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저작자표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저작자표시"

Copied!
4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2)

2 0 1 58 월 석사학위논문

일부 방사선학과 학생들의 방사선에 대한 피폭방어 행위의도 관련요인

조선대학교 보건대학원

보 건 학 과

(3)

일부 방사선학과 학생들의 방사선에 대한 피폭방어 행위의도 관련요인

Associated factors with intention to reducing radiation exposure among some college students with radiology

2015년 8월 25일

조선대학교 보건대학원

보 건 학 과

윤 요 상

(4)

일부 방사선학과 학생들의 방사선에 대한 피폭방어 행위의도 관련요인

지도교수 박 종

이 논문을 보건학 석사학위신청 논문으로 제출함

2015년 4월

조선대학교 보건대학원

보 건 학 과

(5)

윤요상의 석사학위논문을 인준함

위원장 조선대학교 교 수 류 소 연 (인) 위 원 조선대학교 교 수 한 미 아 (인) 위 원 조선대학교 교 수 박 종 (인)

2015년 6월

조선대학교 보건대학원

(6)

목 차

표 목 차 ⅲ

ABSTRACT ⅳ

I. 서론 1

II. 연구방법 3

A. 연구대상 3

B. 조사방법 4

C. 분석방법 7

III. 연구 결과 7

A. 대상자의 일반적 및 실습환경의 특성 분포 7 B. 대상자의 방사선에 대한 지식, 인식 및 행위의도 13 C. 일반적 특성, 실습환경 및 안전교육의 방사선 행위의도 관련성 19 D. 방사선 방어에 대한 지식, 인식과 피폭방어 행위의도의 상관관계25 E. 방사선 방어에 대한 지식, 인식과 피폭방어 행위의도의 회귀분석27

IV. 고찰 30

V. 요약 및 결론 33

참고문헌 34

(7)

표 목 차

표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8

표 2. 대상자의 실습환경 특성 10

표 3. 대상자의 방사선에 대한 안전교육 12

표 4. 대상자의 방사선에 대한 지식 14

표 5. 대상자의 방사선에 대한 인식정도 16

표 6. 대상자의 방사선에 대한 행위의도 18

표 7. 일반적 특성의 방사선 행위의도 관련성 20

표 8. 실습환경 특성과 방사선 행위의도 관련성 22

표 9. 안전교육과 방사선 행위의도 관련성 24

표 10. 방사선 방어에 대한 지식, 인식과 피폭방어 행위의도의 상관관계 26

표 11. 방사선 방어에 대한 지식, 인식과 피폭방어 행위의도의 회귀분석 28

(8)

ABSTRACT

Associated factors with intention to reducing radiation exposure among some college students with radiology

Yoon, Yo-Sang

Advisor: Prof. Park, Jong, M.D, Ph.D.

Department of Public Health,

Graduate School of Health Science, Chosun University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and awareness of radiation department students and their intent in defensive behavior to avoid radiation, in order to help the development of strategies to minimize radiation exposure.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otal 273 students who majored in radiology in universities. Data collected from by self-reported questionnaires. Descriptive analyses, t-tests,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e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reveal the association factors with intention to reducing radiation exposure among some college students with radiology.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p<0.05.

(9)

behavior intent(total of 5 point) 4.33±0.76. In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exposure health recognized for its impact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some awareness (β=-3.255, p=0.007) and a lot of awareness (β=-2.708, p=0.076). Intention to reducing radiation exposure due to the amount of training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six training sessions had significantly higher knowledge and awareness (β=2.819, p=0.095). The higher the knowledge (p=0.004) and awareness (p=0.029) of radiation, the greater the preventative behavior intent increased.

Conclusion: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knowledge and awareness of subjects on radiation, and their intent to protect themselves.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exposure to radia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raining to enhance knowledge and awareness on defenses to radiation exposure should be provided.

Key words: Awareness; Intention to reducing radiation; Knowledge

(10)

Ⅰ. 서 론

최근 의학 및 첨단 산업의 발전으로 방사선을 이용한 질병의 진단과 치료 기술 이 발달하고 건강에 대한 국민의 욕구가 증가함에 따라 그 이용이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건강에관한 관심도가 매우 높고, 첨단 의료장비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환자 및 방사선종사자의 피폭선량은 매년 꾸준히 증가되고 있다(식품의약품안전청, 2007) 그 중에 CT검사는 단순 방사선 촬영에 비해 상대 적으로 많은 피폭선량이 발생되고 있다. CT진료비청구건수는 1996년 CT급여이후 1998년 45만 건에서 2001년 100만 건으로 3년 새 2배 이상 증가하였다(건강보 험심사평가원, 2007). 우리나라의 경우, 식약청에서 피폭선량관리센터(National Dose Registry, 이하 NDR)를 2004년부터 운영하고 있으며 매년 방사선 관계종 사자들의 피폭선량을 취합, 분석하여 그 결과를 공표하고 있다. NDR(2009)이 발 표한 2009년도 직종별 방사선 관계종사자의 연간 평균 피폭선량분포를 보면, 방사 선사는 1.33mSv로 방사선과 전문의를 제외한 의사 0.39mSv, 방사선과 전문의 0.42mSv, 치과의사 0.21mSv, 간호사 0.66mSv 등에 비하여 월등히 높았다.

2009년도에 허용한계선량인 분기별 5mSv를 초과하여 주의조치를 받은 직종별 직 업종사자도 방사선사가 76.3%∼81.1%로 가장 많이 차지하였으며 집단유효 선량 은 23,624.36man ․ mSv로 가장 높은 비율(70.4%)을 차지했다(NDR, 2009). 이 처럼 다른 의료방사선종사자들보다 많은 이유는 업무상 방사선에 대한 노출빈도가 높았기 때문으로 분석하였다.

방사선은 감각으로 느낄 수 없고, 아주 많은 양의 피폭을 받았을 때 그 영향이 나타나기 때문에 한층 더 주의가 필요한 하다(Kim, 1998). 그러므로 방사선을 이 용할 때에는 인체가 적은 영향을 받도록 최소의 방사선량을 조사하여 최대의 이익 을 얻도록 해야 한다(Kim, 1992). 방사선의 이용은 진단 및 치료에 편익을 제공 하지만, 피폭으로 말미암아 장애발생의 요인이 된다(한은옥, 2008). 방사선은 인체 피폭 시 세포와 인체 내의 물과 직, 간접적인 이온화 작용으로 분자구조의 변화를 일으킨다. 이 변화는 방사선 손상이나 장애 및 정상세포에 영향을 주어 우리가 원

(11)

다(Feigenbaum 등,1998). 그 중에서 차폐는 가장 직접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이며, 시설을 갖추는 것과 개인용 보호 장구를 착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Johnson, 1994). 그럼에도 불구하고 방사선 이용의 증가로 인해 방사선 관련 종사자들이 방 사선에 노출되는 기회가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방사선 피폭기회 또한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방사선 종사자의 직업적 피폭을 개선하지 않 으면 종사자들의 잠재적인 방사선 피해가 축적되어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 다(Kim, 2001). 특히 방사선사들은 업무상 가장 많은 피폭을 받는 집단으로, 방사 선 노출에 의한 장해예방과 건강관리가 타 직업군에 비해 더욱더 중요하게 다루어 져야 한다(조평곤, 2007).

지금까지 방사선 방어와 관련된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 의료기관 방사선 종사자 (김수현, 2000), 혈관조영실에서 근무하는 방사선 직업 종사자(조현철, 2004), 치 과 의료기관 종사자(Kang, 2012), 수술실 간호사(강성금, 2013), 내시경실 간호 사들에 대한 조사가(홍선미, 2014) 대부분이며, 방사선학과 대학생들의 방사선 방 어행위와의 관련 요인의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전성희, 한은옥, 2008).

방사선 피폭 방어행위는 방사선의 장해를 예방하기 위한 꼭 필요한 사항이며 방 사선에 대한 안전을 위해서는 향후 방사선 관계 종사자가 될 학생시절부터 방사선 안전에 대해 정확한 지식과 인식을 갖도록 하는 게 필요하다. 특히 학생의 방사선 지식과 인식은 방사선사가 된 후 방사선사 업무의 바탕으로 사회의 중요한 직업군 으로 성장하여 많은 영향을 미친다(Kim, 2003). 이에 방사선 방어가 생활화 될 수 있도록 향후 방사선 관계종사자가 될 학생들의 피폭에 대한 감소를 습관 형성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방사선학과 대학생들의 방사선에 직, 간접적으로 노출되 고 있는 실습학생의 방사선 방어에 대한 지식, 인식과 피폭방어 행위의도와의 관련 성을 파악함으로써 학생들의 방사선 노출을 최소화하기 위한 기본적인 방안을 마 련하고자 하였다.

(12)

Ⅱ. 연구방법

A. 연구 대상

광주, 전남지역의 방사선(학)과가 있는 대학교를 임의로 선정하여 이 중 설문 조 사가 가능했던 4년제 대학교 2개교, 전문대학교 2개교, 총 4개교 재학생 중 임상 실습 경험이 있는 학생 320명을 조사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해 학생들의 강의와 실습을 지도하는 해당 학과 학과장에게 연구의 목적과 내용을 설명하고 허 락을 받은 후 의료기관에서의 임상실습을 마친 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의 취지와 목적을 설명한 후 자발적으로 참여한 자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배포된 320부중 292부가 회수되었으며, 이 중 응답 내용이 불성실하거나 부적합한 19부를 제외한 총 273부를 대상으로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의 윤리성 확보를 위해 조선대 학교병원 기간생명윤리위원회(IRB)의 심의 과정을 거쳐 승인을 얻었다.

(13)

B. 조사방법

조사 기간은 4월 16일부터 4월 30일까지 이었다. 설문지는 해당학과 학과장에게 연구의 목적과 내용을 설명하고 협조를 구한 후 실습조교를 통해서 자기기입식 설 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설문지의 구성은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10문항), 실습환 경특성(7문항), 안전교육(2문항), 방사선지식(15문항), 방사선 인식(5문항), 방사선 피폭 방어 행위의도(15문항)등 총 54문항으로 하였다.

1) 일반적 특징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성별, 연령, 거주상태(자가, 자취, 친척집, 기숙사)를 조사하였다. 건강관련 특성은 흡연상태(매일 피움, 가끔 피움, 과거 흡연자, 피우지 않음), 스트레스(많음, 적음), 음주빈도(비 음주, 한 달에 1회, 한 달에 2회 이상), 주관적 건강인식(매우 건강하다, 건강하다, 불건강하다, 매우 불 건강하다) 규칙적 운동(예, 아니오)을 조사하였다. 동아리 가입여부(가입, 비 가입), 진로상담 여부 (한다, 안 한다)등을 묻는 질문 10문항으로 구성하였다.

2) 실습환경 특성

조사 대상자의 실습환경 특성은 실습기관(대학병원, 종합병원, 중형병원, 의원), 실 습방식(순환, 고정), 실습병원의 방사선 방어 설비(매우 잘 되어 있다, 잘 되어있 다, 부족하다, 매우 부족하다)를 조사하였다. 실습 중에 방사선 피폭 때문에 건강이 염려되는지(대단히 많음, 많음, 약간 있음, 거의 없음), 방사선 피폭이 건강에 미치 는 영향에 대한 인식(대단히 많음, 많음, 약간 있음, 거의 없음)를 조사하였다. 보 호 장구를 착용하면 방사선 피폭을 줄일 수 있는가(매우 그렇다, 그렇다, 보통이다, 그렇지 않다. 매우 그렇지 않다), 실습기간 동안에 보호 장구 착용의 정도(항상 착 용했다, 대부분 착용 했다, 약간 착용 했다, 전혀 착용하지 않았다)등을 묻는 7문항 으로 구성하였다.

3) 안전교육

조사 대상자의 방사선에 대한 교육(받았다, 안 받았다), 교육 횟수(1회 이상, 2-3

(14)

회, 4-5회, 6회 이상)를 묻는 2문항으로 구성하였다.

4) 방사선에 대한 지식 정도

방사선의 지식 측정 도구는 한은옥과 권덕문(2007)이 방사선사를 대상으로 개발 한 도구를 이용하였다. 15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방사선 방어와 관련된 지식의 평 가는 문항별로 정답으로 응답한 개수를 합산하여 처리하였다. 최저 0점에서 최고 15점 만점을 100점으로 환산하였다. 점수가 높을수록 방사선에 대한 지식이 높음 을 의미한다.

5) 방사선에 대한 인식 정도

방사선의 인식 측정 도구는 5문항으로 방사선사 대상의 정창민등(2009)의 설문 도구를 사용하였다. 방사선의 인식정도에 관한 항목은 일상생활 중에서 우주나 자 연으로부터 방사선피폭을 받고 있는지, 방사선 검사하는 경우 간접적으로 방사선 피폭을 받게 되는지, 자연 방사선에 대해여, 방사선 검사 시 직접적으로 방사선 피 폭을 받는지, 의료용 방사선에 대한 질문을 Likert 4점 척도로, “매우 잘 알고 있 다” 4점, “조금 알고 있다” 3점, “잘 모르고 있다” 2점, “전혀 모르고 있 다” 1점으로 점수화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인식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신뢰도 지수 Cronbach’s α는 0.91이었다.

6) 방사선 피폭방어 행위의도

방사선피폭 방어행위란 방사선 피폭으로 부터 인체를 보호하는 행동을 의미한다.

방사선사를 대상으로 연구한 한은옥과 권문덕 (2007)의 방사선 방어행위 도구 15 문항을 사용 하였다. 각 문항은 Likert 5점 척도로 구성되었으며 “전혀 하지 않는 다.”1점,“항상 한다.”5점으로 점수를 부여하여, 최저 15점에서 최고 75점의 범 위를 보였다. 점수가 높을수록 방사선 방어행위 기대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원 도구 한은옥(2007)의 신뢰도는 Cronbach’s α는 0.89이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Cronbach’s α는 0.92이었다.

(15)

C. 자료 분석 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0.0을 이용하여 분석 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과 실습환경 특성을 빈도와 백분율로 제시하였다. 대상자의 방사선의 지식, 인식에 대한 문항을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제시하였고,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실 습환경에 따른 지식, 인식과 방어 행위의도와의 관련성은 t-검정, 분산분석 (ANOVA),상관분석을 이용하였다. 피폭방어 행위의도와 관련이 있는 요인을 파악 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회귀분석 시 불연속변수는 가변수를 설정하 여 분석하였다. 통계적 유의성은 p<0.05로 하였다.

(16)

Ⅲ. 연구 결과

A. 대상자의 일반적 및 실습환경 특성 분포

1. 일반적 특성

방사선과 학생들의 일반적인 특성을 살펴본 결과, 성별은 남자가 54.6%로 구성 분율이 높았으며, 연령 평균은 22.0±1.75세이며, 학년은 3학년이 43.2%가 가장 많았고, 2학년은 33.0%, 4학년이 23.8% 순이었다. 거주 형태는 자가인 경우가 49.1%로 가장 많았다. 흡연의 경우도 20.1%가 매일 피운다고 응답하였다. 동아리 는 9.9%가 가입을 하였고, 음주의 경우도 한 달에 2회 이상인 경우가 66.3%로 가장 많았고, 건강인식 상태는“건강한 편이다.”라는 응답자가 65.9%로 높았다.

운동의 경우는 41.0%가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고 있었고, 스트레스는 35.9%가 비 교적 높다고 응답하였으며, 친구나 교수에게 진로 상담을 하는 경우는 52.0%이었 다(표 1).

(17)

변수 구분 빈도(N) 백분율(%)

성별 남자 149 54.6

여자 124 45.4

연령 20세 이하 53 19.4

21~23세 139 32.4

24~26세 184 42.9

27세 이상 94 21.9

연령(M±SD) 22.0±1.75

학년 2학년 90 33.0

3학년 118 43.2

4학년 65 23.8

거주형태 자가 거주 134 49.1

자취, 하숙 105 38.5

친척집 거주 2 7.0

기숙사 32 11.7

흡연상태 매일 피움 55 20.1

가끔 피움 17 6.2

과거에 피움 13 4.8

피우지 않음 188 68.9

스트레스 많음 98 35.9

적음 175 64.1

음주 비 음주 43 15.8

한 달에 1회 49 17.9

한 달에 2회 이상 181 66.3

건강인식 매우 건강 54 19.8

건강 180 65.9

불 건강 35 12.8

매우 불 건강 4 1.5

운동 예 112 41.0

아니오 161 59.0

동아리 가입 27 9.9

비 가입 264 90.1

진로상담 함 142 52.0

하지 않음 131 48.0

표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N=273)

(18)

2. 대상자의 실습환경 특성

방사선과 학생들의 실습환경 특성을 살펴본 결과 실습기관은 대학병원에서 67.4%가 실습하였고, 실습방식은 여러 부서를 순환하는 방식이 83.5%이었다. 방 사선 피폭 염려는“약간 있음”이 41.8%, “거의 없음”이 38.1%이었으며, 방사 선 피폭 인식은 “약간 있음” 46.5%, “거의 없음”이 33.7%로 응답 비율이 높 았다. 보호 장구의 피폭 예방 효과의 설문에는 “피폭을 줄일 수 있다”라고 생각 하는 경우가 79.5%로 높았다. 보호구 착용은 45.8%가“대부분 착용했다”, “약 간 착용”은 33.7%, “항상 착용”은 15.0%, “전혀 착용하지 않음”5.5%순이었 다(표 2).

(19)

변수 구분 빈도(N) 백분율(%)

실습기관 대학병원 184 67.4

종합병원 89 32.6

실습방식 순환 228 83.5

고정 45 16.5

실습과정에서 방사선 피폭 염려

대단히 많음 19 7.0

많음 36 13.2

약간 있음 114 41.8

거의 없음 104 38.1

실습과정에서

방사선 피폭 건강 인식

대단히 많음 8 2.9

많음 46 16.8

약간 있음 127 46.5

거의 없음 92 33.7

실습과정에서

보호 장구의 피폭 예방효과

그렇다 217 79.5

보통이다 50 18.3

그렇지 않다 6 2.2

실습과정에서 보호구 착용 항상 착용 41 15.0

대부분 착용 125 45.8

약간 착용 92 33.7

전혀 착용하지 않음 15 5.5

표 2. 대상자의 실습환경 특성 (N=273)

(20)

3. 대상자의 방사선에 대한 안전교육

방사선에 대한 안전교육에 대해서는 96,3%가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다고 하였 으며, 교육을 받은 적이 있다면 횟수는 1회 이하가 15.4%, 2-3회가 39.7%, 4-5 회는 12.5%, 6회 이상이 33.0%이었다(표 5).

(21)

변 수 구분 빈도(N) 백분율(%)

방사선에 대한 교육 있음 263 96.3

없음 10 3.7

교육을 받은 적이 있다면 그 횟수 1회 이하 42 15.4

2-3회 107 39.2

4-5회 34 12.5

6회 이상 90 33.0

표 3. 대상자의 방사선에 대한 안전교육 (N= 273)

(22)

B. 대상자의 방사선에 대한 지식, 인식 및 행위의도

1. 대상자의 방사선에 대한 지식

방사선과 학생들의 방사선 방어에 대한 지식 정도를 측정한 결과 15점 만점에 평균 12.1점이었고, 100점 만점으로 환산해 볼 때 81.1점에 해당하는 점수이었다.

방사선 방어에 대한 지식의 문항별 정답률을 살펴보면“방사선 촬영 시 방호용구 사용은 방사선 방어에 도움이 된다”의 정답률이 98.9%로 가장 높았고, “납 앞치 마(Apron)는 X선을 방어할 수 있다”의 정답률이 98.5%, “ 인체에서 생식선은 방사선에 민감한 부위이고 유전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97.8% 순서이었다. 그 러나 “방사선 관계 종사자는 2년마다 말초 혈액중의 혈색소량, 적혈구 및 백혈구 수를 측정해야한다”가 61.8%, “법정 개인 피폭 선량계는 TLD와 Film-Badge 두 종류뿐이다”는 41.4%, “납 치마(Apron)는 영구히 사용할 수 있다”가 35.9%순이었으며,“방사선 관계 종사자의 연간 평균피폭선량은 20mSv이다”라는 항목의 정답률이 27.5%로 가장 낮았다(표 5).

(23)

항목(정답) N 정답률(%) 1. 방사선 촬영 시 방호용구 사용은 방사선 방어에

도움이 된다. (그렇다) 270 98.9

2. 납 앞치마(Apron)는 X선을 방어할 수 있다.

(그렇다) 269 98.5

3. 인체에서 생식선은 방사선에 민감한 부위이고

유전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그렇다) 267 97.8 4. 방사선 피폭으로 인해 암, 백혈병, 탈모, 홍반 등

의 장해가 나타날 수도 있다. (그렇다) 266 97.4 5. 임신 시 방사선 피폭은 태아사망, 기형, 기능저하

등이 발생할 수 있다 (그렇다) 266 97.4

6. 환자의 움직임은 화질을 나쁘게 한다. (그렇다) 264 96.7 7. 방사선 기기의 정기적인 성능 검사는 방사선 출력

량의 정확성을 높인다. (그렇다) 257 94.1

8. X선의 차폐는 납이나 콘트리트로된 물질로 가능

하다. (그렇다) 256 93.8

9. 방사선 조사 면적이 넓을수록 환자가 받는 피폭

량은 많아진다. (그렇다) 253 93.0

10. 방사선의 강도는 거리가 멀수록 감소한다.

(그렇다) 250 91.6

11. 방사선 관계 종사자는 법정교육을 이수해야

한다. (그렇다) 250 91.6

12. 방사선 관계 종사자는 2년마다 말초 혈액중의 혈색소량, 적혈구 및 백혈구 수를 측정해야한다.

(그렇다)

168 61.8

13. 법정 개인 피폭 선량계는 TLD와 Film-Badge

두 종류뿐이다. (그렇지 않다) 113 41.4

14. 납 치마(Apron)는 영구히 사용할 수 있다.

(그렇지 않다) 98 35.9

15. 방사선 관계 종사자의 연간 평균피폭선량은

20mSv이다. (그렇지 않다) 75 27.5

표 4. 대상자의 방사선에 대한 지식 정도 (N= 273)

(24)

2. 대상자의 방사선에 대한 인식정도

방사선과 학생들의 방사선 방어에 대한 인식 정도를 측정한 평균 평점은 4점 만 점에서 3.38±0.58 점수로 방사선 방어에 대한 인식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문항별 점수는“자연 방사선에 대해여 알고 있습니까”가 3.44±0.67점으로 가장 높은 인식 수준을 나타냈고, “주변에서 방사선 검사하는 경우 본인이 간접적으로 방사선 피 폭을 받게 되는지 알고 있습니까” 3.39±0.66점, “일상생활 중 우주나 자연으로부 터 방사선피폭을 받고 있는지 알고 있습니까” 3.38±0.58점, “방사선 검사 시 직 접적으로 방사선 피폭을 받는지 알고 있습니까” 3.36±0.66점이었으며, “의료용 방사선에 대하여 알고 있습니까” 문항이 3.34±0.61점으로 인식도가 가장 낮았다 (표 4).

(25)

항 목 M±SD

1. 자연 방사선에 대해여 알고 있습니까 3.44±0.67

2. 주변에서 방사선 검사하는 경우 본인이 간접적으로 방사선

피폭을 받게 되는지 알고 있습니까 3.39±0.66

3. 일상생활 중 우주나 자연으로부터 방사선피폭을 받고

있는지 알고 있습니까 3.38±0.58

4. 방사선 검사 시 직접적으로 방사선 피폭을 받는지 알고 있습니까

3.36±0.66

5. 의료용 방사선에 대하여 알고 있습니까 3.34±0.61

평균평점 3.38±0.58

표 5. 대상자의 방사선에 대한 인식 정도 (N= 273)

(26)

3. 대상자의 방사선에 대한 행위의도

방사선과 학생들의 방사선에 대한 행위의도를 측정한 점수는 4.33±0.76이었고, 100점 만점으로 환산 할 경우 85.05점이었다. 방사선에 대한 행위의도의 문항은

“방사선 노출 시 방사선원과 환자로부터 적정한 거리를 유지한다.”4.56±0.63점 으로 가장 높았다. “방사선 관련 근무 중에는 상시 개인피폭 선량계를 착용한다.”

4.45±0.82점, “매월 또는 매분기로 개인피폭선량계로 측정되어진 피폭 선량을 확인한다.” 4.39±0.79점, “방사선 노출되는 시간을 짧게 하려고 노력 한다”

4.33±0.80점 순서 이었다. “ 방사선 방어에 대한 교육을 정기적으로 받는다.”

4.32±0.79점, “여자환자인 경우 생리주기 또는 임신여부를 확인한다.”

4.29±0.87점, “방사선 노출 환경에서 작업 시 납 안경을 착용 한다.”

4.08±1.03점, “방사선 피폭과 관련하여 2년마다 정기적으로 건강검진을 받는 다.”가 4.01±0.97점으로 낮았다(표 6).

(27)

항 목 M±SD 1. 방사선 노출 시 방사선원과 환자로부터 적정한 거리를 유지

한다. 4.56±0.63

2. 촬영 시 출입문은 차폐된 상황에서 촬영한다. 4.51±0.73 3. 납 앞치마(Apron)를 사용한 후 바르게 펴서 보관한다. 4.47±0.66 4. 방사선 관련 근무 중에는 상시 개인피폭 선량계를 착용한다. 4.45±0.82 5. 방사선 노출 환경에서 작업 시 납 앞치마(Apron)를 착용한다. 4.44±0.70 6. 매월 또는 매분기로 개인피폭선량계로 측정되어진 피폭 선량을

확인한다. 4.39±0.79

7. 방사선 발생장치를 실수로 밟지 않도록 관리한다. 4.43±0.64 8. 방사선 노출 환경에서 작업 시 갑상선 보호대를 착용한다. 4.37±0.80 9. 방사선 노출되는 시간을 짧게 하려고 노력한다. 4.33±0.80 10. 방사선 방어에 대한 교육을 정기적으로 받는다. 4.32±0.79 11. 여자환자인 경우 생리주기 또는 임신여부를 확인한다. 4.29±0.87 12. 방사선 방어와 관련하여 시술의사 또는 방사선사와 의논한다. 4.29±0.81 13. 납 앞치마(Apron)의 성능 시험을 받는다. 4.19±0.91 14. 방사선 노출 환경에서 작업 시 납 안경을 착용한다. 4.08±1.03 15. 방사선 피폭과 관련하여 2년마다 정기적으로 건강검진을

받는다. 4.01±0.97

평균 평점 4.33±0.76

표 6. 대상자의 방사선에 대한 행위의도

(28)

C. 일반적 특성, 실습환경 및 안전교육의 방사선 행위의도 관련성

1. 일반적 특성과 방사선 방어 행위의도와의 관련성

일반적 특성의 방사선에 대한 행위의도 관련성을 분석 결과 성별에서 남자가 66.27±7.84점, 여성63.75±9.07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p=0.014), 학년에서 2학년이 63.07±9.57점, 3학년 65.61±8.20점, 4학년 67.07±6.82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0). 거주형태, 규칙 적 운동, 건강인식, 흡연, 음주, 동아리 가입 여부, 진로상담, 스트레스는 방사선 행위 의도와는 유의한 관련을 보이지 않았다(표 7).

(29)

변수 구분 행위의도 t or F P-value

성별 남 66.27± 7.84 2.465 0.014

여 63.75± 9.07

학년 2학년 63.07± 9.57 4.639 0.010

3학년 65.61± 8.20

4학년 67.07± 6.82

거주형태 자가 65.14± 8.43 0.759 0.518

자취 65.71± 8.35

친척집 61.00±19.79

기숙사 63.40± 8.76

규칙적 운동 한다 65.22± 8.93 0.151 0.880

안 한다 65.06± 8.21

건강인식 매우건강 66.35± 9.98 0.789 0.501

건강 64.83± 8.17

불 건강 64.31± 7.91 매우 불 건강 68.12± 6.34

흡연 매일 피움 66.10± 7.15 0.901 0.441

가끔 피움 67.47± 8.54 과거에 피움 65.30±10.57 피우지 않음 64.61± 8.71

음주 비 음주 64.98± 8.31 0.052 0.950

한 달에 1회 64.83± 8.91 한 달에 2회 이상 65.24± 8.48

동아리 가입 65.40± 8.85 0.173 0.863

미 가입 65.09± 8.48

진로 상담 했음 65.27± 8.98 0.297 0.767

안했음 64.96± 7.98

스트레스 대단히 많음 63.91± 9.05 0.449 0.718

많음 64.81± 8.30

약간 있음 65.24± 8.51 거의 없음 66.68± 8.85

표 7. 일반적 특성과 방사선 방어 행위의도와의 관련성 (N=273)

(30)

2. 실습환경 특성과 방사선 행위의도 관련성

실습환경 특성과 방사선 행위의도 관련성에 있어서 실습 중 피폭 건강인식에서 “대 단히 많음”68.62±6.18점, “많음”64.63±8.09점, “약간 있음”63.25±9.05 점, “거의 없음”67.65±7.40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01). 실습기관, 실습방식, 방어설비, 피폭 염려, 보호구 피폭감소 효과, 보호 장구 착용은 방사선 행위의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표 8).

(31)

변수 구분 행위의도 t or F P-value

실습기관 대학병원 65.05± 8.30 -186 0.853

종합병원 65.26± 8.94

실습방식 순환 65.24± 8.31 0.452 0.653

고정 64.55± 9.47

방어설비 매우 잘되어있음 66.22± 8.31 2.157 0.118 잘되어 있음 64.95± 8.58

부족 61.40± 7.88

피폭 염려 대단히 많음 65.36± 7.76 1.744 0.158

많음 64.16± 9.75

약간 있음 64.07± 8.35 거의 없음 66.56± 7.40

피폭 건강인식 대단히 많음 68.62± 6.18 5.508 0.001

많음 64.63± 8.09

약간 있음 63.25± 9.05 거의 없음 67.65± 7.40

보호구 피폭감소 효과 그렇다 65.70± 8.23 2.580 0.078 보통이다 62.72± 8.60

그렇지 않다 64.16±14.21

보호 장구 착용 항상 착용 66.17± 8.04 0.314 0.815 대부분착용 65.16± 8.71

약간 착용 64.61± 8.31 전혀 착용하지 않음 65.06± 9.63

표 8. 실습환경 특성과 방사선 행위의도 관련성 (N=273)

(32)

3. 안전교육의 방사선 행위의도 관련성

안전교육과 방사선 행위의도 관련성에 있어서 교육 횟수가 1회 이하 60.00±10.29 점, 2-3회 65.12±8.05점, 4-5회 64.88± 8.28점, 6회 이상 66.68±7.90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32). 교육 여부에 따라서는 “받지 않 음” 65.32±8.40점과 “받음”은 60.00±9.93점으로 경계역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0.052)(표 9).

(33)

변수 구분 행위의도 t or F P-value

교육 받지 않음 60.00± 9.93 1.953 0.052

받음 65.32± 8.40

교육 횟수 1회 이하 60.00±10.29 2.977 0.032

2-3회 65.12± 8.05 4-5회 64.88± 8.28 6회 이상 66.68± 7.90

표 9. 안전교육과 방사선 방어 행위의도 관련성 (N=273)

(34)

D. 지식, 인식과 피폭방어 행위의도의 상관관계

나이, 방사선에 대한 지식, 인식과 피폭방어 행위의도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피어슨 상관계수를 구한결과는 방사선에 대한 지식(r=0.256)과 인식 (r=0.225)이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나이는 행위의도와 통계적으로 유의 한 음(r=-0.187)의 상관이 있었다(표 10).

(35)

항목 나이 인식 지식 행위의도

나이 1.000

인식 0.108 1.000

지식 0.159** 0.166** 1.000

행위의도 0.187** 0.225** 0.256** 1.000 표 10. 방사선 방어에 대한 지식, 인식과 피폭방어 행위의도의 상관관계 (N=273)

*. p<0.05 **. p<0.01

(36)

E. 방사선 방어에 대한 지식, 인식과 피폭방어 행위의도의 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결과 피폭 인식은 “거의 없음”에 비해 “약간 있음”(β=-3.255, p=0.007), “많음”(β=-2.708, p=0.076)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교육 횟수에 따라서는 “6회 이상”군에서 1회 이하 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 (β=2.819, p=0.095), 방사선에 대한 지식(p=0.004), 인식(p=0.029)이 높아질수록 피폭 방 어 행위의도가 유의하게 증가 하였다(표 11).

(37)

변수(Reference) 구분 B t P-value

성별(/여) 남 -1.292 -1.115 0.266

학년(/2학년) 3학년 0.765 0.621 0.535

4학년 2.255 1.442 0.150

피폭 인식 (/거의 없음)

약간 있음 -3.255 -2.728 0.007

많음 -2.708 -1.779 0.076

대단히 많음 1.887 0.617 0.538

보호구피폭 감소효과 (/그렇지 않음)

보통 -1.426 -0.406 0.685

그렇다 0.771 0.231 0.818

교육(/안받음) 2.738 0.888 0.376

교육 횟수(/1회 이하) 2-3회 2.553 1.560 0.120

4회 이상 2.973 1.494 0.136

6회 이상 2.819 1.675 0.095

나이 0.284 0.819 0.413

지식 0.978 2.88 0.004

인식 0.412 2.195 0.029

표 11. 방사선 방어에 대한 지식, 인식과 피폭방어 행위의도의 회귀분석(N=273)

r²=19.1%

(38)

Ⅳ. 고찰

지금까지 시행된 방사선 방어에 대한 국내 연구를 살펴보면, 주로 방사선을 다루 는 방사선 관계 종사자에 대한 실태조사가 대부분이며, 학생을 대상으로 시도된 연 구는 매우 부족하다(노지숙 등, 2011). 방사선학과 대학생들의 방사선에 직, 간접 적으로 노출되고 있는 실습학생의 방사선 방어에 대한 지식, 인식과 피폭방어 행위 의도와의 관련성을 파악하였다. 연구 대상자은 보건계열 대학교에 재학 중인 방사 선(학)과 전공대학생 273명 조사대상으로 하고 자료의 조사로 자기기입식 설문조 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의 방사선 안전 교육은 96.3%가 받았다고 응답하였고, 이는 김수현 (2000)의 방사선 종사자의 63.1%에 비해 높았고, 조현철(2004)의 혈관조영실 방 사선 작업 종사자의 68.5%와 비교해 볼 때 이번 연구대상자들의 교육 참여는 선 행연구에 비해 높았다. 이는 안전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학교교육이 꾸준히 증가하 고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학생들의 정규교육 과정에 방사선 장애방어와 방사선 관리 학 등의 과목이 포함되어 있어 이를 통한 교육의 효과로 생각된다(한은옥, 2009).

방사선학과 학생들의 방사선에 대한 지식 정도를 측정한 결과 15점 만점에 평균 12.1점이었고, 100점 만점으로 환산해 볼 때 81.1점에 해당하는 점수이었다. 이는 같은 도구를 사용한 방사선사 대상으로 한 한은옥(2009)의 89.54점 보다 낮은 점 수이며, 혈관조영실 방사선 작업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조현철(2004)의 80.25점과 유사 하였고, 수술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강성금(2011)의 백분율 47.3점보다 높은 점수이다. 이는 학생들이 재학 중 계속 교육을 받기 때문에 교육의 경험에 의 해 지식이 상승됨을 시사하며(한은옥, 2009), 정규 교육을 받은 집단이 각종 시술 의 보조를 맡고 있는 간호사보다 교육의 기회가 증가하여 방사선에 대한 지식이 높게 나타났다 해석할 수 있다(강성금, 2011).

방사선에 대한 인식 정도를 측정한 평균 평점은 4점 만점에서 3.38±0.58점으로, 방사선 방어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창민(2009)등이 측정한 평균 평

(39)

행위의도를 측정한 결과 평균점수는 4.33±0.76으로 높았다. 75점 만점에 72.06점이며, 백분율로 환산 하면 85.7점에 해당한다. 이는 같은 도구를 사용한 방사선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 79.79점 보다 낮았고(한은옥, 2009), 그러나 수 술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 51.6점 보다는 높게 나타났다(강성금, 2011). 종합적으로 보면 방사선사 보다는 낮은 점수이며 수술실 간호사보다는 높 은 점수라 할 수 있다. 방사선사는 간호사 보다는 방사선 방어를 위한 교육 및 제 도적인 안전장치가 잘 이루어져 있지만, 수술실 간호사는 방사선 방어행위가 자기 주도하에 있지 않기 때문에 방사선사 보다 낮았음을 추정할 수 있다(홍선미, 2014).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에서는 방사선 방어에 대한 행위의도에 영향과의 관 련요인은 피폭 건강인식에“약간 있음”이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 교육 횟수에 따 라서는 “6회 이상”군에서 1회 이하 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 그리고 방사 선에 대한 지식이 높아질수록 피폭 방어 행위의도가 유의하게 증가 하였고, 인식이 높을수록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실습환경 특성과 방사선 행위의도 관련성에 있어서 실습 중 피폭 건강에 미치는 인식 에서는 “약간 있음”63.25±9.05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는 미량의 방사선의 피폭을 간과하여 낮은 수준의 방사선 노출이 건강상의 영향이 인 체에 미치는 영향이 적게 생각하는 김수현(2000)의 의료기관 방사선 관계 종사자 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방사선에 의한 심각한 우려를 하지 않고 있었다는 연구 와 일치 하였다. 저선량 방사선에 의한 실험환경에서의 염색체 손상은 증명되었으 나, 실제 인체 내에서 발병에 이르기까지의 인과 관계에 대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저선량 방사선의 피폭영향에 대하여 좀 더 많은 연구와 관심이 필요한 시점이다(도경현, 2011).

방사선 안전교육과 방사선 행위의도 관련성에 있어서 교육 횟수에 따른 방사선 행 위의도 관련성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는 교육 횟수가 많을 수록 방사선 피폭에 대한 행위를 잘하고 있는 점에서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한은 옥, 2009). 이는 교육을 통해 지식을 쌓고 인식을 하게 되며 행위의 변화를 가져 온 것으로 판단되고, 학생들의 반드시 방사선 방어 교육을 받아야 하는 근거가 된 다(전고은, 2013). 여러 형태의 다양한 교육들이 제공되어야 하며, 교육에 쉬게 접 근 방안을 강구하여 강화할 필요가 있다(강성금, 2011).

(40)

조사대상자의 방사선 방어에 대한 지식, 인식과 피폭방어 행위의도의 상관관계를 분석 결과 행위의도에서는 나이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고, 지식과 인식 높아질 수록 피폭 방어 행위의도가 유의하게 증가 하였다. 이는 한은옥(2007)의 연구에서 의료기관 방사선 종사자에서 지식, 인식이 방어행위와 유사한 상관관계가 있었다는 것과 유사한 결과이다. 그러므로 방사선에 대한 올바른 지식과 인식을 높이기 위해 서 지속적 방사선의 위해성에 대한 올바른 교육을 통해 이해를 높여야 한다. 김정 훈 등(2011)의 방사선사의 방사선에 대한 지식, 인식 행위 분석 연구를 진행하였 는데 방사선 방어 행위와 지식과 인식은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방사선 방어 행위에 미치는 영향력은 지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교육을 통해 방사선 지식을 함양하 여 방사선 피폭을 줄일 것을 강조하였다. 방사선 방어에 대한 행위의도에는 지식과 인식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방사선 방어행위의 영향요인 으로 방사선 지식과 인식이 가장 높은 영향력을 나타냈던 연구와 유사한 결과이며 (한은옥, 2009), 치위생사를 대상으로 한(김경원, 엄숙, 2012)의 연구에서 방사선 지식과 인식이 주요 변수로 나타났던 연구 결과와 유사하였다. 방사선 방어행위에 는 지식과 인식이 가장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학생의 지식과 인식을 향상시키는 교육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학교교육이 적절하게 이루어진다면, 피폭 방어 행위가 높아 질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 첫째, 연구 대상은 일부지역에 한정된 대학에 소속된 방사 선학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편의추출 하였기 때문에 전체의 방사선학과 대학생을 대표하지 못 하고 있어 연구 결과를 일반화 하는데 무리가 있다. 지역적 제한성을 가지므로 전국적으로 대상을 확대하여 연구를 할 것을 제안한다. 둘째, 실습을 마 친 대상으로 기억에 의한 오차가 발생 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방사선학과 대학생이 방사선 피폭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지 식, 인식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올바른 방사선 피폭관리 교육을 통해 지식수준을 높이고 교육의 방향을 검토하여 방사선 피폭관리에 인식을 더욱 고취시킬 필요가 있다.

(41)

Ⅴ. 요약 및 결론

방사선에 직, 간접적으로 노출되고 있는 대학 방사선학과 실습학생의 방사선 방어 에 대한 지식, 인식과 피폭방어 행위의도와의 관련성을 파악함으로써 학생들의 방 사선 노출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에 도움을 주고자 시행하였다.

보건계열 대학교에 재학 중인 방사선학 전공대학생 273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일반적 특성, 실습환경 특성, 방사선에 대한 지식, 인식 정 도, 안전교육 실태와 종속변수의 방사선 방어 행위의도를 조사하였다. t-검정, 분 산분석, 상관분석을 시행한 후 피폭 방어 행위의도에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적 유의성은 p<0.05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며 다음과 같다.

대학생의 방사선 피폭방어 행위의도에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회귀분석 을 실시한 결과 방사선에 대한 지식, 인식, 피폭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 식, 그리고 교육 횟수가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 피폭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은 “거의 없음”에 비해 “약간 있음”(β=-3.255, p=0.007), “많음”(β

=-2.708, p=0.076)이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

교육 횟수에 따라서는 “6회 이상”군에서 1회 이하 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 (β=2.819, p=0.095), 방사선에 대한 지식(p=0.004), 인식(p=0.029)이 높아질 수록 피폭 방어 행위의도는 유의하게 증가 하였다. 이는 단순 관련성의 성별, 학년, 피폭 건강인식과 교육 횟수 등이 관련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방사선 방어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지식과 인식이 가장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방사선에 노출 되는 방사선학과 대학생들의 방사선 방어에 대한 지식, 인식이 방 사선 피폭방어 행위의도와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따라서 방사선학과 학생의 방 사선 피폭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방사선 방어에 대한 지식, 인식을 높이는 교육이 필요할 것이다.

(42)

Ⅵ. 참고문헌

1. 강성금 (2013). 수술실 간호사의 방사선 방어에 대한 지식과 방사선 방어행위 에 대한 인식 및 수행. 류마티스건강학회지, 20(3), 247-257

2. 김경원, 엄숙 (2012). 치과 방사선 안전관리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치위 생과학회지, 12(4), 335-341.

3. 김정훈, 고성진, 강세식, 최윤석, 김창수 (2011) 방사선사의 방사선/능에 대한 지식, 인식 행위분석. 방사선기술과학 34(3)

4. 김현수 (2000). 의료기관 방사선 종사자의 방사선에 대한 지식, 인식, 형태조 사,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노지숙, 이병훈, 배상열, 박형수, 류소연, 박종 (2011) 계획된 행위이론을 적용 한 방사선학과 대학생들의 방사선 방어용.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집11(9) 443-452.

6. 도경현 (2011). 저선량 방사선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대한의사협회지51(12) 7. 식품의약품안전청 방사선방어팀(2007) 2006년도 의료기관 방사선 관계 종사 자의 개인피폭선량 연보. 방사선안전관리시리즈 No 15.

8. 식품의약품안전청(피폭선량관리센터NDR)(2009). 2009년도 의료기관 방사선 관계종사자의 개인 피폭선량연보.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9. 안병주 (2012). 청소년의 방사선 인식도 분석 :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 1주년 계기 방사선방어학회지. 37(2)

10. 전고은 (2013). 방사선 관계종사자의 방사선에 대한 지식, 인식 및 행태 조 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전성희, 한은옥(2008), 치과위생사의 방사선안전관리에 대한 행위 분석, 대한 구강 보건학회지,Vol.32(3);363-375.

12. 정창민. (2009)진단용 방사선피폭에 관한 환자의 인식도조사 연구. 건양대학 원보건대 학원 석사학위 논문.

13. 진영우. 한국 수력 원자력 연구원 방사선보건연구원 이투 뉴스. 2010.08.26

(43)

15. 조현철 (2004). 혈관조영실에서 근무하는 방사선 작업 종사자에 대한 방사선 피폭선량 측정과 방사선 안전 관리에 대한 인식과 행동조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한은옥, 박병섭 (2005) 일부대학생의 방사선이용에 대한 지식, 의식도, 및 태 도, 대한방사선방어학회, 30(4), 221-230.

17. 한은옥. 의료기관 방사선 종사자의 방사선 장해방어 행위모형.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18. 한은옥 (2009). 의료기관 방사선종사자의 방사선장해 방어행위 모형. 이화여 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 홍선미, 신성희 (2014) 내시경실 간호사의 방사선피폭 방어행위에 영향을 미 치는 요인. 임상간호연구, 20(2), 177-188(2014)

20. Kang SK. Knowledge on Radiation Protection, Recognition &

Performance on Radiation Protective Behavior in Operationg Room Nurse[master's thesis] Busan: Dong-A National University;2012.

p1-58.

21. Kim, H. S. (2001). Study on the knowledge, perception, and behavior

about the protection of workers who have risk of radiation exposure in hospit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2. Kim JG. Backyard Easy to radiation story, KONEPA;1998

23. Kim SZ. The Consciousness and Behavorial Aspects of Radiological Technologists on Radiation Safety in hospital,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Seoul National University, pp.1-6, 1992.

24. Kim YH. Nursing students' performance and confidence in basic nursing skills after the completion of clinical practice : focused on basic nursing skills of low performance[master's thesis]. Daegu:

KeiMyung National University;2003. p1-51.

25. K. Feigenbaum, M.L.Ellett, R. Miller, and L.H.yland, "ALARA study of

teaching effect ivenesson reducing radiation exposure,"

Gastroenterol Nurs, Vol.21, pp.234-238, 1998.

26. M. H. Johnson, "Observing radiation safety practices in GI nursing,"

Gastroenterol Nurs,Vol.16, pp.166-168, 1994.

(44)

설 문 지

(일부 방사선학과 대학생들의 방사선에 대한 지식, 인식과 피폭방어 행위의도)

안녕하십니까?

저는 조선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학과 석사과정 재학생으로 현재 일부 방 사선학과 대학생들의 방사선 대한 지식, 인식과 피폭방어 행위의도에 관한 연구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본 설문지는 방사선학과 대학생들의 방사선 대한 지식, 인식과 방사선 방 어용 보호구 착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귀하의 소중한 의견을 수렴하고자 합니다.

본 설문은 자가보고형 조사로 약 10~15분이 소요될 것입니다. 귀하께서 응답해주신 내용은 연구목적 이외의 다른 용도로는 절대로 사용하지 않을 것 이며, 개인에 대한 사항은 절대 비밀이 보장됩니다.

해당되는 각 문항별로 솔직히 응답해 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바쁘신 데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 협조해 주셔서 대단히 감사드리며 귀하의 건강과 행복을 기원합니다.

연구책임자 : 박 종(조선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연구담당자 : 윤요상(조선대학교 보건대학원) 연 록 처 : 010-8610-7154

E - mail : moon71river@hanmail.net I R B :

조선대학교병원 기관생명윤리위원회 연락처 : 062-220-3268

2015년 월 일

(45)

Ⅰ. 다음은 일반적 특성에 관한 사항입니다.

해당사항에 “√”표 하거나 구체적으로 기입하여 주시길 바랍니다.

1. 귀하께서는 성별은?

① 남 ② 여

2. 귀하께서는 연령은? 학년은?

만( 세) ① 2학년 ② 3학년 ③ 4학년 3. 귀하께서 거주형태는 어떻게 되십니까?

① 자가 거주 ② 자취, 하숙 ③ 친척집에서 거주 ④ 기숙사 ⑤기타 4. 귀하께서는 현재흡연을 하십니까?

① 매일 피운다. ② 가끔 피운다.

③ 과거에는 피웠으나 현재는 피우지 않는다. ④ 전혀 피우지 않는다.

5. 귀하께서는 동아리 가입 여부는?

① 가입 ② 비가입 6. 귀하께서는 현재음주를 하십니까?

① 비 음주 ② 한 달에 1회 정도 ③ 한 달에 2-4회 정도 ④ 일주일에 2-3회 정도 ⑤ 일주일에 4-6회 정도 ⑥ 매일

7. 귀하께서는 건강은 현재 어떻다고 생각하십니까?

① 매우 건강하다. ② 건강한 편이다.

③ 건강하지 않은 편이다. ④ 전혀 건강하지 않다.

8. 귀하께서는 1주일에 5일 이상, 하루 30분 이상 걷거나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고 계십니까?

①예 ② 아니오.

9. 귀하께서는 평소에 스트레스를 어느 정도나 느끼십니까?

① 대단히 많음 ② 많음 ③ 약간 있음 ④ 거의 없음

10. 귀하께서는 평소에 친구, 선배나 교수에게 조언이나 진로상담을 하십니까?

① 한다. ② 안 한다.

(46)

Ⅱ. 다음은 방사선 관련 실습환경 특성에 관한 사항입니다.

해당사항에 “√”표 하거나 구체적으로 기입하여 주시길 바랍니다.

Ⅲ. 다음은 방사선 방어에 대한 안전교육에 관한 질문입니다.

해당사항에 “√”표 해주시길 바랍니다.

1. 귀하께서는 실습기관은?

① 대학병원 ② 종합병원 ③ 중형병원 ④의 원 2. 귀하께서는 어떤 방식으로 실습을 하십니까?

① 순환 ② 고정

3. 귀하께서는 실습병원의 방사선 방어 설비는 잘 되어 있어 습니까?

① 매우 잘 되어 있다. ② 잘 되어있다. ③ 부족하다. ④ 매우 부족하다.

4. 귀하께서는 실습 중에 방사선 피폭 때문에 건강을 걱정 해보신적이 있습니까?

① 대단히 많음 ② 많음 ③ 약간 있음 ④ 거의 없음 5. 귀하께서는 실습 중에 방사선 피폭이 건강에 얼마만큼 영향을 준다고 생각하십니까?

① 대단히 많음 ② 많음 ③ 약간 있음 ④ 거의 없음 6. 귀하께서는 실제 보호 장구를 착용하면 방사선 피폭을 줄일 수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③ 보통이다.

④ 그렇지 않다. ⑤ 매우 그렇지 않다.

7. 귀하께서는 실습기간 동안에 보호 장구 착용을 어느 정도 했습니까?

① 항상 착용했다. ② 대부분 착용 했다.

③ 약간 착용 했다. ④ 전혀 착용하지 않았다.

1. 귀하께서는 방사선에 대한 교육을 받은 적이 있습니까?

① 있다. ② 없다.

(47)

Ⅳ. 다음은 방사선의 지식에 대한 질문입니다.

해당사항에 “√”표 기입하여 주시길 바랍니다.

문 항 1

그렇다.

2 그렇지 않다.

3 모른다.

1. 방사선 조사 면적이 넓을수록 환자가 받는 피폭 량은 많아진다.

2. 방사선 기기의 정기적인 성능 검사는 방사선 출력량 의 정확성을 높인다.

3. 납 앞치마(Apron)는 X선을 방어할 수 있다.

4. 환자의 움직임은 화질을 나쁘게 한다.

5. 인체에서 생식선은 방사선에 민감한 부위이고 유전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6. 임신 시 방사선 피폭은 태아사망, 기형, 기능저하 등이 발생할 수 있다.

7. 방사선 촬영 시 방호용구 사용은 방사선 방어에 도움이 된다.

8. X선의 차폐는 납이나 콘트리트로된 물질로 가능하다.

9. 법정 개인 피폭 선량계는 TLD와 Film-Badge 두 종류뿐이다.

10. 방사선 관계 종사자는 2년마다 말초 혈액중의 혈색소량, 적혈구 및 백혈구 수를 측정해야한다.

11. 방사선 관계 종사자는 법정교육을 이수해야 한다.

12. 방사선 관계 종사자의 연간 평균피폭선량은 20mSv이다.

13. 납 치마(Apron)는 영구히 사용할 수 있다.

14. 방사선의 강도는 거리가 멀수록 감소한다.

15. 방사선 피폭으로 인해 암, 백혈병, 탈모, 홍반 등의 장해가 나타날 수도 있다.

(48)

Ⅴ. 다음은 방사선에 대한 인식도에 관한 질문입니다.

해당사항에 “√”표 해주시길 바랍니다.

문 항

1 전혀 모른다

.

2 잘 모른다

.

3 알고 있다

.

4 매우 잘

알고 있다.

1. 귀하께서는 의료용 방사선에 대하여 알고 있습니까?

2. 귀하께서는 자연 방사선에 대해여 알고 있습니까?

3. 귀하께서는 방사선 검사 시 직접적으로 방사선 피폭을 받는지 알고 있습니까?

4. 귀하께서는 주변에서 방사선 검사하는 경우 본인이 간접적으로 방사선 피폭을 받게 되는지 알고 있습니까?

5. 귀하께서는 일상생활 중에서 우주나 자연으로 부터 방사선피폭을 받고 있는지 알고 있습니까?

Ⅵ. 다음은 방사선 방어 행위의도에 관한 질문입니다.

해당사항에 “√”표 해주시길 바랍니다.

문 항

1 전혀 하지

않다

2 하지 않다

3 종종 한다

4 거의 한다

5 항상 한다 1. 여자환자인 경우 생리주기 또는 임신

여부를 확인한다.

2. 촬영 시 출입문은 차폐된 상황에서 촬영한다.

3. 방사선 피폭과 관련하여 2년마다 정기 적으로 건강검진을 받는다.

(49)

5. 방사선 관련 근무 중에는 상시 개인피폭 선량계를 착용한다.

6. 매월 또는 매분기로 개인피폭선량계로 측정되어진 피폭 선량을 확인한다.

7. 방사선 노출 시 방사선원과 환자로부터 적정한 거리를 유지한다.

8. 방사선 노출되는 시간을 짧게 하려고 노력한다.

9. 방사선 방어와 관련하여 시술의사 또는 방사선사와 의논한다.

10. 방사선 발생장치를 실수로 밟지 않도록 관리한다.

11. 방사선 노출 환경에서 작업 시 납 앞치마(Apron)를 착용한다.

12. 방사선 노출 환경에서 작업 시 갑상선보호대를 착용한다.

13. 방사선 노출 환경에서 작업 시 납 안경을 착용한다.

14. 납 앞치마(Apron)를 사용한 후 바르게 펴서 보관한다.

15. 납 앞치마(Apron)의 성능 시험을 받는다.

〈설문에 성심성의껏 응답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참조

Outline

관련 문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whether The mediating effects of planned happenstance skill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terest and self-confid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learning English grammar and to examine the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wareness of death and the ethical attitude to Do-Not-Resuscitate (DNR) among so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dance performances, which is a part of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of local governm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marketing mix factors, motivation for watching, relationship quality, and consump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self - management of dance major students an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 satisfaction and patient safety and quality improvement after compulsory certifica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not only to compare the differences of ego-resilience between students with high experience and students with low experience 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