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윤선도 시조의 지도 방안 연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윤선도 시조의 지도 방안 연구"

Copied!
12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석사학위논문

윤선도 시조의 지도 방안 연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곽 광 자

2001

(2)

윤선도 시조의 지도 방안 연구

지도교수 조 흥 욱

이 논문을 석사학위 청구논문으로 제출함

2001年 6月 日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곽 광 자

2 0 0 1

(3)

곽광자의

석사학위 청구논문을 인준함

2001년 6 月 日

심 사 위 원 장 印

심 사 위 원 印

심 사 위 원 印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4)

목 차

Ⅰ. 서 론 ··· 1

Ⅱ. 고산시조의 특징 ···4

1. 내용상 특징 ···4

2. 표현상 특징 ···12

Ⅲ. 현행 시조 교육의 실태 ···34

1. 시조 작품의 수록 현황 ···34

2. 시조 작품의 내용 분류 ···40

3. 시조 교육의 실태(학생) ···45

4. 시조 교육의 실태(교사) ···53

5. 현행 시조 교육의 분석 및 진단 ···61

Ⅳ. 고산 시조의 지도 방안 ···65

1. 고산 시조 지도의 필요성 ··· 65

2. 고산 시조 지도 실태 ···67

3. 고산 시조 지도상의 문제점 ···69

4. 고산 시조의 지도 방향 ···77

5. 고산 시조 교육의 효율적 지도 방법 ···92

(5)

Ⅵ. 결 론 ···97

참고문헌 ···101

ABSTRACT ··· 105

부록 ···108

(6)

Ⅰ. 서 론

우리 문학사상 고산 윤선도의 시조는 송강 정철의 가사와 더불어 시가 문학 의 대표적인 작품으로 알려져 왔으며 국문학 연구가 본격화 되었을 때부터 지 금까지 수 많은 연구자들의 관심 대상이 되어 높은 성과를 얻어내고 있다. 이 는 작품에 드러난 격조 높은 서정성과 시어의 미적 구사, 자연미의 발견 등과 같은 우수성에 기인하기도 하고 또는 제작 연대나 장소까지 명시되어 있는 정 확한 작품 자료가 널리 알려진 덕에 연구가 촉진되었다고 본다.

시조는 우리 나라만이 가진 독특하고 고유한 시가로 고려 말에 그 형태가 확 립되어 700여 년이 지난 지금까지 그 형태가 유지되어 널리 창작되면서 ‘국민 문학’이라 일컬어지고 있고 고전문학 중 가장 대표적인 장르로 오랫동안 그 전 통을 이어오고 있으므로 그 속에 담겨있는 선인들의 사상과 감정, 생활상을 살 펴보고 이해하는 것은 교육적 측면에서 매우 바람직한 일이라 할 수 있다.

국민문학이라 일컬어지면서도 시조에 대한 국민의 무관심은 결국 시조 교육 부재에서 원인이 있다고 본다. 지금까지 국문학으로서의 시조에 대한 연구는 그 동안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괄목할 만한 성과가 축적되어 있는 반면에 고산 시조 교육에 대한 연구는 타 영역에 비해 이렇다 할 연구 실적을 내놓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기에 본고는 미흡하나마 이제 그 논의의 출발점에 서 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고산 시조의 이론적인 모색이기보다는 실제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 지는 시조 교육의 실태를 분석하고 고산 시조 교육의 방향을 마련하고자 하였 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의 당사자인 교사와 학생들의 시조 교육에 대

(7)

한 실태를 면밀히 분석하고, 현장 실태 조사를 기초자료로 하여 교육현장에서 진행되고 있는 고산 시조 교육의 실태와 고산 시조의 지도 방향을 살펴보고 이 를 토대로 보다 효율적인 고산 시조 지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데 있다.

지금까지 고시조의 지도방안에 대한 논의는 이루어져 왔으나,1) 고산 윤선도 의 시조를 대상으로 한 지도방안 연구는 거의 이루지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현재 일선 고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에 있어서 고산 시조 교 육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 개선점과 바람직한 지도 방안을 모색하여 현장 교 육에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기를 바라면서 고등학교 학생 1,2학년 각 100명과 교사 50명을 대상으로 하여 고등학교 교과서<국어 (상)(하), 문학 18종> 수록 작품을 중심으로 고산시조의 지도 방안을 모색해 보기로 하겠다. 이를 위하여 본고는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논의를 전개하기로 하겠다.

첫째, 고산 시조의 내용상, 표현상의 특징을 전반적으로 살펴보기로 하겠다.

둘째, 현행 교과서의 시조 작품 수록 양상을 살펴보기로 하겠다.

셋째, 고등학교 학생과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하여 교육 현장에서의 시조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시조 교육의 실태를 분석하기로 하겠다.

넷째, 고산 시조의 교과서 수록 실태를 살펴서 지도상의 문제점을 살펴보기 로 하겠다.

다섯째, 고산 시조 지도의 실제로 한국 교육 개발원의 KEDI 모형을 바탕으

1) 김선아, “문학교과서에 나타난 시조 교육의 분석 연구,” 이화여대 대학원 석사논문, 1992.

김용현, “고시조 지도법 연구,” 조선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00.

박근태, “초․중․고 시조교육의 실태 분석 연구,” 한국교원대 대학원 석사논문, 2000.

박재근, “중등학교 고시조 감상지도와 그 수용에 관한 연구,” 연세대 대학원 석사논문, 1992.

이대구, “고시조의 효율적인 지도방안 연구,” 한국교원대 대학원 석사논문, 1987.

이마리아, “고시조 학습의 지도방법 연구,” 고려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997.

최병권,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 소재 고시조 연구,” 서강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998.

(8)

로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해 보며 효율적 지도 방법을 제시하기로 하겠다.

그리하여 지금까지의 수동적이고 입시 지향적인 수업에서 벗어나, 감상 위주 와 학습자 중심의 수업인 자주적, 능동적, 창의적인 수업으로 문학적 상상력을 마음껏 펼쳐보도록 하였으며 고전에 대한 거부감을 불식시키고 흥미를 느끼도 록함과 아울러 우리 문화 유산의 소중함과 위대함을 일깨워 나라 사랑하는 마 음을 갖도록 하고, 자랑스런 한국인으로서 자긍심을 지니도록 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전개하고자 한다.

(9)

Ⅱ. 고산 시조의 특징

1. 내용상 특징

고산이 오랜 유배 생활과 은둔 생활을 통하여 남긴 작품들이 『孤山遺稿』에 수록되어 있는데 연대순으로 분류해 보면 遣懷謠, 雨後謠, 山中新曲, 山中續新 曲, 漁父四時詞, 夢天謠 등 75수의 시조 작품이 오늘날까지 전한다..

고산의 75수의 시조 작품들을 정리해 보면 아래와 같다.

時 期 大主題 小主題 作品數 時 期 大主題 小主題 作品數

前 期 遣懷謠 5

中 期 山中續 新曲

秋夜操 1

雨後謠 1 春曉吟 1

中 期 山中新 曲

漫興 6 贈伴琴 1

朝霧謠 1 初筵曲 2

夏雨謠 2 罷宴曲 2

日暮謠 1

後 期

漁父四 時詞

春詞 10

夜深謠 1 夏詞 10

饑歲歎 1 秋詞 10

五友歌 6 冬詞 10

古琴詠 1 夢天謠 3

30代에 이루어진 전기작품은 慶源配所에서 지은 것으로 <遣懷謠>와 <雨後 謠>인데 유배문학으로서의 특성인 戀君과 思親, 그리고 經世理念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슬프나 즐거오나 올타나 외다나 내몸의 올일만 닫고닫글 뿐이언뎡

그받긔 녀나믄 일이야 분별줄 이시랴 <견회요 1>

(10)

위의 작품에서 남이 옳다 하나 그르다 하나 자신의 신념대로 일을 할 뿐이 며, 절대 양심의 가책을 받지 않으면 그만이란 굳고 결백한 정렬이 표출되어 있다. 유배생활의 서글픈 情懷가 솔직히 나타난 詩이다.

내일 망녕된 줄을 내라야 모손가 이 어리기도 님위 타시로쇠

아 아리 닐러도 님이 혜여보쇼셔 <견회요 2>

오로지 내가 한 일은 님을 위하여 한 일이고, 또 그 일이 올바르지 못하다 하 더라도 오직 님을 위한 충성의 발로다. 솔직한 표현으로 애절하고 억울한 심정 을 토로하고 있는 작품이다.

秋츄城셩 鎭딘胡호樓루밧긔 우러녜 뎌시내야 므호리라 晝듀夜야의 흐르다

님向향 내뜯을조차 그칠뉘 모로다 <견회요 3>

어버이 그릴줄을 처엄븟터 아란마

님군 向향뜯도 하히 삼겨시니

眞진實실로 님군을 니면 긔不불孝효인가녀기롸 <견회요5>

위와 같이 모두가 군왕을 사모하고 임금을 그리는 것이 절절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반해 思親을 주제로 한 작품을 보면 다음과 같다.

뫼 길고길고 믈은 멀고멀고 어버이 그린뜯은 만코만코 하고하고

어듸셔 외기러기 울고울고 가니 <견회요4>

고산이 사친을 그리워하는 情은 참으로 깊고도 깊다. ‘山’과 ‘물’로서 어버이를

(11)

그리워하는 情이 헤아릴 수 없이 간절함을 비유했고 부모를 그리워하는 애끓는 心情으로 고산 자신을 외기러기에 비유하여 표현했다. 자신이 上疏했던 일로 하여 養父는 강원도 관찰사직을 파직당했고. 자신은 먼 유배지에 떠나와 있기 3년에 드디어 父의 別世 소식을 들어야 했던 것이다. 그리고 고산은 그 후에도 세월이 경과된 후에야 귀향할 수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상황속에서 사친의 정 은 북받쳐 詩作으로 되었던 것이다.

이 밖에 <우후요>에서는 세상이 맑아지면 자신이 꿈꾸던 經世濟民의 포부를 펴겠다는 의지가 나타나 있다.

50대에 이루어진 중기작품은 作者主體의 情懷를 읊은 내용으로 귀향문학이라 고 할 수 있겠는데 금쇄동에서 쓴 <山中新曲>을 위시하여 <山中續新曲>과 <

贈伴琴> <初筵曲> <罷宴曲>은 자연을 觀照하고 耽美하는 내용들이다. 다음 작품들에서 고산의 금쇄동 시절의 심중이 잘 표현되고 있다.

山산水슈間간 바회아래 뛰집을 짓노라니 그모론 들은 욷다 다마

어리고 햐암의 뜻의 내分분인가 노라 < 만흥 1>

<산중신곡>의 첫머리에 나오는 작품으로 산수간에 뛰집을 짓고서 대자연속 에 파묻혀 생활하는 것이야말로 자신의 분수에 맞는다는 은둔, 도피사상과 결백 성을 잘 드러낸 작품이다. 치열한 당파 싸움과 병자호란을 치르고 난 후의 흉흉 해진 인심과 참담한 사회현실에 실망한 나머지 깊은 골 금쇄동에 찾아들어 때 묻은 세상의 모든 명리를 잊고 산수간에 작은 茅屋을 짓고 자연과 더불어 유유

(12)

자적하는 작자의 心境을 헤아릴 줄 모르는 남들은 비웃을 것이로되 순진한 농 촌 사람으로서의 마음으로서는 오히려 그것이 자기 본분이라고 여긴 것이다.

이 노래의 깊은 곳에는 혼탁한 현실사회를 용납지 않는 작자가 모든 名利를 버 리고 古人의 바른길을 밟아 자연과 더불어 생활하려는 은둔도피사상이 담겨져 있다.

보리밥 픗을 알마초 머근後후에 바횟긋 믉의 슬지 노니노라

그나믄 녀나믄 일이야 부줄이 이시랴 <만흥2>

모든 부귀와 영화는 다 버리고 오로지 자연과 더불어 사랑하며 사는 것이 다 른 무엇과도 견줄 바 없이 부러울 것이 없다는 것이다. 초장에서는 절도 있고 간소한 생활을 나타내었고, 중장에서는 물과 바위를 벗 삼는 생활을 표현하고 종장에서는 설명적으로 강조하였다. 이 시에서도 역시 모든 영화보다는 오로지 자연미를 사랑함으로써 부러울 것이 없다는 시인으로서의 정서가 솔직하고 순 박한 표현으로 잘 나타나고 있다.

잔들고 혼자안자 먼뫼흘 라보니 그리던 님이오다 반가옴이 이러랴

말도 우움도 아녀도 몯내됴하 노라 <만흥 3>

잔을 들고 먼 산을 바라다 보노라면 그리운 임보다도 더 반갑고 좋다는 것으 로 자연속에 묻힌 작자의 無我境을 읊은 것이다. 역시 자연에 묻혀 자연을 사 랑하며 대자연에 도취하여 들고있던 술잔마저도 잊은 채 앉아있는 작자의 모습 을 연상케하는 작품으로 쉽고 짤막한 우리말의 표현으로 그야말로 風流客의 詩

(13)

情이 넘쳐 흐르게 해준다.

누고셔 三삼公공도곤 낫다더니 萬만乘승이 이만랴 이제로 헤어든 巢소父부許허由유ㅣ냑돗더라

아마도 林님泉쳔閑한興흥을 비길곳이 업세라 <만흥4>

<만흥4>에서도 고산은 ‘林泉閑興’을 萬乘에 비유했고, 官界의 영화를 마다하 고 山川自然 속에 은거했던 巢父 許由의 생활을 讚嘆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 다.

내셩이 게으르더니 하히 아실샤 人인間간 만萬事 일도 아니맛뎌

다만당 토리업슨 江강山산을 딕희라시도다 <만흥 5>

작자가 강산에 와서 머물게 된 것을 하늘이 내리신 운명과 같이 여기고 오직 자연과 함께하고 자연을 사랑하며 지킨다는 것이다. 이 시의 내용에서도 조금 도 세상을 원망하거나 미련을 갖지 않고 오로지 강산을 사랑하며 살아가는 것 이 하늘이 준 운명으로 생각하는 조금은 숙명론적인 약점도 있으나 확고한 신 념속에 사는 체념적 태도가 엿보인다.

이렇게 위의 작품들에서 나타나듯이 고산은 일반 사람들이 생각하기와는 달 리 상식을 초월하여 금쇄동 산중에서 혼자만의 생활을 영위했던 것이다. 따라 서 이곳 금쇄동 생활 속에서 만들어진 작품들은 소재부터가 단조롭고 소박하 다. 고산이 오우가에서 표현했듯이 물과 바위와 소나무와 대나무 그리고 달이 잘 말해 주며 그 외에도 ‘뛰집, 보리밥, 풋나물’ 등의 시구들이 나열되어 있다.

그만큼 시의 내용도 단조롭고 소박하면서도 표현력이 뛰어나 작자의 詩想을 잘 표현해 주고 있다.

(14)

<야심요>, <우후요>, <하우요>, <일모요>, <춘효음>, <조무요> 등 그 모두가 그런 類의 작품이다. 여기 한 작품을 보면,

심심은 다마 일업 마히로다 답답은 다마 閑한暇가 밤이로다

아야 일즉자다가 東동트거든 닐거라 <하우요2>

산중의 여름날 비오는 날의 한가로움을 읊은 노래다. 이 작품에서도 나타나 듯 ‘심심하다’ ‘일이 없다’ ‘답답하다’는 詩句들이 나열되어 있을뿐만 아니라 시 조 전체가 장마와 한가한 밤과 자고 깨는 것들도 매우 단조롭고 소박한 표현들 이다.

60대에 이루어진 후기작품은 보길도 부용동에서 지은 <漁父四時詞>와 서울 근교의 고산에서 지은 <夢天謠>인데 <漁父四時詞>는 어옹의 입장이 되어 自然 景物과 그 속에서의 생활을 읊은 내용이고 <夢天謠>는 이전의 작품 내용들과는 다른 天界志向的이다.

(1)그러기 떳밧긔 못보던뫼 뵈고야 낙시질도 려니와 取거시 이興흥이라

夕셕陽양이 니 千쳔山산이 錦금繡슈ㅣ로다 <추4>

(2)간밤의 눈갠後후에 景경物물이 달랃고야

압희 萬만頃경琉류璃리 뒤희 千쳔疊텹玉옥山산 仙션界계ㄴ가 佛불界계ㄴ가 人인間간이 아니로다 <동4>

(3)우거시 벅구기가 프른거시 버들숩가 漁어村촌 두어집이 속의 나락들락

말가 기픈소희 온갇고기 뛰노다 <춘4>

(15)

(4)松숑間간石셕室실의가 曉효月월을 보쟈니 空공山산落락葉엽의 길흘엇디 아라볼고

白雲운이 좃차오니 女녀蘿衣의 므겁고야 <추10>

(5)년닙희 밥싸두고 반찬으란 쟝만마라

靑쳥篛약笠립은 써잇노라 綠녹蓑사衣의 가져오냐 無무心심 白鷗구 내좃가 제좃가 <하2>

(6)銀은脣슌玉옥尺쳑이 몃치나 걸렫니 蘆로花화의 블부러 야 구어노코 딜병을 거후리혀 박구기예 브어다고 <추5>

(7)낙시줄 거더노코 篷봉窓창의 을보쟈

마 밤들거냐 子規규소 게난다

나믄興흥이 無무窮궁니 갈길흘 니젓딷다 <춘9>

(8)丹단崖애翠壁벽이 畵화屛병티 둘럿

巨거口구細셰鱗린을 낟그나 몯낟그나

孤고舟쥬蓑사笠립에 興흥계워 안잣노라 <동7>

⑴과 ⑵는 보길도 자체의 배경과 보길도에서 眺望하는 遠景의 아름다움을 그 린 작품이고, ⑶은 어촌의 한가로운 풍경을 그렸고 ⑷는 고산이 집을 짓고 살 던 부용동에서의 생활의 한 단면을 작품화했고 ⑸⑹은 어부생활의 즐거움을 읊 었다. 그리고 ⑺은 보길도의 지역적 특성이랄 수 있는 海上에 떠 있는 섬이면 서도 사실은 산중의 특성을 지닌, 그래서 바다와 산의 정취를 한꺼번에 느낄 수 있는 興을 읊었으며, ⑻은 보길도의 외부 즉, 해상에서 바라보는 보길도가 지닌 아름다운 勝景에 도취된 마음을 노래한 것이다. 그리하여 고산의 시는 물 아일체의 경지에 다달으고 있다. 즉 산수간 대자연에 묻혀 부귀와 영화를 떠나,

(16)

허식과 물욕을 버리고 인생을 음미하라는 내용이다.

또한 <夢天謠>는 고산이 효종 3년에 왕으로부터 부름을 받고 入京하여 지은 작품으로 이 때의 작품이 지닌 특성을 살펴보기로 하자.

샹해런가 꿈이런가 白玉옥京경의 올라가니 玉옥皇황은 반기시나 羣군仙션이 꺼리다

두어라 五오湖호烟연月월이 내分분일시 올탓다 <몽천요 1>

위의 작품에 나타나는 내용들은 以前의 작품의 내용과는 다른 詩句들을 발견 하게 된다. ‘백옥경’ ‘옥황’ ‘군선’ 등 天界와 관련된 道仙的 용어들이 나타난다.

인간세상을 떠난 天上界를 형상화하고 있다. 위에 예시된 작품뿐 아니라 <몽천 요> 三篇 모두가 동류의 내용이다. 물론 이들 작품에서 나타난 天界란 모두 꿈 을 빙자한 現世의 비유인 것으로 ‘羣군仙션이 꺼리다’는 당시의 어지러운 정 치 사회 상황 밑에서 정계에 진출하고 官職을 맡는다는 것은 자신의 운명을 만 경창파에 내어 던진 채 흘러가는 한 조각의 배의 입장이나 다를 바가 없었다.

이상 내용구분에서 대비되게 나타나는 특징으로서는 전기에 이루어진 작품의 내용들이 보다 現世的이고 인간적인 俗世的 良識의 경지의 작품이라면 중기작 품과 후기작품의 내용들은 속세를 초월한 境地에서 이룩된 내용들이라는 점이 서로 다르다.

(17)

2. 표현상 특징

고산의 시조 작품에서 두드러진 표현상 특징으로는 대구, 반복, 우의적 표현, 용사의 수용 등을 찾을 수 있다.

1) 대구

고산의 작품 중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는 기법이라 할 수 있겠는데 시조 75 수 중 30여회에 나타나 있다. 특히 <어부사시사>는 대구의 기법을 가장 많이 쓰고 있다. 일반적인 四時의 변화에 따른 서경묘사, 한적한 풍류생활을 술회하는 부분에 있어서는 대구법을 많이 쓰고 있다

압개예 안개것고 뒫뫼희 비췬다

밤믈은 거의디고 낟믈의 미러온다 <춘1>

몰래우희 그믈널고 둠미틔 누어쉬쟈

모괴 뮙다랴 蒼창蠅승과 엇더니 <하8>

녑람이 고이부니 론돋긔 도라와다

暝명色은 나아오 淸쳥興흥은 머러읻다 <추6>

여튼갣 고기들히 먼소 다갇니

져근덛 날됴흔제 바탕의 나가보쟈 <동3>

고산은 같은 글자를 반복시키지 않으면서도 통사적인 배열은 일치를 이루고, 서로 대응이 되면서도 의미가 통일되고 친근감을 주는 한시의 대구법의 특징을 그의 시조 짓기에도 수용했다. 그의 많은 시조작품의 구절들은 서로 대를 이루

(18)

고 있다. 이 가운데 반복되는 어구가 사용된 예도 많지만, 더 많은 작품에서 가 능하면 어구나 단어를 반복시키지 않고 對를 이루려는 고산의 노력을 찾아 볼 수 있다.

(가) 집은 어이야 되엳다 大대匠쟝의 功공이로다

나무 어이야 고든다 고조즐을 조찯노라 <초연곡 1>

(나)구룸빗치 조타나 검기 로다

람소 다나 그칠적이 하노매라 <오우가 水>

(다)고즌 므슨일로 퓌며셔 쉬이디고

플은 어이야 프르 느르니 <오우가 石>

(가)는 연회를 처음 시작할 때 부르는 노래로, 공식적인 목적에 의해서 지어 진 작품이다. 이 작품에서 집과 나무가 서로 대를 이루고 있다. 이들은 대응되 기에 어울리지 않지만, 이들이 내포하는 의미가 모두 정사를 올바르게 하는 것 이므로 의미상 조화와 통일을 이루고 있다. ‘어이야’ 하는 어구가 반복되고 있고 그 외의 모든 어구는 서로 다르게 배열되어 있다.

(나)는 구름 빛과 바람소리 즉 시각적인 것과 청각적인 것으로 서로 이질적 인 것의 대조이다. 그러나 전체 의미로 볼 때 앞의 내용을 긍정하고 뒤에서 부 정하는 식으로 되어 의미상의 통일을 이루었다.

(다)는 (나)보다 그 대구 형태가 자연스럽다. 왜냐하면 서로 對를 이루는 것 이 동질성을 지닌 풀과 꽃이기 때문이다. 또한 문법의 배열도 일치한다. 각 대 응되는 구절이 주는 이미지나 느낌도 상응되어 전형적인 한시 대구법의 응용으

(19)

로 생각해도 틀림이 없다고 보아진다.

이상에서 고산시조의 대구법이 응용된 양상을 살펴보았는데 다음에는 이 표 현기법이 그의 작품에서 시적 효과를 거두는데 어떤 역할을 하고 있나를 살피 기로 한다.

(가)압개예 안개것고 뒫뫼희 비췬다

밤믈은 거의디고 낟믈의 미러온다 <춘1>

(나)우거시 벅구기가 프른거시 버들숩가 <춘4>

(다)믉결이 흐리거든 발을싯다 엇더리

吳오江강의 가쟈니 千쳔年년怒노濤도 슬플로다

楚초江강의 가쟈니 魚어腹복忠튱魂혼 낟글셰라 <하4>

(가)의 초장을 보면 우선 앞과 뒤로 위치적으로 상반되고 川과 山이 또 상대 된다. 거기다가 안개와 해가 서로 對를 이루고 걷히는 것과 비치는 것이 상반 되어 네가지 요소가 對를 이룬다. 그런데도, 억지가 없이 자연스러우며 대구를 이룬 구절이 서로 친화력을 가지고 하나의 선명한 이미지를 형성하고 있다.

중장에서도 밤과 낮이라고 하는 시간상의 對가 설정되어 있고 거기다 거의 지 는 것과 밀려 오는 것의 동작면에서 對를 이루고 있다. 이는 漁父歌의 早潮纔 落晩潮來를 우리말로 바꾸어 표현한 것인데, 原詩가 우리말로 어색하지 않게 표현되고 초장의 내용과도 서로 잘 어울린다. 이 작품은 한 장 내에서도 對를 이루고, 章끼리도 對를 이루며 전체적으로 선명한 이미지를 생성해 내고 있다.

(나)는 청각과 시각, 동적인 자연물과 정적인 자연물이 서로 전혀 어울릴 것 같지 않은 대상물을 서로 대를 이루도록 하여 효과를 극대화시킨 변형이라 할 수

(20)

있다. 이러한 이질성에도 불구하고 이 장 전체가 통일된 아름다움을 형성하고 있다.

(다)는 초, 중, 종장이 모두 典故를 이용한 시조인데 이 시조의 독특한 구성 이 먼저 눈에 띤다. 초장이 주제를 드러내고 중, 종장은 주제의 의미를 심화시 키기 위하여 대구를 이용하고 있다. 초장은 굴원의 어부사에서 어부가 배를 저 어가며 부르는 노래인 탁영가의 한 구절인 ‘滄浪之水濁, 可以濯吾足’을 번역한 것으로 ‘ 이 시대가 어려우니 내가 벼슬에서 물러나 자연과 더불어 유유자적하 며 사는 삶도 현명한 처세가 아니겠는가’라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중․종장 은 중국의 불우했던 정치가인 오자서와 굴원의 고사를 적절하게 이용한 대구로 초장의 의미를 확대시키고 있다. 초나라 사람인 오자서는 초의 平王이 그의 아 버지와 형을 피살하자 吳나라로 가서 오나라 임금을 도와 초나라를 쳤다. 후에 오를 위해 越과 和議를 맺는 것을 반대하는 忠諫을 했을 때, 참소를 당하여 억 울한 죽임을 당하였다. 후일 오왕이 그의 시체를 말가죽에 싸서 삼강수에 던졌 다고 한다. 이러한 내용의 고사를 그는 ‘吳江의 가쟈하니 千年怒濤 슬플노다.’라 고 한 구절로 표현했다. 또 楚의 憂國之士인 굴원은 楚의 懷王을 도와 국가에 功이 컸으나 참소를 당해 멱라수에 빠져 자살하였다. 이를 ‘楚江의 가쟈하니 魚 腹忠魂 낟글셰라’라고 표현했다. 이런 고사는 당시 사람들에게는 진부한 고사였 고 동시에 익숙하여 그 의미가 쉽게 전달될 수 있었다. 고산이 나타내고자 하 는 의미를 별도의 설명이 없이도 잘 드러낼 수 있어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즉, 고산은 이 작품에서 용사와 대구를 복합적으로 이용해 의미확대라는 詩的 效果를 거두었다고 할 수 있다.

(21)

2) 反覆

반복법은 시조의 구성에서 흔히 볼 수 있는데, 그 유형으로 어휘의 반복, 구 절의 반복, 음성의 반복이 있다.2) 여기다가 이 세 유형이 복합되거나 다른 수 사법이 함께 나타나는 경우를 ‘반복의 확장’이라고 해서 반복의 유형을 넷으로 설정한다. 고산 시조의 경우도 이러한 반복법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여 기서는 고산 시조에 나타난 實例를 찾아내고 이것이 작품을 구성함에 있어 지 니는 意義를 추정해 보고자 한다.

(1)어휘의 반복

동일한 어휘가 중첩되는 경우를 말하는데, <견회요4>는 좋은 예이다.

뫼 길고길고 믈은 멀고멀고 어버이 그린뜯은 만코만코 하고하고 어듸셔 외기러기 울고울고 가니

이와 같이 한 음보안에서 동일한 단어의 반복이 집중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데, 이는 반복의 단순한 형태로서 그의 전체 작품에서나 일반 시조에서도 특별 한 경우라 하겠다.

다음은 단어의 일부분의 형태가 약간 변하는 修正된 反復이다.

․내몸의 올일만 닫고닫글 뿐이언뎡 <견회요1>

․眞진實실로 디옫아시면 갇긴시서 오리라 <우후요>

2) 金大幸, 韓國詩歌 構造 硏究, 삼영사, 1984, pp. 188~198.

(22)

․며기 둘식세식 오락가락 고야 <오부사시사 춘2>

․漁어村촌 두어집이 속의 나락들락 <어부사시사 춘4>

․無무心심 白鷗구 내좃가 제좃가 <어부사시사 하2>

․巨거口구細셰鱗린을 낟그나 몯낟그나<어부사시사 동7>

이상은 앞의 ‘길고길고’와 같이 동일한 어휘의 반복형에서 ‘닫고닫글’이나 ‘낟 그나 몯낟그나’처럼 어휘의 일부가 바뀌거나 첨가된 수정 반복이다.

이러한 어휘의 반복이 시각적인 효과를 가져오기도 하지만 이를 한번 더 소 리냄으로 해서 쉽게 기억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니게 됨은 물론이다. 이런 반복 구조는 作者(또는 唱者)의 입장에서 문맥상 중요한 기능어나, 또는 이해되어야 할 부분이 이해되지 못하고 지나쳐 버릴 것을 우려하여 이 부분을 다시 반복하 게 함으로써 의미를 강조하거나 이해도를 높여주는 의의를 지니고 있다.

(2) 구절의 반복

하나의 음보를 이루는 구절이 한 章 안에서 반복되는 경우와 초장과 중장 또 는 중장과 종장에서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나모도 아닌거시 플도 아닌거시 <오우가 竹>

․구즌비 개단말가 흐리던구룸 걷단말가 <우후요>

․람분다 지게다다라 밤들거다 블아사라 <야심요>

이는 ‘아닌거시’라는 구절이 한 章안에서 동일한 반복을 이루고 있고, ‘개다’

와 ‘걷다’처럼 한 글자만이 대치되거나, ‘다다라’와 ‘아사라’에서 둘 정도의 낱말

(23)

이 대치되는 한 章안에서 수정된 반복형이다.

심심은 다마 일업 마히로다

답답은 다마 한가 밤이로다 <하우요2>

소 혹이신 이 이러랴

은 혹이신 소 뉘니 <증반금>

‘~은 다마 ~ㄹ ~이로다’의 구절이 초장과 중장에서 반복된 것이고

‘혹이신’의 구절이 초장과 중장에서 반복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소’와 ‘마

’이 교차반복되는 흥미로운 작품이다. 교차반복이 시조에서도 간혹 보이지만 이보다는 판소리 사설에서 쉽게 볼 수 있을 것이다.

교차반복은 아니지만 하나의 음보를 이루는 구절이 두 개의 장에서 동일하게 반복되는 것과 구절 속의 한 두 단어가 바뀌는 수정된 반복이 있다.

․집은 어이야 되엳다 대쟝의 공이로다

나무 어이야 고든다 고조즐을 조찯노라 <초연곡 1>

․즐기기도 려니와 근심을 니즐것가

놀기도 려니와 길기아니 어려오냐 <파연곡1>

․오강의 가쟈니 쳔년노도 슬플로다

초강의 가쟈니 어복튱혼 낟글셰라 <어부사시사 하4>

․리예 다거든 어인도 허믈마라

학발로옹 만나거든 뢰양거 효측쟈 <어부사시사 하5>

(24)

그런데 두 개의 章에 걸친 반복이 <山中新曲> 등 35首는 주로 초장과 중장에 서 나타나고 있으나 <어부사시사>는 중장과 종장에서 나타났다.

그리고 동일한 구절의 반복으로 <어부사시사>의 餘音을 뺄 수 없다. 즉, 초장 과 중장 사이의 여음은 四季마다 각 열 편씩의 작품에서 순서대로,

① 떠라 떠라 ② 닫드러라 닫드러라 ③ 돋라라 돋라라 ④ 이어라 이 어라 ⑤ 이어라 이어라 ⑥ 돋디여라 돋디여라 ⑦ 셰어라 셰어라 ⑧ 어 라 어라 ⑨ 닫디여라 닫디여라 ⑩ 브텨라 브텨라

와 같이 배열되어 있다. 또 중장과 종장사이에 ‘지국총 지국총 어와’도 마찬 가지이다. 따라서 이러한 반복은 作興性을 보장해주는 意義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3)音聲의 반복

같거나 비슷한 단어 또는 구절이 일정한 위치에서 반복되는 것을 살폈는데, 여기서 음성의 반복이라 함은 음절 전체가 완전히 동일하다는 것이 아니라 부 분적인 음성의 동일을 말한다.

시조의 형식을 3章 6句라고 하여, 한 章을 4개의 음보와 2개의 음보가 모여 하나의 의미단락을 이루는 句로 나누었을 때, 결국 한 章은 4개의 음보와 2개 의 구가 ‘주기적으로’ 또는 ‘일정하게’ 반복된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 시조 한 장의 음성 반복을 추출해 내는 단위의 기준을 얻게 된다. 즉, 시조 한 장의 4개 음보를 각각 A, B, C, D라고 하면, A(C)와 B(D)의 관계에서 A(C)는 대체로 명사 또는 동사적 성질을 지닌 주어의 자리이고, B(D)는 A(C)에 대한 서술적

(25)

기능을 하는 경우가 많다. 여기서 A+B, C+D가 의미적으로 독립성을 갖게되 는 구의 단위 또는 개념이 설정된다. 따라서 A와B, C와D의 관계설정이 가능해 질 것이다.

다음의 문제는 이같은 단위 기준을 설정하고 운율의 어떤 자질에 의할 것인 가 이다. 高低․長短․音數․强弱律 등이 있으나, 高低․長短律은 고대의 詩歌 나 漢詩 등에서 가능할 것이며, 音數․强弱律 또한 음성의 반복과는 무관하다.

이보다 본질적인 韻律의 자질로 脚韻, 頭韻, 中間韻, 母韻을 들 수 있다.

① 頭韻

․구즌비 개단말가 ……… <ㄱ>

․님향한 내뜯을조차 ……… <ㄴ>

․동산에 오르니 ……… <ㄷ>

․마히 양이랴 ……… <ㅁ>

․………… 그림마다 그렷더라 <ㄱ>

․………… 내분으로 누얻냐 <ㄴ>

․………… 론돋기 도라와다 <ㄷ>

․………… 밤들거다 블아사라 <ㅂ>

․구룸빗치……검기 ………… <ㄱ>

․내일…………내라야 ……… <ㄴ>

․플은………프르 ……… <ㅍ>

․…… 개단말가 …… 걷단말가 <ㄱ>

․…… 늣거오니 …… 늘글게고 <ㄴ>

(26)

② 中間韻

․그모론 들은 ………<ㄴ>

․내버디 몃치나니 …………<ㅣ>

․쉬다가 개날보아 …………<ㅏ>

․………… 딕희라 시도다 <ㅏ>

․………… 그만야 도라가쟈<ㅑ>

․………… 만코만코 하고하고<ㅗ>

․………… 봄밤이 몃덛새리 <ㅣ>

․삼공을……만………<ㄹ>

․황혼이……갓가오니…………<ㅣ>

․………들은………다마<ㄴ>

․………일즉자다가……닐거라<ㅏ>

③ 母韻

․산슈간 바회아래 …………<ㅏ>

․녀람 뎡소냐 ………‥<ㅕ>

․소 혹이신 ………<ㅗ>

․지게 신됴에………<ㅣ>

․………… 하히 아실샤 <ㅏ>

․………… 규소 게난다<․>

․………… 둠미틔 누어쉬쟈 <ㅜ>

(27)

․ 아마도…… 바회뿐인가……<ㅏ>

․ 어버이…… 처엄븟터…… <ㅓ>

․ ……만……아니맛뎌 <ㅏ>

․ ……업서시니……머엇리 <ㅓ>

지금까지 예시한 것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語頭에 있어서 <ㄱ>, <ㄴ>, <ㄷ>,

<ㅁ>, <ㅂ>, <ㅍ>이 나타나는데, <ㄱ>과 <ㄴ>이 우세한 빈도를 보인다.

中間韻에 있어서는 <ㄴ>, <ㄹ>, <ㅏ>, <ㅑ>, <ㅗ>, <ㅣ> 등이 나타나는데, <ㄴ>

은 주격 조사나 관형격으로 그리고 <ㄹ>은 목적격 조사로 나타나는 경우가 대 부분이다. 모음에서 <ㅣ>가 압도적으로 우세한 것은 주격조사나 종결 어미의 사용으로 말미암은 것이다.

母韻에 있어서는 <ㅏ>, <ㅓ>, <ㅗ>, <ㅜ>, <ㅣ>, <․>, <ㅕ> 등 거의 모음 전반 에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ㅏ>의 어울림이 많이 나타난다.

고산의 시조에서 나타난 이러한 音韻的 배열을 윤선도가 의식적으로 했을 수 도 있고 전혀 우연일 수도 있다. 그러나 의식적으로 했다는 증거가 없거니와 언어생활의 慣用性을 염두에 두고 논의를 진행한다.

(4)반복의 확장

지금까지 반복의 세 양상을 살펴보았는데, 어떤 경우는 이들 양상이 동시에 나타나기도 하고 또는 반복과 대구적인 병렬이 함께 나타나기도 했다. 여기서 이를 ‘반복의 확장’이라 하여 다시 종합해 본다.

(28)

“뫼(A) 길고길고(B) 믈은(C) 멀고멀고(D)” 에서 B-D의 동일한 어휘 반 복과, A-C의 두운 ‘ㅁ’이나 B-D의 중간운이 ‘ㅗ’로 어울리고 있어 확장된 반복 이라고 할 수 있다.

“구즌비(A) 개단말가(B) 흐리던구름(C) 걷단말가(D)”는 A-B, B-D의 두운 이 ‘ㄱ’으로 어울리며 또, B-D에서 ‘~단말가’의 구절반복이 나타난다. 특히 ‘개 다’와 ‘걷다’는 의미적으로 유사성을 지니고 있음에 주목하게 된다.

“람분다(A) 지게다다라(B) 밤들거다(C) 블아사라(D)”에서도 마찬가지다.

즉, A-C, C-D의 두운이 ‘ㅂ’으로 어울리며, B-D에서 ‘~ㅏ라’와 같이 동일한 자음+모음의 반복 구조가 잘 드러나고 있다. 역시 ‘밤’과 ‘불’의 의미적 유사성 을 看過할 수 없다. 이와 같이 한 章안에서 어휘․구절․음성의 반복이 동시에 나타나는 경우는 더 찾아볼 수 있다.

어휘와 구절의 반복은 한번 봄으로써 형태의 파악이 가능할 것이나, 음성의 반복은 그러한 視覺性에 의존한다는 것보다는 실제로 讀音(또는 唱)을 해 가는 가운데 반복의 체험을 얻게 될 것이다. 따라서 음성 반복은 다분히 口誦性(또 는 聽覺性)에 의존한다고 하겠다. 이처럼 한 작품에서 시각적 영상과 청각적 영상이 동시에 나타날 때 작품의 구성상 의의는 더욱 커지게 된다.

앞에서 어휘․구절․음성의 반복이 함께 보이는 경우를 확인했는데, 여기에 다 대구적 병렬이 같이 나타나는 것에 주목해 본다.

나모도 아닌거시 플도 아닌거시

곳기 뉘시기며 속은어이 뷔연다 <오우가 竹>

이것은 ‘아닌거시’라는 구절이 반복되는 가운데, ‘나무-풀’ ‘곧음-속이 빔’의

(29)

대구적 병렬이다. 이러한 모습을 주로 句-句, 章-章에서 찾을 수 있다.

○ 句-句

․우거시 벅구기가 프른거시 버들숩가 (우는 뻐꾸기 - 푸른 버들)

․밀믈의 셔호ㅣ오 혈믈의 동호가쟈 (밀물 - 썰물, 서호 - 동호)

○章-章

․심심은 다마 일업 마히로다 답답은 다마 한가 밤이로다

(심심 - 답답, 일 없음 - 한가 함)

․소 혹이신 이 이러랴

은 혹이신 소 뉘니 ( 소리 - 마음, 마음 - 소리)

이처럼 반복은 그 자체만으로 存立하는 것이 아니라 많은 경우에 대구적인 병렬이 동반하고 있었다. 고산의 시조에서 반복법과 대구․병렬법이 두드러지 고 있는데, 이것은 대구적 반복이라는 상보적 관계를 유지하면서 새로운 의미 를 유발하거나 의미를 보다 풍부하게 드러내는 수사적 기교로 보인다.

(30)

3. 寓意的 표현

우의란 감추어진 방법으로 그 의미를 나타내는 것으로 표면에 드러나는 의미 와 속에 내포된 의미가 연상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고산은 시조를 지은 뒤에 창작동기를 밝히는 글을 쓰곤 했는데 그 글을 읽으면 그의 시조가 내포되는 의 미를 가진 우의적인 성격의 시가라는 것을 눈치채게 된다.

어떤 사람이 도를 전할 때, 재상이 자신의 허물을 고쳤다. 이때 마침 장마비가 개였다. 내가 이르기를 저 사람이 허물을 고친 것은 진실로 이 비가 개이고 이 구름이 걷힌 것과 같구나! 만약 흐렸던 앞내가 다시 맑아지면 우리들이 어찌 감 히 仁으로 돌아 오지 않을 수 있겠는가! 드디어 우리말로 노래를 짓는다.

<雨後謠 跋文>3)

구즌비 개단말가 흐리던구룸 걷단말가 압내희 기픈소히 다앗다 다

眞진實실로 디옫아시면 갇긴시서 오리라 <우후요>

跋文과 작품을 대조해 가며 읽으면 작품의 뜻을 금새 알아 차릴 수 있다. 즉 구즌비와 흐리던 구름은 허물을 고치지 않은 宰相을, 앞내와 깊은 소가 다 맑 아진 것은 재상이 허물을 뉘우쳐 세상이 맑아진 것을 의미한다는 것을 즉시 알 아채게 된다. 종장은 굴원의 漁父辭의 ‘滄浪之水淸, 可以濯吾纓’구를 인용하여 세상이 맑아지면 자신이 꿈꾸던 經世濟民의 포부를 펴겠다는 것을 나타냈다.

고산은 이렇게 자기 스스로 자신의 작품이 우의성이 짙다는 것을 알렸다.

3) 『孤山遺稿』 卷之六, p. 18

有人傳道時 宰改過于斯時也 宿雨適霽 余曰 彼之改過也 苟能如斯雨之晴 如斯雲之捲 如斯前川 之還淸 則吾儕敢不歸仁乎

(31)

실제 그의 작품을 자세히 고찰해 보면 고산이 다양한 원관념을 자연물, 일상적 사물, 신화적 인물, 도가적 용어 등을 소재로 우의적으로 표현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자기 자신은 가야금<고금영>, 시냇물<견회요3>에 빗대어 표현했고, 政 事를 행하는 것은 집을 짓는 것, 술을 만드는 것<初筵曲>으로 표현했고, 시대가 혼탁한 것은 황혼이 가깝다. 물색이 어둡다.<일모요>, 머흔구름<어부사시사> 등 으로 나타냈고, 임금은 玉皇<몽천요>, 豪客<어부사시사>등으로, 간신을 안개<조 무요>, 범<일모요>, 군선<몽천요>, 파리<어부사시사>등의 보조 관념을 이용하여 표현했다. 자신의 정치적 야망을 나타내는 데는 옛날의 소부, 허유, 굴원, 엄자능, 강태공 등의 고사를 이용했다.

고산은 그 의미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으면 어떤 소재라도 거리낌없이 사용했다. 즉 그것이 儒者의 품위에 걸맞지 않다고 하더라도 원관념을 표현하 는데 그 소재가 적합하다고 여겨지면 서슴없이 이를 이용하여 작품을 지었다.

렷던 가얏고 줄연저 노라보니 淸쳥雅아 녯소 반가이 나고야

이 曲곡調됴 알리업스니 집겨노하 두어라 <고금영>

우연히 오래된 낡은 집에서 伽倻古琴을 얻은 고산이 먼지를 떨어 내고 타보 니, 맑고 고운 소리가 여전하고 이를 탔던 崔仙의 마음자취가 느껴지는 듯하여 이에 특별한 감회가 생겨 지은 작품이다. 이 작품에서는 고산은 버려진 가야금 을 자신의 처지에 비겨 노래하고 있다. 버려진 가야금은 한 토막의 먼지 앉은 古木에 불과했으나, 연주가를 만나니 듣기 좋은 음악을 내는 名器가 되는 것처 럼 자신도 현재는 버려진 가야금처럼 쓸모 없지만 누군가에 의해 쓰임을 받게

(32)

되면 청아한 음악과 같은 훌륭한 경륜을 펼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을 은연중에 드러냈다. 그런데 종장에서는 뜻이 또 전환되어, 이 세상에 좋은 음악을 알아 들을 수 있는 사람이 없어 가야금을 그냥 놓아두듯, 자기도 그 능력을 알아줄 사람이 현재는 없으니, 政事에 관여하지 않겠다는 의미를 표현했다. 고산은 이 시조에서 가야금을 소재로 자신의 현재 처한 정치적인 입지와 불우를 명확하게 형상화해 내었다.

이상에서 고찰한 대로, 고산이 시조를 지을 때 많이 사용한 우의적 표현은 한시를 지을때 사물에 자신을 대입시켜 어떤 관념이나 의식을 표출시키는 표현 기법이 시조창작에 그대로 이용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런데, 그는 자기 자신과 관련된 내용뿐만 아니라 시대현실을 나타낼 때도 우의적 표현 기법을 많이 사용했다.

(가)夕셕陽양 넘은後후에 山산氣귀 됴타마

黃황昏혼이 갓가오니 物믈色이 어둡다

아야 범므셔온 나니디 마라라 <일모요 1>

(나)醉야 누얻다가 여흘아래 리려다 落락紅홍이 흘러오니 桃도源원이 갓갑도다 人인世셰紅홍塵딘이 언메나 렷니

(가)는 고산이 금쇄동에서 은거중일 때 석양이 온 산을 물들인 아름다움을 바라보며 문득 詩想이 떠올라 지은 작품이다. 초․중장과 종장은 시대현실을

(33)

우의적으로 표현한 듯하다. 석양은 전쟁을 의미하고 산기가 좋다는 것은 전쟁 후의 일시적 평화를 말하며 黃昏이 가깝다는 것은 시대현실에 어두운 요소가 생기고 있음을 나타내고, 物色이 어둡다는 것은 혼탁하고 어두운 시대가 되어, 가치관과 사회질서가 紊亂해 짐을 의미하고 범 무섭다는 것은 사나운 爲政者들 이 날뛰는 것을 비유로 나타낸 것이라 할 수 있다. 시대현실의 모순과 혼탁함 을 풍자하기 위해 이렇게 여러 가지의 자연물을 보조관념으로 이용하여 나타내 고 있다.

(나)는 강 위로 붉은 꽃잎이 떠내려 오는 것을 바라보며, 桃花源記를 떠올리 고 지은 작품인데 종장에서 세상을 붉은 꽃과 대응되는 붉은 먼지로 비유하여 극도로 혼탁한 것을 암시했다.

이상의 고찰을 통하여 고산은 어린 시절부터 시를 지을 때 사물에 자신의 생 각을 이입시키기를 좋아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래서 후에 자기자신의 처 지나 포부, 소망 등을 드러내는 漢詩나 시조에 우의적 비유기법을 많이 사용하 였다는 점도 깨닫게 되었다. 이것에서 더 나아가 시대현실의 어려움을 풍자할 때도 우의적 비유기법을 사용하여 완곡하게 표현했던 것을 알 수 있다.

(34)

4. 用事의 受容

用事는 관습적 상징과도 서로 통하는 개념이다. 즉, 도연명의 도화원기에 나 오는 무룽도원이라는 단어 때문에 桃源하면 유토피아를 누구나 떠올리게 되는 것도 일종의 관습적 상징이기 때문이다. 한시에서는 경서나 사서 혹은 유명한 詩文에 나오는 고사나 그 특징되는 思想을 자신의 詩句에 요약하여 시의 전체 내용과 조화를 이루도록 인용해 넣는 수사기교가 보편적으로 많이 사용되었는 데 이것이 용사라는 표현기법이다.

고산의 시조인 어부사시사는 용사된 작품이 꽤 많다. 그 가운데 옛 시문이나 고사를 적절히 이용하여 전체의 의미를 통일성있게 구조화시킨 작품은 그 가치 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그 대표적인 예를 原詩와 이를 인용한 漢詩, 시조를 대조해 가며 살펴 보기로 한다.

(가) 狂奔疊石吼重巒 철썩 돌을 때리면 미친 듯이 달려가는 물소리가 산봉우리마다 울려 퍼지니

人語難分咫尺間 바로 곁의 사람 목소리조차 분간이 어렵네 常恐是非聲到耳 늘 시비 거는 소리 귀에 닿을까 두려웠는데 故敎流水盡籠山 짐짓 흐르는 물소리더러 온 산을 채우라 할거나

(題伽倻山讀書堂)

(나) 入戶靑山不待邀 문을 여니 푸른 산이 나를 반기네

滿山花卉整容朝 산 가득 피어난 꽃들이 얼굴을 다듬는 아침 休嫌前瀨長喧耳 앞여울이 귀를 시끄럽히는 것을 싫어 말게나 使我無時聽世囂 세상 시끄러움 듣지 못하게 하니 좋지 않은가.

<堂成後漫興>4)

(35)

(다) 믉의 외로온솔 혼자어이 싁싁고 머흔구룸 恨티마라 世셰上샹을 리온다

波파浪랑聲셩을 厭염티마라 塵딘喧훤을 막또다 <동8>

(가)는 최치원이 가야산 해인사에 칩거할 때 지은 유명한 칠언절구이다. 이 시는 시끄럽게 흐르는 계곡의 물소리를 소재로 자신의 정치적 불우를 형상화한 시로, 역설적 표현이 눈에 띠는 秀作이다. 그가 가야산 산속의 讀書堂에서 독서 중에 있는데 그 옆의 개울에서 흐르는 물소리가 너무 시끄러워서 방해가 되었 다. 이때 문득 詩想이 떠올라 한 편의 시를 창작하였다. 옆사람도 분간하기 어 려울 정도로 큰 소리를 지르며 달려 가는 개울물에서 자신을 끔찍이도 괴롭히 던 뭇신하들이 비방소리를 연상하고, 그 개울물이 비방소리를 압도할 수 있도 록 온 산에 메아리 쳤으면 좋겠다고 했다. 이 작품은 정치적으로 불우하여 어 쩔 수 없이 깊은 산에서 지내고 있으면서도 이를 오히려 달가와 하는양 나타내 어 자신의 憂愁를 달래고 있다. 역설적인 표현으로 시적 의미를 보다 효과적으 로 표출시킨 이 작품은 같은 처지의 士類들에게 공감을 얻었을 것으로 생각된 다. 고산도 이 시에서 공감되는 바가 컸던 것으로 생각된다. 그의 한시와 시조 에 이 시의 詩意를 딴 구절이 눈에 띠는 것이 그 증거라 할 것이다. 여기 인용 한 (나)와 (다)가 바로 그것이다.

(나)는 유배중에 있던 고산이 집을 다 지은 후 들어 앉아 방문을 열자, 푸른 산이 눈앞에 전개되고 꽃들이 아름다운 자태를 드러냈다. 이에 감흥에 젖어 지 은 시다. 이 시의 기구는 산중신곡 <만흥 3>의 초장과 중장의 ‘잔들고 혼자안자

4) 『孤山遺稿』卷之一 p. 21.

(36)

먼뫼흘 라보니 그리던 님이오다 반가옴이 이러랴’와 흡사하다. 승구는 아름 다운 꽃의 모습을 여인이 아침에 얼굴을 단장하는 것으로 표현하였다. 전구와 결구가 최치원의 위 시에서 詩意를 딴 구절이다. 아름다운 경치에 도취하다 보 니 자신의 정치적 불우가 그렇게 고통스러운 것이 아님을 깨닫게 된 그는 문득 최치원의 題伽倻山讀書堂이라는 시가 떠 올랐던 것이다. 그래서, 그 시의 詩意 를 그대로 인용하여 시구를 형성하였다. 이로 인해 이 작품은 자연의 아름다움 을 예찬한 시에서 자신의 불우를 역설적으로 표현한 시로 의미확대가 되었다.

(다)는 초장에서 시의 주제를 제시하고 중장과 종장에서 이를 심화하는 구성 을 가지고 있다. 초장은 물가에서 외로우나 씩씩하게 서있는 소나무를 씩씩하 다고 칭찬해 주는 내용이고 중장은 외로움을 견디는 소나무를 격려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자칫하면 장마구름, 즉 혼탁한 세상을 한탄하며 세월을 허송하게 되 는데, 이를 오히려 세상을 가려주는 좋은 것으로 여기고 편안히 지내라는 뜻을 나타낸다. 즉, 현실의 어려움을 긍정적으로 인정하여 편안한 삶을 누리라는 뜻 으로 해석된다. 그런데, 題伽倻山讀書堂의 詩意를 요약한 종장은 의미를 보다 명확히 전달해 준다. 종장을 읽는 독자는 題伽倻山讀書堂의 시의를 연상할 것 이다. 그럼으로써 이 시조가 불우에서 오는 갈등과 우수 등을 자연을 소재로 역설적으로 표현하여 해소하고자 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는 것을 쉽게 깨달을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서, 이 작품은 일반인에게 널리 알려진 시의를 요약 제시함으로써 경제적이고 효과적으로 시의를 전달할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어부사시사는 故事를 인용하여 시조작품의 외면적 의미 외에 내포되는 의미 를 첨가하였다. 만약 어부사시사에 용사라는 표현기법의 활용이 없었더라면 이

(37)

작품은 ‘자연 속에서 物外自適하는 기쁨’이라는 표면적 의미만을 지닌 작품으로 남았을 것이다. 그러나 여러 故事를 인용함으로써 ‘現實參與志向’이라는 내포되 는 의미가 표출되었다.

(가) 흰이슬 빋견 근 도다온다

鳳봉凰황樓루 渺묘然연니 淸쳥光광을 눌을줄고 玉옥兎토의 띤藥을 豪호客을 먹이고쟈 <추7>

(나) 滄창洲쥬吾오道도 녜브터 닐럳더라

七칠里리여흘 羊양皮피옷슨 긔얻더 니런고

三삼千쳔六뉵百낙시질은 손고븐제 엇더턴고 <동9>

(가)는 고사의 아름다운 달밤 풍경을 보고 읊은 작품이다. 초장의 ‘흰이슬 빋 견’는 소동파 적벽부의 ‘白露橫江’을 그대로 우리말로 옮겨 놓은 것으로 달 빛이 비쳐 희게 된 강물을 표현한 것이다. 이와같이 초장에서는 달밤풍경을 노 래하다가 중, 종장에서는 남편 羿의 仙藥을 훔쳐 먹고 달나라로 달아난 姮娥의 고사를 인용하여 임금에 대한 思慕의 정을 노래했다. 이 작품에서 姮娥의 고사 는 ‘달빛 비치는 江上에서의 흥취’라는 표면적 의미에 ‘戀君’이라는 내포된 의미 를 더하는 역할을 더하게 했다고 할 수 있다.

(나)의 초장에서는 ‘滄洲吾道’ 즉 ‘현실을 초월하여 신선같이 사는 삶이 나의 길이라’고 일컬었던 이는 옛날부터 있었다고 노래했다. 그런데 중장과 종장에서 는 같은 滄洲吾道를 지향했으나 삶의 방식이 판이해진 嚴子陵과 姜太公을 서로 대응시킴으로써 그의 묘한 의식세계를 반영하였다. 엄자릉은 벼슬 諫議大夫를 마다하고 富春山에 숨어 羊皮옷을 입고 낚시질로 일생을 마쳤으며, 강태공은

(38)

渭水에서 낚시질 하다 文王을 만나 立身의 길을 택했다. 잘 알려진 두 인물의 고사를 인용함으로써 이 시조의 표면적 의미인 ‘高踏的인 삶의 기쁨’과 내포된 의미인 ‘現實志向意志’를 동시적으로 드러내어 이 작품이 지니는 성격을 명확히 했다.

어부사시사에서 용사라는 표현기법이 이 작품의 가치를 半減시켰다는 부정적 견해도 있을 수 있겠으나, 이 기법이 이 작품의 의미 구조상 특징인 이중적 의 미구조 생성에 결정적 역할을 했다는 점은 인정해야 할 것이다.

(39)

Ⅲ. 현행 시조 교육의 실태

시조 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시조 교육의 현 실을 바로 보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시조 교육의 당사자인 교사와 학생들이 시조 교육을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가를 분명히 파악해야 한다. 본 장 에서는 교사와 학생들의 시조 교육에 대한 실태를 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국어」교과서와 「문학」교과서 18종에 수록 되어있는 시조를 중심으로 시조 교육의 방향을 마련해 보고자 한다

1. 시조 작품의 수록 현황

현행 고등학교 「국어」(상) 「문학의 유형」단원에 현대시, 현대소설, 현대 수필, 탈춤과 함께 시조 3편을 수록하고 있는데, 수록작품은 <표 Ⅲ-1>과 같다.

<표 Ⅲ-1> 「국어」에 수록된 시조 작품

단 원 명 작 품 명 작 자 형 식 시 대

5. 문학의 유형

지당에 비 뿌리고 미상 평시조 고

창 내고쟈 창 내고쟈 미상 사설시조 고

오동꽃 이병기 평시조 현대

그리고 18종 「문학」교과서에 수록 작품은 <표Ⅲ-2>와 같다.

(40)

<표 Ⅲ-2>『문학』교과서에 나타난 시조의 작품

발행회사 저자 시조작품 총시조

지은이 작품 작품수

금성출판사 박경신 외 3

이존오 박인로 김삼현 윤선도

구룸이 無心 말이 盤中 早紅감이 功名을 즐겨마라 우거시 벅구기가 년닙희 밥싸두고 水슈國국의 히드니 간밤의 눈갠後후에

7

천재교육 오세영 외 1 윤선도

신흠 김수장 위백규 이정신 작자미상

이색 원천석

이개 왕방연 맹사성 김장생 이황 정철 황진이 서경덕 계랑

년닙희 밥싸두고 간밤의 눈갠 後에 山村에 눈이 오니 草庵이 寂廖

은 든 대로 듯고

가버슨 兒孩ㅣ들리

 눈 멀고  다리 져는 두터비

들에 동난지이 사오 한숨아 셰한숨아 싀어마님 며라기 낫바 白雪이 진 골에 눈 마 휘여진 를 房 안에 혓는 燭불 千萬里 머나먼 길

江湖에 이 드니 十年을 經營야 古人도 날 못 보고 이고 진 뎌 늘그니 어져 내 일이야

음이 어린 後ㅣ니 梨花雨 흣릴 제

21

대일도서 김용직 외 1 윤선도

황진이 작자미상 이순신

압개예 안개 것고 구즌비 머저가고 동지ㅅ 기나긴 밤을 두터비 리를 물고 十年 온 칼이

5

(41)

발행회사 저자 시조작품 총시조 지은이 작품 작품수

동아출판사 김열규 외 1 황진이 冬至ㅅ 기나긴 밤을 1 대한교과서 최동호 외 3 이조년

맹사성

이황 윤선도 김천택 김수장

梨花에 月白하고 江湖에 봄이드니 江湖에 녀름이드니 春風에 花滿山고 우 거시 벅구기가 江山 죠흔 景을 草庵이 寂廖

7

민문고 김태준 외 3 이황

윤선도

이정신 작자미상

황진이

이런들 엇더며 當時에 녀 길흘 靑山은 엇뎨야 압개예 안개 것고 구즌비 머저가고

가버슨 兒孩ㅣ들리 두터비 리를 물고 冬至ㅅ 기나긴 밤을

8

한샘 김윤식 외 1 이조년 우탁 이색 원천석

황희 황진이

신흠 김상헌 윤선도 김천택 안민영 작자미상

이병기

梨花에 月白고 春山에 눈 녹인 바

白雪이 자진 골에 興亡이 有數니 대쵸 볼 불근 골에 어져 내일이야

노래 삼긴 사 시름도 하도 할샤 가노라 三角山아

잔 들고 혼자 안자 田園에 나믄 興을 어리고 성긘 梅花

나모도 바히돌도 업슨 뫼헤 窓 내고쟈 창을 내고쟈 한 손에 책을 들고(一) 빼어난 가는 잎새(四) 본래 그 마음은

15

(42)

선영사 이문규 외 1 우탁 이존오

이색 이조년 정도전 황희 이개 이황 성혼 이이 정철 황진이

계랑 신흠 김상헌 송시열 윤선도 김수장 김천택 작자미상

春山에 눈 노기 람 구룸이 무심 말이 白雪이 진 골에 梨花에 月白고 仙人橋 나린 물이 대쵸볼 불근 골에 房안에 혓 燭불 이런들 엇더며 말 업슨 靑山이요

高山九曲潭을 사이 모르더니 재 너머 成勸農 집의

내 언제 無信여 梨花雨 홋릴 제 山村에 눈이 오니 가노라 三角山아 님이 헤오시매 잔들고 혼자 안자 草庵이 寂廖

江山 죠흔 景을 님이 오마 거늘

들에 동난지이 사오 나모도 바히돌도 업슨 뫼헤

22

학문사 성기조

작자미상 윤선도

황진이

두터비 리를 물고 압개예 안개것고 구즌비 머저가고 그러기 떳밧긔 白雲운이 니러나고 冬至ㅅ 기나긴 밤을

6

교학사 김대행 외 1

김종서 윤선도 안민영 작자미상 작자미상

장백산에 기를 고 잔들고 혼자 안자 어리고 셩근 매화 한슴아 셰한슴아

窓(창) 내고져 窓을 내고져

5

(43)

대한교과서 한계전 외 2

이황

황진이 윤선도

古人도 날 몯 보고 當時예 녀 길흘 靑山 엇뎨야 어져, 내 일이야 오우가 6수

10

지학사 박갑수 외 2

우탁 이색 정몽주

春山에 눈 노긴 바

白雪이 진 골에 이몸이 주거주거

3

지학사 김봉군 외 1

우탁 이조년 이방원 길재 이개 송순 황진이 맹사성

이황

이순신 이정한 작자미상

윤선도 김천택 김수장 안민영

춘산에 눈 노긴 람 이화에 월백하고 이런들 엇더며 오백년 도읍지 방안에 혓 촉불 십년을 경영야 동지ㅅ 기나긴 밤을 강호에 여름이 드니 강호에 가을이 드니 이런들 엇더며 청산은 엇뎨야 한산셤  근

풍셜 석거친 날에 뭇노라 正合邦인지 흐응

우는거시 벅구기가 강산 죠흔 경을 초암이 적료

람이 눔을 모라

18

동아출판사 우한용 외 3 이조년 정몽주 김종서 이황 김천택 안민영 작자미상

윤선도 황진이

梨花에 月白하고 이몸이 주거주거 삭풍은 나모 끝에 불고 청산은 어찌하여 白鷗야 말 물어 보자 고울사 저 꽃이여 논밭 갈아 기음 매고

슬프나 즐거오나(견회요 5수 모두) 어져 내일이야

13

(44)

발행회사 저자 시조작품 총시조 지은이 작품 작품수

노벨문화사 윤병노 외 3

이조년 정몽주 성삼문 이항복 윤선도 안민영 작자미상

梨花에 月白고 이몸이 주거주거 이몸이 주거가셔 鐵嶺 노픈 峯을 여튼갣 고기들히 어리고 셩근 柯枝

도 쉬여 넘 고

宅들에 동난지이 사오 님이 오마 거늘

나모도 바히돌도 업슨 뫼헤 귓도리 져 귓도리

11

동아서적 남미영 외 4 왕방연 서익 월산대군

홍랑 작자미상

千萬里 머먼 길에 綠草 淸江上에 秋江에 밤이 드니 묏버들  것거

개야미 불개야미 등 부러진 불개야미 싀어마님 며느라기 낫바

6

한샘출판 구인환 외 1 이이 윤선도 황진이 미상 맹사성

고산구곡가 中 1수 동풍이 건 듯 부니 어져 내일이야 사설시조

강호사시사 中 1수

5

그런데 무엇보다도 중요시해야 할 국정 교과서에 실려 있는 시조의 수가 이 처럼 「국어」(상)에만 전체 37소단원 가운데 한 소단원에서 고작 3편의 시조 가 실려 있고 (하)권에는 전혀 없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문학」교과서의 작 품수를 조금 줄이고 「국어」교과서에 더 많은 시조를 실어야 한다. 왜냐하면 7차 교육과정에서 「국어」교과서는 국정 교과서로 국민 공통 기본 교과이고,

「문학」교과서는 선택과목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시조의 바람직한 교과서 수 록 분포는 국정 「국어」교과서에 더 많은 시조를 수록해야 할 것이다.

(45)

2. 시조 작품의 내용 분류

「문학」교과서(18종)에 수록되어 있는 시조에 담긴 내용을 이해함으로써 선 인들의 진솔한 삶의 모습과 정서를 살펴보고자 한다.

고시조의 내용을 분류해 놓은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5) 여기서는 교과 서에 수록되어 있는 시조의 내용을 염두에 두고 7가지로 분류해 보았다. 작품 에 대한 작가와 주제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표Ⅲ-3 > 교과서 수록 시조의 내용 분류

내용 작 품 작 가 주 제

우 국 충 절

․ 연 군 의 정

구룸이 無心(무심) 말이 白雪(백설)이 자진 골에 이 몸이 주거 죽어

十年(십년) 온 칼이

朔風(삭풍)은 나모 긋 불고 房(방)안에 혓는 燭(촉)불 首陽山(수양산) 바라보며 간밤에 우던 여흘

千萬里(천만리) 머먼 길에 가노라 三角山(삼각산)아 三冬(삼동)에 뵈옷 닙고 綠草(녹초) 晴江上(청강상)에 눈 마 휘여진 를

이존오 이색 정몽주 이순신 김종서 이개 성삼문

원호 왕방연 김상헌 조식 서익 원천석

간신 신돈의 횡포 우국충정

일편단신 우국충정

무인의 호방한 기상 연군의 정

굳은 절의와 지조 연군의 정

연군의 정 우국충절

임금님 승하의 애도 임금님 승하의 애도 우국충절

5) 「고금가곡」에서는 단시조 246수를 19항목으로 분류하였고, 최남선의 「시조유취」

에서는 장․단시조 1,400수를 21항목으로 분류했으며, 이태극은 「시조개론」에서 20개 항목으로 시조를 분류하였다.

참조

관련 문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과를 중심의 주 제 중심 프로젝트를 통해 STEAM의 각 요소를 융합하고 공동체의 문제에 관심을 가짐 으로써 창의융합형 인재를 기르는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국내에서 운영하고 있는 소방안전체험관의 운영사례 조사 를 통해 소방안전체험관의 운영 실태를 분석하고 문제점을 도출해냄으로써

우리나라 STEAM

본 설문지는 현재 임상에서 근무하고 있는 치과위생사 선생님들의 예방치과처치업무 수행에 대한 인식과 직무만족와의 관련성을 연구하기 위해 작성된

프로그램 개발에 참여한 교사는 물론, 적용 실천하는 교사들에게도 STEAM 교육의 전문성과 자질을 강화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으며, 이를 확대하 여 본

즉 학교운영위원회는 교육의 주체이면서 의사결정에서 소외되었던 교사와 학부모 지역사회 인사가 교육활동에 관한 의견을 제시하고 학교 운영에 관한

본 연구회의 운영은 STEAM 교육의 개념과 가치를 확립하고 STEAM 교육의 내실화를 통해 STEAM 교육 강화 및 STEAM 교육과 연계성 높은 실천사례를 발굴 또는

조선의 고가를–민요와 속요 이외외–전통적 개념에 따라 아주 대략적으로 분류하면, 그 것은 시조(時調)라는 노래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