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표 4> 청담동 ○○/××연립 사업 개요

조 합

명 칭 ○○/××연립재건축조합

설립연도 2002년 12월

조합원수 세창연립 18명 유정연립 15명

대지지분 세창연립 55% 유정연립 45%

건 축

대 지 위 치 청담동 44-1번지외 3필지 면적 648평

건 물

연 면 적 2,144평 층수 지상9층, 지하1층 구조 콘크리트 벽식구조

세 대 수 49세대 착공 철거일부완료 준공 미정

용 적 율 249%

시행사와 조합은 조합규약 및 도정법 규정에 따라 조합원 대다수의 동의를 얻어 사업을 강행하기로 결정하였고, 조합은 반대조합원 4인을 상대로 명도 및 신탁등기 청구소송을 진 행하여 명도에 대한 선고가 있었다(서울중앙지방법원 2005가합62049). 명도가 완료된 후 소 송 항목을 변경, 매도청구소송 및 손해배상청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극소수의 인원이 사업진행을 방해함으로서 조합 및 시행사는 상당한 규모의 금전적 시간 적 손실을 입고 있다. 이의를 제기하는 조합원 역시 소득은 없는 반면 다른 조합원으로부터 질시를 받게 됨과 타 조합원보다 더 큰 금전적 손실을 입게 될 것으로 판단된다. 다수의 공 동사업에서의 돌출 행동은 타 조합원 및 본인 어느 누구에게도 이익이 되지못함을 실감하 는 사례가 될 것이다.

험도 축적되어 있다. 또한 공동 시행사는 각 조합들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사업공동목표 에 중립적 자세로 공정하게 의사소통을 조정할 능력도 있다. 이런 면에서 갈등 해소를 위한 몇 가지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사례로 제시한 연합조합의 경우, 성공사례와 실패사례로 분류되었지만, 사업진행 과정을 살펴보면 4곳 모두 조직간의 갈등이 여러곳에서 표출되었다. 어쩌면 성공사례 2곳이 실패 사례 2곳보다 더 많은 조직 갈등이 나타났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성공사례의 경우 각 조 합이 많은 대화와 설득으로 합의를 도출하여 재건축 사업목표에 도달할 수 있었지만, 실패 사례의 경우는 해소할 수 있는 아주 작은 갈등이 불신, 적대감, 반대행동 등 이해관계의 충 돌로 법적 소송까지 진행되어 재건축 사업 중단 사태까지 이르게 되었다. 이로 인해 각 조 합의 조합원은 물론 사업추진주체들에게도 많은 경제적 손실을 가져왔다. 조직간의 작은 갈등이 발전하면 감정의 골이 깊어져 양 조합의 대립은 법적 문제로 비화되고, 법원의 조정 을 받은 뒤에도 갈등의 불씨는 잠재하는 것이 보통이다.

조직 간의 갈등은 불가피하다. 하지만 이러한 갈등을 조합, 소유자, 시행사가 능동적으로 수용하여 서로 양보하고 절충함으로서 해결해 나가야 한다.

조직 갈등이 발생하면 조합간의 신뢰를 구축시키고 첫째, 조합간에 많은 대화를 유도하 여 협상의 장으로 이끌어 내야 한다. 둘째, 각 조합의 이해관계를 합리적으로 조정하며 설 득하여야 한다. 셋째, 금전적인 것이나 시설 설치 등에 불평등한 관계를 절충과 양보를 통 해 합의에 이르도록 조정하고 넷째, 공정한 중재로 문제점의 해결점을 찾을 수 있다.

<참고문헌>

1. 박연호․이상국 공저(1991), 현대행정관리론, 서울 : 박영사 2. 이규환(1987), 비판적 교육사회학, 서울 : 학문사

3. 이광중(1995), 생산성논집 9권, 갈등관리에 관한 연구 4. 신두범(2003), 최신 행정학원론, 서울 : 박영사

5. 이화수(1988), 한국민주주의의 시련, 민주문화공동체 이념, 한국사회의 현실다각적 현실, 아주대 사회과학 연구소

6. 윤성철(2002), 도시재건축의 법적쟁점, 서울 : 육법사 7. 이상섭(2000), 재건축 및 등기, 서울 : 법률서원 8. 곽윤직(1994), 민법주해총칙, 서울 : 박영사

9. 송현진(2003), 도시환경정비법해설, 서울 : 서초법률 10. 재건축사업 법적연구회(1992), 서울동부지원, 시공사선정 11. 장무창(2005), 도시및주거환경정비법규 해설, 서울 : 세진사 12. 전경배․최찬환 공저(2002), 건축법규해설, 서울 : 세진사 13. 최막중(2005), 재건축 규제의 허와실, 서울 : 도시학회 14. 최정웅(1987), 새로운교육학, 서울 : 한각사

15. 학국도시연구소(1997), 도심재개발사업의 갈등요인분석과 해소방안에 대한 연구 16. 이용남(2002), 교육학과 교육, 서울 : 교육과학사

17. D. H. Holt(1993), Management, N.J. : Prentice-Hall

아파트 브랜드에 따른 주거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sidential Satisfaction with Apartment House Brands

신태호*, 경기대학교 서비스경영전문대학원교수 김영수**, 경기대학교 서비스경영전문대학원 박사과정 Shin, Tae Ho*, lovershin@hanmail.net, Gyonggi Univ.

Kim, Yeong Soo**, soo@scapt.co.kr, Gyonggi Univ., Ph.D Program 목 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1. 브랜드의 개념과 가치 2. 아파트 브랜드 전략 3. 주거만족도

Ⅲ. 연구설계 1. 연구가설

2. 측정도구 3. 조사절차 4. 자료처리

Ⅳ. 연구결과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가설검증

Ⅴ. 결론

< Abstract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how apartment house brands affected consumers' residential satisfaction through an empirical analysis.

It seems that the recent polarization of apartment house price will become a structural trend as the structure of the housing market is changing into consumer-based one, consequently differentiating demands for housing, and the gap between classes in purchasing power is widening with the decline in the middle class. However, brand marketing for apartment house is not actively applied until a recent date. Therefore, this study empirically determined how apartment house brands were applied to residential satisfaction in housing products and tested the hypothesis that residential satisfaction would depend on apartment house brands.

Apartment house suppliers are required to diversify supply of apartments by subdividing consumer classes to cope with increasingly differentiated demands for apartments. The method of mass-supplying apartments based on a few kinds always due to excessive demands is becoming useless because of over-supply of apartments, and so on. It is necessary to pursue the multi-product small batch system to provide differentiated apartment house brands and services by developing niche demands in order to survive in the mature market. Those apartment which can not only improve functional quality but also residential values for consumers will be valued in reinforcing apartment house brand property.

주제어 : 아파트브랜드, 브랜드 전략, 주거만족

key words : apartment brands, brand strategy, residential satisfaction

Ⅰ. 서 론

오늘날 주거생활에서 아파트는 그 비중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아파트는 구매하는데 개 인재산의 상당부분을 투자하는 것이기 때문에 다른 어느 상품보다 선택을 위한 노력을 많 게 하는 품목이기도 하다.

이런 아파트에 기존의 이미지를 쇄신하거나 차별화된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하려는 움직 임이 활발하게 진행되는 것은 당연하다. 이런 현상은 주택건설 브랜드에서도 기존 브랜드 들이 겪었던 것과 마찬가지로 상품자체에 따른 경쟁우위보다는 그것을 나타내주는 브랜드 의 요소에 의해 차별화를 지닐 수 있는데서 그 중요성을 인식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브랜드 는 기업과 소비자 입장에서 그 필요성이 각각 다를 수 있다.

우선, 기업 입장에서 본다면 브랜드는 우선 프리미엄 가격을 형성하여 기업이윤 창출에 절대적으로 공헌한다. 최근 많아진 아파트 브랜드들을 보면, 삼성 래미안, 두산 위브, 포스 코 더샵 등 성공 브랜드들이 분양하는 아파트의 분양가격은 동일지역에서도 높은 가격대를 형성하고, 동시에 분양률이 높다.

또한 2004년 4월 LG경제연구원이 입주 3년 미만의 수도권 아파트 입주민 398명을 대상 으로 한 설문조사 중 ‘현재 살고 있는 아파트를 분양받은 기준은 무엇인가’ 라는 질문에 응 답자의 25.6%가 ‘유명 브랜드 아파트라서’ 라고 응답했으며, 소비자들은 유명 브랜드의 아 파트에는 그렇지 않은 아파트의 분양가보다 평균 100만원 이상을 더 지불할 용의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 굳이 명품브랜드가 아니더라도 일단 브랜딩을 한다는 것은 높은 이윤을 낼 수 있는 첫걸음이다.

또한, 브랜드 마케팅은 아파트를 홍보할 때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물론 아파트 브랜드 를 키우기 위한 마케팅비용이 많이 드는 것은 사실이지만, 브랜드 없이 각 지역의 아파트마 다 마케팅활동을 하는 것보다는 브랜드에만 초점을 맞추고 브랜드의 성패, 즉 브랜드 관리 에 초점을 맞추는 마케팅활동이 비용효율성 측면에서는 궁극적으로 마케팅비용의 절감효 과가 있다.

그리고 아파트 브랜드는 높은 충성심을 가지고 있는 고객들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소비 자들이 브랜드만 믿고 아파트를 구매하는 경향은 점점 높아지고 있다. 때문에 이미 형성된 브랜드의 파워를 이용하여 기존의 고객을 유지하고, 기존고객의 입을 통해서 신규고객을 창출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업의 입장에도 불구하고 기업이 올라간 아파트 브랜드 파워만 믿고 아 파트의 질에 신경을 덜 쓸 경우에는 모든 마케팅활동의 구심점이었던 브랜드의 이미지가 악화되어 반대로 기업을 곤경에 빠트릴 수 있다.

다음은 소비자의 측면이다. 첫째로 유명 브랜드 아파트를 구매한다는 것은 그 어느 곳에

1) LG경제연구소(2004), 아파트 분양 입주민 의식 조사, 서울 : LG경제연구원, 11~12쪽; http://www.

lgeri.com/

서도 어떤 상황에서도 동질의 아파트를 구매할 수 있어서, 아파트 구입에서 위험 요인을 줄 일 수 있고,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로 소비자는 브랜드를 통해 소속의식 을 느낄 수 있다. 아파트든 패션이든 같은 브랜드를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동료와 같은 동질 집단의 의식을 느낄 수 있다. 최근 자동차처럼 동일 브랜드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모임이 있 는 것들도 이런 의식의 발로다. 심리적 사회적 안정을 위한 동료의식은 무척이나 중요한 역 할임에 틀림이 없다. 셋째로 개인의 정체화(identification)다. 소비자는 브랜드를 통하여 자 기가 어떤 성향의 사람인지를, 또 어떤 위치, 집단에 소속된 사람인지를 간접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렇게 브랜드는 현대사회의 기업과 소비자에게 없어서는 안될 공기와 같은 존재이며, 이러한 브랜드를 강력한 파워 브랜드로 만들기 위한 기업들의 노력이 그 어느 때보다 치열 하다. 성공한 브랜드들이 명확한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소유했던 것처럼 아파트 브랜드들도 경쟁시장에서 자신만의 아이덴티티를 부각시키는 효과적인 차별화 방법을 통해 고객을 확 보하고 장기적인 수익원천을 확보하고 있다. 실제로 잘 마케팅된 브랜드는 그 자체만으로 상품의 구매를 결정하는 중요요인으로 작용한다. 이것은 완성된 상품의 질 등과는 별도로 브랜드가 별개의 제품속성을 만들어가기 때문이다.

최근 아파트 시장에서 브랜드파워가 갈수록 위력을 발휘하는 것도 이제 고객들은 어느 건설업체가 시공한 아파트인가보다는 아파트 브랜드가 무엇이냐고 묻는데 더 익숙해져 있 다. 소비자입장에서도 입지조건이 동일하다고 가정한 경우, 아파트 구매시 아파트 외부와 내부의 디자인(인테리어)적 요소와 함께 주택건설회사와 브랜드를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 나 아파트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과 이를 구매하는 주요동기는 마케팅 차원에서 중 요한 연구과제가 아닐 수 없다.

그러나 이러한 아파트 브랜드들이 다른 경쟁 브랜드들과 자신을 효과적으로 차별화시키 고 고객들이 해당브랜드에 대한 충성도를 높일 수 있게 하는 아파트 브랜드에 따른 주거만 족도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일반상품에 비해 고가제품인 아파트 브랜드의 연구 가 필요한 상황이지만 아직까지 체계적인 연구가 미비한 상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파트 브랜드에 따라 소비자의 주거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실증분석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며, 브랜드 마케팅 전략의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 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문서에서 감정평가학 논집 APPRAISAL STUDIES (페이지 118-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