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결론 및 제언

문서에서 년도 연구발표 논문집 (페이지 181-185)

도시성장관리를 위한 개발밀도에 관한 연구

5. 결론 및 제언

첫째로, 광역도시계획, 도시기본계획 단계에서부터 도시성장관리 차원의 개발 밀도 배분 및 관리를 심도있게 검토하여 계획을 수립한다. 개발밀도 현황등 지 역실태를 면밀히 파악하여 이를 토대로 상향적 방식으로 인구지표를 설정하고 개발밀도를 배분하여 관리하는 계획수립 노력이 요구된다. 이와 관련된 광역도 시계획 및 도시기본계획수립 지침상의 관련 내용에 대한 검토 및 개정이 필요 하다.

두 번째는 시 군 조례의 용도지역별 상한선을 하향조정함과 동시에 하나의 용 도지역안에서도 시 군조례에서 정한 용적률 상한선 범위를 지역특성에 따라 융 통성있게 하향 조정하여 적용한다. 또한 상업지역 준공업지역등 비주거지역에 입지하는 아파트단지에 대해서는 제 3종 일반주거지역에 준하는 용적률을 적용 하도록 한다.

세 번째는 아파트 입지 지역에 따라서는 공지율 제도를 도입하여 고용적률의 아파트단지라 하더라도 층수를 가급적 낮추어 스카이라인 유지등 주변경관과

조화를 도모하도록 한다.

네 번째는 앞으로 확대 시행함으로써 보편화될 지구단위계획의 용적률 계획과 정을 보다 투명하고 체계적으로 할 것과 도로기반시설 용량과 허용용적률간 연 계시 교통유발계수를 활용하고, 용도지역 상향조정시에는 용도별 인센티브제 를 운용할 것을 제안한다.

<참고문헌>

강병기, 2000. 11, 도시를 적정규모로 제한할 수 있는가, 도시성장관리정책의 국 제비교연구: 한국 미국 일본사례를 중심으로, 국토연구원.

강인호 박인석, 2001. 6, 집합주택단지 밀도와 계획기법에 관한 국제비교연구: 한 국과 일본의 비교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권소현 최무혁, 2001. 5, 대구시 주상복합건축물의 분포특성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계획계.

권영덕, 1996, 서울시 용도지역 세분화 기준설정 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김광중, 1983, 주거밀도규제에 대한 현행법제의 효과성평가에 관한 연구, 서울대 학교 환경대학원.

김영환, 1996. 10, 재개발・재건축 아파트단지의 주거밀도 및 외부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김창석 박용훈, 1988, 인구경사 밀도함수에 의한 서울시 공간구조분석, 서울시립 대학원논문집.

대한주택공사, 1989. 7, 공동주택지 적정개발밀도연구.

문홍길, 2001, 용적률 INCENTIVE제의 적용방안, HAUD 도시건축연구소.

민경호, 1994, 주거밀도상승에 따른 도시주거환경 개선에 관한 연구: 서울시 강남 구 단독주택지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선호, 1999, 기성시가지 기준용적률 설정방법에 관한 연구: 서울시 상세계획구

역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박인석 강인호, 2001. 3, 한국주거단지와 서양주거단지의 밀도 및 계획기법 비교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방정식 장희순, 1999, 민간 아파트 재건축의 용적률 산정방법 주택포럼, 주택산업 연구원. 제2호.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999, 서울시 일반주거지역 용도규제 기준개선.

서울특별시, 2001, 서울특별시 일반주거지역 세분화 매뉴얼.

안건혁, 1995, 신시가지의 적정개발밀도 및 용도별 면적배분기준, 국토연구원.

윤주현 김혜승, 2000, 국토정책변화에 따른 주택시장전망 및 대책(용적률 규제강 화를 중심으로), 국토연구원.

이영웅, 1998. 10, 도시지역의 용적률 기능과 도시계획적 운영방안연구, 대한국 토・도시계획학회지.

이희정, 1997, 서울시 상세계획수립 지침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이희정, 2000, 지구차원의 개발밀도 분포특성 규명을 통한 밀도규제 현실화 연구, 서울시립대 도시공학과 대학원.

임창복, 1995. 8, 대규모 주거단지의 밀도와 공동주택계획 기준연구, 국토연구원.

장동찬편저, 2000. 8, 건축제법규, 기문당.

장윤배 이성룡 안건혁, 2000.8, 아파트단지의 용적률 결정요소에 관한 연구, 대한 국토・도시계획학회지

조재성, 1989, 都市人口密度의 空間的 패턴 變化에 關한 硏究: 서울市의 경우 1970- 1985.

최상철, 2000. 11, 도시관리정책의 비교와 개발제한구역제도 개선방향:도시성장관 리정책의 국제비교연구, 국토연구원.

최상철, 2000. 11, 도시성장관리정책의 국제비교연구. 국토연구원.

최상철, 2000. 5, 한・미・일 도시성장관리정책의 비교와 교훈, 도시문제.

國土廳 大藏省印刷局, 1993, 大都市圈に おける 大規模低密度利用地の 實態.

住宅金融公庫住宅總合調査室, 1998, ポケット住宅デ タ.

Andr e Sor en sen , 2001, Major Issu es of La nd Ma na gement for Su st ainable Urban Region s in J a pa n , Dr a ft Paper for t he Int er nat ion al Wor ksh op : New Appr oaches t o La nd Man agement for Su st a inable

Urban Region s h eld in Tolyo, 29- 31.

Dou gls R. Port er , 1997, Ma na gin g Gr owt h in Amer ica 's Commu nit ies , ISLAND PRESS.

Dou gls R. Port er , 1986, Gr owt h Man agent - Keepin g on Tar get . ULI- t he Ur an La nd In st it ut e .

J ohn M. DeGr ove an d Pat r icia M. Met zger , Gr owt h Ma na gement a nd t he Int egr at ed Roles of St at e. Regiona l a nd Local Gover nment s . Cla ssic Rea din gs in Urban Pla nn ing

Kat ie Willia m, Elizabet h Bu rt on an d Mike J enk s , 2000, Ach ievin g Su st a inable Urban For m : Spom Pr ess . Lodon

Newman a nd Kenwort hy, 1999, Su st a inabilit y a nd Cit ies .

Pet er J . Ma r cot u lli, 2001, The Compact cit y, envir onment a l t r a n sit ion t heory a nd Asia Pa cific u rban su st a in able development , Dr a ft Pa per for t h e Int er n at ion al Wor ksh op : New Appr oaches t o La nd Ma na gement for Su st a inable Urban Region s held in Tolyo, 29- 31.

문서에서 년도 연구발표 논문집 (페이지 181-1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