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가족지지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98-105)

가설 2.2. 가족지지의 성장변화는 다문화수용성의 성장변화에 유의미한 영향 을 미칠 것이다.

가설 2.3. 가족지지의 성장변화는 삶의 만족도의 성장변화에 유의미한 영향 을 미칠 것이다.

가설 2.4. 사회적 위축의 성장변화는 삶의 만족도의 성장변화에 유의미한 영 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2.5. 다문화수용성의 성장변화는 삶의 만족도의 성장변화에 유의미한 영 향을 미칠 것이다.

연구문제 3. 다문화 청소년의 가족지지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사 회적 위축과 다문화수용성의 종단매개효과는 어떠한가?

가설 3.1. 가족지지는 사회적 위축을 매개로 하여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3.2. 가족지지는 다문화수용성을 매개로 하여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 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연구문제 4. 동아리활동과 학교 밖에서 도움을 주는 어른 유무에 따라 다문화청소년의 가족지지가 사회적 위축, 다문화수용성을 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차이가 있는가?

가설 4.1. 동아리활동 유무에 따라 가족지지의 성장변화가 사회적 위축의 성장변화에 미치는 영향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4.2. 동아리활동 유무에 따라 가족지지의 성장변화가 삶의 만족도의 성 장변화에 미치는 영향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4.3. 동아리활동 유무에 따라 가족지지의 성장변화가 다문화수용성의 성장변화에 미치는 영향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4.4. 동아리활동 유무에 따라 사회적 위축의 성장변화가 삶의 만족도의 성장변화에 미치는 영향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4.5. 동아리활동 유무에 따라 다문화수용성의 성장변화가 삶의 만족도 의 성장변화에 미치는 영향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4.6. 학교 밖에서 도움 주는 어른의 유무에 따라 가족지지의 성장변화 가 사회적 위축의 성장변화에 미치는 영향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4.7. 학교 밖에서 도움 주는 어른의 유무에 따라 가족지지의 성장변화 가 삶의 만족도의 성장변화에 미치는 영향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4.8. 학교 밖에서 도움 주는 어른의 유무에 따라 가족지지의 성장변화 가 다문화수용성의 성장변화에 미치는 영향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4.9. 학교 밖에서 도움 주는 어른의 유무에 따라 사회적 위축의 성장변 화가 삶의 만족도의 성장변화에 미치는 영향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4.10. 학교 밖에서 도움 주는 어른의 유무에 따라 다문화수용성의 성장 변화가 삶의 만족도의 성장변화에 미치는 영향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제 2절 분석자료 및 분석대상 1. 분석자료

다문화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분석하기 위해 심 리·사회적 특성뿐만 아니라 다문화관련 변인인 가족지지, 사회적 위축, 다 문화수용성을 선택하였다. 네 개의 변인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동태적 속성을 가진 변인이기 때문에 여러 시점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반복측 정 할 수 있는 종단자료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 정책연구원에 의해 구축된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MAPS)를 활용하였다.

이 자료는 다문화청소년의 발달특성에 대해 객관적인 분석 없이 다문화청 소년들에 대한 부정적 고정관념과 그로인해 한국 사회의 사회적 통합의 방해요소로 작용될 가능성 및 다문화청소년 개인의 부정적 자아상을 형성 시켜 바람직하지 못한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시작되었 다. 또한 다문화청소년의 전반적이고 객관적인 특성을 파악하고자 2011부 터 2018년까지 시간의 흐름에 따른 성장과 발달과정을 추적하여 종단조사 를 실시하였으며, 다문화청소년의 배경적 특성, 학교생활영역, 심리사회적 응영역, 부모-자녀관계영역, 정책지원영역 등 매년 다양한 영역의 종합적 조사와 조사결과를 기초로 하여 정책적 연구가 함께 이루어졌다.

표본추출방법은 1단계 층화임의추출법을 적용하여 각 시도의 초등학교 4학년 다문화청소년의 분포를 기반으로 집단을 나누고, 이 집단 내에서 다문화청소년의 수를 반영한 학교의 추출률을 크게 하는 확률비례추출법 을 통해 표본을 선정하였다.

자료수집방법은 청소년의 경우 전문 조사원에 의한 면접조사 방식으로 이루어졌고, 조사도구는 CAPI이다.

2)

다문화청소년은 한국어로만 구성된 설문지로 조사하였고 학부모(어머니)의 경우에는 한국어뿐만 아니라 총 9 개의 외국어로 번역된 설문지를 통해 이루어졌다.

다문화청소년의 기준은 다문화가정 자녀에 대한 세부적인 통계자료가 제공되지 않고 있기 때문에 다문화가정 학생이 재학 중인 학교 정보를 활 용하여 다문화가정 학생을 다문화청소년으로 조사하였으며, 국제결혼가정 자녀, 중도입국청소년, 외국인자녀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나 모집단 분포에서 국제결혼가정자녀가 대다수를 차지하기에 결과적으로 다문화청 소년을 국제결혼가정자녀로 본다(양계민 외, 2020).

2. 분석대상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수집한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 (MAPS) 중 2011년(초4)부터 2018년(고2)까지 총 8회가 조사된 패널데이 터를 활용하였다. 조사시작 시점 응답자는 초등학교 4학년 학생이었으나, 8차년도 조사시점 응답자는 고등학교 2학년 학생으로 구성되어 있다. 1차 년도 총 조사대상자는 청소년(1,635명) 학부모(1,625명)이었으나 차수가 증 가할수록 조사 거부, 유학, 이민 등으로 인한 표본 이탈자가 발생하여 8차 년까지 패널로 유지된 청소년 1,197명과 학부모 1,166명으로 전체의 73.1%에 해당한다(양계민 외, 2020).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청소년 1차 청소년(1,635명)부터 8차 청소년(1,197 명) 중 4차 청소년(1,380명), 5차 청소년(1,347명), 6차 청소년(1,329명), 7 차 청소년(1,260명), 8차 청소년(1,197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원표본 유지율은 각각 84.3%, 82,3%, 81.2%, 77.0%, 73.1%이다. 이는 종단자료에 서의 불가피한 현상(정소희, 2009)으로 연구대상이 축소되었다.

2) CAPI(Computer Assisted Personal Interviewing) : 컴퓨터를 이용하여 면접원들이 진 행하는 기법으로 노트북을 들고 다니면서 진행이 이루어진다. 이 방법은 조사가 끝난 때 모뎀을 통해 자료를 전송하거나, 응답자들이 컴퓨터로 직접 응답하는 방식이다.

본 연구에서는 삶의 만족도, 가족지지, 사회적 위축, 다문화수용성에 대 해 1차 청소년 1635명은 응답한데 비해 8차에서는 438명이 전부 응답되지 않아 결측치로 처리하였고, 그 외 항목 무응답이나 패널 유실로 인한 결 측치를 제거하여 최종 1,169명이 선정되었다. 삶의 만족도, 가족지지, 사회 적 위축, 다문화수용성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각각의 변인에서의 변화와 관련성 추정에 용이한 다변량 잠재성장모형(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을 활용하여 종단연구를 실시하였다.

3)

제 3 절 측정도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MAPS)의 설 문 문항은 타당도 및 신뢰도가 검증되어 관련된 학문 분야에서 주로 활용 되고 있는 문항과 척도들로 구성되었다. 전문가의 자문, 예비조사, 요인분 석을 통해 조사대상의 나이를 고려한 문항의 수와 난이도를 조절하여 다 문화청소년들이 이해하기 쉽고 간략한 척도로 구성되었다.

1. 삶의 만족도

삶의 만족도는 김신영 외(2006)의해 개발된 척도를 김지경 외(2010)에 서 문항을 발췌하여 총3문항으로 구성된 척도이다. 문항의 내용은 “나는 사는 게 즐겁다”, “나는 내 삶이 행복하다고 생각한다”, “나는 걱정거리가 별로 없다”로 되어있으며 Likert 4점 척도로 평정하였다(1=“전혀 그렇지 않다”, 2=“그렇지 않은 편이다”, 3=“그런 편이다”, 4=“매우 그렇다”).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청소년의 삶의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 MAPS의 삶의 만족도 3문항 중 탐색적 요인분석 시 탈락한 1문항(“나는 걱정거리가 별

3) 결측은 항목무응답과 단위무응답으로 구분하며, 항목무응답은 조사대상자가 응답하기 곤란한 질문이라고 판단을 했거나 부주의하여 생기는 무응답을 말하며, 단위무응답은 조사대상자가 아예 질문지의 전체 항목에 대해 응답 자체를 하지 않은 것을 말한다(이 경상·안선영, 2009).

로 없다”)을 제외하고 2문항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각 차수별 2문 항의 평균점수를 사용하였고, 삶의 만족도의 점수가 높을수록 다문화청소 년이 스스로 삶에 대해 만족하는 정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측정한 삶의 만족도 문항의 신뢰도는 4차(중1) Cronbach'α

=.893, 5차(중2) Cronbach'α=.896, 6차(중3) Cronbach'α=.840, 7차(고1) Cronbach'α=.824, 8차(고2) Cronbach'α=.838로 나타났다. 구체적인 문항의 구성 및 신뢰도는 다음 <표 3-1>과 같다.

<표 3-1> 삶의 만족도 문항 구성과 신뢰도

문항 수 : 2문항 척도 : 4점 척도 신뢰도 Cronbach’s α 4차 5차 6차 7차 8차 1. “나는 사는 게 즐겁다”

2. “나는 내 삶이 행복하다고 생각한다”

1.“전혀 그렇지 않다”

2.“그렇지 않은 편이다”

3.“그런 편이다”

4.“매우 그렇다”

.893 .896 .840 .824 .838

2. 가족지지

가족지지는 한미현(1996)의 사회적지지 지각 척도 중 가족지지의 문항 8개 중 7개 문항을 수정·보완하여 총 7문항으로 구성된 척도이다. 문항의 내용은 “우리 가족은 서로 많이 도와주는 것 같다”, “우리 가족은 나를 잘 이해해주는 것 같다”, “우리 가족은 가지고 있는 것들을 서로 나누어 가지는 것 같다”, “우리 가족은 내가 힘들어할 때 내게 힘과 용기를 주는 것 같다”, “우리 가족은 내 생각이나 말을 잘 들어주는 것 같다”, “우리 가족은 나를 중요한 사람으로 생각하는 것 같다”, “우리 가족은 나에게 관심이 많은 것 같다”로 되어있으며 Likert 4점 척도로 평정하였다((1=“전 혀 그렇지 않다”, 2=“그렇지 않은 편이다”, 3=“그런 편이다”, 4=“매우 그 렇다”). 가족지지를 측정하기 위해 다문화청소년패널(MAPS)의 가족지지 7문항 모두 사용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의 KMO(Kaiser-Meyer-Olkin)와

Bartlett의 구형성 검정 및 최대우도를 통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단일성 분이 검증되었으며 문항 묶음을 활용한 7문항 중 2요인이 추출되었다. 1 요인은 가족에 대한 긍정적 인식요인이며 문항 내용은 “우리가족은 서로 많이 도와주는 것 같다”, “우리가족은 가지고 있는 것들을 서로 나누어 가지는 것 같다”이다. 2요인은 가족이 자신을 향한 관심·애정 요인으로, 문항의 내용은 “우리가족은 나에게 관심이 많은 것 같다”, “우리가족은 나를 중요한 사람으로 생각하는 것 같다”이다. 본 연구에서는 각 차수별 7문항의 평균점수를 사용하였고, 가족지지의 점수가 높을수록 다문화청소 년이 인식하는 가족지지의 정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측정한 가족지지 문항의 신뢰도는 4차(중1) Cronbach'α

=.949, 5차(중2) Cronbach'α=.945, 6차(중3) Cronbach'α=.944, 7차(고1) Cronbach'α=.948, 8차(고2) Cronbach'α=.955로 나타났다. 구체적 문항의 구성과 신뢰도는 다음 <표 3-2>과 같다.

<표 3-2> 가족지지 문항 구성과 신뢰도

문항 수 : 7문항 척도 : 4점 척도 신뢰도 Cronbach’s α 4차 5차 6차 7차 8차 1. “우리 가족은 서로 많이

도와주는 것 같다”

2. “우리 가족은 나를 잘 이 해해주는 것 같다”

3. “우리 가족은 가지고 있 는 것들을 서로 나누어 가 지는 것 같다”

4. “우리 가족은 내가 힘들 어할 때 내게 힘과 용기를 주는 것 같다”

5. “우리 가족은 내 생각이 나 말을 잘 들어주는 것 같 다”

6. “우리 가족은 나를 중요 한 사람으로 생각하는 것 같다”7. “우리 가족은 나에게 관 심이 많은 것 같다”

1.“전혀 그렇지 않다”

2.“그렇지 않은 편이다”

3.“그런 편이다”

4.“매우 그렇다”

.949 .945 .944 .948 .955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98-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