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나 . 교육과정 자율 운영을 위한 제언

직업교육훈련 정책 입안자, 기획・관리자, 장학 담당자, 학교장, 교원 등이 교육과정 자율 운영에 대한 계획 수립 및 실행시 고려해야 할 사항 을 단계별, 관련 요소별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 학교 교육과정 운영 방침에 경영철학 제시

지역사회 및 학교의 특성을 고려하여 다양하고 특성있는 교육과정 운 영을 위해서는 학교 경영방침, 교육목표 등을 학교 운영계획서에 제시함 으로써 지역사회 주민, 교사, 학생이 학교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 다. 이러한 선언적인 학교경영 방침은 교육과정을 자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학교 단위의 근거가 될 것이다.

2 ) 단위 학교의 교육과정 자율 운영 능력 제고를 위한 위원회 설 치 및 가동

단위 학교의 자율적인 교육과정 운영 능력을 제고하고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단위 학교 내부 조직만으로는 불가능하다. 특히 지역사회의 요 구를 통합・조정하고, 협조를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전담기구를 학교운영 위원회의 기능에 추가시키거나, 별도의 조직을 가동시켜야 할 것이다. 이 운영위원회에서는 교육과정 자율 운영과 관련된 실행방안 및 이에 따른 인적・물적・정보자원 지원 등에 관한 사항을 다루어야 할 것이다. 이 위원회는 지역 직업교육훈련협의회에 적극적인 지원・협력을 지속적으로

요청해야 할 것이다.

3 ) 학생의 학습선택권 보장을 위한 다양한 교육과정 운영 체제 확립 학생 개개인의 소질과 적성에 따라 진로를 설계하고, 이에 따라 자유 롭게 코스 또는 교과를 선택하도록 하며, 그 결과가 취업과 고등교육기 관으로 이어지게 교육과정을 설계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단위 학교 는 수평적 통합교육과정, 수직적 통합교육과정, 특성화 교육과정, 코스제 운영, 다양한 현장 실습 운영 등의 교육과정 자율 운영 체제를 확립해야 할 것이다.

4 ) 노동시장과 연계된 산・관・학 협동 직업 교육과정 설계

일 중심 의 교육을 강조하고 인적 자산의 투명성, 활용성을 확보하여 교육과정의 수직・수평적 연계가 가능하고, 직무 및 자격과 연계되도록 교육과정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교육과정 개발시 노동 시장의 정보를 교육과정에 반영할 수 있도록 산학협동 관계를 맺고 있는 산업체 관계자의 참여를 적극적으로 유도해야 할 것이다.

5 ) 교수・학습 정보 및 연계 요소들이 포함된 교육과정 편성・운 영 지침 제시

직업 교육과정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 학교 및 산업체를 포함한 각 직 업교육훈련기관 및 교원들을 대상으로 한 각종 교수・학습 정보와 직업 교육훈련 기관간,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직업교육훈련협의회 등과의 유기 적 연계에 관한 사항이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 에 제시되어야 할 것 이다. 유관기관과의 연계 정보를 토대로 교육과정 자율 운영 계획이 수 립되어야 보다 실천 가능성이 높은 교육과정 운영 방안을 마련할 수 있 을 것이다.

6 ) 수업 연한 및 수업 시간의 탄력적 운영

3년이라는 수업 연한 및 수업 시간(단위)을 획일적으로 적용할 것이 아니라 교육과정의 특성을 고려하여 다학기제, 총량 시간제 등을 적용하 는 등 다양한 운영 모형 적용을 통해 교육 수요자의 요구에 맞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7 ) 교사 주도의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자료 개발 풍토 조성 학교 중심의 교육과정 운영체제가 성공적으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교사 스스로가 교육과정 운영 문제 등에 관한 해결 방안을 모색하고 대안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특히 수평적 통합교육과정의 핵심은 보통 교과 내용과 전문교과 내용의 유기적인 결합이기 때문에 교사의 전문성 이 더욱 필요하다. 따라서 교원의 전문성 신장을 위해 수업에 지장을 초 래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산업체, 대학원 등에서의 계속교육 기회를 보 장해 주어야 한다. 그리고 교사들은 각자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자료 개발자 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교직풍토를 조성해야 한다.

8 ) 직업기초능력을 중시한 교육내용의 선정・조직 및 교수・학습 자료 개발

고등학교 직업 교육과정은 평생 학습적 측면에서 설계되어야 하기 때 문에 특정 지식이나 기술의 습득보다는 폭넓은 직업 영역에서 공통적으 로 적용 가능한 지식이나 기술을 강조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학교 및 지역 단위로 산업체 및 유관 직업교육훈련기관과 공동으로 교수・학습 자료 개발위원회 등을 구성해야 할 것이다.

9 ) 학생이 매력을 느낄 수 있는 프로그램 제시와 선발 제도의 도입 고도 산업사회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학교도 경쟁원리, 노동시장 원

리를 받아들여야 한다. 따라서 고객인 학생들이 오고 싶어하는 학교 , 희망이 있는 진로계획이 제시된 학교 의 상이 학생들에게 제시될 수 있 어야 한다. 이를 위해 고객인 학생・학부모를 유인할 수 있도록 차별화 된 교육 프로그램과 경영 방침 및 비젼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등 적극적 으로 홍보(PR : proportion al r epr esentation )를 해야 한다.

학생 선발시에도 학생이 선택한 코스에 대한 성적에 가중치를 부여하 고, 학교의 특성을 고려하여 적합한 학생들이 선발될 수 있도록 입상 경 력, 실기시험, 면접시험, 특정 과목의 사전 수강 유무 등 다양한 방법을 도입을 통해 학생들에게 다가서는 POP (point of purchase adv ertisin g )를 시도해야 할 것이다.

10 ) 기초 직업교육과 전문 직업교육의 이원화를 통한 학생 유인 책 강화

직업교육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해서는 취업을 위한 전문 직업 교육은 지역사회 및 산업계의 요구를 반영하여 산학 연계코스를 통해 이 수하도록 하고, 계속교육을 위한 기초 직업교육은 학교에서 충실히 이수 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진로 개척을 위해 지역 고등교육기관 및 산업체가 서로 연합하여 일하면서 학습할 수 있는 계절제, 주말제, 야간 제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진로 정치(career placem ent )에 힘써야 할 것이다.

11 ) 교사의 현장 적합성 확보 및 수급 제도의 혁신

교육과정의 현장 적합성 제고를 위해 산업체의 기술자, 국가기술자격 증 소지자, 문화 기능 보유자 등을 겸임 교사, 강사 등으로 활용할 수 있 는 기회를 넓히고, 지역별 순환교사 제도를 확대 실시해야 할 것이다. 또 한 교사들이 산업체, 업종별 협회, 사내 기술개발실, 정부 및 지방자치단 체 산하의 공공 기술개발실, 시험・검사 및 품질 검사기관, 연구소 등에

파견 연수기회를 확대하고, 이들 기관의 자원인사를 초청하여 전문적인 내용에 대한 기술지도를 받는 등의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운영해야 할 것이다.

12 ) 교사들의 합의 도출과 단위 학교장의 교육과정 지도성 정립 교육과정 운영에 있어서 교사들의 민주적이고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토 대로 한 합의된 교육과정 편성 운영지침 의 마련이 필요하다. 또한, 학교 구성원들간의 다양한 이해와 의견을 통합, 조정하기 위해서는 학교장의 전문적 리더십이 강화되어야 한다. 모든 교육 개혁안의 학교 현장에 이 식하는데 있어서 그 성패의 요체는 학교장을 비롯한 교사 집단의 개혁 의지에 달려있다. 따라서 교사 집단이 자율적으로 개혁 마인드를 가질 수 있도록 여건을 조성하고, 논리적으로 설득하기 위해서는 먼저 학교장 스스로가 교육개혁에 대한 깊은 이해가 있어야 하며 학교경영 철학이 명 확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