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농산물 수출유망시장 분석과 대응방안 : 러시아를 중심으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농산물 수출유망시장 분석과 대응방안 : 러시아를 중심으로"

Copied!
23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연구보고 R566 | 2008. 11.. 농산물 수출유망시장 분석과 대응방안 -러시아를 중심으로-. 김 경 필 김 연 중 한 혜 성. 부연구위원 연 구 위 원 연 구 원.

(2) 연구 담당 김 경 필 부연구위원 김 연 중 연구위원 한 혜 성 연구원. 연구총괄, 제1장, 3장, 5장, 6장 집필 제2장 집필 제4장 집필.

(3) i. 머 리 말. 농산물 수출은 기존에 국내 수급물량 조절 차원에서 수동적으로 추진된 경향이 강했지만 시장개방이 확대되는 시대에서는 국내 농산업의 체질 개 선과 국제경쟁력 강화를 위해 적극적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농산물 수출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수출 대상국가의 시장경쟁력과 수 출 수익성, 시장진출 여건, 효율적인 시장진출 방안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 하고 수출 장애요인들을 제거함으로써 수출주체들의 수출활동을 촉진시켜 야 한다. 최근에 수출유망국가로 대두되고 있는 국가 중 하나가 러시아이다. 러시 아는 자원가격 상승 등으로 인하여 소득수준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지만 자 국 내 농산물 공급여건은 열악하여 농산물을 외국으로부터 수입하여 소비 하는 비중이 아주 높다. 하지만 한국산 농산물이 차지하는 비중은 아주 미 미하므로 적극적인 수출 증대 노력이 요구되는 국가이다. 이 연구는 한국과 지리적으로 가까운 극동러시아를 중심으로 농산물 수 출실태와 가능성을 파악하고, 시장 개척 및 진출에 있어서 애로 및 개선사 항을 발굴하여 수출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수행하였 다. 아무쪼록 이 보고서가 극동러시아 시장 농산물 수출에 관심이 많은 생산 자, 수출조직, 정책담당자들에게 기초자료로서 유용하게 활용되기를 기대 한다. 극동러시아 수출시장 조사와 연구 수행에 많은 도움을 주신 브리즈 의 김만호 대표, 로즈피아의 정화영 대표, 서울대학교 김한호 교수, 농림수 산식품부 김홍우 팀장께 감사드린다. 2008. 11. 한국농촌경제연구원장 오 세 익.

(4)

(5) iii. 요. 약. 농산물 수출은 시장개방 확대 시대에 국내 농산업의 체질 개선 및 경쟁 력 강화를 위해 적극적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최근에 농산물 수출유망시장으로 대두되고 있는 러시아에 대해 극동러시아 지역 중심으 로 한국 농산물 수출실태를 파악하고 시장 개척과 확대의 애로 및 개선사 항을 발굴하여 수출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러시아는 지역이 광범위하기 때문에,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수출시장 분 석 지역대상은 한국산 농산물이 많이 수출되는 극동러시아 지역으로 범 위를 좁혔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극동러시아는 기후 및 토양조건이 농업에 불리하여 자국 내 공급여력 이 적고 과일류 소비는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하지만, 빠른 경제 성장 영향으로 소비시장도 연간 15~20% 성장하고 있다. 극동러시아에서 한국산 농산물은 상위 10%이내의 고소득층이 구입하 고 있을 정도로 품질 이미지 및 선호도가 높지만, 한국산 농산물 진출 비 중은 0.5% 미만으로 아주 미미하다. 지리적으로는 한국에서 선박으로 1~2일 정도밖에 소요되지 않을 정도로 가까워서 수송비용 절감과 신선도 유지에는 매우 유리한 조건이다. 향후 경제성장에 따라 러시아 가구당 소득이 증가하고 고품질로 인식 되는 한국산 농산물의 수요는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극동러시 아 시장으로의 수출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필요성이 크다. 한국산 농산물 중에서 딸기, 파프리카, 토마토 등의 과채류는 최고급 상품으로 상위 10% 이내의 소득계층이 주로 백화점이나 대형판매점 등 에서 구입하고 있다. 반면, 감귤, 장미 등은 품질이 아주 우수하지는 않고 가격도 비교적 저렴한 수준에 판매되어 대중적으로 소비되는 품목이다. 과일의 품질경쟁력을 살펴보면, 한국산 사과의 당도는 2008년산의 경우 12.8~13.5°Bx로 뉴질랜드산 로얄갈라 12.3~12.8°Bx, 미국산 갈라 13.0°Bx 보다 높아 품질경쟁력이 있다. 하지만 2007년산 당도는 12.9°Bx로 경쟁력.

(6) iv 이 낮은 수준이고 해마다 경쟁력 수준이 변동되고 있다. 가격경쟁력에서 한국산 감귤 가격은 중국산과 비슷한 편이다. 사과는 한국산 가격에 비해 미국산이 47%, 중국산이 60% 낮다. 파프리카는 한국 산 가격에 비해 중국산이 60~80% 낮고 이스라엘산도 10% 낮다. 김치 가 격은 한국산에 비해 중국산 가격이 30~50% 낮은 수준이다. 극동러시아 소비자들이 좋아하는 농산물 품질 속성은 과일류의 경우 당도와 신선도가 높으며 중간 크기의 품질을 선호하고 있다. 청과물을 구 입할 때 “가격”보다 “당도나 신선도 등 품질”을 더 중요시 여기고 있다. 화훼류는 줄기가 길고 꽃봉오리가 큰 품질을 선호한다. 극동러시아에 있는 수입회사와 대형판매점에서 한국 농산물을 수입하 고 판매하는 데 있어서 느끼는 주요 애로사항은, 수입물량의 안정적인 확 보의 어려움, 수입가격이 비쌈, 계절적으로 품질이 좋지 않은 시기 존재, 신선도 및 상품성 손상사례가 많다는 것이다. 한국 농산물의 극동러시아 시장 진출은 초기단계이기 때문에 여러 가 지 불확실한 상황과 제약적인 요인들이 많다. 따라서 극동러시아 시장으 로 수출을 시도할 때에 기존에 러시아 현지에 법인을 설립하여 수출입 활 동을 하는 수출업체와 연계하여 진출하는 방안이 수익 및 거래의 안정성 을 높이는 데 유리하다. 한국에서 극동러시아로 농산물을 수출하는 업체의 주요 애로사항은 과 실류의 경우 국내가격 변동에 따라 물량확보의 불안정성과 저온수송컨테 이너 확보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채류는 마케팅 활동이 부 족하고 판촉 및 홍보비용이 많이 들어가며 신선도 및 상품성 유지에 필요 한 물류시설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화훼류는 안정적인 수출물량 확보의 어려움, 저온 선별 및 유통시설의 부족, 고품질 화훼를 생산하기 위한 시 설 부족 등의 애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극동러시아 수출의 발생 손익은 품목별, 시기별로 변동 폭이 큰 편이 다. 한국에 극동러시아로 농산물을 지속적으로 수출하는 업체 수가 10개 내외로 많지 않고 시장 진출 초기단계이기 때문에 수출 수익이 크게 발생 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시장정보와 수출 경험이 적어 수출업체간 과.

(7) v 당경쟁, 미판매물량 발생, 부패 등으로 손실이 크게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농산물 수출 수익은, 선박으로 수송하여 현지 대형판매점에 정상적인 판매가 이루어질 경우, 청과물의 경우 수출업자 수익은 30% 내외로 나타 났다. 현지 대형판매점 구입가격 기준으로 국내 구입원가는 60% 내외, 수 출 제비용은 10% 비중을 차지한다. 화훼류를 선박수송으로 수출할 경우, 극동러시아 현지 수입 도매업체 구입가격 기준으로 한국산 장미, 국화, 백합의 구입원가는 품목별로 36~46%, 수출 제비용은 24~27%, 수입바이어 수익은 30~40%, 국내 수출업 체 수익 비중은 9~14%이다. 항공수송보다 선박수송의 경우가 수익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사례 분석결과 극동러시아 시장 진출에 성공한 사례는 사전적으로 충분한 시장정보 수집, 수출시장 판매가능성에 대한 지속적인 검토, 수출 품의 적극적인 판촉 활동, 수입국의 기후 및 풍토를 고려한 수출 가능성 검토, 틈새수출이 가능한 시기 및 지역 예상, 마켓 테스트 수행으로 수요계 층 파악과 판매 타깃 설정 등 다각적인 노력들이 있었다. 반면, 시장 진출에 실패한 사례들은, 소비자 선호, 수요, 소비패턴 등의 조사 및 예측 실패로 수입물량이 과다하여 정상적으로 판매하지 못한 사 례, 현지 극동러시아 저온저장시설 미확보로 재고물량의 저장 및 품질관리 를 제대로 수행하지 못한 사례, 품질이 낮은 상품 수출로 판매부진을 겪은 사례 등이 있다. 초기 시장진출 실패를 극복하고 수출에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사례 는, 수송 기간 동안 신선도 유지가 가능한 포장 방법 및 기술 개발로 상품 성 유지 실패를 극복한 사례, 소비자 수요를 고려한 단계별 적정 수출물량 확대로 재고물량 관리 및 교섭력 제고에 성공한 사례, 수입회사와 신뢰도 를 유지하면서 수출의 비관세장벽을 해소한 사례들이 있다. 시장 진출의 성공 및 실패 사례로부터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수출 가 능성이 있는 품목인지에 대한 사전적인 파악, 소비자 인지도와 선호도를 고려한 단계적인 수출물량 확대, 시장 소비규모와 수요를 고려한 수출물 량 규모 결정, 고품질 농산물 수출 등이다..

(8) vi 극동러시아 시장에 대한 농산물 수출확대 방안은 경쟁력 제고, 수출물 량의 안정적 확보 및 지속적 공급기반 구축, 물류여건 개선, 마케팅 개선, 비관세장벽 해소 및 완화, 수출 유형별 시장진출 전략 수립, 제도개선 및 수출정책 등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경쟁력 제고는, 수출시장에서 한국농산물 품질경쟁력이 강한 편이며, 고소득층의 선호도가 높으므로 가격경쟁력 제고보다는 품질경쟁력 제고 에 주력하는 전략이 효과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품질 및 가격경쟁력 을 높이기 위한 생산시설 개선, 기술개발, 물류체계는 지속적으로 개선되 어야 한다. 수출물량의 안정적 확보와 공급을 위해서는 수출주체의 조직화 및 규 모화가 필요한데, 현재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농식품 수출선도조직 육 성사업”은 중장기적으로 이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물류시스템 개선을 위해서는 국내 유통단계의 저온 선별 및 저온수송 여건을 조성하고 수출국까지 물류가 원활하고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도 록 개선되어야 한다. 극동러시아 물류기지 구축을 위해 현지에 물류창고 시설을 건립하거나 임대하여 운영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성이 크다. 현 지 물류시설 건립은 농산물 수출업체들이 중요하게 요구하는 사항 중의 하나이며, 중장기적으로 극동러시아뿐만 아니라 러시아 전 지역으로 수 출을 확대하기 위한 교두보로서 중요한 기능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마케팅 측면에서는 극동러시아 소비자들이 한국산 농산물에 대한 인지 도가 아주 낮기 때문에 한국산 농산물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 판매촉진 활동, 마케팅 활동을 필요로 한다. 대체적으로 딸기, 파프리카 등의 과일 류 중심으로 고급시장에서 고품질로 인식되고 고가격 판매가 가능하므 로, 이들 품목 중심으로 고소득층이 주로 이용하는 백화점과 대형판매점 에서 정기적, 지속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시장진출의 주요 비관세장벽인 통관기일의 장기간 소요는 한국산 상품 에만 해당하는 사항은 아니지만 정부차원의 협정체결(MOU) 등으로 통관 절차를 간소화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극동러시아 시장 유통채널로의 원활한 진입과 정착을 위해서는 현지.

(9) vii 대형 수입 도매업체 및 대형 판매점과 연계하는 것이 효과가 클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이들 유통조직 및 유통업체와 연계할 때 거래수수료가 높 은 편이고 대금정산 조건이 까다롭다는 점을 인지하고 극복할 수 있어야 한다. 현지 대형 유통업체가 해결해야 할 현안사항에 공동 해결을 모색함 으로써 거래를 발생시키고 유지하는 방안도 검토할 수 있다. 극동러시아 시장진출을 위해서는 여러 가지 수출거래 체계 유형들 중 에서 현지 시장에 회사 법인을 설립하여 시장조사, 동향 파악, 거래관계 구축 및 유지를 안정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수출업체와 연계하는 방안이 수출거래의 안정과 지속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수출확대에 장애가 되는 다양한 제도들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수출농 식품 공정거래 제도”나 “농식품 수출선도조직 육성” 사업은 이미 개선, 추진되고 있는 사업들이다. 아직, 개선을 추진 중이거나 발굴되지 않은 수출확대 저해 제도들은 꾸준히 관심을 가지고 개선해 나가야 한다. 극동러시아 시장에 농산물 수출을 증대시키기 위해 정책적으로는 극동 러시아 소비자들에게 한국산 농산물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물류여건과 제도들을 개선해야 한다. 현재 극동러시아에서 한국 이미지가 좋은 편이고 농산물의 가치도 높 게 평가받고 있으나 인지도가 약한 편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한국산 농산물의 존재와 품질의 우수성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와 판촉활동이 필 요하다. 하지만 개별 수출업체가 수행하기에는 경제적으로 부담되고 효 율성이 낮을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에 정부 차원에서 계획적이고 지속적 으로 지원할 필요성이 크다. 농산물 품질관리가 가능하고 수출물량을 안정적으로 확보, 공급할 수 있는 수출조직을 육성하기 위해 “농식품 수출선도조직 육성 사업”이 추 진되고 있다. 이 사업은 국내 생산 및 수출규모가 영세하고 창구가 다양 한 약점을 극복할 수 있는 사업이므로 사업을 원활히 추진하여 수출주체 의 조직화와 규모화 가능성을 보여줄 수 있어야 할 것이다. 극동러시아로 통관하는 데 기간이 오래 걸려 품질 및 신선도 관리가 어 려운 애로사항은 정부간 협정(MOU) 체결 등 적극적인 협상으로 검역과.

(10) viii 통관의 장벽을 낮추어 줄 수 있는 노력도 필요하다. 현재 한국에서 극동러시아로 이동하는 물류여건과 극동러시아 자체의 물류여건이 좋지 않은 편이다. 향후 극동러시아 시장뿐만 아니라 러시아 전 지역으로 수출을 확대하는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서 극동러시아에 국 가적인 차원의 물류기지 건설 등 물류여건이 개선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 로 관심을 가져야 한다..

(11) ix ABSTRACT. Analysis of High Potential Agricultural Export Market and Korea's Proper Responses -Centered around RussiaAgricultural exports should be pursued actively in the era of market opening in order to improve the local agribusiness quality and strengthen its competitive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xport status of Korean agricultural products to Russian Far East, an recent emerging export market with high potential for Korean agricultural products, to detect challenges and matters for improvement, and to finally find out measures to increase agricultural export to the market. Korean strawberry, paprika, and tomato are purchased at department stores or large hypermarkets by top 10% income earners in Russian Far East. To the contrary, such products as Korean tangerine and rose have medium quality and are consumed by the general public at lower prices. Mostly, the Russian awareness of Korean agricultural products is weak but their preference is high. A survey was conducted on exporters of Korean agricultural products to Russia. The survey showed that the main trouble is the instability in securing product volume depending on local prices of fruits and the difficulty in securing refrigerator containers. For fruit vegetables, it was found that marketing activity is insufficient; promotion and sales require high cost; and it is difficult to maintain fresh condition and marketability of produce. For horticultural products, the difficulty in securing export volume, insufficiency in screening and distribution facilities and the lack of facilities to produce high-quality horticultural products are found as obstacles to export. The profit and loss status is volatile since the export to Russian Far East.

(12) x. is in its infancy. However, we have learned lessons from previous success or failure that prior understanding of export feasibility, phased-in expansion of export volume, decision of export volume in consideration of market consumption size, and the export of high-quality agricultural products are essential. In addition, considering climate and natural features of the importing country, the areas for further effort include expanding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potential markets, development of various technologies to maintain fresh quality and marketability, maintenance of constant trust with local wholesalers and large retailers, continuous promotional endeavor to increase awareness of Korean agricultural products and sales activities and constant improvement of institutions putting an obstacle to export. In order to expand export of agricultural products to Russian Far East, first of all, we need to direct efforts to enhancing competitiveness in quality and improving price competitiveness as a supplementary move. Competitiveness in terms of quality and price could be enhanced by improving production facilities, developing new technologies and improving logistical system, and the efforts to achieve this should be made continuously. Secondly, the export volume should be secured in a stable manner, and it can be achieved by systematically running a larger export organization and unifying contact points. From this perspective, the government's initiative entitled "Project for Fostering Agrifood Export Leadership Organization" is a timely project. Thirdly, the screening, transportation and storage of agricultural products at low temperature should be offered at the local transportation and distribution stage. To this end,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or rent and manage warehouses in Russian Far East. Fourthly, the consumers of Russian Far East have very little knowledge of the Korean agricultural products. To overcome this, more active PR, promotional and marketing activities are required. Fifthly, it is necessary to shorten the time taken for custom clearance which works as a non-tariff obstacle to market advance. The issue of long time taken for custom clearance doesn't affect Korea only. However, the government-level effort could simplify the clearance procedures. Sixthly, it needs to establish a corporate entity in the local market for market research, market trend reading, relation building and maintenance. When it connects between importers and.

(13) xi. exporters, the initial trades at the market entry could be more stable. Lastly, institutions that pose an obstacle to export expansion need to be addressed. In relation to this, the "Fair Trade Scheme for Exported Agrifood" and the "Project for Fostering Agrifood Export Leadership Organization" are already being pursued. Nevertheless, the existing institutions for which improvement efforts are under way or which have not been detected so far should be the subject of improvement by paying continuous attention.. Researchers: Kim Kyung-Phil, Kim Yean-Jung, Han Hye-Sung E-mail address: kkphil@krei.re.kr, yjkim@krei.re.kr, funny1978@krei.re.kr.

(14)

(15) xiii. 차. 례. 제1장 서론 1. 연구 필요성과 목적 ·············································································· 1 2. 선행연구 검토 ························································································ 3 3. 연구 내용. ···························································································· 7. 4. 연구 범위와 방법 ·················································································· 8. 제2장 러시아 농산물 시장 동향과 전망 1. 농업 개황. ·························································································· 13. 2. 농산물 생산 및 소비 ·········································································· 18 3. 유통구조. ·························································································· 23. 4. 수출입 관련제도 ·················································································· 29 5. 교역 동향. ·························································································· 36. 6. 시장 특징과 전망 ·············································································· 45. 제3장 극동러시아에 대한 농산물 수출실태 1. 극동러시아 시장 진출여건 ································································· 53 2. 한국 농산물 수출 실태 ······································································· 56 3. 경쟁력 분석 ························································································· 64 4. 수입 애로 및 개선사항 ······································································· 82 5. 유통경로 및 판로 개척 ······································································· 89 6. 수출 거래체계 ······················································································ 97.

(16) xiv. 제4장 농산물 수출 사례와 시사점 1. 극동러시아 수출 애로 및 개선사항 ················································ 103 2. 경제성 분석 ······················································································· 113 3. 시장개척 및 진출사례 ······································································ 123 4. 마케팅 관련사례 ················································································ 135 5. 수출제도 개선사례 ············································································ 141 6. 요약 및 시사점 ·················································································· 145. 제5장 극동러시아 시장 농산물 수출 확대방안 1. 경쟁력 제고 ······················································································· 151 2. 안정적 물량공급 기반 구축 ····························································· 152 3. 물류여건 개선 ···················································································· 154 4. 마케팅 개선 ······················································································· 155 5. 비관세장벽 완화 및 해소 ································································· 156 6. 시장진출 전략 ···················································································· 157 7. 제도개선 및 수출정책 ································································ 160. 제6장 요약 및 결론 ················································································· 163. 부록 1. 수출입업체 조사표 ······································································ 173 부록 2. 러시아 수입업체(대형판매점) 조사표 ······································· 178 부록 3. 극동러시아 대형유통업체 농식품 판매가격 ····························· 201 부록 4. 러시아 주요 유통기업 현황 ······················································· 206 부록 5. 러시아 잔류농약 허용기준 ························································· 207 참고문헌 ······································································································ 209.

(17) xv. 표 차례. 제2장 표 2-1. 러시아 일반개황 ······································································· 14 표 2-2. 러시아의 주요 경제지표 ························································ 14 표 2-3. 러시아 농업부문의 주요 경제수치 ········································· 16 표 2-4. 러시아 농업생산 유형별 특징 ················································ 17 표 2-5. 러시아 농업생산용지의 경영형태 ········································· 17 표 2-6. 러시아 영농형태별 농업 생산 구성비(가격기준) ················· 18 표 2-7. 러시아의 곡물, 감자, 채소류 재배면적 추이 ························ 19 표 2-8. 러시아의 주요 농산물 생산량 추이 ····································· 19 표 2-9. 러시아의 과실류 재배면적 추이 ············································· 20 표 2-10. 러시아의 식품가공업 현황 ···················································· 21 표 2-11. 러시아의 주요 농산물 1인당 소비 ······································· 22 표 2-12. 러시아의 권역별 시장특성 ···················································· 24 표 2-13. 러시아 유통업체 유형분류 ···················································· 27 표 2-14. 수입허가 취득 대상 품목 ···················································· 35 표 2-15. 한국과 러시아의 무역수지 비교(2007) ································ 36 표 2-16. 한국과 러시아의 전체 교역동향 ··········································· 37 표 2-17. 한국과 러시아의 농산물 수출 동향 ····································· 38 표 2-18. 한국과 러시아의 농산물 수입 동향 ····································· 38 표 2-19. 러시아의 과일 수입규모와 주요 수입국가 ·························· 40 표 2-20. 러시아의 수입규모와 수입국가 ············································· 41 표 2-21. 한국의 농식품 부류별 수출실적 ··········································· 42 표 2-22. 한국의 농식품 수출 국가별 수출 동향 ······························· 43 표 2-23. 대러시아 한국 농식품 부류별 수출실적 ····························· 44 표 2-24. 러시아 시장 현황 및 전망(요약) ·········································· 47.

(18) xvi 표 2-25. 러시아 수출입 관련제도 특징(요약) ···································· 48 표 2-26. 한국 농산물 대러시아 수출 특징(요약) ······························· 50. 제3장 표 3-1. 한국산 농산물에 대한 선호도와 구입계층 ···························· 59 표 3-2. 극동러시아 소비자들이 가장 좋아하는 과일 ························ 60 표 3-3. 극동러시아 소비자의 한국 과일 구입경험 품목 ·················· 61 표 3-4. 러시아 소비자의 한국 화훼 구입경험 품목 ·························· 61 표 3-5. 한국산 농산물 중 수입경험 품목 ··········································· 62 표 3-6. 한국산 농산물 중 수입관심 품목 ··········································· 62 표 3-7. 한국산 농산물 중 틈새시장 진출가능 품목 ·························· 63 표 3-8. 극동러시아 소비자의 과일류 구입시 요인별 중요도 ··········· 65 표 3-9. 극동러시아 소비자의 채소류 구입시 고려요인별 중요도 ······ 66 표 3-10. 극동러시아 소비자의 화훼류 구입시 고려요인별 중요도 ······ 67 표 3-11. 극동러시아 소비자의 화훼류 구입 이유 ······························· 68 표 3-12. 극동러시아 소비자의 농산물 품목별 선호 품질 속성 ········· 70 표 3-13. 한국산 농산물 수입 경쟁국가 및 이유 ································· 72 표 3-14. 한국산 농산물 수입의 경쟁력 우위 및 열위 요인 ·············· 73 표 3-15. 극동러시아 판매과실 국가별 당도 비교 ······························· 75 표 3-16. 극동러시아 수입 과실류 국가별 가격비교 ···························· 77 표 3-17. 극동러시아 수입 과채류 국가별 가격비교 ···························· 79 표 3-18. 극동러시아 수입 화훼류 국가별 가격비교 ···························· 81 표 3-19. 극동러시아 수입 김치 국가별 가격 비교 ····························· 82 표 3-20. 수입물량의 안정적 확보 어려움과 개선사항 ························ 83 표 3-21. 농산물 수입가격 조정 어려움과 개선사항 ···························· 84 표 3-22. 수입농산물 품질관리 어려움과 개선사항 ····························· 85 표 3-23. 수입농산물 검역 및 통관 어려움과 개선사항 ······················ 86 표 3-24. 수입농산물 신선도유지 및 물류시설 애로와 개선사항 ······· 87.

(19) xvii 표 3-25. 수입농산물 포장규격 및 포장자재 애로와 개선사항 ··········· 88 표 3-26. 농산물 수출입 거래 유형과 거래체계 ··································· 99 표 3-27. 농산물 수출거래 체계 유형별 장․단점 ····························· 102. 제4장 표 4-1. 극동러시아 수출 주요 애로사항 ··········································· 106 표 4-2. 극동러시아 시장 농산물 수출 절차별 개선사항 ················ 108 표 4-3. 극동러시아 시장 농산물 수출증대를 위한 건의사항 ········· 110 표 4-4. 수출확대 건의사항에 대한 해결방안 ··································· 112 표 4-5. 러시아 시장 수출품목별 성장 전망 ····································· 113 표 4-6. 극동러시아 시장 수출 수익성 분석(메론, 선박수송) ························································································ 115 표 4-7. 극동러시아 시장 수출 수익성 분석(배, 선박수송) ··············· 115 표 4-8. 극동러시아 시장 수출 수익성 분석(딸기, 항공수송) ························································································ 116 표 4-9. 극동러시아 시장 수출 수익성 분석(장미) ··························· 119 표 4-10. 극동러시아 시장 수출 수익성 분석(국화) ··························· 120 표 4-11. 극동러시아 시장 수출 수익성 분석(백합) ··························· 121 표 4-12. 극동러시아 시장 화훼류수출 수익성 분석(품목별 비교) ·· 122 표 4-13. 극동러시아 시장 김치 수출업체 개요 ································· 124 표 4-14. 극동러시아 시장 김치 판매가격 비교 ································· 126 표 4-15. 과일류 수출 C업체의 러시아 수출현황 ······························ 131 표 4-16. 감귤수출 J업체의 수출현황 ·················································· 138 표 4-17. 감귤 수입 경쟁국과의 경쟁력 비교 ····································· 138 표 4-18. 극동러시아 현지 감귤 판촉행사 홍보내용(TV) ·················· 139 표 4-19. 러시아 현지 감귤 판촉행사 홍보내용(Radio, VBC) ·········· 139 표 4-20. 2007 러시아 현지 판촉행사(신문) ······································· 139 표 4-21. 극동러시아 감귤 판촉행사 내용 ··········································· 140.

(20) xviii 표 4-22. 농식품 수출 선도조직 육성 계획 ········································· 144 표 4-23. 수출사례의 유형별 성공 및 실패 요인 ······························· 147. 제5장 표 5-1. 극동러시아 시장수출 확대방안 ············································· 162.

(21) xix. 그림 차례. 제2장 그림 2-1. 러시아 내 극동러시아 지역 구분 ······································· 25 그림 2-2. 러시아내 수입 농산물 유통경로(페테르부르크항 경유) ·· 28 그림 2-3. 러시아의 관세제도 ······························································· 30 그림 2-4. 러시아의 비관세제도 ···························································· 31 그림 2-5. 러시아 수입통관 절차도 ······················································ 33 그림 2-6. 러시아 시장 진출여건의 SWOT 분석 ······························· 46. 제3장 그림 3-1. 극동러시아 소비자의 과일류 구입시 고려요인 ················ 65 그림 3-2. 극동러시아 소비자의 채소류 구입시 고려요인 ················ 66 그림 3-3. 극동러시아 소비자의 화훼류 구입시 고려요인 ················ 67 그림 3-4. 극동러시아에서 판매되는 한국농산물 및 가격 ················ 78 그림 3-5. 한국산 수입 청과물의 상품성 손상사례. ························ 87. 그림 3-6. 대극동러시아 수출 농산물 상품성 손상 및 포장 개선 사례 ·························································································· 89 그림 3-7. 극동러시아 화훼수입 도매업체의 물류센터 ······················ 91 그림 3-8. 블라디보스톡 항구 하역장 ·················································· 91 그림 3-9. 극동 러시아 수입청과물 유통경로 (블라디보스톡항 경유) ···················································· 92 그림 3-10. 러시아 수입화훼류 유통경로(모스크바 공항 경유) ·········· 93. 제4장 그림 4-1. 극동러시아 시장 김치 수출 절차 ····································· 125.

(22) xx 그림 4-2. 러시아내 수입과일 유통경로 ············································· 138 그림 4-3. 극동러시아 대형 판매점 한국 과일류 판촉행사 전경 ····· 140 그림 4-4. 농식품 불공정 행위 신고 및 처리절차 ···························· 144.

(23) 서. 론. 1. 연구 필요성과 목적. 1.1. 연구배경 시장개방화가 확대됨에 따라 농산물 국제교역 물량도 계속 증가하고 있 으며, 수출 시장에서 자국 농산물 시장 비중을 확대시키기 위한 국가 간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 국내 농산업 여건도 시장개방 확대와 국제교역 여건 변화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급격한 변화의 시대에 국가 내부적으로 수입 농산물과 경쟁하여 국내 농산물에 대한 수요를 유지하고 해외 시장에서 경 쟁력을 갖출 수 있어야 국내 농산업의 안정적인 유지 및 생존이 가능할 것 이다. 국내 농산물 수급이 국제경쟁력 수준에 의해 영향을 크게 받는 환경 하 에서는 수출의 기능 및 역할도 달라져야 한다. 기존에는 농산물 수출이 국 내 수급물량 조절 차원에서 수동적으로 추진된 경향이 강했지만 앞으로는 국내 농산업의 체질을 개선하여 경쟁력을 강화시키고 농산업을 성장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 활용되어야 한다. 국내 농산물의 품질 및 가격이 국제적 으로도 경쟁이 가능할 수 있도록 생산과 유통 환경을 개선시킴으로써 경쟁. 1장. 제.

참조

관련 문서

최근 들어 전자상거래 경매시장 등 다양한 농산물 유통채널이 발전하고 있으나 도시지역 농산물 , 소비의 70~80% 는 여전히 농산물 도매시장 유통채널을 통해

한-태국 농산물 교역 동향과 관련 정책 변화. Sitanon Jesdapipat

◦영연방 국가뿐만 아니라 전체 FTA 체결국에 대한 농축산물 수급 및 가격 등의 시장정보 수집 강화, 국내 농업부문 경쟁력 강화 및 차별화 지원 사업, 농축산물 수출

지역에서 생산된 농산물과 국산 농산물을 학교급식에 이용하자는 움직임이 적극적으로 일어나고 있다. 지역 농산물의 이용 장려는 학교에서 실시하는 식생활 교육에도

산업 집중화를 목표로 농산물 우수 생산지와 산업지대에서 농산물 자원조건에 따라 농 산물 가공산업의 단계 전환을 실시하고, 농산물 가공업이 우수 생산지에 집중되도록

 중앙당과 국무원은 농산물 브랜드 발전을 특별히 중시하여 브랜드 설립 확대와 현대화 발전을 촉진하는 중요한 전략적 조치를 수립하였음...  2014년 농산물

다만 본 연구 에서는 생산자조직의 역할 제고를 통한 농산물 유통정책의 개선 방안 제시를 위해 생산자조직 실태 분석(설문조사), 농산물 산지유통 및 수급정책 변화와

미산 옥수수에 대한 수요는 여전히 부진한 수출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중국 의 수입 수요에 대한 기대와 더불어 최근 가격 하락 조정 이후 미산 옥수수 가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