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III. 연구방법

4. 조사 도구

가. 가족건강성

본 연구에서는 가족건강성을 측정하기 위해 건강한 가족의 특성과 국 외 선행 연구 결과에서 나타난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의 가족특수성 에 맞는 척도 개발을 위해 어은주와 유영주(1995)가 제작한 척도를 청 소년 대상으로 수정하여 사용한 최미숙(2013)의 척도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가족건강성 척도는 총 20문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가족원 들 간에 언어적 혹은 비언어적 정보가 어떻게 교환되는가를 측정하는 가 족간 의사소통(5문항), 가족이 위기나 문제를 긍정적인 방법으로 처리하 는 능력을 가지고 있는가를 측정하는 가족의 문제해결 수행능력(5문항), 가족원들 간에 서로 유대가 강한지를 측정하는 가족원간 유대(5문항), 가족원들 간에 건강한 가치체계를 공유하고 있는지를 측정하는 가족의 가치체계 공유(5문항)의 4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문항들 은 ‘전혀 그렇지 않다(1점)’에서 ‘매우 그렇다(5점)’까지 5점 Likert 척도를 사용하여 가족건강성의 하위 요인별 총점이 높을수록 가 족건강성 수준도 높은 것으로 해석한다. 해당 가족건강성 척도의 내적일

치도 계수는 .94로 구체적인 하위요인별 문항구성 및 신뢰도는 다음과 같다.

하위 요인 문항번호 문항수 Cronbach ɑ

가족간 의사소통 1, 4, 11, 15, 19 5 .78

가족의 문제해결 수행능력 2, 6, 9, 13, 17 5 .82

가족원간 유대 3, 7, 10, 14, 18 5 .85

가족의 가치체계 공유 5, 8, 12, 16, 20 5 .77

전체 20 .94

<표 Ⅲ-2> 가족건강성 척도의 하위 요인별 문항구성 및 신뢰도

나. 사회적 지지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기 위해 Nolten(1994)의 Student Social Support Scale을 번역한 “학생사회지지척도”를 바탕 으로 청소년에 적합하도록 부모, 교사, 친구로 분류하고 이를 다시 정서 적 지지, 정보적 지지, 도구적 지지, 평가적 지지로 나누어 사용한 이미 라(2000)의 척도에서 부모지지의 하위영역을 제외하여 사용한 김지현 (2013)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사회적 지지 척도는 총 18문항으로 이루 어져 있으며, 사회적 지지의 기능적 측면인 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 도구적 지지, 평가적 지지에 대한 효과를 교사를 통해 받고 있는지를 측 정하는 교사 지지(9문항), 또래 친구를 통해 받고 있는지를 측정하는 또 래 지지(9문항)의 2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문항들은

‘전혀 그렇지 않다(1점)’에서 ‘매우 그렇다(5점)’까지 5점 Likert 척도를 사용하여 사회적 지지의 하위 요인별 총점이 높을수록 사회적 지 지를 더 많이 받는 것으로 지각한다고 해석한다. 해당 사회적 지지 척도 의 내적일치도 계수는 .84로 구체적인 하위요인별 문항구성 및 신뢰도 는 다음과 같다.

하위 요인 문항번호 문항수 Cronbach ɑ 교사 지지 1, 2, 3, 4, 5, 6, 7, 8, 9 9 .84 또래 지지 10, 11, 12, 13, 14, 15, 16, 17, 18 9 .81

전체 18 .84

<표 Ⅲ-3> 사회적 지지 척도의 하위 요인별 문항구성 및 신뢰도

다. 자아탄력성

본 연구에서는 자아탄력성을 측정하기 위해 Atsushi 외(2002)가 청 소년의 자아탄력성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한 ‘Resilience Scale’을 민 동일(2007)이 한국 문화에 맞게 번안 및 수정한 척도를 사용한 이다경 (2015)의 측정도구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아탄력성 척도는 총 21문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다양한 사물에 흥미나 관심을 가지며 새로운 활동을 시작하는 특성을 측정하는 흥미와 관심의 다양성(7문항), 고조된 긍정적인 감정과 부정적인 감정 간의 조화를 측정하는 감정조절 (8문항), 목표를 가지고 장래의 긍정적인 계획을 세우는 내용을 측정하 는 긍정적 미래지향성(6문항)의 3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문항들은 ‘전혀 그렇지 않다(1점)’에서 ‘매우 그렇다(5점)’까지 5 점 Likert형 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자아탄력성 척도의 하위 요인별 총점이 높을수록 자아탄력성이 높음을 의미한다. 해당 자아탄력성 척도 의 내적일치도 계수는 .88로 구체적인 하위요인별 문항구성 및 신뢰도 는 다음과 같다.

하위 요인 문항번호 문항수 Cronbach ɑ

흥미와 관심의 다양성 1, 4, 8, 12, 16, 18, 20 7 .82 감정조절 2, 5, 7, 9, 11, 13, 19, 21 8 .78 긍정적 미래지향성 3, 6, 10, 14, 15, 17 6 .77

전체 21 .88

<표 Ⅲ-4> 자아탄력성 척도의 하위 요인별 문항구성 및 신뢰도

라. 진로성숙도

본 연구에서는 진로성숙도를 측정하기 위해 이기학과 한종철(1997a) 이 개발하여, 정희영(2010), 김말선(2011) 등의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 도구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진로성숙도 척도는 총 26문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선호하는 진로의 방향이 얼마나 확고한지를 측정하는 결정성(6문항), 진로 선택을 통해 추구하는 내용이 무엇인지, 개인의 욕 구와 현실에 타협하는 정도를 측정하는 목적성(7문항), 진로에 대한 관 심과 계획 및 참여 정도를 측정하는 준비성(5문항), 진로 선택을 얼마나 독립적·주도적으로 할 수 있는지를 측정하는 독립성(4문항), 진로 선택 문제에 대해 얼마나 믿음과 확신을 가지고 있는지를 측정하는 확신성(4 문항)의 5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문항들은 ‘전혀 그렇지 않다(1점)’에서 ‘매우 그렇다(5점)’까지 5점 Likert형 척도로 구성 되어 있으며, 진로성숙도 척도의 하위 요인별 총점이 높을수록 진로성숙 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해당 진로성숙도 척도의 내적일치도 계수는 .74 로 구체적인 하위요인별 문항구성 및 신뢰도는 다음과 같다.

하위 요인 문항번호 문항수 Cronbach ɑ

결정성 1, 2, 3*, 4*, 5*, 6 6 .84

목적성 7*, 8*, 9*, 10*, 11*, 12, 13* 7 .86

준비성 14, 15, 16, 17, 18 5 .68

독립성 19, 20, 21, 22 4 .81

확신성 23, 24, 25, 26 4 .89

전체 26 .74

※ ‘*은 역채점 문항임.

<표 Ⅲ-5> 진로성숙도 척도의 하위 요인별 문항구성 및 신뢰도

척도 문항수 CMIM

/DF RMR GFI AGFI CFI NFI IFI RMSEA

척도 문항수 CMIM

/DF RMR GFI AGFI CFI NFI IFI RMSEA

변인 예비조사(N=70) 본조사(N=1126)

사회적 지지 .922 .946

교사 지지 .899 .937

또래 지지 .892 .941

자아탄력성 .883 .917

흥미와 관심의 다양성 .871 .870

감정조절 .793 .825

긍정적 미래지향성 .848 .849

진로성숙도 .810 .841

결정성 .915 .880

목적성 .786 .825

준비성 .734 .784

독립성 .741 .833

확신성 .841 .8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