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III. 연구방법

6. 자료 분석

본 연구에서는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21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모든 분석에 있어 통계적 유의수준은 일반적으로 사회과학연구에서 설정 하는 .05로 설정하고 진행하였다. 본 연구 자료 분석을 위한 주요 통계방 법으로는 먼저 조사 대상자인 특성화고 학생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등의 기술적 통계 방법을 사용하였다.

다음으로, 특성화고 학생의 진로성숙도 수준과 개인적, 학교적 특성에 따른 진로성숙도 수준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t검증과 F검증(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두 분석방법 모두 각 집단이 정규분포를 이루고 분산이 같다는 가정을 충족하여야 하며, 자료의 독립변인은 명목척도로 측정되고, 종속변인은 간격척도 혹은 비율척도로 측정된 값이어야 한다.

다음으로, 특성화고 학생의 가족건강성, 사회적 지지, 자아탄력성, 그 리고 진로성숙도의 관계를 분석하기에 앞서, 각 변인들 간의 상관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상관관계 분석 활용 해석의 기준에 있어서는 Davis의 견해를 참고하였으며, 구체적인 판단 기준은 다음과 같다.

상관계수 상관정도의 해석

1.0 완전한 상관

0.70~0.99 매우 높은 수준의 상관

0.50~0.69 높은 수준의 상관

0.30~0.49 중간 수준의 상관

0.10~0.29 낮은 수준의 상관

0.01~0.09 매우 낮은 수준의 상관

<표 Ⅲ-8> Pearson 상관계수의 판단 기준

다음으로, 특성화고 학생의 가족건강성과 진로성숙도의 관계와 사회적 지지와 진로성숙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단순회귀분석과 다중회귀분 석을 실시하였다. 단순회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기 전에 단순회 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의 기본 가정에 대한 검토가 선행되어야 한다. 양 병화(2006)에 따르면, 우선, 실제분석에서 필요한 사례수의 크기가 독 립변수의 20배 이상이 되어야 예측 검증력이 낮아지지 않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최소 요건을 만족하고 있다. 다음으로, 신뢰하고 일 반화할 수 있는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이상치를 제외시켜야 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산포도와, 표준편차 ±3을 기준으로 한 사례별 진단, Mahalanobis의 거리, Cook의 거리 그리고 Leverage 값을 바탕으로 이 상치로 판단되는 사례를 제외시켰다. 다음으로, 관찰된 종속변수와 예측 된 종속변수 간의 차이, 즉 잔차가 예측된 종속변수 점수에 대해 정상분 포하여야 하고, 예측된 종속변수 점수와 직선적 관계를 가져야 하며, 모 든 예측변수에 대해 동일하여야 한다는 가정을 만족하여야 한다. 본 연 구에서는 잔차의 산포도와 정상확률곡선, 그리고 Durbin-Watson의 d 통계치를 바탕으로 이를 검토하였다. 마지막 가정 검토로, 다중회귀분석 시, 독립변수 간에 상관이 높으면 회귀계수를 설명하는 데 결정적인 오 류를 범할 수 있기에 다중공선성을 파악해야 하여, 본 연구에서는 각 다 중회귀모형에 대하여 공차와 상승변량(VIT)을 바탕으로 다중공선성을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특성화고 학생의 가족건강성과 진로성숙도의 관계와 사회 적 지지와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 하여 상관관계 분석과 Baron과 Kenny(1986)의 위계적 회귀분석을 활 용하였다. 본 연구에 적용한 통계분석 방법을 연구 가설별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구분 연구 문제 통계 기법

기초 통계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연구문제 1 특성화고 학생의 진로성숙도 수준은 어느 정도이며, 학생의 개인적 특성과 소속 학교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평균, 표준편차,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

연구문제 2 특성화고 학생의 가족건강성과 진로성숙도와의 관계는

어떠한가? 단순회귀분석

연구문제 3 특성화고 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진로성숙도와의 관계는 어떠한가?

단순회귀분석, 중다회귀분석

연구문제 4 특성화고 학생의 가족건강성과 진로성숙도와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가 존재 하는가? 위계적 회귀분석

연구문제 5 특성화고 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진로성숙도와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가 존재 하는가? 위계적 회귀분석

<표 Ⅲ-9> 연구문제 별 통계 분석 방법

특성 변인 빈도(명) 백분율(%) 비고

성별 645 57.3

481 42.7

학년

1 451 40.1

2 514 45.6

3 161 14.3

<표 계속>

<표 Ⅳ-1> 응답자의 개인적 및 소속 학교 특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