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 3 절 사회적 배제의 차원 간의 연관성 분석

1. 사회적 배제의 차원 간의 연관성

본 절에서는 사회적 배제의 차원들 간의 연관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각각의 사회적 배제의 차원과 다른 사회적 배제의 차원들이 동시에 나타나는 경우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표 상에서 설명하면, 경제적 배제에 처한 가구주 중 51.7%는 근로에서도 배제를 나타내고 있고 건강과 관계망에서 배제를 경험하 고 있는 가구주가 약 25%에 해당하여 경제적 배제와 근로, 건강, 주거차원의 배제 간의 강한 연관성을 살펴 볼 수 있다. 이는 근로빈곤을 경험하고 있는 가 구주의 경우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실업에서도 경제적 배제와 높은 연관성을 보여주고 있다. <표 7-4>를 종합해 보면 여타 다양한 차원의 배제를 경험한 사람들의 대부분은 경제적 배제를 경험하고 있고 경제적 배제가 다른 배제적 차원들과 강한 연관성을 보여주고 있다는 것이다.

〈표 7-4〉배제의 차원별 연관성

구분 경제 근로 실업 주거 교육 건강 관계망 사회참여

경제 - 100 44.75 35.70 29.03 42.63 42.99 29.74 근로 51.67 - 8.10 19.42 20.48 22.59 20.99 17.56 실업 4.78 1.67 - 2.90 4.62 4.35 2.98 3.62 주거 17.89 18.83 13.63 - 21.18 22.56 20.12 16.53 교육 10.61 14.49 15.84 15.46 - 18.18 12.81 12.45 건강 25.63 26.28 24.49 27.07 28.89 - 30.52 22.76 관계망 25.20 23.81 16.39 23.54 20.54 29.75 - 21.15 사회참여 17.75 20.27 20.26 19.69 20.32 22.59 21.53

이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보기 위하여 사회적 배제의 여러 차원과 배제의 중첩 도들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즉, 이는 배제의 차원들 중 강하게 연관되어 있는 차원들 간의 강한 경향치를 알 수 있음과 동시에 배제중첩도와 여타 배제 의 차원들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어떤 배제의 차원이 가장 강하게 다른 배제의 차원과 연관되어있는가를 살펴볼 수 있다. <표 7-5>에서 살펴볼 수 있 는 것처럼, 경제적 배제는 근로빈곤부분과 가장 강한 관계를 보여주고 있으며, 건강‧관계망과도 강한 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근로빈곤은 경제적 배제와 마찬 가지로 건강‧관계망과 강한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주거로부터의 배제는 건강 과 사회적 관계망으로부터의 배제와 연관성을 보여주고 있다. 위의 여러 사회 적 배제의 차원들이 얼마나 중첩되었는가와 각각의 배제차원과의 관계를 살펴 본 배제 중첩도에 따른 관계정도는 예측한 대로 경제적 빈곤의 경우 0.7이라는 가장 높은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근로로부터의 배제, 건강‧관계망으로부 터의 배제가 강한 연관성을 나타내고 있다. 주거, 사회참여, 교육에 대한 배제 가 그 뒤를 이어 연관성을 보여주고 있다.

위의 결과는 사회적 배제의 차원이 나열적‧병렬적 구조라기보다는 경제적 배제, 빈곤을 중심으로 하여 다양한 배제의 차원이 중첩되어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 함께 의료, 건강으로부터의 배제 역시 중요한 배제의 차원

으로 다른 배제적 차원들과 강한 관계에 처해 있다. 사회적 관계망으로부터의 배제는 경제적 배제, 건강으로부터의 배제와 강한 연관성을 나타내는 배제의 차원으로 무엇보다도 경제적, 신체적 배제가 곧 사회적 관계로부터의 배제와 강하게 연관됨을 알 수 있다.

〈표 7-5〉사회적 배제 차원과 배제 중첩도 간의 상관관계

구분 경제 근로 실업 주거 교육 건강 관계망 사회참여 배제중첩도

경제

-근로 0.68

-실업 0.09 -0.01 -주거 0.12 0.10 0.02 -교육 0.06 0.09 0.05 0.11 -건강 0.21 0.15 0.06 0.16 0.16 -관계망 0.21 0.13 0.02 0.12 0.08 0.21 -사회참여 0.09 0.09 0.04 0.08 0.07 0.12 0.11

-배제중첩도 0.70 0.62 0.19 0.44 0.38 0.55 0.51 0.42

2. 사회‧경제적 특성별로 본 사회적 배제의 중첩도

이하에서는 살펴본 사회적 배제의 중첩도가 어떠한 사회‧경제적 특성들과 연관이 되었는가를 살펴보기 위하여, 앞에서 살펴본 성‧연령‧교육수준에 따른 중첩도의 평균을 살펴보았다. 먼저 가구주의 성별로 살펴본 중첩도는 여성가구 주의 경우 남성 가구주의 두 배에 가까운 사회적 배제를 경험하고 있다. 즉, 여 성가구주는 평균적으로 1.4개의 사회적 배제를 경험하고 있는 반면, 남성 가구 주는 약 0.7개의 사회적 배제를 경험하고 있다. 이를 연령별로 살펴보면, 60세 이상의 가구주의 경우 사회적 배제에 평균적으로 1개 이상의 사회적 배제를 경 험하고 있으며, 중졸 이하의 가구주의 경우 역시 1개 이상의 사회적 배제를 경 험하고 있다. 즉, 사회적 배제에 처해 있는 개인들의 특성은 여성가구주, 고령,

저학력의 가구주들이 대부분 사회적 배제를 경험하고 있는 것이다.

적으로 자신의 경제적 생활상태를 중간수준으로(4.5) 평가하고 있다. 회귀계수 에서도 나타나는 것처럼, 경제적 배제, 건강으로부터의 배제 등이 경제적 상황 과 강한 연관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분석에 적용된 모든 사회적 배제의 차원은 경제적 생활수준에 영향을 주는데, 경제적으로 배제되고, 실업자이며, 주거‧교 육‧건강으로부터 배제되고, 힘들 때 의논할 친구가 없는 경우, 그리고 인터넷 접근이 되지 않는 사람일수록 경제적 생활수준은 낮아지는 것을 실증적으로 알 수 있다. 그 중 경제적 배제(β=­0.31)와 건강으로부터의 배제(β=­0.16)가 더욱 중요한 영향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주거와 관계망으로부터의 배제((β

=­0.12) 역시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나고 있다.

〈표 7-7〉사회적 배제차원이 주관적 경제수준에 미치는 영향

배제의 차원 회귀계수(coef.) t 값 Beta 값

경제 -1.27*** -53.72 -0.31

실업 -0.25*** -4.01 -0.02

주거 -0.64*** -20.80 -0.12

교육 -0.51*** -14.38 -0.08

건강 -0.80*** -27.18 -0.16

관계망 -0.61*** -20.71 -0.12

사회참여 -0.44*** -15.65 -0.09

상수 4.50*** 405.46

R2 0.25

N 25,619

***: p<0.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