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후속 연구에 대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였다.

첫째, 가족건강성과 사회적 지지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과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의 비교 연구를 수행할 필

요가 있다. 본 연구를 진행하면서, 특성화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지각된 가족건강성, 사회적 지지, 진로성숙도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기준이 존재 하지 않아,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밝힌 특성화고에 대한 부정적인 사회 적 인식, 특성화고 학생의 낮은 자신감과 의욕 등의 특성을 확인하기에 한계가 있었다. 특히, 특성화고 학생의 전반적인 진로성숙도가 수치상 보통 이상 수준으로 나와 관련한 해석 및 시사점을 도출하는 부분과, 변 인간의 관계에 대해 인과적 추론을 하는 부분에서 어려움이 있었다. 따 라서, 같은 조사 도구를 활용하여, 특성화고등학교와 일반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변인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분석을 실시한다면, 특성화고등학교 의 맥락에 더욱 적합한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둘째, 특성화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아탄력성과 진로성숙도의 관계를 분석하는 더욱 다양하고 깊이 있는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부정적 인 사회 인식과 비자발적인 진학, 낮은 자신감 등 다른 계열의 고등학교 보다 많은 장벽에 맞닥뜨리는 특성화고 학생들에게 자아탄력성은 여러 측면에서 중요한 변인이라고 판단된다. 하지만, 자아탄력성이 국내에서 연구되기 시작한지가 오래되지 않아 대상을 불문하고 축적된 연구가 많 이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 변인으 로 가족건강성과 사회적 지지를, 그리고 매개 요인으로 자아탄력성으로 한정하여 연구하였지만, 가족과 또래, 교사 외에도 특성화고 학생들의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들이 존재하리라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대인관계 관련 변인들 외에 학생 개인적인 기질 혹은 심리적 변인들과 자아탄력성, 진로성숙도의 관계를 구명하는 연구를 진 행한다면, 자아탄력성과 진로성숙도의 관계에 대한 더욱 의미 있는 시사 점을 도출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셋째, 특성화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으로 사회적 지지원과 지지 유형을 함께 보는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 다. 본 연구에서는 특성화고 학생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대상을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하여, 특성화고 학생들의 진로성숙도에 상대적으로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지지원은 알 수 있지만, 지지원이 제공하는 지지 형태에

따른 차이를 보기에는 제한이 있다. 따라서, 교사, 친구, 가족과 같은 지 지원에 따라 어떠한 지지 형태가 진로성숙도에 긍정적 혹은 부정적인 영 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할 수 있는 연구가 진행된다면 진로성숙도를 높이 기 위한 더욱 구체적이고 효과적인 방안을 찾을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넷째, 유사한 주제하에 특성화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상반기에 표집을 실시하는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연구자가 본 연구를 진행하며 10 월과 11월에 걸쳐 설문 조사를 수행한 결과, 대부분의 특성화고등학교 의 3학년들이 실습을 하러 나간 시기라 1학년과 2학년에 비해 3학년에 대한 표집이 상대적으로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 모집단의 학년 비율은 대략 1 : 1 : 1이지만, 본 연구에 참석한 응답자의 학년 비율은 대략 1 : 1.1 : 0.4로 학년 별로 고루 표집이 이루어지지 않아 3학년의 경우 모집단의 비율과 큰 차이를 보여 연구 결과와 해석을 일반화 하는 데 다소 무리가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특성화고등학교의 특성과 일 정을 고려하고 학년 별로 고루 표집할 수 있는 시기를 선정하여 설문 조 사를 실시한다면 더욱 시사 하는 바가 많은 연구가 되리라 기대된다.

참고문헌

교육과학기술부. (2012). 고졸시대 정착을 위한 선취업-후진학 및 열린 고용 강화 방안 보고서.

강가영. (2014). 가족건강성과 학교생활적응이 아동의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강경연, 이자명, 문영주, 홍성숙. (2014). 여자고등학생이 지각한 부, 모애착 과 양육태도가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및 학교생활, 부모와의 관계 만족감 조절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9), 201-218.

강영미, 유순화, 윤경미. (2009). 전문계 고등학생이 지각한 진로장애와 자아 탄력성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6(1), 415-438.

강원덕. (2013).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 양육태도와 진로태도성숙, 진로준비 행동의 관계에서 자아정체감과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강남대학교 박 사학위논문.

강정임. (2012). 고등학생이 지각한 가족관계, 심리적 독립, 자아탄력성 및 진로태도성숙 간의 구조관계분석. 동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권미정. (2013).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자아탄력성, 부모지지, 학교생활적응 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동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기영. (2009).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자아탄력성 및 대 인관계성향의 관계.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도연, 오옥선, 김성봉. (2012). 고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지지와 진로성숙 도와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19(5), 71-91.

김말선. (2011).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진로 집단상담이 대학생의 진로의사

결정과 진로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명숙. (1995). 아동의 사회적 지지 척도의 개발. 대한가정학회지, 33(4), 37-47.

김미령. (2005). 사회적 지지의 개념과 효과에 관한 이론 및 방법론적 고찰.

임상사회사업연구, 2(1), 99-121.

김민정. (2014). 대학생의 진로자기조절, 진로결정효능감, 합리적 의사결정 및 진로탐색행동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성남. (2013). 특성화고졸 취업자의 진로발달 유형과 직장만족도의 관계.

직업교육연구, 32(3), 141-162.

김성환, 전용석. (2005). 청소년 진로선택 결정요인.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 회 논문집, 245-258.

김소예. (2008).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학교선택 만족 및 진로선택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수리, 이재창. (2007). 부모 지지,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 및 역기능적 진로 사고가 청소년의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2), 393-407.

김영란, 하정. (2015). 중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진로태도성숙의 관계에서 학 교적응의 매개효과. 청소년시설환경, 13(4), 157-169.

김은영. (2001). 한국 대학생 진로탐색장애검사(KCBD)의 개발 및 타당화 연 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정수, 노성덕. (2003). 청소년의 자살충동과 심리사회적 변인과의 관계. 한 양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대학생활연구, 21, 153-172.

김종운, 최미숙. (2014).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건강성, 사 회적지지, 자아탄력성, 희망, 또래관계기술의 구조적 관계분석. 청소

년상담연구지, 22(1), 201-226.

김지현. (2013).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내현적 자기애, 사회적 지 지, 학교생활적응 간의 구조관계분석. 동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충희. (2004). 내담자의 탄력성이 상담효과에 미치는 영향. 서울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현옥. (2010). 아동의 사회적 관계망이 역량지각 및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동덕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효은. (2012). 초기 청소년의 부모애착, 역기능적 태도, 자아정체감, 자아탄 력성, 사회적지지 및 우울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동아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김효진, 장윤옥. (2011). 공업고등학교 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진로준비행동과 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18(7), 1-32.

김충기. (1986). 진로교육과 진로지도. 서울: 배영사.

김희자. (2008). 부모애착, 부정적 자아평가, 친구관계가 고등학생의 진로성 숙도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복지연구, 10(4), 107-127.

나혜경. (2011). 전문계 특성화고등학교의 운영체제 강화방안에 관한 연구:

공업계 특성화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노미순. (1999). 일반계 고등학교 직업과정 청소년의 진로성숙과 사회적 지지 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류진숙. (2012). 대학생의 사회적지지, 가족탄력성, 자기결정성 및 진로결정 몰입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충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맹희주. (2014). 마이스터고와 특성화고 학생들의 직업가치관과 진로성숙도 비교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8(3), 579-599.

문은식. (2005). 중·고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지지와 심리적안녕 및 학교생

활 적응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19(4), 1087-1108.

민그래, 이희선. (2013). 중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스트레스 대처방식 간의 관계-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청소년시설환경, 11(4), 7-16.

민동일. (2007). 청소년의 가정건강성, 학교생활건강성 및 자아탄력성이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 인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박금녀. (2012).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의 학교폭력성향 감소를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박명희, 유임숙. (2012). 중학생이 지각한 가족건강성과 진로태도성숙도의 관 계. 한국가정과교육학회 학술대회, 1, 107-107.

박성미. (2004). 고등학생들의 진로결정과정에 영향을 주는 진로결정장애 분 석. 청소년상담연구, 12(2), 124-135.

박완성, 김미숙. (2009).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기효능감 및

박완성, 김미숙. (2009).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기효능감 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