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미국은 1980년대 중반부터 교육 결과의 질적인 향상을 위하여 시장 경 제 원리를 바탕으로 학부모의 학교 선택제와 단위학교 수준에서의 의사 결정을 통한 학교경영 원리(school site m anag em ent )를 도입하고 있다.

특히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연방 정부나 지역 당국의 권위를 축소하고 단위 학교로 하여금 중앙 정부의 규제에서 벗어나 교육 수요자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는 교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국가 수 준에서의 교육 표준화를 통하여 교육성과의 통일성을 추구하면서도 교육 성취 수준의 향상을 위하여 단위 학교가 창의적이고 자율적으로 학교를 경영할 수 있게끔 학교 단위 책임 경영제를 권장해 왔다. 그 결과 학교 관리의 형태가 학부모, 교사, 학생들로 구성된 학교운영위원회를 중심으 로 운영되어 단위 학교의 자율권이 확대되면서, 동시에 책무성도 강화되 는 양상을 띄고 있다(최호성, 1997).

그리고 최근 미국 직업교육 개혁의 전체적 흐름은, 첫째, 일반 교과와 직업 교과간의 통합형 교과목의 강화, 둘째, 학교와 현장 학습간의 연계 강화, 셋째, 전통적 직업교육 부문과 다른 부문과의 연계와 통합이 중심 이 되고 있다. 특히, 중등 직업교육 분야에서는 학생의 자유로운 선택과 이동을 보장하되, 미래 진로와의 연계를 확립하는 방향으로 체제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윤병희 외, 1996).

미국은 다수의 청소년들이 중등 2단계까지 학교에서 일반교육을 받고 중등 2단계 이후에 청소년이 스스로 자신의 직업 세계를 선택한다. 대체 로 별도의 실업계 고등학교를 설치하지 않고 종합학교(com pr ehen siv e sch ool)라고 불리는 일반계 고등학교 내에서 비 진학 학생들에 의해 직 업・기술 교육이 이루어지는 단선형의 학제이다. 가정의 경제 수준에 관 계없이 모든 가계의 자녀를 인문계 중・고등학교에서 평등하게 교육시키 고, 고등학교 이후의 진로 선택을 존중하는 학제이지만 현대 사회의 기

술 변화에 적합한 인재 양성에는 미흡했다.

최근에는 기본 기술과 분석 능력을 갖춘 유연한 노동자(flex ible w orker ), 언어・수학 능력, 추리 능력, 문제해결 능력 그리고 분석 능력 을 갖춘 다기능 노동자(multi- skilled w orker )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개혁 이 1986년에 시작되어 1990년부터 본격화되고 있다. 고숙련의 기술직 준 비 과정이란 의미의 테크 프렙 교육운동(tech - pr ep m ov em ent )은 고등학 교 2학년~고등학교 3학년 그리고 지역사회 전문대학 및 2년제 기술전문 대학의 2년 교육과정을 통합 조정하여 고숙련의 기술직(high - skilled t echnician )을 양성하기 위한 교육경력 경로이다. 이 과정을 마친 학생은 일단 준학사(a ssociate degree) 또는 직업 자격증을 갖고, 원하면 4년제 대학의 3학년으로 편입할 자격이 제공되는 교육과정으로, 2+2 제도 라고 불린다(임천순 외, 1996).

이러한 미국 고등학교와 전문대학 과정의 통합 교육과정은 인문교육과 직업교육을 통합하여 직업적 능력과 기초 교육적(수학, 과학, 언어/ 의사 소통, 사회과학) 능력을 점진적으로 개발하면서 직업과 일의 세계에 대 하여 탐색하고 준비할 수 있도록 3단계로 나누어 개발되었다. 1단계는 9- 10학년에서 공통 핵심 기초기술 (com m on cor e b a sic applied academ ic skills ) 교육단계이고, 2단계는 직업 분야에서 필요한 능력 (cor e t echnical an d applicat ion skills for a chosen occupational clu st er )을 개발하기 위 한 11- 12학년 교육 단계이다. 3단계는 특정 직업을 위한 능력(specialized t echnical an d applicat ion skills )을 개발하기 위한 13- 14학년에서의 집중 교육 단계이다. 이들 3단계 교육과정은 수평적, 수직적으로 상호 연계하 여 운영하도록 교육과정 체제와 틀이 구성되어 있으며, 각 주(states )가 참여하는 공동 연합체를 형성하며 추진하고 있다(충남대학교 공업계 고 등학교 교육과정 개정연구위원회, 1997).

캘리포니아 주의 경우, 대부분의 고등학교는 220단위를 이수해야 졸업 을 할 수 있는 데, 그 중 약 2/ 3에 해당하는 155단위가 교과 관련 영역

의 공통 필수 과목이고, 나머지 약 1/ 3에 해당하는 65단위만이 선택 과 목이다. 교과 관련 영역 내에 설정된 여러 과목들 중에서 구체적으로 어 떤 과목을 이수할 것이냐는 대부분 학생들의 선택에 달려 있으며, 자기 의 능력이나 진로에 따라 실업계열 과목을 많이 선택하게 되면 실업계열 이 되기도 한다. 이 때 교육 여건이 좋은 학교일수록 다양한 과목을 개 설하여 학생의 선택 폭을 넓혀 주는 것이 일반적이다(윤병희 외, 1996).

그리고 CPA (california partn er ship academ ies )는 보다 특성화된 교육 과정을 운영하는 아카데미형의 실업계 고등학교(career academy ) 중의 하나이다. 이 학교는 한 학교 안에 다양한 직업적 전공의 소규모 학교 (혹은 대학의 학과와 유사한 학과)들이 있는 형태로 보통 1학년은 공통 교과목을, 2~4학년은 직업 전공을 선택하여 이수하게 한다. 협동적 직업 전공은 교사 팀이 형성되어 함께 교육과정을 구성하게 되고, 학생들은 2, 3년간 지속적으로 교사로 구성된 팀의 지도를 받게 되며, 외부 산업체와 의 긴밀한 협조가 필수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이 CPA의 목적은 통합적인 교육과정을 제공하고, 교사의 자율성을 제 고하며, 기업체와의 협력 관계를 구축하여 학습 환경을 재구성하는데 있 다. 이는 학생들이 교육이나 가정 및 사회적으로 소외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교육과정의 구성은 공통 일반 교과목, 즉 영어, 수학, 과학, 그리고 사회과학과 직업・기술 전공 과목으로 이루어진다. CPA의 직업

・기술 전공 과목은 그 지역의 산업체가 협력하기로 합의한 것을 제공하며, 현재 주로 채택되고 있는 직업전공 코스로는 컴퓨터(computer technology ), 전자기술(electronics), 보건(health ), 상업기술(bu siness technology ), 농산업 (agribu sin es s ), 매체(m edia ), 환경과학(envir onm ent al scien ce ), 판매 (r et ailing ), 항공 (space ), 교통 (tr an sport ation ), 그래픽(gr aphic art s ), 법과 정부관련(law and gov ernm ent ) 등이 있다.

이러한 일반 교과목과 기술 직업계 교과목의 통합, 학교 교육과정과 현장 경험과의 통합은 일반 주요 교과목 등과 직업교육간의 단순한 병렬

이 아니며, 통합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시행하기 위한 시도이다. 즉, 어떤 문제를 중심으로 일반 교과 교사와 직업 교과 교사가 함께 참여하여 각 과목들간의 연계를 통하여 학생들에게 강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하는 보다 유기적인 통합을 말한다. 그리고 아카데미에서 산업계 학 교 교육과 산업 현장 기술과의 통합은 지역사회의 산업체가 실질적인 의 미의 파트너로서 산업체에서 요구되는 기술과 자질을 규정해 주면 학교 에서는 이에 따라 교육과정을 구성하게 된다.

또, 지역 산업체는 이 과정을 거쳐 학생들에게 현장 실습직을 제공하 기 때문에 학생들이 구직시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학습할 수 있게 된다.

현장 실습시 실습지도 교사(직장내의 구성원)들이 역할 모델을 하게 됨 으로 학생들이 현장에서 필요한 지식, 기술, 태도를 학습할 수 있는 기회 를 가지게 된다. 뿐만 아니라, 아카데미형 실업계 고등학교와 동일 전공 영역의 대학 교육과정이 테크 프렙이라는 수직적 연계를 통하여 고등학 생의 진로와 진학을 위한 카운슬링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아카데미에서 추구하고 있는 통합 교육과정은 그 자체가 표준화되지 못하고 전통적인 학문의 범주에서 벗어났다고 생각되어 제대로 인정하지 않으려는 경향이 있다. 또, 실질적인 문제로 고등학교 교사들이 일반 교 과목과 기술 교과목을 통합할 수 있는 전문적 지식과 기술을 가지고 있 지 못한 점이 지적되고 있다. 교사들의 이러한 자질을 제고하기 위한 광 범위한 연수제도와 교사들간의 협조가 가능하도록 학교 내의 행정적인 지원이 필수적이다. 자격증과 평가의 준거로는 학교가 자체 개발한 기술 자격증(학생들이 학교 다니는 동안 어떤 기술을 어떤 정도로 습득했는지 를 학교가 인정해 줌), ET S (edu cation al testing serv ices )에서 개발된 W orkin g s (어떤 영역에서 학생들이 어떤 관련되는 과목을 택하였으며, 점수는 어떠했는지, 현장실습에서의 학생의 태도는 어떠했는지, 어떤 현 장실습을 하였는지를 증명해 줌), 학생들이 교육받은 동안 해 놓은 작품 (portfolio) 등이 주로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학생들이 학교의 성취를 제대

로 평가받을 수 있는 보다 객관적인 방법이 요구된다.

그리고 미국의 특성화 학교(m agn et sch ool)는 공립학교로 학교가 특정 교과 영역을 집중적으로 개설하여 이를 널리 알리고 일정 지역을 넘어 그 분야에 재능 있는 학생들이 들어올 수 있도록 규제가 완화된 학교이 다. 이 학교의 특성은 학생의 직업적 적성과 전공을 중심으로 코스와 기 술 과목을 강조함으로써 학생들의 관심과 흥미에 부합하고, 학생들로 하 여금 자신들이 배우는 공부가 장래 삶과 어떤 관련이 있는가를 알게 함 으로써 학교와 공부에 애착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 학교는 한 학교 가 하나의 공통적인 직업군을 중심으로 학생들이 고등학교 졸업 직후에 취업할 수도 있고 지속적으로 고등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교육과정이 구 성되어 있다.

이 학교는 지망생들에게 패션(뉴욕의 패션 산업 고등학교), 자동차, 항 공(뉴욕의 항공학교) 등과 관련된 특정 과정과 특정 선택 과목만 개설할 수 있음을 사전에 알려준다. 대체로 도심에 위치하고 있는 이 학교들은 교사 수와 교실 수가 제한된 소규모 학교들로, 제공할 수 있는 과목과 과정을 뚜렷이 밝혀 학교의 여건에 맞는 교육과정을 효과적으로 운영하 고 있다. 점차적으로 지방 정부로부터의 재정이 삭감되어 교사들이 상당

이 학교는 지망생들에게 패션(뉴욕의 패션 산업 고등학교), 자동차, 항 공(뉴욕의 항공학교) 등과 관련된 특정 과정과 특정 선택 과목만 개설할 수 있음을 사전에 알려준다. 대체로 도심에 위치하고 있는 이 학교들은 교사 수와 교실 수가 제한된 소규모 학교들로, 제공할 수 있는 과목과 과정을 뚜렷이 밝혀 학교의 여건에 맞는 교육과정을 효과적으로 운영하 고 있다. 점차적으로 지방 정부로부터의 재정이 삭감되어 교사들이 상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