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가족지지와 사회적 위축․다문화수용성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70-73)

2. 가족지지와 사회적 위축 · 다문화수용성

희·김현경, 2020; 장혜림·이래혁, 2019; 최경란·홍지영, 2018; 우희정, 2015) 중요한 보호요인으로 보고되고 있다(김승경·양계민, 2012). 이는 다문화청 소년의 발달과업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부모지지나 가족지지가 영향력으로 보고되고 있고(장혜림·이래혁, 2019; 최경란·홍지영, 2018) 다 문화청소년의 부모지지, 가족지지가 사회적 위축과 우울과 같은 심리적 요인과 관련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정주미·이동형, 2021; 김윤희·김현경, 2020; 최효식·연은모, 2020; 우희정, 2015).

선행연구들은 가족지지와 사회적 위축이 다문화청소년에게 중요한 변인 으로 보고되고 있지만 사회적 위축은 다른 내재화 문제인 우울, 불안에 대한 연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게 연구된 변인이었으며 주로 내재화 문 제의 범주에 포함되어 종합적으로 다루어져 왔었다(좌현숙·오승환, 2011;

서미정, 2008). 또한 청소년기가 자아정체성의 확립과 독립의 요구에 따른 심리적 이유기임에도 불구하고 가족지지가 사회적 위축으로 가는 경로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다문화청소년의 사회성 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부정적 발달 산물인 사회적 위축을 감소시키기 위해 일차적 지지체계인 가족지지와 사회적 위축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청소년의 가족지지와 삶의 만족도로 가는 경로에서 사회적 위축의 매개효과를 검증해 볼 것이다. 또한 사회적 위축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실천적 함의를 제공하는 데에도 큰 의미가 있을 것이다.

나.

가족지지와 다문화수용성과의 관계

한국의 다문화청소년은 국내에서 출생하고 성장한 국제결혼가정의 자녀 들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이들은 문화다양성과 상대성을 인 정하고 더불어 살아가기 위해서 비(非)다문화청소년들과 조화로운 관계형 성을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이에 다문화청소년과 비(非)다문화청소년 모 두 공동체 의식을 가지고 특정집단을 차별하지 않고 조화로운 공존관계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다문화수용성은 무엇보다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선행연구에서 다문화수용성은 청소년을 둘러싼 사회적 관계망인 가족, 친구, 교사, 지역사회 이웃 등 중요한 타인과 친밀한 관계일수록 시민의식 이 발달되어 타문화 및 구성원을 개방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영향력이 높다고 보고하고 있다(설진배·김소희, 2017; 박미정, 2016; 인태정, 2009).

특히 가족지지가 높고 부모와의 관계가 친밀할수록 다문화수용성은 더욱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이자형·김경근, 2013, 김경근·황여정, 2012).

다문화청소년의 가족지지와 다문화수용성의 영향력을 살펴본 오서진 (2021)은 가족지지 및 부모지지와 다문화수용성의 관계에서 가족지지, 부 모지지 모두 다문화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족 이 개인의 출생에서부터 성숙에 이르는 청소년기까지 사회의 문화를 전달 하고, 성장·발달의 전반에 걸쳐 영향을 주는 존재로서 중요한 영향을 미 치고 있기 때문에(이동훈 외, 2007) 다문화청소년의 건전한 다문화수용성 함양을 위해 부모와 가족지지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다문화청소년은 가족에게서 충분한 관심과 지지를 받을 때 자아탄 력성 및 자아존중감이 향상되어 타문화를 편견 없이 받아들일 수 있는 능 력인 다문화수용성이 높아지고, 타인과의 공감능력도 뛰어나 친사회적인 행동을 증진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이윤정, 2019; 박애선, 2017; 박순희·유 지형, 2017; 박수경·양심영, 2017). 사회성을 발달시키는 친사회적 행동은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수용적이고 자율적일 때 많이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이은영·김경혜, 2005), 다문화청소년에게 가장 가까운 미시체계인 가족으 로부터 받는 지지가 정서적 안정감을 주어 원만한 대인관계를 형성하고 이와 같은 힘이 내면화되어 다문화수용성을 증가시킨다고 볼 수 있다.

그렇지만 다문화수용성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증가(박미현 외, 2020)할 수 있는 역동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가장 가까운 미시체계인 가족으로 부터 지속적인 교육을 통해 다문화수용성을 향상시켜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가족의 기능을 강화시키고 가족과의 밀접한 협력관계가 유지되도록 체계적 지원의 필요성이 제시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청소년의

가족지지와 다문화수용성을 중요 변인으로 보고 다문화청소년의 가족지지 와 삶의 만족도로 가는 경로에서 다문화수용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해 볼 것이다. 이는 다문화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 향상을 위해 가족역량을 강화 시킬 수 있는 정책적 방안을 제공하는 데에도 큰 의미가 있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70-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