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2절 기후변화 건강 취약성 지표의 신뢰도/타당도 분석

지표의 신뢰도 분석을 위하여 (선행연구, 전문가 자문, 통계기법 등) 검토 결과와 개인대상 설문 조사결과, 해당 지자체 기후변화 관련 공무 원 및 기후변화 관련 단체 실무자대상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한 신뢰도 를 분석한다.

<표 2-2>는 기초지자체 기후변화 적응대책 수립을 위한 시범사업에 참여한 16개 시군구를 본 연구에서 산출한 기후변화 건강영향의 취약성 정도를 해당 건강영향 별로 순위를 매긴 것이다. <표 2-2>에서 전체취 약성이란 기후변화 통합지표를 말하는 것으로 5가지 건강영향을 모두 고려한 기후변화 건강 취약성 지표를 말한다. 이중 5개 시군구를 대상으 로 기후변화 취약성 지표에 대한 해당 지역주민 설문조사와 해당 기관 실무자 조시를 수행하였다. 기후변화 취약성 지표5개 조사지역은 안산단

원구, 청주흥덕구, 충남예산군, 전남장성군, 경북포항남구로 가구(개인)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의 목적은 지표의 타당성을 살펴 보는 것과 개인단위에서 기후변화 취약성 대응전략을 살펴보기 위한 것 이다.

설문조사는 객관적 사실에 근거하기 보다는 응답자가 해당 질문에 대 해 느끼거나 경험한 것에 기초하여 응답하는 특성이 있다. 이 조사를 통 하여 연구결관 산출된 지표에서 나온 취약성 결과와 개인단위에서 즉, 개인이 현재 살고 있는 지역의 기후변화 영향을 노출, 민감도, 적응역량 이란 큰 틀에서 실제 어떻게 느끼고 있는지를 파악해서 그 결과를 비교 하기 위함이다. 취약성 지표도 취약하게 나왔고, 실제 지역주민들도 그 렇게 느끼고 있다면 생태학적 타당도 측면에서 근거가 있다고 판단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개인이 느끼는 기후변화 정도는 때론 객관적이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해당 지역의 기후변화 관련 공무원, 민간기관 관련자 등 의 실무자를 대상으로 이와 비슷한 설문을 병행하였다. 최종 기후변화 취약성 지표와 비교할 때는 개인단위 조사결과, 실무자 대상 조사결과, 객관적인 자료를 모두 고려해서 결과를 비교하였다(개인단위 조사 개요 는 2장을, 실무자 대상 조사 개요는 본 장의 제4절을 참조하기 바람).

지역 주민 설문조사에 기반한 기후변화 취약성 지표의 신뢰도와 타당 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설문내용을 건강영향(매개체 감염병, 식품매개질 환, 지상재해(홍수), 폭염, 대기오염)별로 중요변수를 추출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변수는 기후변화 취약성 지표 산출 때와 마찬가지로 6개 하부영 역(기상자료, 질환 발생율(분포), 기후변화 건강영향 관련 환경요인, 취 약계층 분포, 사회여건, 보건의료제도)으로 구분하였다.

기후변화로 인한 기상요소의 특성에 관해서는 전반적인 기상요소의 변화정도에 대한 인식과 개별 기상요소의 발생 빈도 변화에 대한 설문 내용을 사용하였다. 건강영향별 질환의 발생 경험 정도는 열사병, 천식,

수인성 질환, 매개체 감염병, 심혈관 질환 등의 증상 횟수와 중증도를 동시에 고려하였다. 다만 홍수로 인한 손상, 사고 등에 대한 질문 문항 이 없어 집중호우, 장마의 피해강도를 대리변수로 사용하였다.

각 건강영향별 환경요소는 해당 건강영향의 기후변화 특성을 고려하 여 녹지공간, 도로의 크기와 인접정도, 해안/강 인접, 상습침수지역, 가축 사육장, 환경위해시설의 근접성 등을 고려하였다. 취약계층 변수는 가구 구성원을 노인, 12세 미만 아동, 만성질환자, 장애인 등으로 구분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기후변화 취약성에 관여하는 사회여건 변수와 관련 하여 개인단위 설문에서 이를 명확히 반영하기 어려워 지역수준의 사회 경제적 자원의 운용정도를 간접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녹지휴식공간의

80

회보건분야 후변화 취약성 평가 적응역강화 (3차년) <표 3-2> 기초지자체 기후변화 적응대책 수립을 위한 시범사업에 참여시군구 및 건강 취약성 정도 연번기관건강약항목영역순위* 전체1234 1인천시(1)연수구보건, 재해/재난오존, 미세먼지195205120208193 2강원(1)화천군산림, 생태계8720148153119 3 경기도 (4) 안산상록구 건강, 재해/재난대기오염, 폭염172100187239148 안산단원구22823223122560 4

수원장안구 재해/재난, 건강대기오염, 알레르기

1423416820019 수원권선구1213922010861 수원팔달구143112181126138 수원영통구15313119810172 5고양일산동구 재해/재난, 건강대기오염, 미세먼지, 알레르기

17871239155162 고양일산서구194155205164184 고양덕양구18998235113190 6용인처인구 물관리, 건강대기오염, 알레르기52661181773 용인기흥구1158512222428 용인수지구10111513322220 : *영역순1:개체 , 2: 품매개질환, 3: 재난(홍수), 4: 폭염, 5: 기오염

3기후변화와 취약성 지표의 신뢰도타당 연번기관명건강약항목역순위 전체1234 7 충북도(2)청주상당구 건강, 재난/재해폭염, 대기오염20120422933213 청주흥덕구21221921245166 8옥천군재난/재해, 생태계15312710055 9 충남도(4)

공주시농업, 산림1624615101 10서천군재해/재난, 건강감염병671599466171 11예산군농업, 산림10924242517 12태안군물관리, 해양20109454380 13전북도(1)고창농업, 건강홍수, 감염병761771396161 14 전남도(2)여수해양/수산, 재난홍수, 태풍1612309068106 15장성산림, 농업1419511985243 16경북도(1)포항북구 건강, 물관리대기오염19917824125155 포항남구22316424437173

<표 3-2> 기초지자체 기후변화 적응대책 수립을 위한 시범사업에 참여시군구 및 건강 취약성 정도 (계속) : *영역순1:개체 , 2: 품매개질환, 3: 재난(홍수), 4: 폭염, 5: 기오염

건강

살고 계신 지역에서는 기후변화 적응대책과 관련된 정책이나

폭염

정부차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기후변화 적응대책에 대해 알거 나 들어보신 적이 있습니까?

살고 계신 지역에서는 기후변화 적응대책과 관련된 정책이나 사업이 잘 추진되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언론매체를 통해 황사, 오존 발생 여부를 확인한다 오존주의보/경보 발령시 외출을 자제한다

황사 경보 발령시 마스크를 착용하거나 외출을 자제한다 황사, 오존경보 발령시 가정내 노약자의 실외 활동을 자제한다 황사, 오존경보에 대한 정보전달을 충분히 받는다

주변지역 도로의 대기오염도를 수시로 확인한다

각 변수를 종합화하는 과정에서 먼저 변수가 취약성을 타나낼 수 있 는 방향으로 recoding하였다. 분석에서는 값이 클수록 취약성을 강하게 가지는 것으로 하였기에 예를 들면 ‘녹지휴식공간의 녹지상태에 만족하 십니까?’란 질문에 대하여 ‘전혀 그렇지 않다’가 가장 큰 점수가 되고

‘매우 만족한다’란 응답이 가장 작은 값을 가지도록 변수의 방향을 조정 하였다. 둘째 각 하위영역은 도구 값을 산출한 뒤 표준화 과정을 거쳤다.

이 과정에서 최대값과 최소값은 0에서 100 사이의 값을 가지도록 조정 하였다. 따라서 6개의 모두 하위영역은 모두 최소값이 0이고 최대값이 100인 범위에서 값을 가진다. 그러나 표준화전 각 하위 영역의 내부 값 의 차이가 크지 않을 경우 표준화를 거쳐 0~100사이의 값을 가진다고 하더라도 그 차이가 적어 하위영역의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할 수 있다. 이럴 경우 하위영역을 구성하는 변수 값에 일정한 값을 곱하여 특 성이 있고 없음을 보다 명확히 나타날 수 있도록 하였다. 예를 들면 주 택(동네) 유형은 취약지역의 특성을 나타내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지역 으로 구분되는 지시자(indicator) 변수인데 이럴 경우 0과 1의 차이만큼 밖에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므로 여기에 5를 곱하여 특성을 가진 지역과 그렇지 못한 지역간의 차이가 5배가 나도록 조정하였다.

단일한 지표라도 특성이 중복되는 경우 이를 구분하여 중복 가산이 될 수 있도록 변수를 조정하였다. 예를 들면 취약계층을 구성하는 변수

기관명 영역순위*

전체 1 2 3 4 5

안산시 단원구 5(228) 5(232) 5(231) 5(225) 2(60) 4(160) 충북 청주시 흥덕구 5(212) 5(219) 5(212) 1(45) 4(166) 5(231) 충남 예산군 3(109) 5(242) 1(42) 2(51) 1(7) 1(7) 전남 장성군 3(141) 2(95) 3(119) 2(85) 5(243) 2(56) 경북 포항시 남구 5(223) 4(164) 5(244) 1(37) 4(173) 5(233)

는 구종 구성원 하나로 아루어지는데 가족 중에 취약계층에 속하는 경 우가 여럿인 경우 각각을 모두 반영하도록 하였다. 가구 구성이 노인과 12세 미만의 아동, 장애인, 만성질환자를 모두 포함하고 있을 경우 그렇 지 않은 경우보다 4가지 특성이 모두 반영되도록 하였다.

다른 하위요소에 비하여 보건의료제도 관련 변수가 상대적으로 많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많은 변수가 사용되었다면 내부의 차이 가 커지는 것이며 기후변화 건강영향 취약성 지표에서 보건의료제도 변 수의 중요성이 상대적으로 커지는 것은 아니다. 하위 구성요소에 관련된 변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내부적으로 더 자세한 분포가 이루어져 해당 하위요소의 특성을 더 잘 반영할 수 있게 된다. 건강영향별 기후변화 취 약성 체감지표를 산출하기 위하여 하위영역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합산하 였다. 이는 2차년도에서 기후변화 취약성지표 계산에서 적용한 가중치를 그대로 이용하였는데 3차년도 연구가 2차년도 기후변화 취약성 지표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정하는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표 3-4> 지역별 건강영향별 기후변화 취약성 지표 값 분포

주: *영역순위 1: 매개체 감염병, 2: 식품매개질환, 3: 재난(홍수), 4: 폭염, 5: 대기오염

<표 3-4>는 5개 조사지역의 5가지 건강영향에 대한 2차년도에 산출 한 기후변화 건강 취약성 지표를 248개 시군구 간의 상대적인 순위로 5 등분한 값을 나타낸 것이다. 해당 결과 값에 따르면 안산시 단원구의 경

구분 건강영역 지역 지표 값

평균값 SD 최소값 최대값

기후변 화취약 성지표

매개체 감염병 19.88 4.92 12.79 31.40

식품매개질환 19.36 4.93 13.24 31.93

재난(홍수) 20.42 7.18 7.55 37.63

폭염 20.42 7.18 7.55 37.63

대기오염 20.73 6.01 11.43 33.73

우 폭염을 제외하고 나머지 모든 분야에서 기후변화 취약성을 보이는 것으로 산출되었다. 충북 청주시 흥덕구는 재난(홍수) 이외의 모든 건강 영역에서 4분위 이상 해당하는 것으로 산출되었다. 경북 포항시 남구의 경우 홍수로 인한 재난을 제외하고 모든 건강영역에서 기후변화에 취약 한 것을 조사되어 청주시 흥덕구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충남

우 폭염을 제외하고 나머지 모든 분야에서 기후변화 취약성을 보이는 것으로 산출되었다. 충북 청주시 흥덕구는 재난(홍수) 이외의 모든 건강 영역에서 4분위 이상 해당하는 것으로 산출되었다. 경북 포항시 남구의 경우 홍수로 인한 재난을 제외하고 모든 건강영역에서 기후변화에 취약 한 것을 조사되어 청주시 흥덕구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충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