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다 . 교육과정 편성・운영 전반에 대한 요구

교육과정 운영 형태를 자율화할 경우 이수기간의 조절 필요성에 대해 응답 학교들은 반수 정도(55.9% )가 현행대로 유지하는 것을, 24.0%가 현 재의 3년 과정에 2년의 심화과정을 둘 것을 요구했다. 그리고 학교 또는 학과에 따라 3년 이내에서 단축할 것에 대한 선호가 12.3%로, 연장하는 것에 대한 요구(1.9% )보다 높았다(< 표 Ⅳ- 11> 참조). 이러한 반응 결과에 서 1/ 4 정도의 학교가 현재의 학교 체제에 전문대학 수준의 심화과정을 설치하려는 계획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것은 현재 시범 운영중인 2+2 연 계교육을 바람직하게 받아들이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표 Ⅳ- 11> 이수기간 조절의 필요성 구 분

항 목

현행대로 259 55.9

전체적으로 3년 이내에서 단축 25 5.4 학과에 따라 3년 이내에서 단축 32 6.9

전체적으로 3년 이상으로 연장 9 1.9

학과에 따라 3년 이상으로 연장 27 5.8 현재의 3년에 2년의 심화과정 111 24.0

계 463 100.0

※ m issing v alu e는 1개

그리고 현행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3년 동안의 기존 이수단위의 적절성에 대해 응답학교의 대부분(75.3% )은 현재의 기준인 204단위 그대 로가 적당하나, 이 중 58.5%의 학교는 현재 제시된 증배 운영의 범위(전 체 이수 단위의 10% 범위 내)를 학교 자율에 맡겨 둘 것을 요구하고 있 었다(< 표 Ⅳ- 12> 참조). 따라서 이 부분은 단위 학교들이 자율적인 교육 과정 운영을 계획할 경우에 행정적으로 규제를 완화시킬 필요가 있다.

<표 Ⅳ- 12> 현행 교육과정에 제시된 이수 단위 및 이수 기준의 적정성 구 분

항 목

현행대로가 적당하다 83 17.9

204단위를 감소할 필요가 있다 97 21.0 204단위를 증가할 필요가 있다. 12 2.6 현행대로 두고 증배 운영의 자율성 부여 271 58.5

계 463 100.0

※ m issing v alu e는 1개

현행 교육과정(교육부, 1992)의 경우 전체 이수단위 중에 전문교과와 보통교과의 이수 비율은 각각 최소 40% 정도로 제시하고 있으며, 시・

도 교육청의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에 제시된 보통・전문교과의 이수 하한선도 각각 40% 정도였다. 이에 대해 응답학교들의 43.1%는 그 비율 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고 응답했다. 이들 학교 중 51.4%가 제시한 전문 교과 대 보통교과의 적정 비율은 60:40 이었고, 50:50의 비율이 23.8% , 전문교과를 70%까지 이수시키기를 원하는 학교도 17.1%로 나타났다. 이 와 같이 전문교과에 비중을 두는 응답들은 고등학교 직업교육이 기초 직 업교육과 직업 기초능력을 강화하는 추세, 그리고 학교 경영목표에서 학 생들의 진학을 함께 고려하겠다는 의사와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학교 현장에서는 교육과정의 변화에 대한 요구를 가지는 것과는 달리 한 편으로 현재의 운영 상태를 고수하려는 것으로 해석된다.

단위 학교에 교육과정 자율 운영권이 주어질 경우 실제적인 운영의 효 율화를 위해서 가장 먼저 지원되어야 할 부분이 교사 연수방안이다. 이 에 대하여 응답 학교들은 전공교과 전반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 (26.0% ), 담당 교과의 확대를 위한 부전공 연수 (24.2% ), 전공교과와 관련 된 산업체 현장 실무 연수(20.7% ), 교수방법 및 매체 개발능력을 향상 (18.3% ) 시킬 수 있는 연수 프로그램 등을 운영해 줄 것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표 Ⅳ- 13> 참조).

<표 Ⅳ- 13> 교육과정 자율 운영을 위한 교사 연수방안 (중복응답) 구 분

항 목 백 분 율

전공 교과 전반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 236 26.0 전공 교과와 관련된 산업체 현장의 실무 188 20.7 담당할 수 있는 교과의 확대를 위한 부전공 연수 219 24.2

교육과정 편성・운영 능력 29 3.2

교과내용의 재구성 능력 69 7.6

교수 방법 및 매체 개발 능력 166 18.3

계 907 100.0

이것은 교사들의 현재 연수프로그램에 대한 불만 요인에서 뒷받침되고 있는데, 지나친 학문 위주의 내용(24.4% ), 연수 프로그램의 다양성 부족 (23.0% ), 현장의 실정을 모르는 강사 선정 (18.4% ), 실기 습득 내용의 부 적절(14.2% ) 등 프로그램 계획부터 운영에 이르기까지 교사들의 만족도 가 낮은 것으로 보인다. 특히 교사 연수 내용에 있어서 단위 학교 특성 에 맞는 자율적인 교육과정을 운영할 때 필요한 교과 재구성에 대한 내 용 부족(7.4% ),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내용 부족(4.6% ) 등 실제적인 교 육과정 운영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Ⅳ - 14> 참조).

< 표 Ⅳ- 14> 교사들이 현재의 연수 프로그램에 가지는 불만 요인(중복응답) 구 분

항 목

지나친 학문 위주의 내용 221 24.4

현장의 실정을 잘 모르는 강사 선정 167 18.4

실기 습득 내용의 부족 129 14.2

교과 재구성에 대한 내용 부족 67 7.4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내용 부족 42 4.6 연수 시기, 기간에 대한 불만족 72 7.9 연수 프로그램의 다양성 부족 208 23.0

계 906 100.0

그리고 이러한 교원 연수프로그램의 운영기관에 대해서도 지역별 중등 교원연수원(14.9% )이나 대학부설 중등교원연수원(12.6% )보다는 산업체 현장(33.8% ), 특성화된 학과 중심의 학교(25.5% )는 물론 지역의 교과연 구회(10.0% ) 등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Ⅳ- 15> 참조). 이것은 교사들의 현장 전문성 향상에 대한 요구와 교육과정 운영과 관련된 실제 적인 연수가 가능한 기관들에 대한 선호 결과로 해석된다.

<표 Ⅳ- 15> 교사 연수 프로그램 운영에 적합한 기관 구 분

항 목

시・도 중등교원연수원 69 14.9

대학부설 중등교원연수원 58 12.6

각 지역의 교과 연구회 46 10.0

관련 학회 15 3.2

산업체 현장 156 33.8

특성화된 학과 중심의 학교 118 25.5

계 462 100.0

※ m issing v alue는 2개

응답 학교들은 실업계 고등학교에서 실시해야 하는 실험・실습 범위 및 수준에 대해서 대부분의 학교가 현재(62.7% )는 물론 앞으로(68.8% )도 기초분야와 전문분야 모두의 실험・실습이 가능한 수준을 요구하였고, 오히려 앞으로는 심화된 전문분야에 대한 실험 실습에 중점을 두겠다는 비율이 19.7%로 현재(3.9% )보다 많은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차이는 학 교들이 선호하고 있는 3+2 체제의 심화과정에 대한 요구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그리고 응답 학교의 65.1%가 학교 교육목표에 따라 기초 및 전문실습 이 가능한 수준의 실험・실습 기자재를 확보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보고 있었다. 이에 비해 광범위한 기초 실험・실습 중심의 시설・기자재를 갖 추는 것이 적절하다고 응답한 91개 학교들은 심화된 실험・실습이 필요 한 경우에 지역 사회 고등교육기관인 대학 또는 전문대학과 연계(35.2% ) 를 하거나 지역사회 산업체와의 연계(2+2) 체제를 통해서 해결(30.7% )하 기를 원하고 있었다(< 표 Ⅳ- 16> 참조). 이러한 요구는 현재 시범 운영중 인 2+2 연계교육과 현장실습을 가장 이상적으로 실현할 수 있을 때 가 능한 것이며, 관련 내용을 원활하게 지원할 수 있기 위해서는 지역별 직 업교육훈련협의회의 조속한 구성과 역할 수행이 요구된다.

<표 Ⅳ- 16> 심화된 분야 실험・실습이 필요할 경우의 대안

(N =91) 구 분

항 목 백 분 율

지역사회의 동일계열 학교와 연계 16 18.2 지역사회의 직업훈련기관과의 연계 12 13.6

지역사회의 산업체와 연계 27 30.7

지역사회의 전문대학 및 대학과 연계 31 35.2 지역사회의 학원 등 사회교육기관과 연계 2 2.3

계 88 100.0

※ m issing v alu e는 3개

< 표 Ⅳ- 17> 교재 및 학습자료 개발 현황

(N = 464) 구 분

백 분 율

교 과 서 54 11.6

실험・실습 지침서 111 23.9

교사용 지도서 41 8.8

학습 지도안 195 42.0

연계 교육기관과의 학과 공통교재 22 4.7

평 균 84.6 18.2

자율적인 학교 교육과정의 실현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학교와 학습자 의 특성을 고려하고, 효율적인 교육과정의 운영을 위한 교재 및 학습 자 료의 개발이 중요하다. 응답학교의 대부분인 88.4%는 효율적인 교수・학 습 활동의 지원을 위한 학교 수준의 교재 및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이 필요함을 강하게 느끼고 있었다. 그리고 이들 학교 중 60.4%가 교재 및 교수・학습 자료 개발의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발한 교재 및 자료의 종류는 학습 지도안(42.8% ), 실험・실습 지침서(23.9% ), 교과 서(11.6% )의 순서로 많았다. 이 결과에서 현재까지 개발된 자료는 교사 들이 학습 활동에 직접적인 요구를 가짐으로써 제작된 것이 대부분이었 음을 알 수 있다(< 표 Ⅳ- 17> 참조).

그리고 현재 이와 같은 교재 및 교수・학습 자료는 대부분 담당 교과 교사를 중심으로 제작(86.9% )되어 왔다. 앞으로는 학교 내의 담당 교사 (20.3% )는 물론 전체 교사의 협력(20.8% ), 해당지역의 교과 연구회 (11.3% )와 지역을 초월하여 같은 자료 개발을 계획・추진하고 있는 학교 (15.7% ) 및 전문 연구기관(14.2% )과의 협력 등을 요구하고 있었다(< 표

Ⅳ- 18> 참조). 교재 개발을 위한 이러한 협력 연구 체제는 학교 교육과정 의 자율 운영 능력을 강화시키고, 발전시켜 나가는데 매우 긍정적인 영 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 표 Ⅳ- 18> 학습 자료 개발 방법 현황 및 앞으로의 방안 구 분

항 목

1 ) 2 ) 빈 도 백분율 빈 도 백분율 학교내에서 담당 교과 교사 중심 351 86.9 83 20.3 학교내에서 전체 교사의 협력 11 2.7 85 20.8 지역 교육청 및 교육연구원의 협력 11 2.7 38 9.3 해당지역 교과 연구회의 협력 6 1.5 46 11.3 지역내 학교간 교사의 도움 ・ ・ 31 7.6 지역에 관계없이 같은 자료 개발

을 계획 추진하는 학교와 협력 8 2.0 64 15.7 전문 연구기관과 협력 1 0.2 58 14.2 개발 경험이나 향후 계획이 없음 16 4.0 3 0.7 계 404 100.0 408 100.0 1) m is sin g v alue는 60개, 2) m is sin g v alu e는 56개

또한,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운영에 있어서 실제적으로 중요한 비 중을 차지하고 있는 현장실습의 기능에 대해 단위 학교들의 의견을 조사 한 결과, 응답 학교들은 현재 학교 경영목표에 비추어 현장 적응력 신장 의 기회(29.1% ), 전공 지식과 기술의 현장적용 기회(26.1% ), 취업 및 필 요한 정보습득 기회(20.7% ), 자신의 진로설계를 위한 탐색 기회(10.6% ) 등으로 보고 있었다(< 표 Ⅳ- 19> 참조).

< 표 Ⅳ- 19> 현재 학교 경영목표에 따른 현장실습의 기능 구 분

항 목

현장적응력 신장 기회 135 29.1

전공 지식과 기술의 현장적용 기회 121 26.1

학교에서 어려운 실습보충 기회 24 5.2

취업 및 필요한 정보습득 기회 96 20.7

자신의 진로설계를 위한 탐색 기회 49 10.6 자신의 적성 및 능력의 탐색 기회 39 8.4

계 464 100.0

다시 말해서 반 수 이상의 학교는 현장실습이 산업체 현장적응력에, 약 20% 정도의 학교는 취업과 관련하여 도움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 표 Ⅳ- 20> 앞으로의 현장 실습의 방법과 기간

< 표 Ⅳ- 20> 앞으로의 현장 실습의 방법과 기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