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나. 교육과정의 탄력적・자율적 운영

1) 연계교육 강화

직업교육의 연계는 교육기관간의 협약에 의하여 교육과정이나 훈련과정을 서로 연결하여 운영하는 것을 의미한다(이종성 외, 1998: 146). 교육개혁위원회(1996b : 19)에서는 학교간 연계체제를 운영하는 것이 직업교육을 받는 자에게 계속교육 기회를 제공하는 한편, 교육의 현장 적합성을 확보하기 위한 수단이 된다는 점 에서 직업교육개혁의 혁신적 수단으로 간주하였다. 교육개혁위원회에서는 연계 의 유형을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하였는데, ① 동급학교간의 연계를 통하여 고교 단계 직업 기본교육에 충실하고, ② 상・하급 학교간 연계를 통하여 직업교육 이수자들의 계속교육 기회를 보장하며, ③ 산학연계를 통하여 근로자 향상교육 및 교육의 현장 적합화를 꾀하는 것이다. 특히, 교육개혁위원회(1996a: 10)에서 는 10년 동안의 국민공통 기본교육을 이수한 자에게 계속교육 기회를 제공하기 위하여 고등학교 2~3학년 단계의 직업교육과정을 전문대학(2+2)이나 개방대학

113

-(2+4) 등의 교육과정과 연계 운영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러한 과정을 이수한 고등학교 졸업자는 해당 대학에서 학생 선발시 우선하여 선발할 수 있도록 하였 다. 즉, 교육개혁위원회(1996a, 1996b )에서는 계속교육 기회를 보장할 수 있는 수직적 연계를 강조하였는데, 1996년 8월에 전문대학과 실업계 고등학교가 교육 과정을 연계하여 운영하는 경우에는 당해 과정을 이수한 실업계 고등학교를 졸 업한 자를 특별 선발할 수 있다 는 교육법 시행령의 개정을 토대로 1996년부터 연계교육 시범 실업계 고등학교와 전문대학을 선정・운영하고 있으며(이종성 외, 1998: 172), 1999년에는 시범 운영 학교(실업계 고등학교 11개교, 전문대학 16개교)를 포함하여 225개의 실업계 고등학교와 40개의 전문대학이 연계교육 (2+2)에 참여하고 있다(< 표 Ⅲ- 18> 참고).

< 표 Ⅲ- 18> 1996년~1999년 연계교육 참여 학교 현황

시기・구분 전 문

대학수

연 계 고교수

연 계 학과수

고교 연계학과의 특성

동일 학과 동일계열 학과 인접 학과

1996~

1998년

1차 시범 4 3

181 45 109 27

2차 시범 12 8 자율참여 12 (71)

28 82

1999년 재정지원 40 225 253 54 82 117

주) 1999년의 전문대학수와 연계 고교수에는 시범운영학교(실업계 고등학교 11개교, 전문대학 16개교)가 포함되었음.

자료) 장명희, 강경종, 김종우, 박윤희(1999). 실업계 고교와 전문대학의 연계교육을 위 한 운영 체제 및 교육과정 모형 개발.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 42.

이와 같은 실업계 고등학교에서의 연계교육은 앞으로 계속 강화될 것으로 보인 다. 교육부는 교육발전 5개년 계획(교육부, 1999: 135) 과 실업계 고교 육성 대책(교육부 산업교육정책과, 2000) 을 통하여 학교급별 직업교육기관간 연계교 육 체제를 더욱 활성화할 것이라고 하였다. 특히, 현재 운영되고 있는 실업계 고 등학교와 전문대학의 연계교육(2+2)은 시범 실시 후에 그 운영 성과에 따라 확 대할 것이며, 실업계 고등학교와 전문대학, 대학이 서로 연계되는 2+2+2 체제

114

-나 2+4 체제 등의 새로운 체제를 유도할 것이라고 하였다.

2 ) 교육과정 자율운영 확대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자율운영이란 단위 학교의 교육과정을 편성함에 있어서 교육부 고시 교육과정의 총 이수 단위 하한선은 지키되, 이외의 기준(보 통・전문교과의 이수 하한선, 계열・학과 필수과목 및 이수 단위 등)은 감안하 지 않고 자율적으로 편성・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체제를 의미한다(장명희, 강 경종, 김선태, 김종우, 1998: 46). 실업계 고등학교에서 교육과정을 자율적으로 운영해야 한다는 주장은 현재의 실업계 고등학교가 학생들의 학습능력이나 흥 미, 요구보다는 공급자 중심의 경직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어 학생들의 다양 한 요구는 물론 산업사회의 변화나 지역적 특성에도 적극 대처하지 못하고 있다 는 현실적인 문제에 기인하고 있다. 즉, 이러한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운영 의 현실적인 제한점을 극복하고 단위 학교 교육과정의 변화 있는 운영에 실제적 인 도움을 주기 위해서는 적용 가능한 교육과정 유형을 비롯하여 학과 구성, 교 육내용 재구성 및 교재 개발, 교사의 조직에 이르기까지 자율적인 교육과정 운 영을 위한 다양한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는 것이다(장명희, 강경종, 김선태, 김 종우, 1998: 34- 36).

이에 따라 교육발전 5개년 계획(교육부, 1999: 65) 에서는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운영의 자율성을 확대하여 실업계 고등학교 전문교과의 계열별 필수과 목은 교육부가 정하고, 학과별 필수과목은 시・도 교육청이 결정하던 것을 학생 의 요구와 학교 실정을 감안하여 학교가 자율적으로 결정하도록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보통교과의 기준 단위를 2단위까지만 증감 가능하던 것을 4단위까지 확 대하고, 최저 이수단위를 82단위에서 70단위로 축소・조정하여 단위 학교 중심 의 교육과정 운영 체제를 구축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실업계 고교 육성 대책(교육부 산업교육정책과, 2000) 에서도 현재의 교육과정 자율운영 실험학교 의 운영성과에 따라 적용 대상을 확대하는 방안을 제시하여 단위 학교에서 산업 계 기술 수요 변화와 미래 유망직종 전망에 기초하여 교육과정 및 교육 프로그 램을 개발・운영할 수 있도록 하였다.

115

-현재 교육부에서는 학습자 중심 교육을 통해 실업계 고등학교를 경쟁력 있는 중 등직업교육기관으로 육성한다는 목표 아래 16개교를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자율운영 실험학교를 선정하여, 1999년부터 2002년까지 4년 동안 교육과정 편성 운영권을 학교장에 위임하고 실험학교 교사에게 부가점을 부여하는 등의 행정적 인 지원과 함께 여러 가지 재정적인 지원을 하고 있다(<표 Ⅲ- 19>참고).

< 표 Ⅲ- 19>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자율운영 선정학교 현황

지역 선정학교 비고

서울 영등포여자상업고등학교

- 농업계 3개교 - 공업계 7개교 - 상업계 4개교 - 수산・해운계 1개교 - 실업고 1개교

부산 부산진여자상업고등학교

대구 대구제일여자상업고등학교

인천 부평공업고등학교

인천해양과학고등학교

광주 광주전자공업고등학교

대전 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

울산 울산화봉공업고등학교

경기 수원농생명과학고등학교

강원 영월공업고등학교

충북 청주기계공업고등학교

충남 천안공업고등학교

전북 김제자영고등학교

전남 강진농업고등학교

경북 포항정보여자고등학교

경남 함양실업고등학교

자료) 교육부 산업교육정책과(2000). 실업계 고교 육성 대책 [참고자료].

3 ) 산학연계를 통한 교육과정의 현장 적응력 제고

산학연계를 강화하여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 내용의 현장성을 높이기 위한 방 안은 실업계 고등학교에 대한 대부분의 대책에 포함되어 있다. 교육개혁위원회 (1996: 10- 11)에서도 현장실습의 시기와 기간, 실습분야를 탄력적으로 운영하고,

116

-교육과정의 편성・운영이 산업 현장과 유기적으로 연계되도록 산업체가 주도적 으로 참여하는 지역의 직업교육・훈련협의회(가칭) 의 역할을 강화하고, 학교운 영위원회의 구성에 산업계 인사가 다수 참여하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교육발전 5개년 계획(교육부, 1999: 135) 에서도 실업계 교육과정 및 교과서 개 발에 산업체의 참여를 적극 권장하고, 산업체 실습을 원하는 학생에게 1년의 범 위 내에서 현장실습 기회를 제공하여 산업체와의 연계교육을 강화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실업계 고교 육성 대책(교육부 산업교육정책과, 2000) 에서도 산학 협동 강화를 통하여 교육과정의 현장 적응력을 제고하는 방안을 다음과 같이 여 러 가지 제시하였다. 첫째, 현장실습의 단위 이수 인정을 확대하고, 이수 시기를 다양화한다. 특히, 1999년 3월에 제정된 각급학교현장실습운영예관한규칙 에 의 거하여 시범학교를 지정・운영하고 평가・지원하여 확산을 유도한다. 둘째, 교육 과정 및 교재 개발과 교수・학습 활동에 관련 산업체 인사의 참여를 유도한다.

셋째, 지방자치단체별로 직업교육훈련촉진법 에서 규정한 직업교육훈련협의회 를 구성하도록 지원한다. 넷째, 학교 내에서 현장 지향 프로그램의 개발을 지원 한다. 다섯째, 실업계 고등학교 출신의 산업체 근로자에게 현장실습생 등 학생을 지도할 수 있는 민간자격인 현장 전문가 자격을 부여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여 섯째, 기업체가 요구하는 주문식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이에 따라 교육부의 자료(교육부 평생교육국, 2000)에 의하면 시・도 교육청에 서도 현장실습을 내실화하는 등의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표 Ⅲ- 20>참고).

4 ) 직업기초교육의 강화

직업기초능력 이란 직종이나 직위에 상관없이 대부분의 직종에서 직무를 성공적 으로 수행하는데 공통적으로 필요한 능력(정철영 외, 1998: 10)을 의미하는데, 직업기초교육이란 교육과정을 편성・운영함에 있어서 이러한 직업기초능력의 개 발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직업기초능력은 교육개혁위원회 (1996a : 28)에서 직업능력인증제도의 도입 방안을 제시하면서 본격적인 정부의 개편정책으로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이후에 여러 연구(이무근 외, 1997; 정철영

117

-외, 1998 등)에서 직업기초능력 및 직업능력인증제의 도입・시행을 다양한 방안 이 검토되었는데, 교육발전 5개년 계획(교육부, 1999: 135) 에서는 세분화된 전 공 중심의 실업계 고등학교 직업교육을 일반 기초능력 함양을 위한 직업교육과 정으로 전환하고, 직업기초 공통교과제를 도입하는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실업

-외, 1998 등)에서 직업기초능력 및 직업능력인증제의 도입・시행을 다양한 방안 이 검토되었는데, 교육발전 5개년 계획(교육부, 1999: 135) 에서는 세분화된 전 공 중심의 실업계 고등학교 직업교육을 일반 기초능력 함양을 위한 직업교육과 정으로 전환하고, 직업기초 공통교과제를 도입하는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실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