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진로성숙도와 가족건강성, 사회적 지지 및 자아탄력성의 관계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진로성숙도와 가족건강성, 사회적 지지 및 자아탄력성의 관계"

Copied!
15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l 이차적 저작물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동일조건변경허락. 귀하가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했을 경우 에는, 이 저작물과 동일한 이용허락조건하에서만 배포할 수 있습니다.

(2)

교육학 석사 학위논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진로성숙도와 가족건강성,

사회적 지지 및 자아탄력성의 관계

TheRel

at

i

ons

hi

pamongCar

eerMat

ur

i

t

y,Fami

l

y

St

r

engt

h,Soc

i

alSuppor

tandEgoRes

i

l

i

enc

eof

Voc

at

i

onalHi

ghSc

hoolSt

udent

s

2

0

1

6

2

서울대학교 대학원

농산업교육과

(3)
(4)

국 문 초 록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진로성숙도와 가족건강성,

사회적 지지 및 자아탄력성의 관계

교육학 석사 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년

윤 지 영

본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이 지각하는 가족건강

성과 사회적 지지, 자아탄력성과 진로성숙도의 관계를 구명하고,

그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첫째, 특성화고 학생의 진로성숙도 수준을 파악

하고, 학생들의 개인적 특성과 소속 학교 특성에 따른 차이를 분

석하였다. 둘째, 가족건강성과 진로성숙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셋째, 사회적 지지와 진로성숙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넷째, 가족

건강성과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

였다. 다섯째, 사회적 지지와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모집단은 국내 직업교육 특성화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5)

학생이다. 2014년 교육통계자료를 바탕으로 특성화고등학교를 소

재지와 계열로 층화군집표집을 실시하였다. 조사 도구는 응답자의

특성과 가족건강성 척도, 사회적 지지 척도, 자아탄력성 척도, 진

로성숙도 척도의 다섯 영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5년 10월 12일부터 11월 13일까지 우편조사

를 통해 이루어졌다. 32개 특성화고등학교에 각 40부의 설문지를

발송하여, 총 1280부의 설문지를 발송하였으며, 그 중 1256부가

회수되었다. 회수 된 설문지 중 무응답·중복응답이 있거나, 전체

문항을 동일하게 응답한 불성실한 응답 자료와 각 측정변인 중 이

상치로 판단되는 자료 130부를 제외하여 1126부(89.6%)의 자료

를 활용하였다.

가족건강성, 사회적 지지, 자아탄력성과 진로성숙도의 관계를 구

명하기 위해 SPSS 21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통계적 유의

수준은 .05를 기준으로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등의 기

술통계와 상관관계분석, 단순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 및 위계적 회

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진로성

숙도는 전반적으로 보통 이상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지만, 진로 목

적성과 결정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응답자 특성에 따른 차

이는 미미하였다. 둘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이 지각한 가족건강성

은 진로성숙도에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 셋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는 진로성숙

도에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족

건강성이 자아탄력성을 매개하여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사회적 지지가 자아탄력성을 매개하여 진

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6)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특성화고 학생들의 진로성숙도의 다양한 측면을 향상시킬 수 있도

록 하는 학교차원의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특성화고 학생들의 진

로성숙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학생들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을 높

이는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특성화고 학생들의 진로성숙도를 향

상시키기 위해 학생들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를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가족건강성과 사회적 지지가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진로성숙도를 높일 수 있다는 관점에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

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사

항을 제언하였다. 첫째, 가족건강성과 사회적 지지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특성화고와 일반고 학생의 비교 연구를 수행

할 필요가 있다. 둘째, 특성화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아탄력성과

진로성숙도의 관계를 분석하는 다양하고 깊이 있는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셋째, 특성화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로성숙도에 영

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사회적 지지원과 지지 유형을 함께 보는 연

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넷째, 유사한 주제로 특성화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상반기에 표집을 실시하는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주요어 : 진로성숙도, 가족건강성, 사회적 지지, 자아탄력성, 특성화고 학 번 : 2014-20718

(7)
(8)

목 차

I. 서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1. 연구의 필요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2. 연구의 목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3. 연구 문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4. 용어의 정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

II. 이론적 배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

1. 특성화고등학교의 개념 및 특징

···9

2. 진로성숙도

···14

3. 가족건강성, 사회적 지지, 자아탄력성

···23

4. 가족건강성, 사회적 지지, 자아탄력성, 진로성숙도의 관계

···49

III. 연구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9

1. 연구 모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9

2. 연구 대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0

3. 표집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1

4. 조사 도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2

5. 자료 수집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8

6. 자료 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9

(9)

Ⅳ. 연구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3

1. 응답자의 특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3

2. 특성화고 학생의 진로성숙도 수준과 개인 및 학교 특성에

따른 차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4

3. 특성화고 학생의 가족건강성, 사회적 지지와

진로성숙도의 관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1

4. 특성화고 학생의 가족건강성과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0

5. 특성화고 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1

6. 논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3

Ⅴ. 요약, 결론 및 제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1

1. 요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1

2. 결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6

3. 제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9

참고문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3

부 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9

[부록 1] 설문조사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9

(10)

표 차 례

<표 Ⅱ-1> 일반 고등학교와 특성화 고등학교의 교육과정 비교 ···11 <표 Ⅱ-2> 학자별 ‘진로성숙도’에 대한 정의 ···18 <표 Ⅱ-3> 학자별 ‘가족건강성’에 대한 정의 ···28 <표 Ⅱ-4> 학자별 ‘사회적 지지’에 대한 정의 ···37 <표 Ⅱ-5> 학자별 ‘자아탄력성’에 대한 정의 ···45 <표 Ⅲ-1> 직업교육 특성화고 재학생 수 분포 ···60 <표 Ⅲ-2> 가족건강성 척도의 하위 요인별 문항구성 및 신뢰도 ···63 <표 Ⅲ-3> 사회적 지지 척도의 하위 요인별 문항구성 및 신뢰도 ···64 <표 Ⅲ-4> 자아탄력성 척도의 하위 요인별 문항구성 및 신뢰도 ···64 <표 Ⅲ-5> 진로성숙도 척도의 하위 요인별 문항구성 및 신뢰도 ···65 <표 Ⅲ-6>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66 <표 Ⅲ-7> 측정 변인의 내적일치도 계수 ···67 <표 Ⅲ-8> Pearson 상관계수의 판단 기준 ···69 <표 Ⅲ-9> 연구문제 별 통계 분석 방법 ···71 <표 Ⅳ-1> 응답자의 개인적 및 소속 학교 특성 ···73 <표 Ⅳ-2> 특성화고 학생의 진로성숙도 수준 ···75 <표 Ⅳ-3> 성별에 따른 진로성숙도 수준의 차이 ···76

(11)

<표 Ⅳ-4> 학년에 따른 진로성숙도 수준의 차이 ···77 <표 Ⅳ-5> 소속 학교 계열에 따른 진로성숙도 수준의 차이 ···79 <표 Ⅳ-6> 소속 학교 소재지에 따른 진로성숙도 수준의 차이 ···80 <표 Ⅳ-7> 가족건강성, 사회적 지지와 자아탄력성 및 진로성숙도의 상관관계 ···82 <표 Ⅳ-8> 진로성숙도에 대한 독립변수의 다중공선성 진단 ···83 <표 Ⅳ-9> 진로성숙도에 대한 가족건강성의 영향관계 ···85 <표 Ⅳ-10> 진로성숙도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영향관계 ···87 <표 Ⅳ-11> 진로성숙도에 대한 교사 지지와 또래 지지의 영향관계 ···89 <표 Ⅳ-12> 가족건강성과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90 <표 Ⅳ-13> 사회적 지지와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92

(12)

그 림 차 례

[그림 Ⅲ-1] 가설적 연구 모형 ···59 [그림 Ⅲ-2] 층화군집표집 과정 ···62

(13)
(14)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현대 사회가 빠르게 성장하고 변화함에 따라 산업현장은 세분화되고 정교화되어 전문화가 더욱 가속화 되고 있다. 하지만, 우리의 학력을 중 시하는 사회적 분위기는 이러한 변화에 발 맞추지 못하고 획일화된 대학 입시 교육만을 강조하고 있어, 세분화 된 산업구조에 맞는 전문 인력을 배출하기에는 아직도 어려움이 있다. 그 예로 고학력화 현상과 청년실업 등이 있다. 이는 산업현장의 인력 수요와 교육현장의 인력 공급의 괴리 로 인한 대표적인 사회 문제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 방안 중에서도 특성화고등학교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정부는 1997년 「초·중등교육법」을 신설하고 기존 전문계 고등학교 들의 직업교육 특성을 더욱 살리는 의미에서 특성화 고등학교라 명명하 여 조기 직업교육을 국가 차원에서 실시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특성화 고등학교는 ‘학생 자신의 적성과 능력을 고려하여 조기에 진로를 결정 하여 전문가로 양성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전문 분야의 교육을 실시하는 고등학교’로 정의 된다(교육과학기술부, 2012). 정의에 따르면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의 경우 이미 고등학교 진학 시 진로가 결정되는 특성을 지니며, 특성화 고등학교는 이러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결정되어 있는 진 로를 준비하는 직업기술역량 습득 교육을 통해 졸업 후 취업을 가능하도 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장은진, 2014). 이처럼 특성화고등학교의 취지를 잘 살릴 수 있다면, 학생들이 진학으로 몰리는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산업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전문화된 인력을 배출할 수 있어, 특 성화고등학교의 역할이 더욱 중요하며, 정부 역시 이러한 특성화고등학 교에 대해 다양한 정책적 지원을 강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이러한 지원에도 불구하고 우리 사회에 아직까지도 만연한 학

(15)

력주의는 보편적으로 고등학교 졸업 후 대학에 진학하는 경로만을 성공 적인 진로 경로로 인식하고 고졸자의 취업을 부정적인 시각으로 바라보 는 경향이 있어 많은 특성화고 학생들이 자신의 능력과 적성에 대한 신 중한 탐색 없이 대학 진학을 희망하도록 하고 있어 중등 직업교육기관이 라는 특성화고등학교의 의의가 퇴색되고 있다는 우려가 증가하고 있다 (김은영, 2001). 이러한 우려를 불식시키려면 특성화고 학생들로 하여 금 자신과 직업세계에 대한 신중한 탐색을 바탕으로 주체적으로 자신의 흥미와 적성에 맞는 진로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지도하여 특성화고의 설 립 취지를 재고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특성화고 학생들의 진로성숙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고민과 노력이 진행되어야 한 다고 판단된다. 진로성숙도는 개인이 진로를 탐색하여 선택하고 이에 적응하는 데 있 어서의 준비 정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진로성숙도를 통해 개인이 합리적 으로 진로와 관련된 과업을 수행할 수 있는지를 예측할 수 있다(Super, 1990). Super(1990)에 따르면 고등학교 시기는 탐색기에 해당하며 미 래에 대한 계획이 주요한 진로발달 과업이 되는 시기이다. 이 시기에는 자신과 직업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선호하는 직업을 보다 분명히 할 수 있게 되며, 직업을 선택할 수 있는 의사결정 능력이 요구되는 시기이 다(Super, 1990; 김봉환 외, 2014). 즉, 진로발달적인 측면에서 고등학 교 시기는 직업을 선택하여 실행에 옮기기 전에 자신과 직업에 대한 충 분한 이해와 정보를 탐색을 통해 획득하는 직업준비단계로 삶의 방향을 결정하게 되는 중요한 시기인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진로성숙도 향상을 위한 노력을 기울인다면 대학 진학 과 전공분야로의 취업이라는 진로경로에서 스스로의 흥미와 적성에 맞는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이는 궁극적으 로 앞서 언급한 사회적 문제를 해소에 기여를 할 것이라 기대된다.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중 하나로 많은 연구들에서 가족 관 련 변인을 언급하고 있다. 특히, 가족 관련 변인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여 초창기 진로이론에서부터 많은 관심을 받아 왔다. 특히 유교적인

(16)

가족중심주의 문화를 지니고 있는 우리나라의 경우 청소년의 진로성숙도 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가족관련 변수에 초점을 맞춘 많은 선 행연구들이 존재한다. 이러한 연구들에는 부모애착 혹은 가족애착 관계 (정재민, 2007; 박재은, 2011; 이경희, 윤미현, 2011; 허균, 2012; 김 희자, 2008), 부모양육태도(차정원, 2014; 최인선, 2013; 박완성, 김미 숙, 2009), 가족간의 지지(김수리, 이재창, 2007; 박현미, 장석진, 2013)등이 존재한다. 하지만 이러한 연구들은 가족관련 변인으로 부모 애착, 부모양육태도와 같이 단편적인 일부 변인에 집중하여 진로성숙도 에 이르는 다양한 경로를 보는 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다. 또한, 이러 한 온전한 가족 형태에 치중한 전통적인 관점으로는 여성의 사회진출, 출산율 저하 등의 이유로 한부모 가족, 맞벌이 가족, 위성가족 등 다양 한 형태의 가족과 핵가족의 증가, 가족 기능의 축소, 권위구조의 변화에 영향을 받은 오늘날의 많은 가족들은 모두 문제가족으로 인식될 수 있다 (강가영, 2014; 최미숙, 2013; 강연진, 2013; 양명숙, 박민경, 2008). 이러한 측면에서, 편부, 편모처럼 결손 가정인 학생들이 다른 계열의 고 등학교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특성화고 학생(이미정, 2009; 박금녀, 2012)의 진로성숙도에 대한 연구를 진행할 때 가족건강성의 영향을 살 펴본다면 더욱 적합한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가족건강성 외에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중 하 나로 많이 언급되는 변인으로 사회적 지지가 있다. 앞서 언급했듯이 오 늘날에는 전통적인 가족의 형태와 기능에 비해 소규모화 되고 개인화 된 가족 형태가 오히려 일반적이며, 가족 기능 역시 과거에 비해 축소되었 다. 이와 더불어, 고등학교 시기에는 다른 어떠한 시기보다 학교에서 보 내는 시간이 많다. 이러한 맥락에서 오늘날 고등학생들은 어쩌면 가족보 다도 학교라는 확대된 사회 환경에서 더 많은 영향을 받는다고도 볼 수 있다. 특히, 다른 계열의 고등학교 학생들보다 기초생활 수급자와 편부, 편모 등의 가족 환경을 가진 경우가 많은 특성화고 학생(박금녀, 2012; 홍석일, 2012)의 경우 가족원들보다도 학교에서 맺게 되는 관계에 의해 더 많은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이러한 사회 전반적인

(17)

가족 형태·기능의 변화, 특성화고 학생들의 가족 환경적 특징 그리고 고등학교 시기라는 특성들이 맞물리게 되면서 특성화고 학생들에게는 학 교에서 맺은 교사나 또래 친구들과의 관계가 가족 관계 못지않게 개인에 게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부분이라 판단된다. 즉 교사에게 받는 지지, 또래에게 받는 지지가 개인의 삶 전반에 영향을 끼칠 수밖에 없고 이는 곧 이러한 사회적 지지가 학생 개인의 진로성숙도에도 유의미한 변인이 될 수밖에 없다고 판단된다. 특히, 가족과 교사, 또래 친구의 역할이 다 르기 때문에 각각의 관계에서 특성화고 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미칠 수 있 는 영향의 형태나 효과 역시 다르다고 판단되어 가족건강성과 더불어 사 회적 지지를 함께 살펴봄으로써 더욱 의미 있는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 을 것이라 기대된다. 가족건강성과 사회적 지지가 개인 외부에 존재하는 대인 관계와 관련 된 환경적 변인이라면, 자아탄력성은 개인의 내적인 변인 중 한 가지로 서 최근 들어 긍정심리학의 관점에서 개인의 잠재적인 긍정적인 측면으 로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관심을 받고 있다(이실숙, 2013). 자아탄력성은 어려운 환경이나 스트레스 상황에 맞닥뜨렸을 때 개인이 굳어있지 않고 유연하게 대처하여 부정적인 상황을 극복하고 긍 정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심리 사회적인 능력(Block, & Block, 1980’ Garmezy, 1993)을 의미한다. 즉, 자아탄력성이 높은 사람은 불안하거 나 어려운 상황에서도 긍정적인 자세로 앞으로의 계획을 세우며 목표를 달성하여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진다(민동일, 2007). 이러한 맥락에서 진로를 계획하거나 선택하는 과정에서 마주하는 방해요소나 위 험요소에도 굴하지 않고 유연하게 대처하는 능력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특성화고 학생의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리라 판단된다. 특히, 사회적 취약계층이 많고, 사회의 부정적 인식 등으로 인해 자존감이 낮 아져있거나, 진로 선택에 있어 많은 장벽에 부딪히는 특성화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로성숙도에 대한 연구를 진행할 때 자아탄력성의 영향을 살 펴 본다면 더욱 적합한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개인에게 있어 올바른 진로 선택은 이후 경제적 보상을 가져다 줄 뿐

(18)

아니라 자신의 능력과 소질을 발휘하고 삶의 만족과 보람을 향상시켜 개 인의 자아실현을 가능하게 한다(김민정, 2014; 강정임, 2012). 하지만 특성화고 학생들의 경우 올바른 진로선택을 하는데 있어 많은 어려움을 경험한다. 그 배경을 살펴보면, 특성화고등학교는 일반계 고등학교에 비 해 상대적으로 학업 성취도가 낮은 학생들이 가는 곳이라는 부정적인 인 식이 사회에 자리 잡고 있어(나혜경, 2011), 특성화고 학생들의 자존감 을 떨어뜨리며, 대학에 진학하는 것이 성공적인 진로 경로라는 인식과 더불어 고졸자의 취업에 대한 부정적인 사회적 인식은 낮은 사회적 지위 와 해고 등에 대한 우려로 특성화고 학생들의 자신감과 의욕의 저하로 취업을 포기하게 될 수 있기 때문이다(이지혜, 정철영, 2010). 다른 계 열의 고등학교 보다 전공분야로의 취업과 대학 진학이라는 두 가지 진로 선택의 갈림길에서 갈등하는 특성화고 학생들에게 진로와 관련된 관심과 지원은 더욱 중요하다(김성남, 2013). 특히, 특성화고 학생들은 진로를 선택 및 계획 하는 데 있어 많은 장벽들을 맞닥뜨리게 되므로, 다양한 측면에서 특성화고 학생들의 진로성숙도를 강화해줄 수 있는 고민과 노 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 양한 변인들 중에서도 특성화고 학생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학생들이 지 각하는 가족건강성과 사회적 지지, 자아탄력성이 진로성숙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어떠한 관계에 있는지를 구명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2. 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과 사 회적 지지, 자아탄력성과 진로성숙도의 관계를 구명하는 데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세부적인 연구목표를 설정하였다. 첫째, 특성화고 학생의 진로성숙도 수준을 파악하고, 이것이 학생들의 개인적 혹은 소속되어 있는 학교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구명한다.

(19)

둘째, 특성화고 학생이 지각한 가족건강성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 향관계를 구명한다. 셋째, 특성화고 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 향관계를 구명한다. 넷째, 특성화고 학생이 지각한 가족건강성과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구명한다. 다섯째, 특성화고 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진로성숙도의 관계에 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구명한다.

3. 연구 문제

본 연구 목표 달성을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 문제 1. 특성화고 학생의 진로성숙도 수준은 어떠하며, 이것은 학생의 개인적 혹은 소속되어 있는 학교 특성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가? 1-1. 특성화고 학생의 진로성숙도 수준은 어떠한가? 1-2. 특성화고 학생의 진로성숙도 수준은 학생의 개인적 특성(성별, 학년)과 소속 학교 특성(계열, 소재지)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가? 연구 문제 2. 특성화고 학생의 가족건강성과 진로성숙도의 관계는 어떠한가? 2-1. 특성화고 학생의 가족건강성과 진로성숙도(결정성, 준비성, 독립성, 목적성, 확신성)의 관계는 어떠한가?

(20)

연구 문제 3. 특성화고 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진로성숙도의 관계는 어떠한가? 3-1. 특성화고 학생의 사회적 지지(교사 지지, 또래 지지)와 진로성숙도(결정성, 준비성, 독립성, 목적성, 확신성)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 문제 4. 특성화고 학생의 가족건강성과 진로성숙도의 관계에 있어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가 존재 하는가? 연구 문제 5. 특성화고 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진로성숙도의 관계에 있어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가 존재 하는가?

4. 용어의 정의

가. 가족건강성 가족건강성(family strength)이란 가족원간의 지속적이고 민주적인 의사소통을 나누며 가족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처하며 여러 가치체계를 공유하면서도 가족원 개개인의 개별성과 자율성을 인정하며 지속적으로 유대를 도모하여 서로 성장을 돕는 건강한 가족의 특성으로 정의한다. 본 연구에서 가족건강성은 가족간 의사소통, 가족의 문제해결 수행능력, 가족원간 유대, 가족의 가치체계 공유 4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되며, 어 은주와 유영주(1995)가 제작하고 최미숙(2013)이 수정한 가족건강성 척도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한 척도에 응답한 점수를 의미한다.

(21)

나. 사회적 지지 사회적 지지(social support)란 개인의 기본적인 사회적 욕구를 충족 시켜 주고, 환경에 대한 적응을 돕는 대인관계로부터 제공 받을 수 있는 정서적, 정보적, 물질적, 평가적 지지 등을 포함하는 모든 형태의 긍정적 인 자원으로 정의한다. 본 연구에서 사회적 지지는 교사 지지와 또래 지 지 2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되며, 이미라(2000)의 척도를 김지현 (2013)이 수정한 사회적 지지 척도에 응답한 점수를 의미한다. 다. 자아탄력성 자아탄력성(ego resilience)이란 위험한 환경이나 부정적인 사건과 같 이 스트레스가 증가하는 상황에서도 유연성 있게 대처하고 적응함으로써 스트레스 상황에서 빠르게 회복되는 힘 혹은 능력으로 정의한다. 본 연 구에서 자아탄력성은 흥미와 관심의 다양성, 감정조절, 긍정적 미래지향 성 3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되며, 민동일(2007)이 개발한 척도를 이다 경(2015)이 수정한 자아탄력성 척도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한 척도에 응답한 점수를 의미한다. 라. 진로성숙도 진로성숙도(career maturity)란 개인이 자신의 연령 수준에서 맞닥뜨 리는 진로 관련 과업을 수행하기 위해 자신과 직업에 대한 탐색과 이해 를 바탕으로 진로를 계획하고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태도 혹은 능력의 발달 정도로 정의한다. 본 연구에서 진로성숙도는 결정성, 목적성, 준비 성, 독립성, 확신성 5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되며, 이기학과 한종철 (1997a)이 개발한 척도를 김말선(2011)이 수정한 진로성숙도 척도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한 척도에 응답한 점수를 의미한다.

(22)

II. 이론적 배경

1. 특성화고등학교의 개념 및 특징

가. 특성화고등학교의 개념 및 등장 배경 우리나라의 많은 학생들이 진로로 대학 진학을 선택하여 심각한 학력 위주의 사회 분위기속에서 최근 직업 교육의 강조와 함께 일반 교과의 학업 외에 특정 전문 분야에 대해 관심과 소질을 가지고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특정 산업 분야와 관련된 직업군에 필요한 전문 지식과 기술, 가치관 등을 기를 수 있도록 하는 특성화 고등학교에 대한 관심이 증가 하고 있다(배준형, 2012). 특성화고는 고교 평준화 정책을 유지·보완할 수 있는 공교육 개혁의 일환으로 학부모와 학생에게 학교에 대한 선택권을 넓혀주고 학교는 다 양화되어 특성화되는 형태로 설립될 필요성으로 등장하였다(이병욱, 2011). 이전과 같은 획일화된 대규모의 고등학교 형태로는 학생의 다양 한 적성과 욕구를 충족시켜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국가적 차원의 교육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에도 한계가 있어 왔다. 그래서 다양하고 특성화된 소규모의 고등학교를 보다 자유롭게 설립·운영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입시와 교과 위주로 획일화된 교육을 지양하고 학생의 흥미와 적성에 부 합하는 다양한 교육 제공을 통해 교육 선택 범위를 확대하도록 유도하고 자 하는 노력이 있었다(권미정, 2013; 김소예, 2008). 지금의 특성화고등학교라는 명칭이 사용되기 이전에는 전문계고등학교 라는 명칭 아래 농업·공업·상업·임업 및 정보통신, 수산·해운, 가 사·실업 등의 전문교육을 담당하는 고등학교로 사용되고 있었다. 이러 한 전문계고등학교라는 명칭은 2007년에 교육인적자원부의 초·중등교 육법 시행령 교육부 고시를 통해 실업계고등학교의 명칭이 개정되어 사 용되었던 것인데, 이러한 개정의 바탕에는 ‘실업’이라는 용어에 대한

(23)

우리나라의 부정적인 사회 인식이 학부모 및 학생으로 하여금 지원을 기 피하게 만든 것이 하나의 원인이 되었다. 실업계고등학교에서 전문계고 등학교로 명칭이 변하였고, 전문계고등학교의 명칭은 ‘직업교육 선진화 방안’에 따라 현재의 특성화고등학교로 명칭이 개정되어 사용되고 있 다. 마이스터고의 경우에는 원래 전문계고등학교에 포함되어 있었지만, 산업계의 수요에 맞게 인력을 양산해내는 산업수요 맞춤형 고등학교로서 기술 장인을 육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고등학교로 특수목적고등학교 에 편입되면서, 현재의 특성화고등학교는 기존의 전문계고등학교에서 마 이스터고를 제외한 모든 학교를 포함하게 되었다(하영만, 2014). 현재의 특성화고등학교는 초·중등 교육법 시행령 제 91조에 따라 ‘소질과 적성 및 능력이 유사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조기에 진로를 결정 하여 특정분야의 인재로 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 또는 자연 현장 실 습 등 체험 위주의 교육을 전문적으로 실시하는 고등학교’로 정의된다. 이처럼, 직업 교육을 강조하는 우리나라의 사회적인 맥락과 더불어 현재 지식기반 사회 진입으로 인해 산업 현장에서는 단기간에 육성 가능한 기 술 보다는 더욱 복합적이고 높은 수준의 기술을 요구하고 있어 특정 산 업 분야의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하는 특성화 고등학교의 역할은 더욱 중 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나. 특성화고등학교 교육과정 특성화 고등학교의 가장 우선적인 목표는 직업교육의 강화에 있다. 따 라서 특성화 고등학교의 경우 교육과정에서 학교에서 일반적으로 이루어 지는 학업 성취뿐만 아니라 학교를 졸업하고 산업 현장에 투입되었을 때 활용할 수 있는 기능 배양을 모두 중시하고 있다. 이러한 특성화고등학 교 교육과정의 특징은 일반적으로 대학진학을 목표로 하여 학업 성취를 중시하는 일반 고등학교와 비교해보면 더욱 두드러진다. 일반 고등학교 가 3년간 이수해야 하는 보통교과 최소 이수 단위가 86인 것에 비해, 특성화 고등학교는 65만 이수하면 된다. 대신 특성화 고등학교는 일반

(24)

교과 영역 교과(군) 필수 이수 단위 학교 자율 과정 일반고 특성화고 일반고 특성화고 교 과 (군) 보통 교과 기초 국어 10 25 학생의 적성과 진로를 고려하여 편성 94 학생의 적성·진 로와 산업계 수요를 고려하여 편성 (29) 수학 10 영어 10 탐구 사회(역사/도덕 포함) 10 15 과학 10 체육·예술 체육 10 10 예술(음악/미술) 10 5 생활·교양 기술·가정/ 제2외국어/ 한문/교양 16 10 소 계 86 65 전문 교과 농생명 산업, 공업, 상업 정보, 수산·해운, 가사·실업 등 - 86 창의적 체험활동 24(408시간) 총 이수 단위 204 주:1단위는 50분을 기준으로 하여 17회를 이수하는 수업량임. 교과 영역별 필수 이수 단위는 ‘최소 이수 단위’임 이며 총 이수 단위 수는 고등학교 3년간 이수해야 할 ‘최소 이수 단위’를 가리킴. 출처:교육부.2013. <표 Ⅱ-1> 일반 고등학교와 특성화 고등학교의 교육과정 비교 고등학교는 이수하지 않아도 되는 전문교과 영역에서 86단위를 이수해 야 한다. 이처럼 취업중심학교로서의 특성화 고등학교는 보통교과 보다는 전문 교과에 비중을 더 두고, 학교 자율과정 역시 산업계 수요를 고려하여 편 성해야 함을 강조하여 학생의 취업역량과 경력개발을 중요시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정작 특성화고의 취업율이 이전에 비해 많이 상승했 지만, 여전히 특성화고 졸업예정자의 절반에 미치지 못하는 상황이라,

(25)

진학보다는 취업에 목적을 둔 특성화고의 취지와 운영 방향성이 실제 학 생들의 진로 선택과 계획으로는 이어지지 못해,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다.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진로 특성화고등학교가 교육 개혁안을 통해 처음으로 제안될 당시에는 특정 전문 분야에 소질과 적성을 가지고 진로를 결정하여 일찍부터 해당 산업 분야의 직업 준비 교육을 받으려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특정 분야의 교육 을 실시하는 직업 교육 성격의 고등학교로 규정 되었다(이숙, 1999). 이는 앞서 설명하였듯이, 특성화고의 교육과정을 통해서도 학업 성취 중 심의 보통교과 보다도 취업 중심의 전문교과에 비중을 더 두고 있는 것 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우리 사회에 만연한 학력지향주의가 특성화 고의 위상이 일반 고등학교의 아래 서열이라는 인식을 지속시키고 있으 며, 실업계 및 전문계 고등학교의 명칭이 개정되어 특성화고등학교라는 명칭으로 사용되고 있는 지금도 여전히 ‘실업’이라는 용어에 대한 부 정적인 인식이 사회에 남아 있다(하영만, 2014). 또한, 현재의 특성화 고등학교는 전통적인 산업인력 양성을 위해 단순 기능 습득에 치우친 교 육을 하고 있으며, 특성화고등학교에 개설된 학과들 역시 공업, 상업, 농 업 등 전통적인 산업 관련 분야들이 주종을 이루고 있어 졸업 후에 계속 적인 성장의 경로가 넓지 않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권미정, 2013). 이처럼 일반 교과에는 큰 흥미와 적성이 없어 학과성적은 좋지 않지 만, 다른 특정분야에는 남다른 소질이 있는 학생들이 해당 분야로 진출 할 수 있도록 교육을 해주는 취지로 설립된 특성화고가 오히려 오늘날 우리 사회에 만연한 고학력 지향주의 인식 때문에 고졸자의 취업을 부정 적인 시각으로 바라보고 있어 특성화고 학생은 취업으로 진로를 결정하 는 데 많은 갈등을 겪고 있다(김소예, 2008; 나혜경, 2011; 이지혜, 정 철영, 2010). 이와 더불어, 대학입학이 과거보다 쉬워지고, 이전부터 존

(26)

재하였던 대졸자 중심의 채용관행이 대학을 졸업해야만 사회적으로 인정 을 받을 수 있는 성공적인 진로 경로라는 인식으로 굳어져 특성화고의 졸업생 다수가 취업보다는 진학을 선택하여 특성화고의 취업율은 2009 년도에는 16.7%, 2010년도에 19.2%, 2011년도에는 23.4%, 2012년 도에는 32.8%, 2013년도에는 35.4%로 매년 특성화고 졸업자의 취업율 이 진학률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성화고의 본래 취지를 무색하게 만드는 낮은 취업율을 개선하고자 정부가 적극적으로 고교 단계에서의 취업 중심 직업교육을 강조하여 선취업 후진학 정책을 추진하여 특성화 고의 취업율이 2009년 이후로 지속적인 상승 추세라고 하지만 2014년 기준 44.2%로 여전히 특성화고 졸업자들의 절반에 못 미치고 있다(하 영만, 2014; 정의현, 강현석, 2013). 특히, 특성화고 학생의 경우 취업 대신 진학을 하려고 해도 이상의 특성화고등학교 교육과정을 통해 알 수 있듯이, 특성화 고등학교는 대학 진학을 목표로 하는 일반 고등학교와 교육받는 내용과 수준이 매우 상이하고(전미애, 2015; 교육과학기술부, 2013), 본래의 설립 취지가 취업인 만큼 대학 진학 시 이를 지원하는 입시체계도 잘 갖추어져 있지 않다. 특성화고 학생들은 취업을 하게 될 경우 대학진학을 목적으로 하는 인 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에 비해 더 이른 시기에 사회로 나갈 진로 선택과 계획을 해야 하기에 진학과 취업 사이에서 자신의 진로에 대한 진지한 고민에 더욱 일찍 맞닥뜨려야 한다. 하지만, 특성화고 학생들에게는 사 회적인 인식과 체계 때문에 취업과 진학 중 어느 한 가지를 선택하는 것 도 쉽지 않다. 또한 특성화 고등학교의 설립 취지와 달리 실제로 특성화 고에 진학한 학생들의 이유를 살펴본 기존의 많은 연구들을 보면, 특성 화고 학생들이 특성화고 진학 시, 낮은 학업 성적 혹은 어려운 가정환경 때문에 비자발적으로 진학을 선택하게 되거나, 많은 학생들이 자신의 적 성이나 흥미를 잘 모를 뿐 아니라, 자신이 진학하는 특성화고의 전공 학 과에 대해서도 잘 모르고 선택한 경우가 많다고 한다(이정규, 2011; 배 상훈 외, 2011; 이미정, 2009; 김소예, 2008). 이처럼 특성화고에 진학 한 학생들의 이유를 살펴본 기존의 많은 연구들은, 특성화고의 많은 학

(27)

생들이 뚜렷한 목표의식을 갖고 진학했다기 보다는, 비자발적으로 혹은 스스로와 학교에 대한 진지한 탐색 없이 진학한 학생들이 많기 때문에 진학 후 흥미와 적성에 맞지 않는 전공이나 진로를 선택하는 경우가 많 아 다른 계열의 고등학교 학생들에 비해 진로의식 수준이 낮고 진로와 관련하여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맹희주, 2014). 따 라서 특성화고의 취지를 살리기 위해서라도 다른 계열의 고등학교보다도 특성화고 학생들의 진로에 대한 관심이 더욱 필요하다(장은진, 2014; 장현진, 이지혜, 2012; 김효진, 장윤옥. 2011; 윤석곤, 2005; 김성환, 전용석, 2005; 박성미, 2004).

2. 진로성숙도

가. 진로성숙도의 개념 한 개인은 일생을 살아가면서 많은 선택을 하게 된다. 그 중에서도 삶 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선택은 자신의 직업이나 전공을 선택하는 진로 문제에 대한 것이다. 올바른 진로 선택은 개인의 삶에 있어 경제적 보상을 가져다 줄 뿐 아니라 자신의 능력과 소질을 발휘하고 삶의 만족 과 보람을 향상시켜 궁극적으로 개인의 자아실현을 가능하게 한다(김민 정, 2014; 강정임, 2012). 이처럼 진로 선택의 결과는 개인의 일생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개인이 올바른 진로 선택과 결정을 내릴 수 있 는지를 예측할 수 있는 진로성숙도에 대한 관심은 지속되어 왔다. 현대 사회가 직업의 다양화와 전문화, 기술문명의 급격한 발달로 인해 이전에 비해 진로에 대한 선택과 결정을 내리는 것이 더욱 어려운 과업이 됨에 따라 오늘날 진로성숙도에 대한 연구는 더욱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청소년기에 해당하는 고등학교 시기는 직업준비단계로서 삶의 방향 을 결정하게 되는 시기이며, 개인의 흥미와 적성에 맞는 분야 및 전공에 대한 고민, 그리고 진학과 취업 사이에서의 고민 등 진로와 관련하여 많 은 고민을 마주하게 되는 시기로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많은 연구에서 진로성숙도는 중요한 변인으로 여겨져 왔다(맹희주, 2014).

(28)

진로성숙(career maturity)은 1940년대부터 청소년들의 진로행동에 관한 연구에서 시작되어 1950년대 직업 선택을 연구하는 진로발달 이론 가들에 의해 발달된 개념이다(이은경, 2000). 진로발달이론은 인간의 발달적인 측면을 진로교육에 도입하여 개인의 진로발달을 인간의 전체적 인 발달의 한 측면으로 보는 입장으로, 개인의 생의 특정한 시점에 한 번의 행위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선택과 결정이 일어나는 과정에서 관심이 이동되는 경향으로 진로행동을 다루는 분야가 나타나며 진로발달 이라는 개념이 출현하였다(Philips & Pazienza, 1988; 이재창, 1986). 이처럼 진로발달이론은 개인의 전생애과정에 걸친 종단적인 측면을 강조 하여 개인의 내적요인과 실제 상황적 맥락의 상호작용으로 진로태도가 형성되고, 개인의 욕구와 외부환경 사이에서 자신에게 적합한 직업을 찾 는 탐색과정이 중요함을 강조한다. 진로성숙이 진로발달 이론에서 발전 된 개념인 만큼, 일시적 혹은 일회적인 것이 아닌, 연속적인 발달 과정 에서 개인으로 하여금 적합한 발달 단계에 비추어 진로 발달의 정도를 확인할 수 있기에 발달상 문제를 점검할 수 있어, 진로와 관련하여 많은 관심을 받아 왔다(원상희, 2013). 많은 연구자들이 진로발달이론의 관점에서 진로성숙의 개념에 대해 학 문적으로 정의를 내린 것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진로성숙의 개념 은 청소년의 직업흥미 발달을 연구했던 Carter(1940)와 나이에 따라 직업 행동이 체계적으로 변한다는 것을 주장한 Strong(1943)에 의해 논의가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으며, 이후 Super(1955)에 의해 진로성 숙이란 용어가 논문에서 처음으로 개념화 되었다. Super는 진로성숙도 를 직업적 발달과업에 대한 준비도로 개인이 진로발달의 연속선상에서 도달하는 위치로 정의하였으며, 진로성숙의 하위변인으로 진로계획, 직 업탐색, 의사결정, 직업세계에 대한 지식, 선호하는 직업군에 대한 지식 등으로 구성된다고 하였다. Super가 진로성숙도를 개인이 속해있는 연 령단계에서 이루어져야 할 직업적 발달과업에 대한 준비도라고 정의내린 반면, Crites(1978)은 진로발달 이론을 근거로 진로성숙도를 개인의 발 달 단계에 적합한 진로 발달적 과업을 수행한 정도를 의미하며 특히, 개

(29)

인으로 하여금 진로선택과정에서 동일한 연령층의 학생들과 비교해서 나 타나는 인지적 및 정서적 특성의 상대적인 위치를 의미한다고 하였다. 또한, Crites는 이러한 진로성숙도가 개인의 진로 발달 과업 관련 과정 의 정도를 평가하고 개인의 진로 행동을 이해하는데 핵심적인 부분임을 강조하였다. 이처럼 Crites의 연구는 진로성숙의 개념에 관하여 Super 의 이론에 기초를 두고 있기에 유사한 관점이 많지만, Super는 직업선 택의 결과에 초점을 둔 반면, Crites는 과정에 초점을 두고 접근했다는 차이점을 가진다.

Super와 유사하게 Gribbons와 Lohnnes(1965)는 진로성숙도를 진로 선택이나 진로계획에서의 준비도의 개념으로 보면서 진로성숙 수준은 자 아개념의 발달과 관계가 있으며, 개인의 내적·외적 여건에 따라 개인차 가 있다고 강조하였다. 비슷한 맥락에서 Savickas(1984)는 본인의 연 구에서 진로성숙도를 광의적으로 정보를 얻어 개인으로 하여금 연령에 적합한 진로 결정을 내릴 수 있으며, 진로 발달 과업을 수행할 수 있는 준비 정도라고 정의하였다. 이러한 개념에 더하여 Levinson 외(1998) 는 진로성숙도가 개인이 진로 결정을 내리는 데 무엇이 필요한지를 알 고, 올바른 진로 결정을 할 수 있는 능력과 또 그러한 결정이 현실적이 고 일관적인 정도를 포함한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또한, Luzzo(1995)는 조금 더 구체적으로 진로성숙도를 지적이고 현실적인 진로선택을 하는 능력과 지식을 획득하는 정도로 적절한 진로 발달 과업에 적응하고, 연 령에 맞는 진로결정을 하도록 하는 개인의 준비도라고 정의하였다. 이처 럼 국외에서는 많은 진로발달 이론가들에 의해 진로 발달 과정의 수행과 진로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진로성숙도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으며, 진로성숙도의 개념에 대해서는 연구자에 따라 얼마나 구체적으로 혹은 광의적으로 접근하는 지의 차이는 존재하지만 대체로 Super의 이론에 기반을 두고 있어 큰 차이는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국내 연구에서도 진로 발달과 진로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로 진로성숙도를 보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왔으며, 이와 더불

참조

관련 문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support and mental health of university taekwondo athletes, and clearly clas sif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ndustrial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recognition on career and the status of career instruction, and analyz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whether The mediating effects of planned happenstance skill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Puspose: Puspose: Puspose: Puspose: This study is to identify relations between activity of daily living, social support and loneliness of facilities for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association between family support, ADL and depression among hospitalized older patients with chronic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wareness of death and the ethical attitude to Do-Not-Resuscitate (DNR) among so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dance performances, which is a part of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of local governments,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and awareness of radiation department students and their intent 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