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국제 경제환경의 주요 변화

문서에서 한국 역대정권의 주요 경제정책 (페이지 160-167)

(1) 국내외 경제환경의 주요 변화

② 국제 경제환경의 주요 변화

3

5

개년 계획이 갖는 중요한 특징들 중 하나는 국제 경제환 경의 큰 변혁 속에서 경제개발계획이 추진되었다는 점이다

.

국제 경제환경은 항상 유동적이기 마련이어서 국내 경제와 정 책은 어느 시기에 있어나 대외여건 변화로부터 영향을 받게 되나 제

3

5

개년 계획 기간(1972~1976)중의 대외여건의 변화는 특기할 만한 내용이다

.

이 기간 중 국제 경제환경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ⅰ) 국제통화제도의 동요와 개편

1960

년대 중반 이래 월남전에 대한 미국의 막대한 전비 지출로 미국 달러화의 대규모 유출이 지속되었다

.

그 결과

1960

년대 후반 들어서는 미국 정부의 금보유량에 비해 미국 밖으로 유출된 달러화 잔고(특히 각국의 중앙은행 보유 달러화 규모)가 지나치게 크다는 인식이 국제금융시장을 지배하게 되었고

,

1970

년대에 들어서는 미국 달러화의 금평가(gold parity)가 절하될 것이라는 국제적 투기심리가 고조되어 미국 달러화를 기축통화로 하는 국제통화제도가 동요하기 시작하였다

.

당시 국제통화제도의 기초인 브렌트 우드(Bretton Woods)시스템 은 소위 금환(gold-exchange)본위제도로 지칭된 이 제도하에서

IMF

회원국 중앙은행들은미국 달러 및 달러표시 금융자산을 공적준 비자산의 주종으로 택하는 대신 미국은 충분한 금 준비에 의한 달러화의 금태환성 보장으로 이 제도를 떠받쳐 왔다

.

이 제도하에서는

IMF

회원국 통화의 대외가치는 미국 달러화에 페깅시키고

,

달러화가치는 금으로 보장되었다

.

즉 미국 중앙은행은 여타국 중앙은행들이 요구하는 경우 금

1

온스당

35

달러의

공정가격

으로 달러화를 금으로 교환해 주었다

.

그러나 일단 국제금융시장으로부터 이와 같은 미국의 금 공정 가격 유지가 의심받게 됨으로써 파리

,

런던 국제자유금시장에서의 금가격은 폭등하여 공정가격을 크게 능가하게 되고 주요국 환율이 극히 불안정해져 국제통화시스템은 크게 불안정하게 되었는데

,

미국은

1972

4

월 및

1973

2

월 등

2

차에 걸친 달러화의 평가절하를 거쳐

1973

11

월 소위

금의 이중가격제

를 폐지하고 달러화의 금태환을 중지하기에 이르렀다

.

이 과정에서 영국(1972. 6)에 이어 일본(1973. 2)과 유럽공동체 (1973. 3)가 변동환율제도를 택하게 됨으로써 소위 스미소니언체 제가 붕괴되고 자유변동환율제도가 공식적으로 인정되는 새로운 국제통화제도가 출현한 것이다

.

1976

년에는

IMF

잠정위원회가 금의 역할 축소와 특별인출권

(SDR)의 준비자산화를 주요 내용으로 하는 새로운 국제통화제

도인 킹스턴체제를 공식 출범시켰다

.

결국

70

년대 들어 극도로 불안해진 국제통화제도로 인해 주요국

162 한국 역대정권의 주요 경제정책

환율이 극히 불안정해짐으로써 국제무역과 국제 간 자본이동이 크게 저해되고 세계경제 전반의 불안이 고조된 것인데

,

이는 곧 한국의 대외 수출환경 악화와 자본유치에 큰 저해요인으로 작용 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

(ⅱ) 1차 국제석유파동

1973

3

월 이란이 석유의 국유화를 선언한데 이어

6

월에는 국제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국제 석유자본이 석유 공시가격을

11.9%

인상에 합의하였고

, 10

월에는 중동전쟁 발발(1973. 10. 6)과 함께 석유를 무기화하려는 시도로

OPEC

회원국 중 아랍

6

개국 이 주도하여 산유량을 줄임으로써 원유 공시가격을

21%

나 인상 (10. 16)하여 소위

‘1

차 국제석유파동

이 발생하게 된 것이다

.

1973

1

월 배럴당

2.12

달러였던 사우디아라비아산 석유의 수출가격은

1974

1

월의

7.01

달러 및

1975

1

월의

10.12

달러로 각기 인상되었다

.

또한 이 기간 중

OPEC

의 평균 수출가격은

1972

년의 배럴당

2.44

달러로부터

1973

년 및

1974

년의

3.09

달러 및

12.28

달러로 급등한 것이다

.

1

차 국제석유파동이 세계경제에 준 충격은 성장률을 둔화시키고 물가상승률을 높이는 전형적인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을 초래한 것이다

.

세계경제는

1972

년 중반부터

1973

년 상반기에 이르기까지 사상유례없는 고도성장을 이룩하였다

.

그 결과

<

29>

와 같이

OECD

회원국의 실질경제성장률은

1973

년의

6.1%

를 기록한 바 있다

.

그러나 국제유가가

4

배나 인상된

1974

년의 성장률은

OECD

발족 이래 가장 낮은

0.9%

에 불과하였고 이는

1975

년의 마이너스 성장률로 이어졌다

.

이와 같은 성장률 냉각과정에서도 원유 및 원유 관련 제품의 국제가격 상승으로 인해

OECD

회원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973

년의

7.8%

로부터

1974

년의

13.4%

로 급등한 후

1975

년에는

11%

선을 유지함으로써 전형적인 비용인상 인플레이션(cost-push inflation)현상을 초래하였다

.

결국

1

차 국제석유파동에 따른 선진국 경제권 성장률의 급격한 둔화와 그에 따른 실업률 증가 및 국제수지 악화 그리고 인플레 이션의 만연은 수출 주도형 경제개발 전략을 추구하는 한국경제에 대해 매우 불리한 외부 경제환경의 악화인 것이다

.

❙ 표 29. 1차 국제석유파동의 충격

(단위: %)

구 분 경제성장률 소비자물가 상승률

1973 1974 1975 1973 1974 1975 미국 5.9 (-) 1.8 (-) 2.0 5.5 11.5 9.1 영국 5.3 (-) 0.3 (-) 1.5 8.6 14.8 24.2

서독 5.3 0.4 (-) 1.5 7.0 7.5 6.0

프랑스 6.0 4.7 (-) 3.3 7.1 13.8 11.7 일본 10.2 (-) 1.4 2.1 1.7 25.0 11.9 OECD 6.1 0.9 (-) 0.4 7.8 13.4 11.3 자료: 한국은행

(ⅲ) 세계경제의 블록화와 국제 무역질서 안정화 움직임 유럽공동체(EC)와 유럽자유무역연합(EFTA)

1972

7

월 자유 무역협정에 조인하였다

.

이 협정의 내용은

1972

7

월부터

1977

164 한국 역대정권의 주요 경제정책

7

월에 이르는

5

년 동안 매년 관세를

20%

씩 인하해 간다는 것이다

.

이 협정에 이어

1973

1

월에는

EC

회원국이

6

개국에서

9

개국 으로 확대됨으로써 유럽경제권이 급속히 블록경제화하는 상황으로 발전하기 시작하였으며

,

이는 여타 지역에서의 블록화를 촉진시 키는 촉매제로 작용하게 되었다

.

국제석유파동의 충격으로 석유 수입국들의 국제수지 방어 및 대내적인 안정화 정책 추구 등으로 국제무역환경이 급격히 악화 되는 가운데 이루어진 유럽경제의 블록화 진전은 세계경제의 안 정적 성장을 위한 국제무역질서 안정화 노력을 더욱 자극하게 된다

.

1973

9

GATT

각료회의의 도쿄선언은 (기존의 소위 「케네디라 운드」 종식과 함께)새로운 국제무역질서 모색을 위한 다각적 통상협 상의 개시(즉 도쿄라운드의 출발)를 선언한 것이다

.

또한

1973

12

월 에는

GATT

주도하의 다자간 섬유협정(MFA)이 타결되었는데

50

개 섬유 수출국들이 직물무역의 자유 확대 등에 합의한 것이다

.

1974

5

OECD

는 회원국의

1

년간 무역제한조치 금지를 선언 하였고

, 1975

5

월에 이르러서는 이 선언의 적용을

1

년 연장하 였다

.

1975

년 초

GATT

는 제네바에서 신국제라운드 협상을 개최함으

로써

GATT

체제하에서의 국제무역질서의 안정화 노력이 계속되

었다

.

특히 이 기간 중 미국은 몇 가지 특별한 무역 관련 조치들을 취하였는데

,

세계경제를 이끌어가는 엔진으로서 갖는 미국경제의 기능으로 보아 이들 조치가 갖는 의의는 매우 큰 것이며

,

특히 그것이 한국경제에 주는 효과는 매우 큰 것으로 보인다

.

미국은

1975

1

월 통상법(Trade Act)을 제정하고 외국의 각종

불공정무역 거래

로부터 국내 산업 보호를 위한 수입규제강화를 추구하기 시작하였다

.

미국은 또한

1976

1

월 개발도상국들에 대한 일반특혜관세제도(GSP)를 도입하고

,

개발도상국으로부터의 공 산품 수입에대한 관세상의 특혜를 부여하기 시작하였다

.

시기적으로 미국의 이 두 정책은 한국의 대미국 수출에 대해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효과를 모두 낳게 되었는데

,

궁극적으로는 당시의소위

소나기식 적자 수출

의 병폐를 막고 건전한 공산품 수출증진 노력에 큰 자극제가 되었다는 면에서는 명확히 긍정적 이다

.

(ⅳ) 오일달러의 집중과 국제금융시장의 불안

국제석유파동과 국제통화제도의 개편에 따른 충격이 겹쳐 제

3

5

개년 계획 기간 중의 국제금융시장은 사상 유례없는 불안정을 경험하게 된다

.

1973

10

월의 국제석유파동을 계기로 석유 수출국들은

1974

년 들어 거대한 경상수지 흑자를 이룩한 반면 석유 수입국들은 심 각한 경상수지 적자에 직면하게 된다

.

1974

년 중 석유 수출국들의 석유판매 수입은

950

~1,100

억 달러에 이른 것으로 추정되었고

,

이 중 약

500

억 달러가 이들 국가의 상품수입을 위해 지출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

따라서

1974

년 중 축적된 소위

오일달러

규모는

600

억 달러 내외로 추정된 것이다

.

중동의 석유 수출국들은 이 오일달러를 주요 선진국의 국채

166 한국 역대정권의 주요 경제정책

구입 및 국제금융시장에 예치 등의 형태로 투자함으로써 오일 달러는 비교적 활발히 환류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1974

년 중 유로커렌시(Euro-currencies)시장을 비롯한 국제금융․자본시장에서는 오일달러 수급상의 시차와 주요국의 반인플레이션 긴축정책 등으로 자국사정이 크게 악화 되고 고금리 현상이 초래되었다

.

특히 주요 석유 수입국들의 석유 및 석유 관련 제품들의 가격 상승에 따른 경상수지 적자 보전을 위해 국제금융 자본시장에서 차입경쟁을 벌임으로써 국제금리는 급격히 상승하였다

.

❙ 표 30. 1차 국제석유파동과 주요국 기준금리 추이

(단위: %) 구 분 1972 1973 1974 1975

미국 4.50 7.50 7.75 6.00

일본 4.25 9.00 9.00 8.50

서독 4.50 7.00 6.00 3.50

영국 9.00 13.00 11.50 11.25

프랑스 7.50 11.00 13.00 8.00

자료: 한국은행

그 결과 국제적 고금리하의 국제금융․자본시장의 불안이 조성 되고 원활한 국제적 자본이동이 저해되었다

. <

30>

1

차 국제 석유파동이 초래한 국제적 고금리 현상의 정도를 잘 말해준다

.

(2) 주요 경제정책 및 특징

문서에서 한국 역대정권의 주요 경제정책 (페이지 160-1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