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사회보건분야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및 적응 역량 강화(3차년도)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사회보건분야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및 적응 역량 강화(3차년도)"

Copied!
35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협동연구 2012-01

신호성 외

ea Ins

titut

e f

or Health and Social Aff

air

(2)

강화 (3차년도) 발 행 일 저 자 발 행 인 발 행 처 주 소 전 화 홈 페 이 지 등 록 인 쇄 처 가 격 2012년 신 호 성 외 최 병 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흥로 235(우: 122-705) 대표전화: 02) 380-8000 http://www.kihasa.re.kr 1994년 7월 1일 (제8-142호) 대명기획 9,000원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ISBN 978-89-8187-975-4 94330

(3)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은 기후변화에 따른 직접적인 영향(열파, 홍수, 가뭄 등)뿐만 아니라 기후변화로 인해 발생된 수질, 대기, 전염병 매개 체 등의 질적 양적 변화에 의한 간접적인 영향도 포함하게 된다. 특히, 간접적 건강영향에는 생태계 교란으로 인한 건강영향이 발생하는데, 기 온상승 등 기후변화가 매개곤충과 전염성 기생충의 범위와 활동에 영향 을 미치거나, 수인성 혹은 음식물을 매개로한 전염성 질환 발생에 영향 을 미치거나, 농작물 생산량에 변화를 미치기 때문에 발생한다. 이는 결 국 매개곤충으로 인한 전염성질환의 지형적 범위와 발병률의 변화, 설사 와 다른 수인성 전염병의 변화, 영양결핍, 기아, 어린이 성장 불균형 등 의 건강영향으로 귀결된다. 따라서 기후변화로 인한 건강영향 취약정도를 제대로 파악하여 기후 변화 건강영향 적응대책을 사전에 수립하고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환경정책평가연구원, 인하대학교 의과대학과 3년간(2010 년~2012년) 공동으로 진행하는 협동과제로, 3년간 달성하고자 하는 목 적은 ① 건강영향별 기후변화 취약성 지표 개발, ② 기후변화와 질환발 생과의 상관관계 분석 및 건강영향평가 ③ 기후변화 취약성 분석, ④ 건 강영향별 기후변화 적응대책 개발이다. 1~2차년도에 이어 3차년도 연구에서는 ① 1,2차년도 거쳐 개발된 기 후변화 취약성 평가모형을 수정․보완하여 기후변화 취약성 정도를 재측

(4)

의 기후변화 적응대책을 평가 등을 통하여 ④ 궁극적으로 정부, 시도, 지자체 단위에서의 건강위험요인별 기후변화 적응대책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는 신호성 객원연구위원의 주관 하에 원내의 이수형 전문연구 원, 서성우 연구원, 협동기관인 환경정책평가연구원의 배현주 부연구위 원, 임유라 연구원, 박해용 연구원, 인하대학교 의과대학의 임종한 교수, 김환철 교수, 그리고 우이지영 연구원 등의 참여로 수행되었다. 연구진 은 본 연구에 대해 귀중한 조언을 제공해 주신 환경정책평가연구원의 신용승 연구위원과, 국립환경과학원의 송창근 연구위원, 질병관리본부의 최혜련 과장에게 깊은 감사를 표한다. 아울러 본 보고서를 검독하여 주 신 원내의 최정수 연구위원과 윤강재 부연구위원에게도 감사의 뜻을 전 한다. 본 연구진은 본 연구에서 개발한 기후변화 건강영향 취약성 평가 모 형 및 기후변화 적응대책이 향후 정부, 시도, 지자체의 사회보건분야 기 후변화 적응대책 수립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2012년 12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장

최 병 호

(5)

1. 협동연구총서 시리즈 협동연구총서 일련번호 연구보고서명 연구기관 12-16-01 사회보건분야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및 적응 역량 강화 (3차년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 참여연구진 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참여 연구진 주관 연구 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신호성 객원연구위원(총괄책임자) 이수형 전문연구원 서성우 연구원 협력 연구 기관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배현주 부연구위원 임유라 연구원 박해용 연구원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임종한 의학전문대학원 교수 김환철 조교수 이지영 연구원 정달영 연구원 박명숙 연구원 김정애 연구원 전성환 전공의 허용석 전공의

(6)
(7)

nte

nts

Abstract ··· 1

요 약

··· 3

제1장 서론 ··· 1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1 제2절 연구내용 및 방법 ··· 13

제2장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한 기후변화 취약성 심층분석 ··· 19

제1절 실태 조사 개요 ··· 19 제2절 가구 실태조사 설문결과 분석 ··· 27

제3장 기후변화 취약성 지표의 신뢰도와 타당도 분석 ··· 75

제1절 신뢰도와 타당도 개요 ··· 75 제2절 기후변화 건강 취약성 지표의 신뢰도/타당도 분석 ··· 77 제3절 주민조사결과 ··· 87 제4절 전문가(실무자) 조사결과 ··· 91 제5절 소결 ··· 93

제4장 기후변화 건강취약성 지표 ··· 99

제1절 특정질환의 시공간분석 ··· 99 제2절 기후변화 건강취약성 지표 산출과정 ··· 109 제3절 2010년 기준 기후변화 건강 취약성 지표 ··· 122

(8)

제2절 국내외 적응정책 평가 사례 ··· 142 제3절 건강분야 기후변화 적응대책 사례 ··· 164 제4절 국내 지자체별 기후변화 건강 적응대책 사례 및 평가 ··· 182

제6장 결론 및 정책제안 ··· 255

제1절 기후변화 건강 취약성 지표 ··· 255 제2절 기후변화 적응 인벤토리(Inventory) 구축 ··· 256 제3절 기후변화 적응대책 제안 ··· 260 제4절 결론 ··· 264

참고문헌

··· 267

부록

··· 273

(9)

<표 2-1> 조사지역 선정을 위한 주요 취약지역의 통합지표값 및 건강영향별 복합지표값 ···20 <표 2-2> 가구실태조사 설계 ···22 <표 2-3> 가구실태조사 내용 ···23 <표 2-4> 기후변화에 따른 적응역량 실태조사를 위한 설명변수 ···25 <표 2-5> 설문 응답자의 특성 ···26 <표 2-6> 설문 항목간 단순 통계량 ···27 <표 2-7> 설문 항목간 상관성 분석 ···28 <표 2-8> 기온노출(통합)에 대한 다변수 분석 결과 ···32 <표 2-9> 기온 상승 체감에 대한 다변수 분석 결과 ···33 <표 2-10> 한 계절에서 기상변동폭이 커지고 있는지 여부에 대한 다변수 분석 결과 ···34 <표 2-11> 뚜렷한 사계절의 변화 여부에 대한 다변수 분석 결과 ···35 <표 2-12> 기상이변 발생 여부에 대한 다변수 분석 결과 ···35 <표 2-13> 기후변화 인식(통합)여부에 대한 다변수 분석 결과 ···46 <표 2-14> 기후변화 인식여부에 대한 다변수 분석 결과 ···47 <표 2-15> 기후변화 개인차원의 적응방법 인식여부에 대한 다변수 분석 결과 ···48 <표 2-16> 기후변화 정부차원의 적응대책 인식여부에 대한 다변수 분석 결과 ···49 <표 2-17> 폭염 및 도시열섬(통합)에 대한 다변수 분석 결과 ···53 <표 2-18> 냉방시설 유무에 대한 다변수 분석 결과 ···53 <표 2-19> 무더위 쉼터 파악 실행 여부에 대한 다변수 분석 결과 ···54 <표 2-20> 폭염 발생 확인 실행 여부에 대한 다변수 분석 결과 ···55

(10)

<표 2-23> 폭염관련 행동요령에 대한 다변수 분석 결과 ···57 <표 2-24> 대기오염(통합) 실행에 관한 다변수 분석 결과 ···58 <표 2-25> 황사, 오존 발생 확인 실행 여부에 대한 다변수 분석 결과 59 <표 2-26> 오존주의보/경보 발령시 외출자제에 대한 다변수 분석 결과 59 <표 2-27> 황사 발생시 마스크착용 및 외출자제에 대한 다변수 분석 결과 ···60 <표 2-28> 가정내 노약자의 실외 활동을 자제에 대한 다변수 분석 결과 ···62 <표 2-29> 대기오염-정보전달에 대한 다변수 분석 결과 ···63 <표 2-30> 대기오염도를 수시로 확인에 대한 다변수 분석 결과 ···63 <표 2-31> 전염병 관리(통합)에 대한 다변수 분석 결과 ···64 <표 2-32> 모기장 및 모기약으로 대비에 대한 다변수 분석 결과 ···65 <표 2-33> 외출 후 손씻기 여부에 대한 다변수 분석 결과 ···66 <표 2-34> 식품의 보관 및 유통기한에 대한 다변수 분석 결과 ···66 <표 2-35> 조리기구 및 행주 청결에 대한 다변수 분석 결과 ···67 <표 2-36> 여름철 음식물쓰레기 위생관리에 대한 다변수 분석 결과 ··68 <표 2-37> 집주변 매개곤충(모기 등) 서식지 파악에 대한 다변수 분석 결과 ···69 <표 2-38> 끓인 물이나 상품화된 물 이용에 대한 다변수 분석 결과 ··69 <표 2-39> 홍수 관리(통합)에 대한 다변수 분석 결과 ···70 <표 2-40> 태풍 및 장마 대비 주택 안전유지에 대한 다변수 분석 결과71 <표 2-41> 민간의료보험 및 기관 보험 상품에 가입에 대한 다변수 분석 결과 ···71 <표 3-1> 타당도의 종류 ···76

(11)

참여시군구 및 건강 취약성 정도 ···80 <표 3-2> 기초지자체 기후변화 적응대책 수립을 위한 시범사업에 참여시군구 및 건강 취약성 정도 (계속) ···81 <표 3-3> 기후변화 취약성 체감지표 산출 변수 ···82 <표 3-4> 지역별 건강영향별 기후변화 취약성 지표 값 분포 ···86 <표 3-5> 건강영역별 지역 지표 값의 분포 ···87 <표 3-6> 설문조사 기후변화 취약성 결과 ···88 <표 3-7> 기후변화 취약성 지표와 설문조사결과 비교 ···89 <표 3-8> 지역별 기후변화 취약순위(전문가 의견) ···91 <표 4-1> 쯔쯔가무시의 연도별 공간적 상관성(Moran's I 검정) ···107 <표 4-2> 2010년 인구주택 총조사 변수 구성 ···110 <표 4-3> 기존 자료를 업데이트한 변수 ···111 <표 4-4> 매개체 감염병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지표 개선 사항 ···113 <표 4-5> 수인성식품매개질환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지표 개선 사항 ·114 <표 4-6> 홍수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지표 개선 사항 ···116 <표 4-7> 폭염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지표 개선 사항 ···118 <표 4-8> 대기오염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지표 개선 사항 ···120 <표 4-9> 매개체 감염병 취약성 하위 20개 지역 ···124 <표 4-10> 매개체 감염병 하위 20개 지역의 취약성 하부요소 분포 ·125 <표 4-11> 식품매개질환 취약성 하위 20개 지역 ···127 <표 4-12> 식품매개질환 하위 20개 지역의 취약성 하부요소 분포 ··128 <표 4-13> 재난(홍수) 취약성 하위 20개 지역 ···130 <표 4-14> 재난(홍수) 취약성 하위 20개 지역의 취약성 하부요소 분포 ···131 <표 4-15> 폭염 취약성 하위 20개 지역 ···134

(12)

<표 4-18> 대기오염 하위 20개 지역의 취약성 하부요소 분포 ···138

<표 5-1> UNDP에서 제시한 지표 ···148

<표 5-2> UKCIP Adaptation Wizard의 적응정책 수립 평가기준 153 <표 5-3> 일본의 현명한 적응을 위한 정책평가 지표 ···156 <표 5-4> 준비성 영역 평가지표 ···158 <표 5-5> 효과성 영역 평가지표(예, 열성질환 및 심뇌혈관질환 부분)159 <표 5-6> 형평성 영역 평가지표 ···160 <표 5-7> 계획단계 평가 항목 및 지표 체계 ···161 <표 5-8> 집행단계 평가 항목 및 지표 체계 ···161 <표 5-9> 본 연구에서 사용한 국내 기후변화 적응대책 평가 지표 ··163 <표 5-10> 국가수준 폭염 적응대책 국외 사례 ···164 <표 5-11> 국가수준 홍수 적응대책 국외 사례 ···166 <표 5-12> 국가수준 매개체감염병 적응대책 국외 사례 ···168 <표 5-13> 국가수준 수인성식품매개질환 적응대책 국외 사례 ···169 <표 5-14> 국가수준 대기오염 적응대책 국외 사례 ···170 <표 5-15>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과제 ···172 <표 5-16> 폭염 적응대책 국외 지자체 사례 ···174 <표 5-17> 홍수 적응대책 국외 지자체 사례 ···178 <표 5-18> 매개체감염병 적응대책 국외 지자체 사례 ···179 <표 5-19> 수인성식품매개질환 적응대책 국외 지자체 사례 ···180 <표 5-20> 대기오염 적응대책 국외 지자체 사례 ···181 <표 5-21> 경기도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과제 ···186 <표 5-22> 강원도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과제 ···191 <표 5-23> 대구지역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과제 ···195

(13)

<표 5-25> 경남지역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과제 ···203 <표 5-26> 경북지역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과제 ···207 <표 5-27> 광주지역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과제 ···211 <표 5-28> 부산지역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과제 ···216 <표 5-29> 대전지역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과제 ···219 <표 5-30> 서울지역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과제 ···223 <표 5-31> 전남지역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과제 ···228 <표 5-32> 제주지역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과제 ···233 <표 5-33> 전북지역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과제 ···237 <표 5-34> 충남지역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과제 ···241 <표 5-35> 충북지역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과제 ···246 <표 5-36> 국가 및 지자체 기후변화적응대책 비교 ···250 <표 6-1>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2011~2015) ···257 <표 6-2> 지자체수준 기후변화 적응대책 인벤토리 ···259

그림 목차

<그림 2-1> 가구실태조사를 위한 지역 선정 과정 ···21 <그림 2-2> 설문 항목간 상관성 그래프 ···29 <그림 2-3> 기후/기상 변화에 대한 인식 ···30 <그림 2-4> 환경변화에 대한 빈도 및 피해강도 인식 ···31 <그림 2-5> 의료보건시설 이용 편리성 정도 ···36 <그림 2-6> 의료보건시설 유형 ···37

(14)

<그림 2-9> 녹지휴식공간 유형 ···39 <그림 2-10> 녹지휴식공간의 녹지상태 및 녹지면적 만족도 ···39 <그림 2-11> 도로로 인한 피해 정도 ···39 <그림 2-12> 도로까지 거리 ···40 <그림 2-13> 인접 도로 차선 ···40 <그림 2-14> 인접도로 통행량> ···40 <그림 2-15> 지리지형(하천(또는 해안), 산경사지, 절개지)에 의한 피해 정도 ···41 <그림 2-16> 기타 환경영향으로 인한 피해 정도 ···41 <그림 2-17> 거주지역 주변 환경 문제 시설 유형 ···42 <그림 2-18>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 및 개인차원, 정부차원 적응대책 인식 ···43 <그림 2-19>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 및 개인차원, 정부차원 적응대책 인식 경로 ···44 <그림 2-20> 기후변화 적응대책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 ···45 <그림 2-21> 폭염 관련 개인차원 기후변화 적응방법 실행 정도 ···50 <그림 2-22> 대기오염 관련 개인차원 기후변화 적응방법 실행 정도 ··51 <그림 2-23> 전염병 관련 개인차원 기후변화 적응방법 실행 정도 ····51 <그림 2-24> 홍수 관련 개인차원 기후변화 적응방법 실행 정도 ···52 <그림 3-1>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이론적 근거와 평가모형 ···94 <그림 4-1> contiguity neighbour법에 의한 지역상관도 (시군구 행정단위) ···102 <그림 4-2> 이웃한 지점(A)과 거리(B)에 따른 Moran's I 값 ···108 <그림 4-3> 쯔쯔가무시 발생의 시공간 분석결과 (상대위험비) ···108

(15)

<그림 4-5> 매개체 감염병 취약성 분포(2009) ···124 <그림 4-6> 식품매개질환 취약성 분포(2010) ···126 <그림 4-7> 식품매개질환 취약성 분포(2009) ···127 <그림 4-8> 재난(홍수) 취약성 분포(2010) ···129 <그림 4-9> 재난 취약성 분포(홍수, 2009) ···130 <그림 4-10> 폭염취약성 분포(2010) ···133 <그림 4-11> 폭염취약성 분포(2009) ···133 <그림 4-12> 대기오염 취약성 분포(2010) ···136 <그림 4-13> 대기오염 취약성 분포(2009) ···137 <그림 5-1> 적응정책 추진 단계에 따른 평가 체계 ···144 <그림 5-2> 기후변화 위험에 대한 의사결정 지원 틀 (http://www.ukcip.org.uk) ···151 <그림 5-3> 기후변화 적응정책의 전 과정에 대한 정책평가 사항 ···152 <그림 5-4> 핀란드의 기후변화 적응정책 전략 수립의 개념적 프레임 155

(16)
(17)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in Health

In the first year's work, we developed the framework of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assessment tool. The purpose of the second year's study was to compute the composite index of climate change of health impacts by the sigungu (district or county) area. We analyzed the health impacts into five categories; vector-borne diseases, food and water-borne diseases, disaster, heat stress, and air pollution/allergy. In last year of the project, we assesse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index which we developed in the second year. We also proposed valuable policy suggestions as well as the assessment of province climate change reports

The vulnerability assessment framework of climate change focused on health impacts consists of six layers, The first layer was climate factors such as the future change of temperature, precipitation, and humidity and their variabilities. The second layer was the magnitude and distribution of climate change related to diseases. The third one was environmental factors, which are

(18)

composed of natural environment and man-made environment. The fourth layer composed of vulnerable population distribution of climate change. The fifth layer assessed social conditions, which are associated with social resources and upstream determinants of health. The final layer of vulnerability model was the health system. In particular, public health initiatives are crucial to the success of adaptation policy and community mobilizing.

We throughly reviewed related documents and followed the compositor's construction process suggested. We explored different methodologies for weighting and aggregating indicators into a composite and tested the robustness of the composite. For the test, we did population based interview surveys of 3 district areas and 2 counties, and the in-depth interviews of 25 experts. From the outcome of surveys, we found that index developed in the second year had a considerable validity and reliability. Nonetheless, we revised the index and updated data for better predictability of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in health issues.

The assessment of district/county level of the vulnerability for climate change would be a useful tool for measuring the effectiveness of adaptation efforts and evaluating the exposure sensitivity of climate risks. The composite index we developed and we named for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index in health, provided the useful and reliable information regarding the factors for susceptible parts, the comparison of relative vulnerability, which helped people to understand the risks and induced people actions to overcome he risks.

(19)

Ⅰ.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정부는「저탄소 녹색성장기본법」시행(`10.4)에 따라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11~`15)”을 수립 추진하였으며 5년단위로 적응대책을 수 립(건강, 재난/재해, 물관리, 해양 등 10개 부야 7개 과제로 구성)하 고 있음. 또한 관계부처 및 지차체는 소관사항에 대해 세부시행계획 을 수립·시행해야 함. ⧠ 그러나 기후변화 적응대책은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정책 추진 기반이 부족한 상태이고 효과적인 정책 추진을 위한 근거자료 또한 미미한 상 태임. 따라서 현 시점에서 보건의료분야의 기후변화 영향과 취약성을 평가하기 위한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모형을 개발, 이를 바탕으로 사회 보건분야 기후변화 적응대책 수립을 위한 근거 틀을 마련할 필요 있음. ⧠ 본 연구는 환경정책평가연구원,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과 3년간 (2010~2012년) 공동으로 수행하는 과제로, 3차년도 연구에서는 ㉠ 1, 2차년도에 거쳐 개발된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모형을 수정·보완하여 기 후변화 취약성 평가 모형을 검증하고 이를 바탕으로 최종 기후변화 취약성 지표를 산출하였음. ㉡ 또한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한 기후변화 취약성을 심층분석하고 우리나라의 기후변화 건강 적응대책을 평가하 여 ㉢ 궁극적으로 기후변화 건강 적응대책을 모색하고자 하였음.

(20)

Ⅱ. 연구방법

⧠ 기후변화 건강 적응대책 수립을 위한 실질적인 근거자료를 제공하고 자 기후변화 취약지역 5곳을 선정하여 해당 지역 주민들의 기후변화 인식 및 기후변화 영향 심층분석 ○ 조사지역은 2012년 기초지자체 기후변화 적응세부계획 시범사업 지역 중 2차년도 취약성 평가 결과가 낮은 지역을 선정하여 지역 별로 250명씩, 총 1,251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면접조사를 실시하 였음. ⧠ 자체 개발한 기후변화 건강영향 취약성 지표의 신뢰도 및 타당성 분석 ○ 지자체의 기후변화 취약성 지표가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생태학적 타당도 측면에서 취약성 지표의 신뢰도 및 타당성을 분석하였음. ○ 타당성 분석은 선행연구, 전문가 자문, 통계기법 등 검토결과와 지역주민 설문조사결과, 그리고 해당 기후변화 관련 공무원 및 기 후변화 관련 단체 실무자 대상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진행하였음. ⧠ 기후변화 건강영향 취약성 지표 개선 ○ 지표 개선작업은 크게 기존에 사용했던 자료를 보다 최근의 자료 로 업데이트 하는 작업과 신뢰도와 타당도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진 간의 의견 수렴과정을 거쳐 변수를 추가하거나 새로운 변 수로 대체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음. - 자료의 대표성을 확보하기 위해 가능한 전수조사에 근거하여 시군구별 자료를 취합하였음. - 정부기관의 공식적인 행정자료뿐만 아니라 기존 DB에서 제공 하지 않는 특정 변수를 확보하기 위하여 2010년 인구조택총조 사 자료와 건강보험청구(심사)자료를 분석하였음.

(21)

2010년 기준 기후변화 건강 취약성 지표 산출 ○ 선정된 지표에 따라 시군구 행정단위 자료를 단순 가공하는 지표 산출 방법은 지양하고, 복합지표 산정의 구체적인 방법에 따라 건 강 취약성 지표를 산출하였음. ○ 가중치의 신뢰도를 고려하여 민감도를 판단할 수 있도록 가중치 산정시 통계적 방법과 전문가 설문조사법을 동시에 사용하였음. ○ 개별 지표(변수)가 특정지표의 영향에 의해 상쇄되어 버릴 수 있 는 개연성을 줄이기 위해 통합지표 산정과정에서 보상성 (comparability)을 보정하였음. ⧠ 국내 지자체별 기후변화 건강 적응대책 평가 ○ 국내외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기후변화 취약성 적응대책 평가 기준 을 살펴보고 우리나라에 맞는 평가기준을 도출하여, 도출된 평가 기준과 2차년도 취약성 평가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국내 지자 체별 기후변화 건강 적응대책을 평가하였음.

Ⅲ. 주요 연구결과

⧠ 신뢰도 및 타당도 분석결과 기후변화 건강취약성 지표의 타당도는 일 정 수준 이상인 것으로 판단됨. ⧠ 수정·보완된 기후변화 취약성 지표 산출결과는 다음과 같음. ○ 매개체감염병의 경우 같은 광역시도라도 해당 시군구에 있어 약 간의 차이가 있었지만 취약성이 높은 지역은 1, 2차 연구결과 모 두 유사하였음. - 매개체 감염병 취약성 하위 20개 지역은 경남지역 3곳, 부산지 역 4곳, 전남지역 7곳, 전북지역 4곳, 제주지역 1곳, 충남지역

(22)

1곳이었음. ○ 식품매개질환의 기후변화 취약성 지표 또한 2차년도 연구결과와 유사하였음. 다만, 경기도지역의 취약성은 상대적으로 감소한 반 면, 경상남도, 제주도, 전북지역은 취약성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 식품매개질환 취약성 하위 20개 지역은 경기지역 4곳, 경남지 역 2곳, 경북지역 4곳, 부산지역 3곳, 울산지역 1곳, 인천지역 1곳, 전남지역 3곳, 전북지역 1곳, 제주지역 1곳이었음. ○ 홍수로 인한 기후변화 취약성 하위 20개 지역 또한 2차년도 연구 결과와 유사하였음. - 홍수로 인한 기후변화 취약 지역은 전통적으로 홍수에 취약한 경기, 경남, 부산, 인천 지역이었음. ○ 폭염으로 인한 기후변화 취약성은 경남, 경북, 부산, 전남 등 남부지 방에 집중되어 나타남. 3차년도 연구결과는 2차년도 연구결과와 큰 차이를 보이는데, 이는 추가변수와 개선된 변수의 영향으로 보임. ○ 대기오염으로 인한 기후변화 취약성 하위 20개 지역은 경북, 대 구, 부산, 서울, 인천지역이었음. 경북일부 지역을 제외하면 대부 분 대도시 지역임. 대기오염으로 인한 기후변화 취약성 지표 또한 2차년도 연구 결과와 유사하였음. ⧠ 가장 우선적으로 모색해야 할 기후변화 건강 적응대책으로는 ‘기후변 화 적응 인벤토리(Inventory) 구축’임. 이외 아래와 같이 중앙정부와 지자체 차원에서 기후변화 건강 적응대책을 살펴볼 필요 있음(5장과 6장 참고). ○ 중앙정부 차원에서의 기후변화 건강 적응대책 - 적응대책 효과 평가 및 우수정책 보급 - 건강영향별 민감ㆍ취약계층에 대한 기준 설정 및 DB 구축 - 건강영향별 피해 저감을 위한 정보제공

(23)

○ 지자체 차원에서의 기후변화 건강 적응대책 - 기후변화 적응방법에 대한 맞춤형 교육 - 맞춤형 문자서비스 제공

Ⅳ. 결론

⧠ 지금까지 많은 기후변화 취약성 지표가 개발되거나 산출되었으나 아 직까지 기 산출된 지표의 신뢰성과 타당도를 검토한 연구는 없었음. ○ 본 연구는 시차를 두고 기 산출된 지표에 대한 신뢰성과 타당도를 검토함으로써 보다 정교한 기후변화 취약성 지표를 산출하였음. ⧠ 본 연구진은 건강영향별 취약성지표(복합지표)와 함께 6가지 하부지표 를 동시에 산출하여 건강영향별 통합지표의 좋고 나쁨이 어디에서 연 유하는지 살펴볼 수 있도록 기후변화 취약성 지표를 개발․산출하였음. ○ 즉, 각각의 건강영향별로 복합 지표 1개, 하부지표 6개, 총 7개의 지표가 산출되는데 이렇게 구성된 복합지표는 건강영양별로 건강 에 대한 기후변화 취약성 정도를 파악하는데 유용하며 하부지표는 취약성의 중요 원인을 파악하는데 유용함. ○ 따라서 기후변화 취약성에 반응하는 적응대책을 수립시 해당 지자 체에서 어떤 적응대책을 우선적으로 수립하여야 하는지에 대한 근 거를 제공할 수 있음. *주요용어: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모형, 기후변화 건강 취약성 지표, 기후변화 건강적응대책

(24)
(25)

A S A

1장

(26)
(27)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지난 30년 동안 세계는 약 0.6℃ 온도 상승이 있었으며, United Nations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IPCC)는 2099 년에 가장 강력한 억제방법을 동원할 경우 1.8℃, 그러나 지금 추세대로 진행한다면 4.0℃정도 온도 상승과 9-88㎝의 해수면 상승을 예측하고 있다. 또한 이산화탄소의 대기 내 저류시간은 100년 이상이 되므로 우 리세대의 행동 결과 다음 세대의 미래에까지 큰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 된다(홍수종, 서주희, 2011). 전세계적으로 기후변화는 사회적 변동, 인구이동, 경제적 고난, 환경적 퇴화 등의 심각한 문제들을 초래하며, 인간의 건강 또한 온도나 강수 패 턴, 폭풍, 홍수, 가뭄, 해수면 상승 등의 기후 변화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은 기후변화에 따른 직접적인 영향(열파, 홍수, 가뭄 등)뿐만 아니라 기후변화로 인해 발생된 수질, 대기, 전염병 매개 체 등의 질적 양적 변화에 의한 간접적인 영향도 포함하게 된다. 특히, 간접적 건강영향에는 생태계 교란으로 인한 건강영향이 발생하는데, 기 온상승 등 기후변화가 매개곤충과 전염성 기생충의 범위와 활동에 영향 을 미치거나, 수인성 혹은 음식물을 매개로한 전염성 질환 발생에 영향

(28)

을 미치거나, 농작물 생산량에 변화를 미치기 때문에 발생한다. 이는 결 국 매개곤충으로 인한 전염성질환의 지형적 범위와 발병률의 변화, 설사 와 다른 수인성 전염병의 변화, 영양결핍, 기아, 어린이 성장 불균형 등 의 건강영향으로 귀결된다(신호성 외, 2011). 한편, 기후변화에 취약성을 가지는 집단은 사회경제적 취약계층과 일 반적으로 일치하게 되는데 이는 기후변화의 적응과정이 사회구조, 보건 의료체계에 의하여 매개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후영향을 고려할 때 사 회의 어떤 계층이나 시스템이 영향을 받게 되며 적응정책의 실현 시 어 떤 조건이 고려되어야 하는지 면밀한 분석이 요구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정부는「저탄소 녹색성장기본법」시행 (’10.4)에 따 라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11~’15)” 수립 추진하였으며 환경부, 국토 해양부 등 13개 부처 및 70여명의 전문가가 참여하여 5년단위로 적응대 책을 수립(건강, 재난/재해, 물관리, 해양 등 10개 분야 7개 과제로 구 성)하고 있다. 또한 관계부처 및 지자체는 소관사항에 대해 세부시행계 획 수립․시행해야 한다. 그러나 기후변화 적응대책은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정책 추진 기반이 부족한 상태이고 효과적인 정책 추진을 위한 근거자료 또한 미미한 상 태이다. 따라서 현 시점에서 보건의료분야의 기후변화 영향과 취약성을 평가하기 위한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모형을 개발, 이를 바탕으로 사회보 건분야의 기후변화 적응대책 수립을 위한 근거틀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환경정책평가연구원, 인하대학교 의과대학과 3년간(2010 년~2012년) 공동으로 진행하는 협동과제로, 3년간 달성하고자 하는 목 적은 ① 건강영향별 기후변화 취약성 지표 개발, ② 기후변화와 질환발 생과의 상관관계 분석 및 건강영향평가 ③ 기후변화 취약성 분석, ④ 건 강영향별 기후변화 적응대책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에 1차년도 연구에서는 질환별 영역별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틀을

(29)

개발하였고 2차년도 연구에서는 1차년도에 개발한 기후변화 취약성 평 가틀에 근거하여 시군구 단위의 기후변화 취약성 지표를 산출하고, 이를 통하여 기후변화 취약성을 살펴보았다. 3차년도 연구인 본 연구에서는 ① 1,2차년도 거쳐 개발된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모형의 신뢰도 및 타당 도 분석을 통하여 기 개발한 지표를 수정․보완하여, 기후변화 취약성 정도를 재측정하고 ②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한 기후변화 취약성 심층분 석과 ③ 우리나라 중앙정부 및 시도 단위 지방정부의 기후변화 적응대 책을 평가 등을 통하여 ④ 궁극적으로 정부, 시도, 지자체 단위에서의 건강위험요인별 기후변화 적응대책을 모색하고자 한다.

제2절 연구내용 및 방법

기후변화는 모든 보건의료정책의 결과와 영향을 평가하는 주요 기준 중의 하나로 설정되어야 하며 기후변화 적응 연구는 정책설정 및 추진 에서 핵심적인 요소이며 기후변화 적응 전 과정을 뒷받침하는 근거를 제시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① 이미 개발된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모형의 신뢰도 및 타당도 분석을 통하여 기 개발된 지표를 수정․보완하여 이를 바탕 으로 기후변화 취약성 정도를 재측정하고 ②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한 기후변화 취약성 심층분석과 ③ 우리나라 중앙정부 및 시도 단위 지방 정부의 기후변화 적응대책을 평가 등을 통하여 ④ 궁극적으로 정부, 시 도, 지자체 단위에서의 건강위험요인별 기후변화 적응대책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내용 및 방법은 아래와 같다. 첫째,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한 기후변화 취약성 심층분석을 통하여 자체 개발한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모형의 정확성을 살펴보고, 실제 취약

(30)

한 기후변화 지역 주민들의 기후변화 인식 및 기후변화 영향을 심층적 으로 분석하여 현실성 있는 기후변화 적응대책 수립을 위한 실질적인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조사지역은 2012년 기초지자체 기후변 화 적응 세부시행계획 시범사업지역 중 2차년 취약성 평가결과를 고려 하여 선정된 5개 지역이며 각 지역별로 250명(가구) 총 1,251명을 대상 으로 가구면접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둘째, 기후변화 취약성 지표의 신뢰도와 타당도 분석으로, 자체 개발 한 취약성 모형의 지표가 해당 건강영향의 취약정도를 잘 설명하고 있 는지 여부를 파악하였다. 3차년도 연구에서 사용한 타당도 분석은 생태 학적 타당도 검정으로, 앞서 실시한 설문조사, 실무자 대상(보건소, 구청 관련 공무원, 기후변화 관련 연구기관, 및 학계 교수 등) 조사결과, 객관 적인 자료를 모두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셋째, 기후변화 취약성 지표의 신뢰도와 타당도 분석과는 별개로 기후 변화 취약성 모형의 지표 개선작업을 수행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기후변 화 건강영향 취약성 지표를 재산출하였다. 지표의 개선작업은 최근의 자 료를 업데이트 하는 작업과 신뢰도와 타당도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연구 진 간의 의견 수렴과정을 거쳐 변수를 추가하거나 새로운 변수로 대체 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넷째, 우리나라 중앙정부 및 시도 단위 지방정부의 기후변화 적응대책 을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후변화 취약성 적응대책을 도출하고자 하 였다. 국내외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기후변화 취약성 적응대책 평가 기준 을 살펴보고 우리나라에 맞는 평가기준을 도출하여, 도출된 평가기준과 2차년도 취약성 평가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중앙정부 및 시도 단위 지방정부의 기후변화 적응대책을 평가하였다. 마지막으로, 기후변화 취약성 분석결과, 국내 기후변화 적응대책 평가,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한 기후변화 취약성 심층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궁

(31)

극적으로 중앙정부, 시도 단위 지방정부, 지자체 단위의 건강영향별 기 후변화 취약성 적응대책을 도출하였다(5장, 6장에 상세 기술). 본 연구에서 개발된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지표는 1개의 통합지표와 5 개의 건강영향별로 복합지표로 구성되어 있으며, 복합지표는 다시 각 건 가영향별로 6개의 1층 하부지표가 된다. 즉, 각각의 건강영향별로 복합 지표 1개, 하부지표 6개, 총 7개의 지표가 산출되는데 이렇게 구성된 복 합지표는 건강영향별로 건강에 대한 기후변화 취약성 정도를 파악하는데 유용하며 하부지표는 취약성의 중요 원인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된다(신 호성 외, 2011). 본 연구는 지금까지 시도되지 않았던 기후변화 취약성 지표의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을 적용하여 보다 정교한 지표를 산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 특별시장·광역시장·도지사 또는 특별자치도지사가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 시행계획을 수립·시행해 야 하는 현 시점에서 본 연구의 기후변화 건강영향 취약성 지표와 연구 결과는 궁극적으로 지자체별 사회보건분야 기후변화 취약성 적응대책 수 립에 도움일 될 것으로 보인다.

(32)
(33)

A S A

2장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한 기후변화

취약성 심층분석

(34)
(35)

기후변화 취약성 심층분석

제1절 실태조사 개요

본 장에서는 2차년도에 개발한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모형 결과 건강 영향별 기후변화 취약지역을 선정하여 기 개발된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모형의 정확성을 살펴보고 실제 취약한 기후변화 지역의 주민들의 기후 변화 인식 및 기후변화 영향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현실성 있는 기후 변화 적응대책 수립을 위한 실질적인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1. 조사 설계

가구실태조사를 위한 지역은 1) 2012년 기초지자체 기후변화 적응 세 부시행계획 시범사업지역(16개 지자체) 2) 2차년도 취약성 평가결과(통 합지표, 복합지표) 취약지역 3) 지역유형(도시/농촌) 세가지 기준을 통하 여 선정하였다. 일차적으로 2012년 기초지자체 기후변화 적응 세부시행 계획 시범사업 16개 지역의 통합지표 및 복합지표 값을 나열한 후, 통 합지표가 높은(지표값이 높을수록 기후변화 취약성도 높음) 지역 중 중 복이 되지 않은 차원에서 건강영향별 복합지표가 높은 지역(지표값이 높 을수록 기후변화 취약성도 높음)을 선정하였다. 이때 지역의 규모를 고 려하였으며 최종 선정지역은 도시지역인 경기도 안산시(재해(홍수)), 충

(36)

북 청주시(대기오염으로 인한 건강영향), 경북 포항시(수인성식품매개체 질환)와 농촌지역인 충남 예산군(매개체감염병), 전남 장성군(폭염)이었 다. 이렇게 선정된 조사지역은 비교군과 대조군 구분이 가능하여 향후 지표의 타당성 및 신뢰도 분석에도 유용하다. <표 2-1> 조사지역 선정을 위한 주요 취약지역의 통합지표값 및 건강영향별 복합지표값 연 번 기관명 전체 (통합지표 ‡) 영역순위†(복합지표 ‡) 1 2 3 4 5 1 인천시(1) 연수구 195 205 120 208 193 192 2 강원(1) 화천군 87 20 148 153 119 95 3 경기도 (4) 안산상록구 172 100 187 239 148 143 안산단원구 228 232 231 225 60 160 4 수원장안구 142 34 168 200 19 213 수원권선구 121 39 220 108 61 164 수원팔달구 143 112 181 126 138 197 수원영통구 153 131 198 101 72 219 5 고양일산동구 178 71 239 155 162 168 고양일산서구 194 155 205 164 184 216 고양덕양구 189 98 235 113 190 200 6 용인처인구 52 66 118 177 3 58 용인기흥구 115 85 122 224 28 111 용인수지구 101 115 133 222 20 40 7 충북도 (2) 청주상당구 201 204 229 33 213 194 청주흥덕구 212 219 212 45 166 231 8 옥천군 15 31 27 100 55 21 9 충남도 (4) 공주시 16 24 6 15 101 16 10 서천군 67 159 94 66 171 10 11 예산군 109 242 42 51 7 7 12 태안군 20 109 45 43 80 8 13 전북도(1) 고창군 76 177 13 96 161 20 14 전남도 (2) 여수시 161 230 90 68 106 220 15 장성군 141 95 119 85 243 56 16 경북도(1) 포항북구 199 178 241 25 155 202 포항남구 223 164 244 37 173 233 주: †영역순위 1: 매개체감염병, 2: 수인성식품매개질환 3: 기상재해로 인한 건강영향(홍수), 4: 폭염, 5: 대기오염 및 알레르기 ‡2차년도에 개발한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모형 결과값(신호성 외, 2011)

(37)

제 2 장 지역사 회를 기 반으로 한 기 후 변화 취 약성 심 층분석 <그림 2-1> 가구실 태조사 를 위한 지역 선 정 과정

(38)

구분 내용 조사목적 ∘지자체 단위에서 기후변화 적응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을 위한 기후변화 취약집단 및 취약지역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분석 ∘기후변화 노출 및 민감도, 기후변화 인식, 기후변화 적응 방법을 종합적으로 파악하여 관련 대책 수립에 필요한 근거 자료 활용 조사대상 ∘건강영향별 취약지역 대상 - 매개감염병(예산군), 수인성식품매개질환(포항시), 홍수로 인한 건강영향(안산시), 폭염(장성군), 대기오염에 의한 건강영향(청주시) 조사표본수 ∘각 지역별 250부 표본추출방법 ∘지역별, 취약인구비율과 통합결핍지수값, 성별, 연령을 고려한 인구비례할당법에 의한 층화비례추출법 적용 조사방법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한 심층면접조사 표본추출방법으로는 조사지역의 취약인구비율(아동, 노인, 외국인, 기초생활수급자)과 통합결핍지수(CDI: Composite Deprivation Index)를 고려한 인구비례할당법에 의한 층화비례추출법을 이용하였 으며, 5개 지역별로 약 250명(가구)이 조사되도록 하였다. <표 2-2> 가구실태조사 설계 조사는 건강영향별 취약지역과 취약계층에 대한 실질적이고 심층적인 조사를 위하여 전문 조사기관인 ㈜글로벌리서치에 의뢰하였으며 조사기 간은 2012년 7월 19일부터 8월 24일까지 약 1개월이었다. 조사방법은 일대일 가구면접조사 방법으로 가구당 1인(가구주 조사)조사를 실시하였 다. 조사시 연령제한은 두지 않았으며 가구주의 성, 연령 비율을 고려하 여 지나치게 특정 성이나 연령에 치우치지 않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가구실태조사 설계 내용을 요약하면 <표 2-2>와 같다.

2. 조사 내용

설문지 작성을 위하여 기후변화 인식 및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기후

(39)

구분 항목 세부내용 척도 분석 내용 활용 가구 의 사회 경제 적 사항 가구일반 사항 가구원수, 가구형태, 가구원소득, 기초생활수급여부, 의료보호대상 개방 가구일 반 특성 분석 설명변수 활용 (지역, 연령, 교육수준, 소득수준 등) 가구특성 가구주 교육, 직업, 가구 구성원 노약자 개방 주택특성 주택 소유형태, 유형, 규모, 주택지역 유형 개방 노출 기후/기상 변화 인식 기온상승 체감, 기상변동폭, 사계절의 변화, 기상이변 5점 척도 설명변 수별 노출정 도 분석 기후변화에 대한 체감정도를 파악하여 기후변화 적응대책에 환경변화 로 인한 영향 여름철 열대야, 여름철 폭염, 이상고온, 집중호우, 장마, 태풍, 황사, 여름철 오존 5점 척도 <표 2-3> 가구실태조사 내용 변화 적응대책과 관련한 실태조사를 실시한 기존 연구 및 설문지의 문 헌고찰과 본 연구 내용에 적합한 내용을 포함하여 연구진 회의를 통하 여 설문지를 최종 작성하였다. 설문내용은 크게 가구의 사회경제적 사항, 노출, 민감도,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 기후변화 적응역량 5가지 부분으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응 답자의 특성 파악과 취약계층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사회경제적 사 항에 대한 내용을 설문하였으며 기후/기상변화 및 환경변화에 대한 인식 및 체감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노출분야를 설문하였다. 민감도 분야에 서는 질환 및 주변 환경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기후변화에 대한 인 식 분야에서는 기후변화 및 개인차원의 기후변화 적응방법, 정부차원의 기후변화 적응대책의 인식 및 인식 경로에 대하여 조사하였으며 기후변 화 적응대책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파악하였다. 기후변화 적응역량분 야에서는 폭염, 대기오염, 전염병관리, 홍수 관리 등 개인차원에서 이루 어지고 있는 기후변화 적응 방법의 실행정도를 파악하였다. 가구실태조 사 내용의 구체적인 항목 및 세부내용은 다음 <표 2-3>과 같다.

(40)

구분 항목 세부내용 척도 분석 내용 활용 활용 민감 도 질환 일사병 및 열사병, 천식 및 아토피, 수인성 질환, 매개체 감염병, 만성질환 유무, 환자, 발생시기, 증상횟수, 중증도 5점 척도 및 개방 설명변 수별 질환 분석 가구실태조사 개인현황 파악 환경영향 -의료시설 편리성, 만족도, 의료시설 유형, 의사수 -녹지공간 편리성, 녹지상태 및 면적 만족도 -도로 피해정도, 거리, 차선, 통행량 -지리지형 하천에 의한 홍수 피해, 산경사지 및 결사지에 의한 피해 -기타 가축 사육농장 피해 등 5점 척도 및 개방 설명변 수별 민감도 분석 가구실태조사 지역 현황 및 지표타탕성 파악 기후 변화 에 대한 인식 기후변화 에 대한 인식 -기후변화 인식정도 경로 -개인차원 기후변화 적응방법 인식 정도 및 경로 -정부차원 기후변화 적응방법 인식 정도 및 경로 5점 척도 설명변 수별 노출정 도별 기후변 화 인식 조사 지자체 단위에서 기후변화 적응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 마련 근거 자료 기후변화 적응대책 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 기후변화대책에 대한 기여도 및 추진정도 5점 척도 기후 변화 적응 방법 폭염 및 도시열섬 냉방시설 등 폭염 및 도시열섬 관련 적응방법 5점 척도 설명변 수별 노출정 도별, 인식 정도별 기후변 화 적응방 법 분석 대기오염 황사주의보 발령시 외출자제 등 대기오염관련 적응방법 5점 척도 전염병관 리 외출후 손씻기 등 전염병관리 적응 방법 5점 척도 홍수관리 태풍이나 장마 대비 건물개보수 등 홍수 관리 적응방법 5점 척도

(41)

3. 조사 분석 방법

본 연구에서 각 조사항목에 대하여 전체 일반사항 분석, 설명변수별 상관분석, 분산분석, 평균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전체 일반 사항 분석에서는 노출, 민감도,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 기 후변화 적응역량의 각 항목에 대한 전체 응답비율에 대하여 비교분석하 였다. 또한 설명변수별 1)노출, 2)민감도(질환제외), 3)기후변화에 대한 인식, 4)기후변화 적응 방법에 대하여 상관분석, 분산분석, 평균비교 분 석, 로지스틱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분 변수 지역 안산시, 청주시, 포항시, 예산군, 장성군 안산시, 청주시, 포항시(도시), 예산군, 장성군(농촌) 연령 20~30대, 40~50대, 60대 이상 교육수준 중학교 이하, 고졸, 대학교 이상 소득수준 150만원 미만, 150~300만원, 300만원 이상 <표 2-4> 기후변화에 따른 적응역량 실태조사를 위한 설명변수 설문을 통한 구체적인 기후변화 적응방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노출, 기 후변화 인식, 기후변화 방법 간의 상관성을 비교하였다. 구체적으로 1) 노출에 따른 기후변화 적응방법 정도 분석 2) 인식에 따른 기후변화 적 응방법 정도 분석 3) 노출에 따른 인식 정도 분석으로 구분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4. 응답자 특성

전체 설문응답자는 1,251명으로 안산시, 청주시, 예산군, 포항시 각 250명이며 장성군은 251명에 대하여 심층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42)

구분 사례 수 % 구분 사례 수 % 전 체 1,251 100.0 가구 주 교육 수준 무학 88 7.0 소재 지 안산 250 20.0 초등학교 졸업이하 194 15.5 청주 250 20.0 중학교 졸업이하 188 15.0 예산 250 20.0 고등학교 졸업이하 494 39.5 장성 251 20.1 대학교(전문대포함)졸업 이하 277 22.1 포항 250 20.0 대학원이상 4 0.3 현거 주지 거주 기간 20년 미만 325 26.0 모름 6 0.5 20~40년 미만 243 19.4 가구 주 직업 자영업자 323 25.8 40~60년 미만 360 28.8 고용주 7 0.6 60~80년 미만 286 22.9 농어업종사자 397 31.7 80년 이상 37 3.0 정규직근로자(실내근무) 241 19.3 성별 남 666 53.2 정규직근로자(실외근무) 77 6.2 여 585 46.8 비정규직근로자(실내근무) 33 2.6 연령 20~30대 257 20.5 비정규직근로자(실외근무) 35 2.8 40~50대 520 41.6 일시적 실업 상태 8 0.6 60~70대 411 32.9 무직 130 10.4 80대 이상 63 5.0 주택 소유 형태 자가 1,026 82.0 결혼 여부 결혼 1,030 82.3 전세 189 15.1 이혼 10 0.8 월세 34 2.7 사별 138 11.0 무상 2 0.2 미혼 73 5.8 주택 유형 단독주택 789 63.1 가구 형태 일반가구 934 74.7 아파트 245 19.6 조손가구 1 0.1 연립주택/빌라 128 10.2 한부모가구 9 0.7 다세대(다가구) 주택 72 5.8 노인가구 191 15.3 상업용 건물 내 주택 17 1.4 독신가구 31 2.5 주택 지역 해안 66 5.3 독거노인가구 85 6.8 강 8 0.6 <표 2-5> 설문 응답자의 특성 응답자의 특성은 <표 2-5>와 같으며, 연령대 별로는 40~50대가 가장 높은 비율(41.6%)차지하며 20~30대 60~70대, 80대 이상이 각각 20.5%, 32.9%, 5.0%를 차지하였다. 가구형태는 74.7%가 일반가구에 속하였으며 가구 월소득이 150만원 미만인 가구가 전체 조사대상자 중 33.4%로 나타났으며 150~300만원 미만, 300만원 이상은 각각33.4%, 37.9%를 차지하였다. 조사대상 가구의 가구주 교육수준을 살펴보면 고 등학교 졸업이하가 39.5%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43)

가구 월소 득 150만원미만 418 33.4 (동 네) 유형 기후, 환경취약지역 4 0.3 150~300만원미만 358 28.6 상습침수지역 2 0.2 300만원이상 474 37.9 속하지 않음 1,171 93.6 모름/ 무응답 1 0.1

제2절 가구 실태조사 설문조사 결과

1. 주요 설문 항목간 상관성 분석

가구 실태조사는 전술한바와 같이 노출, 민감도, 기후변화 인식, 기후 변화 적응 방법에 대한 4가지 항목으로 구분하였으며 각 항목별로 여러 가지 세부항목에 대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 분석에 앞서 설 문 항목간 단순 통계량을 살펴보면 전체 사례수는 1,251개이며 각 항목 별 구체적인 평균과 표준편차 최소값과 최대값은 <표 2-6>과 같다. 설문지의 항목 가운데 분석에 사용할 항목이 그룹화하여 분석이 가능 한지에 대한 신뢰도를 계산하기 위한 Cronbach alpha 분석 결과 노출 0.75, 민감도 0.77, 인식 0.82, 적응방법 0.92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값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세부항목별 분석과 함께 항목을 그 룹화(통합)한 분석도 실시하였다. 단순 통계량 변수 N 평균 표준 편차 합 최소 값 최대 값 Cronbach’s coefficient alpha 노출 1,251 17.02 1.99 21,287 8 20 0.75 민감도 1,251 31.81 9.25 39,792 7 56 0.77 인식 1,251 19.89 4.21 24,884 8 36 0.82 적응방법 1,251 73.63 12.26 92,105 30 105 0.92 <표 2-6> 설문 항목간 단순 통계량

(44)

노출, 민감도, 인식, 적응방법에 대한 항목들에 대하여 그룹화하여 상 관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노출의 경우 민감도와 인식, 적응방법에 대하 여 모두 상관성 있게 나타났으며 노출과 인식에 대한 상관성이 높게 나 타났다. 민감도의 경우에는 노출(0.23612)로 상관성이 있게 분석되었다. 기후변화 인식에 있어서는 노출과 적응방법에서 상관성이 있게 나타났으 며 특히 기후변화 인식과 적응방법은 0.49로 상관성이 매우 높게 나타 났고 기후변화 인식이 높을수록 적응방법에 대한 실행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 항목별 상관성 분석의 구체적인 결과는 <표 2-7>과 <그림 2-2> 와 같다.   노출 민감도 인식 적응방법 노출 1 0.23612<.0001 0.34077<.0001 <.00010.277 민감도 0.23612<.0001 1 0.17408<.0001 0.17111<.0001 인식 0.34077<.0001 0.17408<.0001 1 0.49535<.0001 적응방법 <.00010.277 0.17111<.0001 0.49535<.0001 1   <표 2-7> 설문 항목간 상관성 분석

(45)
(46)

2. 노출 관련 설문 결과 분석

가. 노출 관련 전체 응답자 결과

10년 전과 비교하여 기후/기상의 변화에 대한 인식도는 <그림 2-3> 과 같다. 전체 설문 응답자를 대상으로 ‘기온상승 체감’, ‘기상변동 폭’, ‘뚜렷한 사계절의 변화’, ‘기상이변 발생’ 항목에 대하여 5점척도로 조사 하였다. 조사 결과 각 설문항목에 대하여 80% 이상이 ‘그렇다’와 ‘매우 그렇다’라고 응답하여 많은 사람들이 10년전과 비교하여 기후/기상변화 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온이 상 승되고 있다’는 항목은 ‘그렇다’와 ‘매우 그렇다’가 95%이상을 차지하 였다. <그림 2-3> 기후/기상 변화에 대한 인식 여름철 열대야, 폭염, 이상고온, 집중호우, 장마, 태풍, 황사, 여름철 오존에 의한 영향 등 세부적인 항목의 환경변화가 10년전과 비교하여 발생빈도 및 피해정도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였다(그림 2-4).

(47)

환경변화에 대한 발생빈도와 피해강도에 대한 결과는 <그림 2-4>와 같다. 환경변화에 대한 발생빈도도 기후/기상 변화 결과와 유사하게 많 은 설문 대상자 들이 ‘높음’과 ‘매우 높음’이라고 응답하였다. 특히 열대 야의 영향에 대해서는 92%가 ‘높음’과 ‘매우 높음’이라고 응답하였으며 피해강도도 ‘높음’과 ‘매우 높음’이 72.2%를 차지하였다. ‘높음’과 ‘매 우 높음’으로 발생빈도에 대한 비율을 살펴보면 열대야(92.0%) > 폭염 (88.1%)> 이상고온(82.4%) >집중호우(72.8%)> 장마(65.6%) > 태풍 (62.7%)> 여름철 오존(61.9%) > 황사(56.4%) 순으로 나타났다. ‘높음’과 ‘매우 높음’으로 피해강도에 대한 비율을 살펴보면 열대야 (72.2%) > 폭염(70.4%)> 이상고온(56.3%) >집중호우(52.5%)> 장마 (46.2%) > 태풍(46.7%)> 여름철 오존(42.2%) > 황사(39.0%)로 발생 빈도와 같은 순으로 나타났다. <그림 2-4> 환경변화에 대한 빈도 및 피해강도 인식

나. 노출 관련 설문 항목에 대한 다변수 분석 결과

기온 노출에 대한 항목들을 통합하여 다변수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표 2-8>과 같으며, 연령별로는 40~50대가 다른 연령보다 통계적으로

(48)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지역은 청주시가 다른지역과 비교하여 높게 나 타났으며 포항시가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학력에서는 중졸이하 학력보 다 고졸, 대학교 이상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소득에 서도 150만원 이하보다 300만원 이상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학력,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기온 노출에 대한 인 식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분 사례수 교차비 95%CI P-value 연령 20-30대 257 1 - -40-50대 520 1.593 1.101-2.305 0.014* 60대이상 474 0.815 0.574-1.157 0.253 지역 안산시 250 0.519 0.329-0.818 0.005* 청주시 250 1.228 0.730-2.065 0.439 예산군 250 0.439 0.280-0.688 0.000* 장성군 250 1 - -포항시 250 0.349 0.225-0.543 <.0001* 학력 중졸이하 470 1 - -고졸 494 1.689 1.247-2.287 0.001* 대학교 이상 287 1.625 1.135-2.326 0.001* 소득 150만원이하 418 1 - -150-300만원 358 1.020 0.739-1.408 0.905 300만원이상 475 1.851 1.328-2.580 0.001* <표 2-8> 기온노출(통합)에 대한 다변수 분석 결과 기온 노출에 대한 세부적인 항목별 로지스틱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표 2-9>와 같으며, 지역에 있어서는 폭염 취약지역인 장성군과 비교하 여 다른 지역의 교차비 값이 낮았으며 청주시를 제외하고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학력의 경우는 고졸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이고 소 득에서는 150~300만원 이상에서 높은 값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 하지는 않았다.

(49)

구분 사례수 교차비 95%CI P-value 연령 20-30대 257 1 - -40-50대 520 0.875 0.410-1.867 0.730 60대이상 474 0.794 0.372-1.695 0.551 지역 안산시 250 0.240 0.067-0.861 0.029* 청주시 250 0.290 0.079-1.068 0.063 예산군 250 0.156 0.045-0.536 0.003* 장성군 250 1 - -포항시 250 0.221 0.062-0.784 0.020* 학력 중졸이하 470 1 - -고졸 494 1.444 0.761-2.738 0.261 대학교 이상 287 0.852 0.442-1.642 0.633 소득 150만원이하 418 1 - -150-300만원 358 1.029 0.511-2.073 0.936 300만원이상 475 0.888 0.469-1.679 0.714 <표 2-9> 기온 상승 체감에 대한 다변수 분석 결과 한 계절에서 기상변동폭이 커지고 있는지 여부에 대한 다변수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표 2-10>과 같으며, 연령대 별로는 40~50대가 높은 경 향을 보였고 60대가 낮은 값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지역의 경우 청주시(유의성 없음)를 제외하고는 장성군과 비교하여 다른 지역이 낮은 값을 보였다. 학력의 경우 중졸이하보다 고졸에서 통계적으 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소득의 경우는 300만원 이상에서 높게 나 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50)

구분 사례수 교차비 95%CI P-value 연령 20-30대 257 1 - -40-50대 520 1.323 0.803-2.179 0.272 60대이상 474 0.813 0.505-1.306 0.391 지역 안산시 250 0.499 0.265-0.941 0.032* 청주시 250 1.478 0.672-3.252 0.331 예산군 250 0.405 0.218-0.750 0.004* 장성군 250 - - -포항시 250 0.347 0.189-0.637 0.001* 학력 중졸이하 470 1 - -고졸 494 1.773 1.173-2.681 0.007* 대학교 이상 287 1.450 0.906-2.320 0.121 소득 150만원이하 418 1 - -150-300만원 358 1.260 0.807-1.968 0.310 300만원이상 475 1.470 0.955-2.262 0.080 <표 2-10> 한 계절에서 기상변동폭이 커지고 있는지 여부에 대한 다변수 분석 결과 뚜렷한 사계절의 변화 여부에 대한 다변수 분석를 실시한 결과는 <표 2-11>과 같으며, 연령대 별로는 다른 항목과 유사하게 40~50대에서 통 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학력에 따른 사계절의 변화 여부에 대한 인식정도에서는 중졸 이하와 비교하여 대학교 이상(1.8배)에서 통 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소득의 경우는 300만원 이상에서 다 른 소득 수준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51)

구분 사례수 교차비 95%CI P-value 연령 20-30대 257 1 - -40-50대 520 1.057 0.647-1.726 0.826 60대이상 474 0.570 0.358-0.907 0.018* 지역 안산시 250 1.130 0.562-2.269 0.732 청주시 250 0.888 0.458-1.723 0.726 예산군 250 0.343 0.193-0.610 0.001* 장성군 250 1 - -포항시 250 0.245 0.140-0.428 <.0001* 학력 중졸이하 470 1 - -고졸 494 2.393 1.595-3.592 <.0001* 대학교 이상 287 1.201 0.797-1.808 0.381 소득 150만원이하 418 1 - -150-300만원 358 1.181 0.784-1.781 0.426 300만원이상 475 1.447 0.969-2.160 0.071 <표 2-12> 기상이변 발생 여부에 대한 다변수 분석 결과 구분 사례수 교차비 95%CI P-value 연령 20-30대 257 1 - -40-50대 520 1.806 1.184-2.756 0.006* 60대이상 474 0.826 0.560-1.218 0.334 지역 안산시 250 0.438 0.265-0.721 0.001* 청주시 250 1.386 0.756-2.543 0.292 예산군 250 0.597 0.355-1.003 0.051 장성군 250 1 - -포항시 250 0.399 0.243-0.655 0.000* 학력 중졸이하 470 1 - -고졸 494 1.442 1.030-2.017 0.033* 대학교 이상 287 1.816 1.189-2.775 0.006* 소득 150만원이하 418 1 - -150-300만원 358 1.129 0.790-1.615 0.505 300만원이상 475 2.170 1.480-3.180 <.0001* <표 2-11> 뚜렷한 사계절의 변화 여부에 대한 다변수 분석 결과 기상이변 발생 여부에 대해서도 연령에서는 40~50대가 가장 높게 나타 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60대 이상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값을 보였다(<표 2-12>). 학력에 있어서 중졸보다 고졸과 대학이상 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소득의 경우 300만원 이상에서 높게 나타났다.

(52)

3. 민감도 관련 설문 결과 분석

가. 민감도 관련 전체 응답자 결과

민감도 분야 중 환경영향에 대한 설문은 크게 의료시설, 녹지공간, 도 로, 지리지형, 기타 부분으로 구분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전체 설문응답자를 대상으로 의료보건시설 이용의 편리성 정도를 조 사한 결과는 <그림 2-5>와 같으며, 90%이상 응답자가 ‘보통’이상으로 응답하였다. ‘그렇다’와 ‘매우 그렇다’라고 응답한 비율도 69.7%를 차지 하였다. <그림 2-5> 의료보건시설 이용 편리성 정도 의료보건시설의 이용 편리성에 대하여 ‘보통이다’ 이상으로 응답한 설 문대상자 1,129명을 대상으로 의료보건시설의 유형, 의료보건시설 의사 수가 충분한지와 의료서비스 만족도에 대하여 조사하였다(그림 2-6, 그 림 2-7). 의료보건시설 유형에 대한 설문 결과 의원이 36.0% 가장 높은 비율 차지하였으며 병원도 유사하게 35.0%로 나타났다. 보건소는

(53)

24.0%였으며 종합병원은 가장 낮은 비율인 5.0%로 나타났다. 의료보건 시설의 의사 수가 충분한지에 대한 설문 결과 2.1%로 ‘매우 그렇다’고 응답하였으며 ’그렇다‘와 ’매우 그렇다‘라고 응답한 비율은 52.3%로 나 타났다. 의료서비스 만족도는 8.0%가 ‘매우 그렇다’라고 응답하였으며 ‘그렇다’와 ‘매우 그렇다’라고 응답한 비율은 65.8%로 나타나 의사수 만족도 보다는 높게 나타났다. <그림 2-6> 의료보건시설 유형 <그림 2-7> 의료보건시설 의사수와 의료서비스 만족도 전체 설문 응답자를 대상으로 녹지휴식공간 이용 편리성 정도에 대하 여 조사한 결과는 <그림 2-8>과 같으며, 이용 편리성에 대하여 ‘그렇 다’와 ‘매우 그렇다’라고 응답한 비율이 41.8%로 의료시설에 편리성 보 다는 낮은 비율로 나타났다.

(54)

<그림 2-8> 전체 설문응답자의 녹지휴식공간 이용 편리성 정도 녹지휴식공간 이용 편리성 정도에 대하여 ‘보통이다’, ‘그렇다’와 ‘매 우 그렇다’라고 응답한 855명을 대상으로 녹지휴식공간 유형과 녹지상 태와 녹지면적의 만족도에 대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그림 2-9, 그림 2-10). 인접한 휴식공간의 47.7%가 근린공원으로 나타났으며 자연휴양 림(38.4%), 기타(산)(7.6%), 국립공원(5.0%), 어린이공원(1.3%)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녹지상태와 녹지면적에 대한 만족도로 ‘그렇다’와 ‘매우 그렇다’라고 응답한 비율은 응답자의 50%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보통’ 이상은 90% 이상으로 나타나 거리의 편리성 정도 보다는 만족도가 높 게 나타났다.

(55)

<그림 2-9> 녹지휴식공간 유형 <그림 2-10> 녹지휴식공간의 녹지상태 및 녹지면적 만족도 환경영향에 있어 인접한 도로에 의한 매연, 소음 등 피해 정도에 대 하여 조사한 결과는 <그림 2-11>과 같으며, 도로에 의한 피해 정도가 ‘그렇다’와 ‘매우 그렇다’가 23.8%를 차지하였으며 ‘보통’ 이상은 48.9%로 나타났다. <그림 2-11> 도로로 인한 피해 정도 도로로 인한 피해 정도에서 ‘보통이다’이상으로 응답한 612명에 대하 여 인접도로에 대한 거리, 차선, 통행량에 대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그

(56)

림 2-12, 그림 2-13, 그림 2-14). 도로의 거리는 38.9%라 ‘100m 이내’ 로 주택과 인접한 거리에 있었으며 도로의 차선은 ‘왕복 2차선’이 45.1%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또한 통행량은 ‘보통이다’가 43.3%로 높았으며 ‘약간많다’, ‘매우 많다’라고 응답한 비율은 40.3%로 나타났다. <그림 2-12> 도로까지 거리 <그림 2-13> 인접 도로 차선 <그림 2-14> 인접도로 통행량> 전체 설문 대상자에 대하여 거주하고 있는 지역의 지리지형에 있어 하천(또는 해안)으로 인한 홍수 피해정도와 산경사지, 절개지로 인한 산 사태 피해 정도에 대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그림 2-15). 하천(해안)이 가까워 홍수 피해가 심한 편인지에 대한 설문결과 90% 이상이 그렇지

(57)

않다고 응답하였다. 산경사지, 절개지가 가까워 산사태 피해가 심한 편 인지에 대한 설문 결과도 90% 이상이 ‘그렇지 않다’고 대답해 설문응답 자의 대부분이 지리지형에 의한 재해에 대해서는 피해가 크지 않다고 생각하였다. <그림 2-15> 지리지형(하천(또는 해안), 산경사지, 절개지)에 의한 피해 정도 가축사육장의 피해정도와 거주지역과 인접하여(300m이내) 환경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시설의 피해정도에 대하여 전체 설문응답자에서 조사를 실시한 결과는 <그림 16>과 같다. 주변사육장 피해정도는 95.1%가 ‘그 렇지 않다’, ‘전혀 그렇지 않다’라고 응답하였다. 주변환경 문제 시설의 경우도 90.9%가 ‘그렇지 않다’, ‘전혀 그렇지 않다’라고 응답하였다. <그림 2-16> 기타 환경영향으로 인한 피해 정도

(58)

거주지역 주변 환경문제 시설의 피해에 대하여 ‘보통이다’, ‘그렇지 않다’, ‘전혀 그렇지 않다’라고 응답한 115명에 대하여 환경문제를 일으 키는 시설 유형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주유소/가스충전소가 60.9%로 가 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다음으로 가축사육장(29.6%)과 공단 (15.7%), 버스/택시회사종점(11.3%), 매립장(0.9%), 폐차장(0.9%) 순으 로 시설유형이 나타났다(그림 2-17). <그림 2-17> 거주지역 주변 환경 문제 시설 유형

4.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 관련 설문 결과 분석

가.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 관련 전체 응답자 결과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에 대해서는 기후변화의 인지 정도, 개인차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기후변화 적응방법 인식, 정부차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기후변화 적응대책 인식 세 가지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그림 2-18). ‘기후변화에 대해 알거나 들어본 적이 있다’고 응답한 사람은 전체 1251명 중 1143명(91.4%)이 ‘들어본 적이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7.1%

참조

관련 문서

기후변화 대응 병아리콩 연구(Feed the Future Innovation Lab for Climate-Resilient Chickpea) 기후변화 대응 기장 연구(Feed the Future Innovation Lab for

이에 따라 본 연구에 서는 유럽의 농업부문 기후변화 적응 정책에 대해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 농업부문의 효과적인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 대응 및 적응 방안은 기후변화 리스크의 영향과 대응방안의 경제성 등을 비교하여 단기적 추진방안과 장기적 추진방안으로 구분하여 마련하는 것 이 효과적일

기후변화 대응을 실천하고 홍보하기 위한 일을 알아보아요 ...

• 학생들이 창의적으로 활동하고 설계하는 영역이 많은 만큼 교수자는 가급적 학 습자들이 자유롭고 창의적으로 사고할 수 있도록 분위기를 조성할 필요가 있다.. •

이 주제 단원의 학습을 통해 학생들 은 경제 성장과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관계에 대해 생각할 수 있고, 통계 자료를 활용하여 개발국과 저 개발국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이산화탄소 발생을 줄이기 위한 우리의 ‘행동 선서문’을 작 성하고 낭독하면서 친구들과 공감하며 책임 있는 행동을 다짐한다2.

올해 광주지방기상청의 ‘기후변화 공감 전 시관’은 산업전의 취지에 맞추어 전 세계적인 기후변화 현황과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 노 력 등을 안내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