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사회적 위축․다문화수용성과 삶의 만족도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73-76)

가족지지와 다문화수용성을 중요 변인으로 보고 다문화청소년의 가족지지 와 삶의 만족도로 가는 경로에서 다문화수용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해 볼 것이다. 이는 다문화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 향상을 위해 가족역량을 강화 시킬 수 있는 정책적 방안을 제공하는 데에도 큰 의미가 있다.

성적 사회적 위축은 다문화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정주미·이동형, 2021; 양계민 외, 2020).

모상현(2018)의 연구에서는 다문화청소년이 또래들과의 관계 및 생활환 경에서 외모나 문화적인 차이로 인해 사회적 위축감을 경험하고 있었으며 (이형하 외, 2019), 실제로도 또래와의 관계 맺음과 학교생활적응 등에서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홍나미·박현정, 2017). 이는 다문화청소년이 다 른 문화, 외모, 언어 등과 같은 차별경험으로 높은 수준의 사회적 위축을 경험하게 되고 이로 인해 학교생활부적응이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보고되었다(박동진·김송미, 2021a; 이은화, 2021; 이원식, 2018).

이처럼 다문화청소년이 비(非)다문화청소년에 비해 사회적 위축과 같은 내재화 문제를 크게 경험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다양한 정서적·행동적 문제가 더 많이 나타난 것으로 보고되었다(전영희, 2012).

청소년기는 아동기에서 성인기로 이어지는 중간적인 단계로, 발달의 변 화에 따라 신체적, 정서적, 심리적으로 많은 변화를 경험하게 된다. 이 시 기 다문화청소년의 누적된 부정적 경험은 심리적 불안상태의 지속으로 정 서 및 행동적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고, 그 영향력은 성인기까지 이어질 수 있다(김인, 2021). 따라서 다문화청소년의 사회 부적응이 현재를 넘어 미래까지 삶의 만족도를 낮추는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유추할 수 있기에 다문화청소년의 사회적 위축의 영향력에 특히 주목할 필요성이 있다.

나. 다문화수용성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한국사회가 다인종·다민족이 함께하는 다문화사회로 변화하면서 청소년 들에게 열린 생각과 창의성을 바탕으로 다른 사람들과 의사소통할 수 있 고 상호 협력할 수 있는 능력인 다문화수용성의 함양이 교육적 과제가 되 고 있다(이수경·전선미, 2014). 다문화수용성은 사회통합을 위한 중요 요 인으로서 청소년들이 우리 사회를 더 민주적으로 만들기 위해 갖추어야 하는 중요한 시민적 자질이다(김동진·김태한, 2018).

베리(Berry, 1980)는 개인이 새로운 문화를 접할 때 기존 문화에 대한 정체성을 유지하는데 가치를 두는지, 새로운 사회문화와 좋은 관계를 유 지하는데 가치를 두는지의 여부에 따라 주변화, 분리, 동화, 통합 네 가지 로 문화적응유형을 구분하였다. 이 중 다른 문화에 동질감을 느끼며 통합 문화적응을 보이는 청소년들이 자신의 삶에 대해 더 긍정적으로 생각하며 만족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하였다. 이는 청소년들이 자신과 다른 문화적 배경에 대해 긍정적인 수용태도를 보일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이상은·최나야, 2021; 오경화, 2011).

이상은·최나야(2021)의 연구는 다문화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 도 간의 관계에서 이중문화경험(다문화수용성, 이중문화 수용태도, 문화적 응 스트레스, 국가정체성)이 직접·간접효과가 있었으며, 이중문화경험 중 다문화수용성이 삶의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 이는 타문화에 대한 이해와 수용적 태도를 가진 청소년일수록 자신의 삶을 주도적으로 변화시키고 가치를 부여함으로써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 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막연한 이중문화교육의 강조보다는 공동 체의식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또래관계 증진과 같은 프로그램에 다문화 이해교육을 제공하여 다문화수용성을 증진시킬 필요성이 대두된다.

국내 다문화청소년의 경우 대부분은 한국인 아버지의 주류문화인 한국 문화와 외국인 어머니의 비주류문화를 이해하고 수용해야하는 상황에 놓 여있다(양계민 외, 2020). 이런 이중문화배경은 다문화청소년에게 긍정적·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문화적응과정에서 이중문화경험은 이중 언 어와 문화를 배우는 동시에 자신의 고유한 정체성을 갖게 되어 자아 성장 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다문화유능성으로 발전될 수 있다(이진 경·이혜정, 2019). 이를 바탕으로 다문화청소년은 성인기가 되어서도 삶의 만족도 수준이 높을 수 있다고 하였다(이상은·최나야, 2021). 이러한 결과 는 다문화사회로 변해가고 있는 우리사회에서 다문화사회로의 변화에 따 른 문화 간 감수성과 교차문화 의사소통과 같은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 록 다문화수용성 함양을 위한 정책적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족지지와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다문화수용성의 매 개효과를 살펴볼 것이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73-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