인과관계, 사회적 위축·다문화수용성과 삶의 만족도의 인과 관계를 살펴보고 가족지지, 사회적 위축, 다문화수용성이 다문화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행복지수는 낮고 삶의 만족도는 지속적으로 저하 되고 있다. 청소년들은 학업 부담, 경쟁적 지식 중심의 교육제도 속에서 삶이 비관적이고 행복하지 않다고 느끼며, 이로 인해 부적응적인 행동특 성이 표출되고 있다(김영민·임영식, 2013). 특히, 다문화청소년은 비(非)다 문화청소년과 다른 문화와 외모 및 언어로 인한 편견과 차별경험까지 더 해져 심리적으로 위축되고 폭력적인 행동으로 나타날 위험요소가 증가할 수 있으며, 이런 부정적인 영향은 다문화청소년의 삶의 만족도를 지속적 으로 떨어트릴 수 있기 때문에(양계민 외, 2020; 금명자 외, 2006) 다문화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한 국가적·사회적 다양한 지원 대책 마련 이 시급한 과제로 보인다.

다문화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한 선행연 구를 살펴본 결과 개인 내적 특성과 환경적 특성으로 구분하였다.

첫째, 개인 내적 요인으로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 우울, 다문화수용성 자아탄력성 등이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박동진·김송미, 2021a; 이상은·최나야, 2021; 이래혁·장혜림, 2020;

김은아·배민영, 2016; 조형정·윤지영, 2015; 김영민·임영식, 2013; 김지혜, 2012; 강유진·문재우, 2005). 특히, 불안, 두려움, 우울과 함께 사회적 위축 은 대표적인 내면화된 문제행동(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중 하나이 며(Mash and Barkley, 2003), 사회적 위축 행동을 보이는 청소년들은 외 현화 문제행동(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처럼 공격성이나 과잉행동 장애처럼 겉으로 드러나지 않고 자신의 행동을 억제하거나 적절하게 표현 하지 못하는 부적응적인 이상행동을 보이기 때문에 문제를 발견하기 쉽지 않다. 청소년기는 내면화된 문제에 가장 취약한 시기(Hankin et al., 1998) 임을 고려해 볼 때 사회적 위축은 청소년기에 주요한 영향요인으로써 면 밀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다문화청소년의 개인 내적 요인인 사회적 위축에 대한 연구 결과를 구 체적으로 살펴보면, 이래혁·장혜림(2020)의 연구 결과에서 보듯이 집단 괴 롭힘 피해를 경험한 다문화청소년은 부적절한 교우관계로 사회적 위축이

심화되어 삶의 만족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박동진·김송미 (2021a)의 연구 결과에서는 다문화청소년의 사회적 위축은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부적인 영향을 미쳐 청소년이 경험하는 사회적 위축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문화청소년의 가족지 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관계에서 매개변인으로 사회적 위축이 미치는 영향을 보다 구체적으로 규명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되어진다.

다문화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에 대한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이상은·최 나야(2021)의 연구 결과에서 이중문화변인 중 다문화수용성이 다문화청소 년의 삶의 만족도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박동 진·김송미(2021b)의 연구 결과에서도 다문화수용성이 다문화청소년의 이중 문화 수용태도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교우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 과에서 조절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이중문화 수용 태도가 다소 낮더라도 다문화수용성이 높으면 자아존중감에 영향이 미칠 수 있으며, 자아존중감은 다문화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이상은·최나 야, 2021) 줄 수 있기 때문에 다문화수용성의 정도가 삶의 만족도에 영향 을 미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다문화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 정 도에 따른 다른 연구 결과들을 살펴보면, 설진배·김소희(2017)의 연구에서 는 다문화청소년이 비(非)다문화청소년보다 다문화수용성이 낮다는 연구 결과, 김정희(2019)는 다문화청소년들이 문화적 다양성에 대한 거부감이나 부정적 의식을 갖고 있지 않고 긍정적인 태도를 보여 다문화수용성이 매 우 높다는 연구결과, 오세비(2019)는 4년 동안 시간이 흐를수록 다문화청 소년의 다문화수용성이 높아졌다는 연구결과, Munroe & Pearson(2006)은 인종에 따른 다문화수용성의 차이가 없다는 연구결과 등 다소 상이한 연 구결과가 보고되기도 하여 이에 대한 재검증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또한, 사회적 위축과 다문화수용성은 정도에 따라 다문화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력이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개인 내적 요인인 사회적 위축과 다문화수용성은 장기적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축적되고 변 화될 수 있는 역동성을 가진 변인이기 때문에 종단적 변화궤적으로 살펴

보는 것이 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 그렇지만 대부분의 연구들이 횡단적 접근법을 사용하였다는 제약점이 있어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횡단적 접근 법에서 벗어나 장기적인 측면에서 이들의 안정성과 상호적 영향을 살펴보 기 위해 종단적 접근법을 적용하여 검증하고자 한다.

둘째, 환경적 특성으로는 사회적지지, 가족지지, 대인관계 및 또래애착, 학교생활적응, 학습활동 등과 같은 요인들이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영 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제시되고 있다(서현석·김태균, 2020; 서영 우, 2016; 안지혜 외, 2016; 조은정, 2014; 김신경 외, 2014; 김성수, 2013;

김영민·임영식, 2013; 안선정 외, 2013; 김의철·박영신, 2004). 특히, 가족지 지는 청소년들의 심리·정서적 안정과 발달에 매우 중요한 변인으로 화목 한 가족관계나 긍정적 부모관계는 청소년의 행복감을 높이며 부모의 수용 적이고 민주적인 양육 태도는 삶의 만족도와 관련이 있었다(김의철·박영 신, 2004).

선행연구에서 다문화청소년의 가족지지에 대한 연구 결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서현석·김태균(2020)의 연구 결과에서 가족지지가 다문화청소년 의 삶의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족 의 긍정적인 지지가 다문화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보여 진다. 오현선(2010)의 연구 결과에서도 충남지역 다문화청소년을 대 상으로 사회적 지지인 교사지지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던 반면, 가족지지와 친구지지는 유의한 영향을 미쳐, 가족지지 및 친구지지 가 높을수록 다문화청소년의 삶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천희영·이 미란(2015)의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부모양육방식 및 학대가 높은 집단에서 삶의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다문화 청소년에게는 사회지지체계 중 일차적 지지체계인 가족지지가 삶의 만족 도를 형성하는데 주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가족지지는 위에서 제시한 사회적 위축과 다문화수용성과 더불어 다문 화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주요 변인임을 알 수 있다. 하지만 가족지지와 삶의 만족도 또한 매년 변할 수 있는 시간 의존적 변인이므로 종단적 변

화양상을 살펴볼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간이 지남에 따 라 다문화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인으로 환경요 인인 가족지지를 독립변인으로 설정하고 개인 내적 요인인 사회적 위축과 다문화수용성을 매개변인으로 설정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상호적 인 과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중간체계인 동아리활동과 외체계인 학교 밖에서 도움 주는 어른을 조절변인으로 하여 차이 검정을 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다문화청소년의 사회적 위축과 다문화수용성의 중요성과 필요 성을 확인할 것이며, 가족지지와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미치는 영향 정도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지금까지 충분하게 연구 되지 않았던 다문화청소년의 가족지지와 삶의 만족도에 대한 연구를 통해 다문화청소년들의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기초자료로도 유용한 정보가 될 수 있을 것이며 다문화청소년의 사회적 위축과 다문화수용성에 대해 고려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제 3 장 연구 설계

제 1절 연구모형과 연구가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78-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