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와인투자 전략

문서에서 1 2013년 세계농업전망 (페이지 91-97)

WORLD AGRICULTURE

4. 와인투자 전략

와인에 투자를 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투자자는 어떤 방법을 선택할지에 대 한 결정을 내리기 전에 모든 잠재적 옵션을 고려해야 한다. 가장 좋은 방법으로는 단

순하게 높은 품질의 빈티지 와인을 구매하고 추후에 판매하는 것이다. 이러한 투자 방 법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가격이 상승하기도 하고 하락하는 경우도 있어 투자에 대한 어려움은 항상 존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와인을 적당한 시기에 구매하여 팔게 되 면 좋은 투자가 될 수도 있다. 누군가는 특정와인에 대한 높은 신뢰를 가지고 있어서 가격에 대한 진가를 알아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중요한 것은 장기적 보관에 따른 고품질이 보증되어야 하고 자신이 보유하고 있거나 구매하려는 와인에 대한 광범위한 지식이 필요하다.

1999년 런던인터내셔널빈티지(London International Vintners Exchange, Liv-ex:와인 투자 등급을 결정하는 기관)는 와인투자자 및 상인들에게 시장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 에서 설립되었다. 투자가치가 있는 와인으로 구분되기 위한 조건 중 하나는 숙성 능력 이다. 와인이 오랜 기간 숙성되는 동안 탄닌은 부드러워지고 거친 성질이 연해지기 때 문에 숙성된 와인은 비싸기 마련이다. 또 다른 조건은 희소성이다. 와인 맛이 좋아도 다량으로 양조되면 가격 상승에 제한이 가해진다. 따라서 품질 좋고 숙성도가 높은 와 인이면서도 희소성을 가져야 투자 대상이 될 수 있다.

4.1. 투자결정에 고려해야할 추가적 변수

와인에 대한 투자를 결정짓기 전에 투자자들은 와인의 미래에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두 가지의 새로운 동향을 고려해야 한다. 세계 와인 시장에서 나타난 첫 번째 주 요 추세는 슈퍼경제(중국, 인도 등)의 출현이다. 중국에서는 최근 와인 소비가 급증하 고 있다. 2005-2008년 사이에 65% 증가했으며 1990년에 비해 4배가 증가하였다. 15년 전만해도 중국에서 포도 원료 와인에 대한 소비는 없었고 단지 비(非)포도 원료 와인 류에 대한 소비만 존재했다. 비(非)포도 원료 와인들은 여전히 2/3정도의 점유율을 차 지하고 있지만 포도 원료 와인에 대한 포도품종 개발 및 품질·맛에 대한 개발이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중국의 급속한 경제성장으로 새로운 취향과 호화로운 삶을 선 호하는 관념과 상위계층에 대한 욕망이 와인 소비를 증가시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다. 중국 여성들 사이에서는 화이트 와인에 대한 소비가 급증하고 레드와인은 남성 소 비자들 사이에서 주로 인기가 있다.

투자자들에게 가장 흥미로운 얘깃거리는 중국인들의 고급와인에 대한 갈망이다. 이 러한 높은 수요는 보르도, 버건디(burgundy:프랑스 부르고뉴산 포도주)와 키안티 와인 에 대한 가격을 결정짓는다. 중국은 세계에서 포도원의 면적이 5번째로 크며 규모가

큰 만큼 생산량도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주요 와인 수출국으로 자리매김할 정도의 생산량은 아니다. 중국의 와인 생산량이 낮은 이유는 토지의 부족이 아니라 기 술적인 부분 즉, 전문지식의 부족 때문이다.

2011년 상하이에서 처음으로 공식적인 와인교류를 시작하면서 와인 거래업자들의 온라인 플랫폼이 제공되었다. 최근 Dinghong Fund는 프랑스를 통해 모든 빈티지 지역 에 156백만 달러를 투자했다. 2008년 400개였던 중국의 와이너리(Winery)가 추후 50년 동안 10배가량 증가할 것이라는 예측 하에 프랑스 기업들은 중국의 포도원에 투자하 기로 하였다. 중국의 와인 기업은 단지 3개(Dynasty, Changyu and Great Wall)뿐이지만 와인 시장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으며 소비자 기호에 따라 세분화되어 있다. 이는 획일 적인 것이 아니라 차별화 된 것으로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에 적합하다. 이러한 추 세는 글로벌 와인 산업의 거대한 원동력이 될 수 있다.

인도에서 와인 소비가 급증한 이유는 소비층이 중간계층으로 확대되었기 때문이다.

인도는 위스키나 럼11)과 같은 증류주에 대한 선호가 높은데 와인은 다른 주류로 대체 재되기 보다는 보완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인도의 와인 소비량은 200년 이후 증가 세를 보였으나 그 양이 많진 않았다. 2006년 인도의 1인당 와인 소비량은 1큰술 정도 에 불과했으나 2008년 7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도 대부분의 와인은 나시크 (Nasik)12)에서 생산되고 있으며 인도의 뭄바이 북동쪽에서 약 100마일 떨어져있는 중 앙 및 서부지역 등지에서도 생산되고 있다. 인도는 아직 와인 신생국가이다. 국가에서 가장 오래된 와이너리(Winery)는 38년 전에 설립된 것이며 국내에서만 소비되고 수출 되지 않는다. 그러나 인도는 오프사이클을 가지고 있어 와인제조업자들에게는 아주 매력적인 국가로 손꼽히고 있다. 예를 들어, 여름의 우기 및 몬순계절을 가지고 있어 포도나무의 가지치기는 9월에 시작되고 2월에 수확할 수 있다.

두 번째로 주요한 추세는 포도원의 품질과 경쟁력에 모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세 계적인 기후변화이다. 포도 재배 지역은 온도와 습도 조건에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위도 30-50도 사이의 매우 좁은 범위에서만 재배되고 있다. 골디락스 존(goldilocks zon e)13) 범위 안에서 와인 생산을 위한 포도원 경작이 가능한 지역들의 묶음을 와인벨트라 고 부른다. 낮은 온도에서 생산된 포도는 더 깊고 강렬한 맛의 와인이, 높은 온도에서 생산된 포도는 단조롭고 흥미롭지 않은 와인이 만들어질 가능성이 높다. 이처럼 좋은

11) 당밀이나 사탕수수의 즙을 발효시켜서 증류한 술.

12) 나시크(Nasik): 인도 마아라슈트라 주 서북부에 있는 불교 성지.

13) 골디락스 존(goldilocks zone): 너무 뜨겁지도 차갑지도 않은 영역 범위.

그림 5 세계 와인 생산 지역

조건들을 갖춘 지역에서는 좋은 와인이 만들어지게 된다. 그러나 세계 평균 기온이 상 승하고 있고 와인을 만들기에 완벽한 떼루아와 땅의 몇몇 구획은 불모지가 되고 있다.

즉 와인이 생산되기에 적합한 토양과 온도, 일조량, 건조함 등의 조건이 악화되고 있다.

스페인 와인아카데미 후원을 받아 2006년 3월 와인과 지구온난화에 대한 최초의 회 의가 바르셀로나에서 개최되었다. 이 회의에서 전 세계의 양조업자 및 와인상인들은 와인의 미래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는 목소리를 냈다. 스페인과 포르투갈은 이미 세계 기온 상승, 가뭄 등으로 포도작물 생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스페인의 카스티 야 라만차(Castilla-La Mancha) 지역 또한 5년 동안 다섯 번의 가뭄이 연속적으로 발생하 여 미래에 생명을 지속할 수 없는 지역이라는 냉정한 평가를 받았다. 반복되는 우려 속에서 2008년, 그리고 가장 최근 2011년에 두 번째, 세 번째 회의가 열렸다. 예를 들 어, 캘리포니아의 나파밸리(Napa valley)는 향후 몇 년간 기온상승에 민감할 것으로 보 고되었고 포도 과원이 북쪽으로 이전해야 한다고 발표를 했다.

기후변화로 인해 포도재배지역이 확대된다는 가능성도 높아졌으나 한편으로는 와인 의 맛이 변질될 수도 있다는 문제점도 발생한다. 즉, 일부 따뜻한 지역은 역사적 프리미 엄 와인 빈티지를 지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으나 추운 날씨에서 고품질의 와인이 생산되 던 지역에서는 기온 상승으로 와인의 품질 저하가 우려된다. 프랑스 상파뉴(Champagne)

지역은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올해 법적으로 허용된 포도 생산량 보다 20% 늘리 기로 했다. 이 지역의 무역 사무국인 상파뉴 와인전문협의회(Comité Interprofessionnel du Vin de Champagne, CIVC)는 올해 상파뉴의 포도 수확한도를 포도밭 1헥타르당 12,500 킬로그램으로 확정하였다(재작년 9,700kg, 작년 10,500kg).

와인 투자자들은 향후 프리미엄 빈티지 부동산으로 포도원을 매매하는 것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영국의 남부, 호주의 태즈메이니아, 뉴질랜드의 남섬, 브리티시 콜롬비 아, 캐나다에 있는 오카나간밸리, 뉴욕에 퓨젯사운드와 핑커 레이크스가 그 예이다. 추 후에 와인과 관련된 연구보고서들은 기후변화와 GIS분석 사용에 초점이 맞춰질 것으 로 예상된다.

참고문헌

Q.D.Truong. 2012. "The Global Wine Industry 1" Global AgInvesting Research & Insight.

FAO Stat Wine Production. FAO Stat. 2012. U.N.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The Wine Institute. 2010. World Wine Consumption by Volume.

USDA (www.fas.usda.gov)

세계 농식품산업 동향

EU 와인산업 동향 *

이 혜 은 · 박 한 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원)

1. 서론 14)

EU의 공동농업정책(Common Agricultural Policy, CAP)은 1992년 및 1999년의 개혁에 의 하여 가격지지에서 직접지불제도로 전환하였고, 2003년 개혁에서는 과거의 직접 지불 의 급부액수를 기초로 하여 생산 요소로부터 분리된 단일지불제도가 도입되었다. 소 위 ‘디커플링(decoupling)’형 직접 지불이다. 2003년의 곡물·축산부문의 개혁, 2004년의 면화, 호프, 올리브 오일, 담배 부문의 개혁, 2006년의 설탕부문의 개혁에 이어, 장기간 에 걸친 개혁에서 뒤떨어져 온 와인 부문의 개혁이 진행 중이다.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EU 지역 내에서는 와인 소비가 부진한 반면 EU 역내·역외 시장에 있어서의 ‘뉴월드(new world)’1)와인과의 심한 경쟁으로 EU산 와인은 어려운 상 황에 처해 있다. 수요와 공급의 균형은 테이블 와인을 중심으로 크게 무너지고 있으며 구조적인 과잉생산이 심각하다. 그리하여 EU는 남은 와인의 처리에 엄청난 지출을 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유럽집행위원회는 와인 부문의 개혁을 추진하기 위하여 2006년 6월, 유럽의회 및 각 료이사회에 대한 보고서(COM 2006/319 final)인 ‘지속가능한 유럽의 와인 부문을 위하

* (flaubert@krei.re.kr, 02-3299-4244).

1) 호주, 칠레, 남아프리카, 미국, 아르헨티나 등.

여(Vers un secteur vitivinicole europeen durable)’를 공표하고, 와인 공통 시장제도의 개혁 을 제언하였다. 그 후, 약 1년간의 준비 기간을 거쳐 2007년 7월 4일, 와인 공통 시장제 도에 관한 이사회 규정안(案)(Proposition de Reglement du Conseil portant organisation com-mune du marche vitivinicole et modifiant certainsreglements)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프랑스 등 생산국의 반대가 강하여 개혁에 따른 변화를 완화하는 방향으로 제안은 수정되었 다. 그것에 의하여 「EU와인 개혁에 관한 2006년 유럽집행위원회보고서」에서 언급되 어진 대로, 재배 규제 해제의 연기(EU 수준에서는 2016년), 증류 보조금과 머스트(Mus t)2)의 폐지 연기 또는 계속, 경작 면적 줄이기 정책의 완화, 보당(補糖)3)의 용인 등이 담겨 있다.

2007년 12월 19일의 농림수산장관 이사회에서의 합의하고, 2008년 4월 29일 이사회 에서 채택되어 2008년 8월 1일에 신규정이 발효되었다.

문서에서 1 2013년 세계농업전망 (페이지 91-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