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온라인 부모교육이 부모효능감과 가족역량강화에 미치는 영향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온라인 부모교육이 부모효능감과 가족역량강화에 미치는 영향"

Copied!
2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 본 논문은 제 1저자의 석사학위논문을 수정⋅보완하였음.

** 제 1저자

*** 교신저자(withjss@dankook.ac.kr) 2022, Vol. 38, No. 1, pp.19-47

장애유아의 일반초등학교 전이지원을 위한

온라인 부모교육이 부모효능감과 가족역량강화에 미치는 영향

*

박 신 영**(서울창원초등학교 교사)

전 상 신***(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교수)

<요 약>

연구목적: 일반초등학교 입학 예정 장애 유아의 부모를 대상으로 전이 지원을 위한 온라인 부모교육을 실시하여 부모효능감과 가족역량강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방법: 연구 참여자는 실험집단, 통제집단 각 7명씩 총 14명으로 구성하였으며, 코로나 19로 인하여 대면 및 집합 교육이 어려워진 상황을 고려하여 비대면 쌍방향 온라인 교육을 주 2회 총 10회기로 구성하였다. 부모교육 프로그램 내용 구성을 위하여 특수교육대상자 지도 경 험과 1학년 담임 경력이 있는 통합교사 인터뷰와 전이에 대한 가족 요구 설문조사를 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검 증을 위하여 대기자 통제집단 사전-사후설계와 프로그램 참여 소감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실험집단에서 부모효능감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하위 영역에서 부모로서의 효능감에서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부 모 역할에 대한 관심과 흥미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실험집단에서 가족역량강화는 유의미한 차이가 보였으며, 하위 영역에서 체제에 대한 옹호, 지식, 능력의 3가지 영역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자기 효능 감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프로그램에 참여함으로 도움이 되었던 부분, 가정 실천 사례, 온라인 부 모교육 강점과 약점에 대한 참여 소감을 통하여 구체적인 효과를 알아볼 수 있었다. 결론: 장애 유아의 일반초등 학교 전이 지원을 위한 온라인 부모교육은 부모효능감과 가족역량강화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추후 특수교육대상자 학교 배치와 장애 유형에 따른 전이 지원 부모교육의 필요성과 장애 유아와 긴밀 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유아교육기관 교사 및 치료사들을 위한 전이 교육의 필요성이 시사된다.

<주제어> 장애유아, 초등학교 전이지원, 부모교육, 온라인 교육, 부모효능감, 가족역량강화

(2)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초등학교 입학은 유아와 가족이 학교 교육이라는 공교육의 제도권으로 들어가는 첫 관문이며, 초 등학교로의 전이는 교육목적, 교과, 교수 방법, 교육 환경, 교육 내용, 구성, 기대되는 평가, 또래와 의 상호작용 등에 있어서 유아 교육기관에서의 경험과 많은 차이가 있다(이지영, 2010). 자녀의 초 등학교로의 전이 과정에서 부모들은 아동이 초등학교에 취학하게 되었다는 기쁨, 기대와 함께 학교 생활은 잘해나갈 수 있을지, 친구 관계는 잘 이루어 나갈지, 학습에 어려움을 가지게 되지는 않을 지에 대한 우려를 동시에 가진다(전상신, 김은경, 2007). 입학을 앞둔 자녀에게 장애가 있는 경우라 면 부모는 더 큰 스트레스와 어려움을 경험할 수 있다. 이에 장애 유아의 초등학교 적응에서 나타 날 수 있는 문제를 예방하고 필요한 기술을 전이가 일어나기 전부터 체계적으로 지원하고 준비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은 매우 중요하고 의미 있는 일이다(김남희, 김은경, 2019). 최근에는 가족의 중 요성이 인식되면서 특수교육에도 아동-중심(child-focoused)에서 가족-중심(family-centered)으로 패러다임이 변화함에 따라(이미선, 김경진, 2000; 이병인, 2016; 김수현, 이병인, 2020; Dunst, 2002) 장애 유아뿐 아니라 부모들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가족 전체를 위한 지원(이옥등, 박순희, 정 해동, 2015)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장애 유아의 부모들은 초등학교 입학과 관련하여 입학 절차, 초등학교에 대한 정보, 부모교육 등 취학 관련 문제들을 조력해 줄 전문가와 취학 관련 정보를 접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김영희, 이병인, 2014; 오세정, 2001; 이금진, 박승희, 2005). 이들은 장애 유아가 겪게 될 어려움을 포함 한 초등 전환과 관련된 정보는 대부분 주변인의 경험담과 온라인상의 회원제 카페에 공개된 사례 를 통해 얻고 있었다(조인영, 이연우, 함윤경, 2020). 그러나 장애 유아와 그들의 부모가 구체적이 고 실제적인 정보를 통해 보다 안심하고 초등학교로의 전이를 준비하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사례 뿐 아니라 부모들의 요구가 반영된 전이 교육이 제공될 때 그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전상신, 김 은경, 2013). 전혜인, 이명희(2014)는 장애아동 부모를 위한 교육에 불만족한 사유는 대다수의 부 모교육이 부모가 필요로 하는 내용으로 구성된 교육 운영이 아니라 전문가의 추측으로 선정된 주 제로 구성된 대다수의 일회성 교육프로그램 운영인 것이기 때문이라고 보고하였다. 무엇보다 부모 의 요구가 반영된 부모교육 제공이 필요하며 이는 부모 역할에 대한 효능감 형성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부모 효능감은 자녀를 양육하며 자녀 양육과 연관된 어려움이나 문제를 잘 해결할 수 있다는 부 모로서의 자신의 능력에 대한 지각을 의미한다(Johnston & Mash, 1989). 높은 효능감을 가진 장 애아 부모는 힘든 상황에서도 장애 자녀를 다룰 수 있는 상당한 능력과 믿음을 가지고 양육에 있 어 적절한 목표를 설정하고 중재 전략을 실행하기도 하지만 반면에 효능감이 낮으면 도전을 피하

(3)

고 포기하게 된다(김지숙, 2016). 자녀가 흔히 보이는 인지적, 행동적 문제에 제대로 대처할 수 없 어 무력감을 느끼는 부모가 이에 대한 적절한 정보와 지식을 배우지 못할 때 부모의 효능감은 심 각하게 떨어질 수 있다(정서형, 박지연, 2016). 더욱이 장애 자녀 부모는 자녀가 장애를 처음 진단 받은 이후 자녀의 초등학교 입학 시기에 다시 한번 큰 심리적 어려움을 겪게 된다(Fabian, 2000;

Hanline, 1990). 이러한 상황을 예방하고 부모로서의 무력감을 최소화하며 적절한 부모의 역할을 하여 부모효능감 향상을 지원할 수 있는 부모교육은 반드시 필요하며(박성환, 2012), 이는 가족 구 성원 전체의 성장과 발달을 증진 시키기 위한 가족역량을 강화하여(박은정, 이병인, 2017) 가족의 삶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가족역량강화란 가족에게 지식과 전문성 증진을 통해 자신감을 향상시키고 지역사회자원과 정보 를 제공하여 주변 자원을 손쉽게 이용할 수 있게 하고 무력감을 제거하고 가족의 강점을 강화하여 자기효능감을 증가시키는 것을 말한다(O’Shea 등, 2001). 전혜인(2005)은 최근 장애아동의 가족에 대한 지원 및 교육은 단순한 정보를 제공하는 차원의 교육이 아닌 부모들 스스로가 장애 자녀의 문제를 해결하고 가족 구성원이 각각의 기능을 강화해 나갈 수 있도록 힘을 기를 수 있게 지원하 는 것이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전혜인(2006)은 부모결연프로그램을 통하여 초등학교 입학생 어머니들의 가족역량 강화 수준이 향상되었으며, 정서형, 박지연(2016) 연구에서는 특수교 육 관련 서비스에 대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발달지체유아의 부모의 가족역량강화에 유의한 변화에 영향을 주기도 했다. 이원희, 권혁상, 곽승철(2019) 연구에서는 장애학생과 부모를 대상으로 진행된 통합된 가족지원 프로그램이 장애학생 부모의 가족역량강화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이와 같이 부 모교육을 통해 장애아 부모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제공하고 배운 정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기 회를 제공한다면 부모효능감과 가족역량강화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개선된 부모의 정서적 안녕과 가족 구성원 간의 긍정적 상호작용 증가는 가족 삶의 질 향상으로 이어질 것이다(정 서형, 박지연, 2016).

초등학교로의 전이 지원 관련 부모교육 프로그램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정선진, 박승희(2009) 연 구에서는 가족, 학교 및 지역사회 관련인들(전이 지원 교사, 선배 어머니, 초등학교 특수교사, 초등 학교 일반교사, 관련 서비스 전문가, 통합어린이집 교사, 지역사회 복지관 통합지원팀장)이 교육을 실시하였고, 신윤재(2016) 연구에서는 중학교 전이를 위한 부모교육으로 청소년 상담 전문가, 성교 육 전문가, 선배 부모, 중학교 특수교사가 진행하였다. 김남희(2019) 연구에서는 연구자, 특수학급 교사, 특수교육지원센터 팀장, 선배 부모가 부모교육에 참여하여 함께 실시하는 등 다양한 관련인 이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교육한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김남희(2019)는 특수교사의 특수학급 운 영에 대한 경험담을 들었던 참여자들이 일반 학교 입학 준비에 대한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다고 하 였다. 곽은혜, 노진아(2020)는 장애통합어린이집 교사들이 초등학교 1학년 교육과정을 이해하고 발 달지체유아에게 적용할 수 있도록 초등학교 특수교사와 연계가 원활하게 이루어진다면 전이 지원을 더 효과적으로 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을 표현하기도 했다. 전이를 앞둔 장애 유아를 교육하고

(4)

있는 치료사, 보육교사는 효율적인 초등 전환 교육을 위해 ‘초등학교랑’, ‘정보공유’, ‘만남의 장’을 언급하며 실제를 반영한 전문 자료 및 지원을 희망하였다(조인영 등, 2020). 여러 관련인이 참여하 여 다양한 관점을 제시하는 프로그램도 전이 지원에 의미가 있으나 특수교육에 대해 잘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학교 현장의 특수교사가 전문성 있는 중재자가 되어(강혜정, 2010) 일회성이 아 닌 지속적이고 연계성 있는 프로그램을 구성한다면 효과성이 높아질 것이다. 즉, 효과적인 전이 교 육 프로그램의 구성과 수행을 위해서는 장애 유아 부모들이 자녀의 적응적인 입학 준비를 위해 가 장 필요로 하는 요구뿐 아니라 초등학교 현장의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경험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한 정보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반영하여(이지연, 2013) 현장의 특수교사가 직접 부모교육을 실행한 다면 그 무엇보다 장애 유아의 전이 및 부모로서의 효능감 향상 등에 도움이 될 것이라 볼 수 있 다. 특히, 현재 70% 이상의 특수교육대상 학생들이 통합 환경으로 배치되는 것을 고려할 때 이들 을 지도한 경험이 있으며 1학년 담임 경력이 있는 일반교사와의 의견 반영이 매우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2019년 말 시작된 코로나 19의 세계적 팬데믹(pandemic) 현상은 현재까지 고전적으로 진행해 온 학습에 대해서 많은 변화를 초래하여 모든 학습이 사상 초유 비대면 온라인 학습까지 이르게 했다(김자숙, 박아영, 2020). 온라인이라는 공간의 활용도가 점차 높아짐에 따라 부모들은 자녀 양 육과 교육에 대한 정보 또한 온라인을 통해 얻고 있으며(채영숙, 하연희 , 권미량, 2020) 부모교육 의 잠재적 학습자들은 온라인을 통한 교육을 가장 선호하게 되었는데 이는 교육 참여에 있어 시간 과 공간의 제약을 극복할 수 있기 때문이다(박성환, 2012). 구희정(2016)은 전국에 흩어져 있어 한 공간에 모이기 어려운 특수한 집단인 군인 가정에 온라인 부모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나 양육태도 및 양육효능감의 긍정적 변화를 보고하였다. 윤성민(2019)은 부모교육에 있어 아버지의 참여의 중요성과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시간공간적, 현실적 한계 등을 고려하여 참여하지 않고 있는 아버지들을 위한 웹기반 부모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함으로써 그 효과성을 검증하 였으며 이후 부부 공동 수강을 통해서도 프로그램 외에 웹기반 교육의 용이성 및 필요성(윤성민, 2021)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이 온라인 교육은 지원을 받는 사람과 제공하는 사람 모두에게 편리함 과 효율성을 제공하며 특정 장소로 이동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줄여주기 때문에 장애인 부모들에게는 특히 유용하다(Heizman-Powell 등, 2014: Hermaszewska & Sin, 2021; 박인선, 정 소영, 박지연, 2021).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육에 참여하는 학습자들의 선호도, 교육 실행의 시공간 제약 극복, 대면 및 집합 교육에 어려움이 있는 사회적 상황 등을 고려해 온라인으로 부모교육을 진행하였다. 앞서 살펴본 선행연구들의 내용을 바탕으로 일반초등학교 입학 예정인 장애 유아 부모의 요구와 1학년 담임 경험이 있는 통합학급 교사의 의견을 반영하여 전이 지원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총 10회기로 구성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초등학교 특수교사인 연구자가 진행하면서 초등학교 생 활로의 전이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례 중심의 실제적인 부모교육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장애

(5)

자녀의 입학을 앞둔 부모로서의 효능감과 가족역량강화에 어떠한 변화가 일어나는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2. 연구문제

본 연구의 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유아의 초등학교 전이지원을 위한 온라인 부모교육이 부모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 치는가?

둘째, 장애유아의 초등학교 전이지원을 위한 온라인 부모교육이 가족역량강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장애유아의 초등학교 전이지원을 위한 온라인 부모교육에 대한 참여자들의 참여소감은 어 떠한가?

Ⅱ. 연구방법

1. 연구참여자

장애 유아의 일반초등학교 전이 지원을 위한 온라인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14명이 참여하였으며 선정 기준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21학년도 일반초등학교 입학 예정 장애 유아 자녀를 둔 부모 둘째, 일반초등학교 전이 지원 부모교육에 참여 경험이 없는 부모 셋째, 매 회기 빠짐없이 참여할 수 있는 부모

넷째, 부모교육프로그램 참여에 동의한 부모로 선정하였다.

부모교육 참여 가능 시간과 상황을 고려하여 임의로 실험집단 7명과 통제집단 7명으로 각각 구 성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특성은 <표 1>과 같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 확인을 위하여 독 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2>, <표 3>과 같다. 부모효능감, 가족역량강화의 사 전 점수에서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연구 설계

대기자 통제집단 사전 사후 설계를 사용하였다. 부모교육을 실시하기 전과 후에 실험집단과 통제 집단을 대상으로 부모효능감 검사와 가족역량강화 검사를 실시하여 차이를 알아보았다. 실험집단에

(6)

실험집단 기호

학부모 특성 아동특성

나이 성별 지역 학력 직업 연령 성별 형제자매관계 장애유형 현재

교육배치 진학 유형

A 39 울산 대졸 주부 7 남동생 1명 발달지체 유치원

특수학급 일반 학급

B 45 서울 대졸 회사원 7 없음 언어장애 통합

어린이집 일반 학급

C 40 서울 대학

재중 회사원 7 형 1명 발달지체 유치원

특수학급 특수 학급

D 41 대전 대졸 주부 7 형 1명 발달지체 일반

유치원

특수 학급

E 44 서울 대졸 회사원 7 없음 발달지체 유치원

특수학급 특수 학급

F 44 서울 대졸 주부 7 없음 자폐성

장애

통합 어린이집

특수 학급

G 43 서울 대졸 주부 7 형 2명 자폐성

장애

통합 어리이집

특수 학급 통제집단

기호

학부모 특성 아동특성

나이 성별 지역 학력 직업 연령 성별 형제자매관계 장애유형 현재

교육배치

진학 유형

A’ 45 서울 대학원졸 회사원 7 없음 발달지체 유치원

특수학급

일반 학급

B’ 39 서울 대졸 회사원 7 누나 1명 발달지체 유치원

특수학급

특수 학급

C’ 39 경기 대졸 자영업 7 누나, 남동생

각 1명

자폐성 장애

유치원 특수학급

특수 학급

D’ 41 경기 대졸 주부 7 없음 자폐성

장애

통합 어린이집

특수 학급

E’ 39 경기 대졸 프리

랜서 7 형 1명 지적장애 통합

어린이집

특수 학급

F’ 39 경기 대학원졸 주부 7 없음 발달지체 통합유치원

일반학급

일반 학급

G’ 38 경기 대졸 회사원 7 남동생2명 지적

장애

유치원 특수학급

특수 학급

<표 1> 연구참여자의 특성

(7)

구분

실험집단 (N= 7)

통제집단

(N= 7) t p

M SD M SD

전체 부모효능감 2.90 .71 3.28 .71 -1.00 .34

하위영역 부모로서의 효능감 2.60 .84 3.14 .83 -1.2 .25

부모역할에 대한 관심과 흥미 3.81 .88 3.71 .45 .26 .80

<표 2> 부모효능감 집단 간 동질성 분석

구분

실험집단 (N= 7)

통제집단

(N= 7) t p

M SD M SD

전체 가족역량강화 3.44 .62 3.53 .20 -3.47 .74

하위영역

체제에 대한 옹호 3.33 .56 3.29 .09 .21 .84

지식 3.33 .71 3.41 .27 -.28 .79

능력 3.32 .77 3.75 .46 -1.28 .26

자기효능감 3.79 .99 3.76 .32 .09 .93

<표 3> 가족역량강화 집단 간 동질성 분석 결과

는 10회기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통제집단에는 이 기간 동안 어떤 개입도 하지 않았 다. 본 연구에서는 통제집단에 중재하지 않음으로 인한 윤리적 문제를 고려하기 위하여 대기자 통 제집단(wait-list control group)을 계획하였다.

3. 종속변인 측정도구

1) 부모효능감 척도

Giband-Wallston과 Wandersman(1978)이 개발한 Parenting Sense of Cpmpetence(PSOC)를 신 숙재(1997)가 번역, 수정한 부모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부모로서의 효능감(9문항), 부모로서의 불안감과 좌절감(4문항), 부모 역할에 대한 관심과 흥미(3문항)의 세 하위 영역으로 총 1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문항은 5점 척도로 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프로그램의 목적에 적합하지 않아 부모로서의 불안감과 좌절감 4문항을 제외하고 12문항만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Cronbach’s ɑ는 .93이다.

(8)

2) 가족역량강화 척도

Koren, Dechillo와 Friesen(1992)이 34문항을 개발하고, 전혜인(2006)이 번안․수정한 가족역량 강화 척도(Family Empowerment Scale: FES)를 사용하였다. 총 32문항이며 체계 옹호, 지식, 능력, 자기효능감의 4가지 하위 영역으로 구성되며 각 문항은 5점 척도 방식으로 평정하였다. 본 연구에 서의 Cronbach’s ɑ는 .91이다.

4. 초등학교 전이 지원을 위한 온라인 부모교육

1) 프로그램 목적

이 프로그램의 목적은 장애 유아의 일반초등학교 전이지원을 위한 부모교육을 통하여 부모효능 감과 가족역량을 높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부모의 심리적 지원, 초등학교에 대한 정보 제공, 가 정에서 실천할 수 있는 준비기술 등의 내용으로 구성하고자 하였다.

2) 프로그램 개발 과정

문헌고찰

선행연구 검토 단행본 검토

설문지, 프로그램 내용 구성을 위한 요구 조사 초등학교 통합학급 담임교사 인터뷰

설문지 수정․보완

초등학교 전이과정에 대한 가족의 인식 설문지

프로그램 내용 구성을 위한 설문 실시 초등학교 입학 예정 장애유아 부모 33명

요구조사․설문지 결과 분석

부모교육 프로그램 구성 회기별 계획서 작성

<그림 1> 프로그램 개발 과정

(9)

(1) 문헌고찰

초등학교 전이지원에 필요한 기술과 관련된 선행연구에 따르면 일반교사가 인식하는 장애아동의 초등학교 생활 적응 영역 우선순위는 학교생활 적응, 또래 적응, 기초학습능력, 교사 적응, 학업 수 행 순으로 나타났다(전상신, 김은경, 2007). 장애아동의 부모, 특수교사, 일반교사가 인식하는 우선 순위는 타인에게 신체적 공격 행동을 하지 않기, 수업 시간에 소리 지르지 않기, 수업 시간에 돌아 다니지 않기, 화장실에 가고 싶을 때 도움 청하거나 스스로 가기, 위험한 상황에 처했을 때 주변에 도움 청하기였다(이소영, 2005). 장애유아 부모들은 초등학교 생활로의 전이에 있어 사회적 상호작 용 기술이 가장 중요하다고 하였으며 그 외에 도움이 필요할 때 도움 요청하기, 교사의 요구에 반 응하기, 감정과 기분을 적절하게 표현하기를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황순영 등, 2011). 장애 유 아의 초등학교 전이 과정에 대한 부모 인식 조사에서 전이 시기의 부모는 의사소통을, 전이 이후의 부모는 자조 기술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양쪽 집단 모두에서 학업 기술의 중요성을 가장 낮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김해선, 김호연, 2010). 이를 통해 장애 유아 부모들이 학습에 대한 흥미 나 인지적 지식,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학습활동보다는 사회-정서 발달 및 자조 기술과 같은 적응행 동 발달을 좀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김민정, 2009). 장애아동을 일반초등학교에 진학시키며 어머니 본인에게도 항상 장애아동을 곁에서 돌보아 왔던 지금과는 다른, 아동을 곁에서 볼 수 없는 새로운 환경의 도래는 많은 불안과 긴장을 가져왔다고 어머니들은 토로하였다(한미애, 장기연, 곽내화, 2011). 또한 초등학교 취학 전 장애자녀를 둔 어머니는 그동안 자신이 어머니로서 의 역할에 대한 확신을 갖지 못하고, 부모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했다는 자책감과 후회를 하며, 주 변인들이 장애아동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 부족으로 인해 따가운 시선에 예민해지고 동정하는 것같 이 지각한다고 보고하였다(김미라, 2004: 이지영, 2010).

(2) 일반 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사 인터뷰

부모교육 프로그램 내용 구성과 부모 요구 조사 수정․보완을 위하여 일반초등학교 통합학급 교 사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교육경력이 10년 이상인 일반초등학교 교사로 1학년 담임 경력 이 2년 이상이며, 특수교육대상자를 지도한 경험이 있는 교사 6명이다. 인터뷰의 내용은 초등학교 입학하기 전에 필요한 기술과 부모가 가져야 할 마음가짐에 대하여 개방형 질문으로 하였다. 녹음 기로 녹음을 하였으며 통합학급 교사 교실에서 대면 인터뷰 또는 유선으로 실시하였다. 인터뷰 결 과는 <표 4>와 같다. 일반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사들의 인터뷰 결과를 살펴보면 입학 전 필요한 기 술 영역에서는 학습 측면보다는 기본 생활 습관 형성과 사회성이 더욱 중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장 애 유아의 교육과 관련해서 통합 현장의 교사들이 인지 학습 기술보다는 사회성 기술을 더 중요하 게 인식하고 있다는 조윤경, 이소현(2002) 연구의 결과와도 같다.

기본 생활 습관 형성 중 화장실 이용과 관련하여 6명의 교사 중 6명이 화장실 이용, 화장실 가 고 싶다는 의사 표현의 중요성에 대하여 언급하여 그 중요성이 인식되었다. 학부모의 마음가짐 영

(10)

교직경력 입학 전 필요한 기술 부모 마음가짐

* 교직경력: 33년

* 1학년 경력: 6년

* 특수교육대상자 지도: 2년

* 기본생활습관 형성이 중요:

화장실, 급식, 학용품 관리

* 준비물 가방에 넣을 때 자 녀와 함께 준비하기

* 자녀의 장애에 대하여 솔직하게 이야기 →협력의 기회

* 장애 때문에 피해를 본다는 두려움 갖지 말기

* 담임교사와 학부모의 신뢰가 중요

* 입학 초기 과도한 걱정으로 과잉보호하지 않기.

시행착오를 겪으며 성장함.

* 교직경력: 22년

* 1학년 경력: 12년

* 특수교육대상자 지도: 8년

* 독립보행, 연필잡기, 자신의 물건 알아보기 및 챙

기기

* 친구들과 소통할 수 있는 표현력

* 화장실 관련 사항이 가장 중요함

* 학생의 의사표현이 어려워 불편함과 어려움을 느낄 때 의사소통 지원에 대한 협의가 필요함.

* 기다려주기, 열린 마음, 긍정적인 마음 가지기

* 생각하지 못한 행동 보일 때 여유를 가지고 기다려 주기

* 자녀에게 긍정적인 서포트 하는 것이 중요

* 부모의 우울이 아이들의 성장에 바로 부정적인 영 향력을 줌.

* 교직경력: 22년

* 1학년 경력: 7년

* 특수교육대상자 지도: 2년

* 인사하기 중요(관계의 시작, 사회성 향상)

* 앉는 자세

* 화장실 이용, 손 씻기, 식사

* 자녀의 특성, 상황에 대한 대처방안에 대하여 교 사와 긴밀한 소통

* 학교생활에 긍정적인 부분에 대하여 대화 나누기

* 교직경력: 22년

* 1학년 경력: 4년

* 특수교육대상자 지도: 6년

* 화장실 가고 싶다는 의사 표 현 중요, 화장지 사용하기

* 학습보다 사회성이 중요함.

많은 사람들과의 경험을 통 하 여 감정을 느끼고 표현하 는 기회 확대

* 담임교사와 협력이 중요

* 평가자, 비판자가 아닌 아이 성장을 위한 협력자

* 열린 마음

* 특수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인식

* 자녀에 대해 솔직하게 이야기하기

* 행복한 학교생활이 될 수 있도록 지원

* 교직경력: 18년

* 1학년 경력: 4년

* 특수교육대상자 지도: 5년

* 스스로 화장실 다녀오기

* 자기 물건 꺼내기

* 학습보다는 친구들과의 관 계 중요

* 학급 학생․학부모에게 장애에 대하여 말하지 말아 달라는 경우 상황에 맞는 지원이 어려움.

* 1학년이라도 장애 학생의 특성을 설명하면 이해하 고 잘 도와줌.

* 담임교사와 학부모의 긴밀한 소통

* 교직경력: 14년

* 1학년 경력: 3년

* 특수교육대상자 지도: 3년

* 학습보다 사회성 형성 중요

* 화장실 혼자가기, 급식판 들 기 실내화 갈아 신기, 스스 로 가방 메기

* 오해가 소지가 있는 부분은 담임교사와 협의하기

* 학교, 담임교사, 특수교사 신뢰

* 자녀의 작은 발전에도 기뻐하기

* 성급한 마음 가지지 않기

<표 4> 일반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사 인터뷰

역에서는 담임교사와 학부모의 신뢰를 바탕으로 한 협력, 긍정적인 마음, 열린 마음, 자녀에 대하여 교사에게 솔직하게 이야기하기 등이 중요하다고 응답하였다.

(11)

(3) 초등학교 전이 준비과정에 대한 가족의 인식 설문지 구성

초등학교 전이 준비과정에서 가족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이지영(2010)의 발달지체 유아의 초등학교 전이 준비과정에 대한 가족의 인식 설문지의 내용을 수정․보완하고 개방형 질문을 추가 하였다. 특수교육과 교수의 지도와 통합학급 교사의 인터뷰 내용을 분석하여 문항을 수정․보완하 였다. 이지영(2010) 연구에서 활용한 설문지에서는 초등학교 적응에 대한 어려움, 가족 안에서의 어려움, 부모의 초등학교 적응에 대한 어려움의 3가지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자녀의 학교 적응에 필요한 기술, 부모의 전이 지원에 필요한 영역의 2가지 영역으로 수정하였다. 초등학 교 적응에 대한 어려움은 ‘자녀의 학교 적응에 필요한 기술’로, 가족 안에서의 어려움과 부모의 초 등학교 적응에 대한 어려움을 통합하여 ‘부모의 전이 지원에 필요한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통합학급 교사의 인터뷰에서 화장실 이용․화장실 가고 싶다는 의사 표현, 긍정적인 양육태도 가지기에 대하여 6명 중 6명이 모두 언급하였기 때문에 중요성이 인식되어 문항을 추가하였다. ‘화 장실 가고 싶을 때 도움을 요청하거나 스스로 가기’는 자녀의 학교 적응에 필요한 기술 영역으로,

‘자녀에 대한 긍정적인 양육 태도 갖기’는 부모의 전이지원에 필요한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이지영 (2010)의 문항 중 또래에게 놀림, 폭력은 ‘또래에게 놀림, 폭력 상황에 대처하기’로 문장 형식으로 수정하였고, 자녀의 학급에 다른 동료 부모들과의 모임에 참여하기와 자녀의 학급에 동료 부모들과 의 정보교환 및 요구하기의 2문항을 통합하여 ‘자녀의 통합학급 부모들과의 모임 참여 및 정보 공 유하기’로 수정하였다.

자녀의 취학 준비 관련한 정보에 대하여 알아보기, 자녀의 초등 전이를 도와줄 기관 및 프로그 램 찾기, 초등 전이 준비과정에서 가족과 자녀의 초등전이와 관련하여 의사소통하기, 초등 전이 과 정에서 자녀의 추가적인 교육비로 인한 경제적인 부담, 초등 전이에 대한 추가적인 역할과 양육 부 담, 가족의 구성원 간의 소홀함과 무관심으로 미안한 마음, 자녀의 학급에서 요구하는 역할에 참여 하기의 7문항은 일반초등학교 전이지원에 초점을 맞춘 전이 지원에 적합하지 않은 문항으로 삭제 하였다. 특수교육 관련 전공 지도교수의 지도 과정을 통하여 문항을 수정, 삭제하였다. 본 연구에서 는 중앙체크 경향 방지를 위해 4점 척도로 구성하였다.

(4) 부모교육 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부모의 요구 조사

초등학교 전이에 대한 가족의 요구 설문지는 이지영(2010)이 사용한 질문지를 수정하여 자녀의 학교 적응에 필요한 기술 15문항, 부모의 전이 지원에 필요한 영역 10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개방 형 문항을 추가하였다. 초등학교 입학 예정 장애 유아의 부모 33명이 설문에 응답하였다. 응답 결 과는 자녀의 학교 적응에 필요한 기술 영역에서는 또래에게 놀림, 폭력, 따돌림 상황에 대처하기, 학교에서 자기관리, 화장실 가고 싶을 때 도움을 요청하거나 스스로 가기가 우선순위로 나타났다.

부모의 전이 지원에 필요한 영역에서는 자녀의 학교 배치 결정, 초등 전이 준비과정에서 정서적인 어려움 관리하기, 자녀의 진학 여부 결정이 우선순위로 나타났다. 구체적인 내용은 <표 5>와 같다.

(12)

우선

순위 자녀의 학교 적응에 필요한 기술 부모의 전이 지원에 필요한 영역

1 또래에게 놀림, 폭력, 따돌림 상황에 대처하기 자녀의 학교 배치 결정하기(특수학교/특수학급/

특수학급이 없는 일반학교/대안학교 등)

2 학교에서 자기관리(물건 챙기기, 식사 도구 사 용하기, 급식 먹기 등) 스스로 하기

초등 전이 준비과정에서 초등전이와 관련된 정 서적인 어려움 관리하기(불안, 걱정, 우울, 의욕 저하, 회피 등)

3 화장실 가고 싶을 때 도움을 요청하거나 스스

로 가기 자녀의 진학 여부 결정하기(유예 또는 진학)

4 또래에게 상황에 적절한 사회적 반응하기 자녀에 대한 담임교사의 인식이나 태도에 대한 부모의 대처방법 및 행동

5 학교에서 집단 규칙 및 질서 지키기 자녀에 대한 긍정적인 양육 태도 갖기

<표 5> 부모의 요구 조사 결과

(5) 조사 내용 분석 및 프로그램 내용 구성

장애 유아의 일반초등학교 전이 지원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은 초등학교 통합학급 교 사의 인터뷰와 초등학교 입학 예정 장애유아의 부모 요구조사를 중점으로 구성하였다. 장애 유아의 초등 전이 부모교육과 관련된 선행연구(고경미, 심성경, 2015: 김남희, 김은경, 2019: 김미영, 박지 연, 2007: 정선진, 박승희, 2009), 교육부(경기도, 2015: 경상남도, 2017)의 내용을 참고하였다. 이 러한 과정을 통해 최종 구성된 부모교육 프로그램 내용과 구체적인 회기별 교육안의 예는 <표 6>,

<표 7>에 제시된 바와 같다.

5. 연구 절차

1) 연구 절차 및 기간

2020년 9월 8일부터 10월 3일까지 장애통합 유치원, 장애통합 어린이집, 장애인복지관, 치료센 터, 인터넷 카페에 모집 안내 협조 요청을 하였다. 2020년 10월 4일부터 7일까지 실험집단과 통제 집단을 선정하고 부모효능감과 가족역량강화 사전 검사를 실시하였다. 2020년 10월 6일부터 8일까 지 쌍방향 온라인 교육 참여 방법에 대한 안내와 사전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2020년 10월 8일부터 11월 7일까지 주 2회 총 10회기 일반초등학교 전이 지원을 위한 부모교육을 진행하였다. 2020년 11월 8일부터 11일까지 부모효능감 사후검사, 가족역량강화 사후검사, 프로그램 만족도 조사, 사회 타당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2020년 11월 12일부터 18일까지 통계자료 분석을 하였고 2020년 11월 28일부터 12월 12일까지 실험집단과 동일한 내용으로 통제집단 부모교육을 진행하였다.

(13)

주제 내용 부모 요구 조사 결과 연계 내용

통합학급 교사 인터뷰 연계 내용

1 오리엔테이션

․인사, 연구자․참가자 소개하기

․진행 일정, 공지사항

․프로그램 통하여 알고 싶은 점

2

일반초등학교 배치 절차와 1학년 교육과정

․일반초등학교 배치 절차

․초등학교 물리적 환경 탐색

․1학년 교육과정, 기본교육과정

- 자녀의 학교 배치 결정 - 자녀의 진학 여부 결정 - 학교의 물리적 환경 적절히 사용

3

특수학급의 유형 및 운영 개별화교육지원팀

회의

․통합교육, 특수학급 유형

․특수학급 운영 안내, 시간표

․학교의 하루 일과, 보조인력

․개별화교육지원팀 회의

- 자녀의 학교 배치 결정

- 담임교사와 의사소통 및 자녀에 대 한 정보

- 담임교사와 학부모의 신뢰, 협력, 의사소통 - 자녀에 대한 정보

4

특수교육관련볍, 코로나 19로 달라진 환경, 온라인 학습

․특수교육관련법(장애인 등에 대한 특 수교육법, 차별금지법,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 등)

․코로나 19로 달라진 학교 환경

․온라인 수업 방법

- 또래에게 놀림, 폭력, 따돌림 상황 대처

- 학교의 물리적 환경 적절히 사용하

- 대처방안에 대한 담임 교사와 긴밀한 소통

5 전이를 위한 부모 역할 지원

․통합학급, 특수학급 교사와 의사소통

․자녀에 대한 긍정적인 양육 태도

- 담임교사와 의사소통 및 자녀에 대 한 정보

- 자녀에 대한 담임교사의 인식, 태도 에 대한 부모의 대처방법 및 행동 - 초등 전이 준비과정에서 관련 정서

적 어려움 관리-긍정적 양육 태도

- 과잉보호 하지 않기 - 기다려주기 - 긍정적 기대감 - 일관성 - 자녀에 대한 믿음

6

전이를 위한 부모 역할 지원

․자녀 이해하기

․사회성 발달을 위한 전략

․문제행동 지원

- 또래에게 상황에 적절한 사회적 반

- 감정표현 및 요구

- 친구들과 소통할 수 있는 표현력, 인사 - 사회성

7 ․칭찬 ․긍정적인 제안

․자기 결정 기술 - 자녀에 대한 긍정적 양육 태도

- 자녀의 작은 발전에 기뻐하기

- 학교생활의 긍정적인 대화

8

가정에서 할 수 있는 학교생활

준비기술

․화장실 ․착석

․급식 ․정리하기

․예절

- 화장실 가고 싶을 때 도움 요청, 스 스로 가기

- 스스로 자기관리 하기

- 수업 시간 착석 및 교육 활동 참여

- 화장실 가고 싶다는 의사표현

- 화장실 이용 - 급식관련 사항

9

․입학 전 준비사항: 학용품 준비, 이름 쓰기, 동화책 안내

․입학 후 준비사항: 알림장, 가정통신 문, 필통 확인, 교실 이동, 기본생활습 관 형성

- 학교에서 자기 관리

- 또래와의 놀잇감 공유, 준비물 나누

- 초등학교 교과의 과제 수행을 위한 도구 사용

- 독립보행, 연필잡기 - 실내화 갈아신기 - 가방 혼자서 메기 - 준비물 확인

10 부모의 마음가짐 및 마무리

․생활 연령 및

․다양성에 대한 이해

․부모의 마음가짐

․프로그램 참여 소감 나누기

- 자녀에 대한 긍정적 양육 태도 갖기

- 기대하며 기다리기 - 열린 마음 - 긍정적인 마음

<표 6> 부모교육 프로그램 내용 구성

(14)

일반초등학교 입학 준비를 위한 부모교육 3회기 일시 2020년 10월 15일 목요일 20시~ 21시 30분

교육방법 쌍방향 온라인 교육 준비물 PPT 강의 자료

주제 특수학급 유형 및 운영/개별화교육지원팀 협의회

목표 * 특수학급의 운영과 학교에서의 하루 일과 시간표를 살펴본다.

* 개별화교육지원팀 회의 시 협의 내용에 대하여 알아본다.

절차 활 동 시간(분)

내용

1. 인사 나누기 2. 통합교육의 유형 ① 완전통합 ② 부분통합

3. 특수학급 교실 사진으로 살펴보기 4. 특수학급 유형

① 운영형태: 전일제, 시간제 ② 교육과정 5. 우리 아이들이 만나는 선생님들

① 통합학급 교사 ② 특수교사 ③교과담당교사 ④ 보조인력 ⑤ 방과후학교 강사

6. 특수학급 운영 안내 (3월 운영 중심으로)

① 개별화교육지원팀 회의 ② 상담주간 ③ 장애인식개선교육 ④ 학부모 총회 ⑥ 공개수업

7. 하루 일과 시간표

① 시간표 예시 ② 등교부터 학교까지의 일정과 지원 방법 8. 특수학급 연간 운영 예시

50

9. 개별화교육지원팀 회의

① 법적 근거 ② 시기 ③ 협의 내용 ④ 구성원 ⑤ 회의 참여 시 준비 사항

20

질의응답 주제와 관련하여 궁금한 점을 자유롭게 질문하기 참여자들과의 상호작용

정리하기 교육내용을 요약 및 정리, 다음 강의 일정 안내 20

상담 소그룹 또는 개별상담

<표 7> 부모교육 프로그램 교육 내용 예시(3회기)

2) 연구 장소

비대면 쌍방향 온라인 교육(ZOOM)으로 실시하였다.

(15)

3) 온라인 교육 방법 안내

본 연구는 ZOOM을 활용한 쌍방향 온라인 수업으로 진행하였다. 온라인 교육 방법에 어려움이 있는 참가자들을 위하여 참여 방법에 대하여 안내를 하고, 1회기 수업 2일 전과 1회기 수업 시작 1시간 전에 사전 테스트를 하도록 하였다.

4) 온라인 부모교육 프로그램 실시

부모교육프로그램은 2020년 10월 8일부터 11월 7일까지 매주 2회 총 10회 쌍방향 온라인 교육 으로 실시하였다. 직장 생활을 하는 참가자들이 상황을 고려하여 목요일 20시~ 21시 30분, 토요일 10시~11시 30분에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의 각 회기는 90분이었으며 연구자가 매회기 60~70분씩 교육을 하고 20~30분은 질의응답과 회기 내용에 관하여 느낀점 나누기로 구성하였다. 질의응답 시 간에는 질의에 대하여 연구자의 답변뿐만이 아니라 참가자들의 정보를 교류하기도 하였다. 90분의 교육 시간이 끝난 후에도 전이에 관하여 개별적 질문이 있는 경우 질의응답과 상담을 하였다.

<그림 2> 온라인 부모교육 회기별 프로그램 내용

5) 사후 검사 실시

온라인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부모 효능감과 가족역량강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10 회기 끝난 후 사전검사와 동일 문항의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에는 프로그램 만족도 조사 와 참여 소감을 통하여 그 효과성을 더욱 심층적, 구체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16)

6. 사회적 타당도

대상은 중재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부모 7명과 초등학교 전이지원과 관련된 전문가로 구성하였으 며 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사 5명,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 5명, 치료기관 치료사(인지치료, 놀이치 료, 음악치료) 5명, 유치원 특수학급 교사 3명으로 총 25명이다. 사회적 타당도 평가를 위해 부모 교육 10회기별 프로그램 내용 파일을 제시하였다. 사회적 타당도 총 문항은 7문항이며 중재의 필 요성과 중재의 효과, 중재 절차, 온라인 중재 방식에 대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고 ‘전혀 그렇지 않 다’ 1점부터 ‘매우 그렇다’ 5점까지의 5점 척도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사회적 타당도 평가 결과는 전체 평균이 4.8점(부모집단 4.8, 전문가 집단 4.8)으로 본 연구에서 실시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7. 자료분석방법

가족역량강화, 부모효능감과 관련하여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연구대상자들의 동질성을 확인하기 위해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둘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의 가족역량강화, 부모효능감에 있어 사전 사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Wilcoxon signed ranks test를 실시하였다. 표본수가 적은 것을 고려하여 비모수 통계 Wilcoxon signed ranks test를 활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참여 소감과 관련하여서는 참여자들이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구체적으로 도움이 된 점, 깨달은 점, 가정연계 사례, 쌍방향 온라인 교육의 강점과 약점 등을 자유롭게 이야기하도록 하였으며, 그 내용을 모두 기록하여 간략하게 정리하였다.

Ⅲ. 연구결과

1. 연구결과

1) 연구결과

장애 유아의 초등학교 전이 지원을 위한 온라인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부모 효능감에 미치는 영 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검사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에서 부모 효능감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하위영역에서 부모로서의 효능감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부모역할에 대한 관심과 흥미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통제집단은 사전-사후 검사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과는 <표 8>과 같다.

(17)

구분

실험집단(N = 7) 통제집단(N = 7)

사전 사후

z p 사전 사후 z p

M(SD) M(SD)

전체 부모효능감 2.90(.71) 3.20(.75) -2.20* .03 3.28(.71) 3.17(.59) -.31 .75

하위 영역

부모로서의 효능감 2.60(.84) 3.02(.80) -2.20* .03 3.14(.83) 3.04(.67) -.09 .93 부모역할에 대한

관심과 흥미 3.81(.88) 3.76(.85) .41 .68 3.71(.45) 3.57(.50) -.82 .41

<표 8> 부모효능감 실험집단과 통제집안의 사전-사후 검사 비교

*p<.05

2. 온라인 부모교육이 가족역량강화에 미치는 영향

장애 유아의 초등학교 전이 지원을 위한 온라인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가족역량강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검사를 분석하였다. 검사 결과 실험집 단에서 가족역량강화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하위영역을 살펴보면 체제에 대한 옹호, 지식, 능력의 3가지 영역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자기 효능감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통제집단은 사전-사후 검사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과는 <표 9>

와 같다.

구분

실험집단(N= 7) 통제집단(N= 7)

사전 사후

z p 사전 사후 z p

M(SD) M(SD)

전체 가족역량강화 3.44(.62) 3.89(.57) -2.20* .03 3.53(.20) 3.32(.26) -1.89 .06

하위 영역

체제에 대한 옹호 3.33(.56) 3.77(.51) -2.20* .03 3.29(.24) 3.16(.17) -.84 .40 지식 3.77(.71) 3.80(.61) -2.36* .02 3.41(.27) 3.17(.50) -1.10 .27 능력 3.32(.77) 3.80(.61) -2,02* .04 3.75(.46) 3.48(.29) -1.36 .17 자기효능감 3.79(.69) 4.31(.60) -1.69 .09 3.76(.32) 3.57(.52) -1.05 .29

<표 9> 가족역량강화 실험집단과 통제집안의 사전-사후 검사 비교

*p<.05

(18)

3. 온라인 부모교육 프로그램 참여 소감

장애유아의 초등학교 전이지원을 위한 온라인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집단의 참여 소감을 알아보았다. 참여자들의 전반적인 소감은 학교와 자녀, 부모의 역 할과 참여자들 간의 이해라고 하는 내용이 반복되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인 내용으 로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함으로 예비소집일, 입학 전 상담, 학교에서의 일과, 특수학급 운영 에 관하여 알게 되었고, 두려움과 불안감이 줄어들었으며, 다른 참여자와의 상호작용, 특수교사의 현장 사례가 많은 도움이 되었다고 하였다. 참여자들의 소감을 정리한 내용은 <표 10>과 같다.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함으로 도움이 되었던 부분

학교에 대한 이해

초등 학교

 초등학교 입학부터 학교생활까지 자세히 파악 (교과서, 시간표, 실무사 배치 등 아이의 학교생활이 감이 잡히는 느낌)

 코로나로 달라진 학교 환경과 실제 초등학교의 모습을 사진으로 살펴보기

 초등학교 선택에 대한 개별 상담, 배치 절차와 유치원과 다른 물리적 환경

특수 학급

 특수학교와 특수학급의 차이, 특수학급에 긍정적 인식, 특수학급 운영

 특수학급에 대한 기대가 크지 않았고, 집과 가까운 초등학교에 특수학급이 없어 서 일반학급에서 적응시키며 저학년을 버티겠다는 각오를 하였는데, 특수학급을 운영하는 선생님의 자세한 설명을 들으니 특수학급이 우리 아이에게 정말 큰 도움이 될 수 있겠다는 확신 생기면서 특수학급이 있는 학교로 배치 신청을 함.

 특수학급 지망 시 고려사항, 특수교사의 진행으로 믿음과 신뢰로 참여하였음.

 다양한 사례와 현장의 이야기들이 실질적으로 많이 와 닿으며 도움이 되었음.

자녀에 대한 이해

자녀에 대한 이해

 아이의 눈에 보이는 세계를 이해해야겠다는 다짐

 아이의 강점을 보고, 시각적 지원을 해주고 선택의 기회 제공

 아이에 대한 생각의 개념을 다시 잡음.

장애에 대한 이해

 군 입대와 취업과 관련된 사례를 듣고 장애인 등록 신청 여부를 결정.

 자녀의 대한 장기적인 안목으로 생각하게 됨.

부모역할 이해

양육 기술에

대한 이해

 배치 받을 특수학급 선생님과 상담할 때 협의 사항.

 선생님들과 상담에 대해 어려울 것이고 부담감이 있었는데 부담감을 덜게 되었 고 어떤 일이 생기며 소통하면서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음.

 아이를 더욱 이해하고 성장을 위해 적극적, 긍정적인 지원자로 노력.

 아이의 적응을 위해 부모가 무엇을 해야 할지 현실적, 구체적으로 알 수 있었 음.(학교생활에 필요한 기본 자조와 학습수준 등)

 예비소집일, 상담 때 자녀와 함께 화장실, 학교 둘러보기는 생각하지 못했던 부 분인데 큰 도움이 되었음.

<표 10>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함으로 도움이 되었던 부분

(19)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함으로 도움이 되었던 부분

부모 역할 이해

부모로서 자신에 대한

이해

 부모가 신경 써야 하고 해야 할 일이 많아 마음이 무겁기도 하지만 ‘초등학교 6 년을 길게 보고 가자’ 생각하며 장기적인 목표 설정을 하게 됨.

 회기가 거듭되면서 정작 중요한 것은 주 양육자의 단단한 마음가짐임을 생각.

 두려움보다는 기대감과 설렘으로 준비하려는 마음가짐.

 1학년은 스스로 해야 하는 시기가 아니라 본격적인 준비를 하는 시기라는 것이 마음에 와닿고 초심으로 돌아가서 마음을 다잡는 기회가 되었음.

 초등학교 입학 준비가 막막했었는데 프로그램 참여 전과 후가 많이 바뀌었고, 불안감이 반 정도 줄어들었음.

 칭찬에 따라 아이가 변화되는 것을 보며 내가 중심을 잘 잡아야겠다고 생각.

 특수교육대상자라는 것이 주눅이 들고 두려움이 많았는데 두려워만 할 것이 아 니라 아이의 성장을 위해 한 발 한 발 나가야겠다는 자신감이 생기고 안심이 되는 시간이었음.

 아이보다 엄마가 더 불안했었다는 생각이 들면서 엄마가 마음을 흔들리지 않아 야 아이가 불안해하지 않고 성장할 것이라는 생각이 듦.

참여자 상호 작용

심리적 지원

 장애인 등록에 대한 고민과 심적 갈등에 대하여 경험과 조언이 도움이 되었음.

 많이 지쳐있었는데 프로그램 참여하면서 이야기도 하고, 나만의 고민이 아니었 다는 것에 힘을 얻음.

 다른 부모님들의 고충과 어려움에 대한 고민이 공감되었음.

정보 제공

 다른 부모님들의 복지관 활용, 치료실 이용에 대한 부분이 도움이 되었음.

 자녀의 특성을 메모하고 있다는 어머니의 이야기를 듣고 실천하고 있음.

 다른 분들에게 나의 경험, 정보가 도움이 되었다는 것이 좋음.

 장애인 등록에 대한 절차에 대한 정보 제공 받음.

 주당 치료센터 이용이 많으면 자녀에게 무엇인가 해주고 있다는 생각을 들겠지 만 일단 엄마가 지칠 수 있고 아이도 힘들어 할 수 있음.

치료 후 자녀의 반응을 잘 점검하여 우선순위를 정해야 함.

<표 10>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함으로 도움이 되었던 부분 (계속)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알게 되고 깨달은 내용을 바탕으로 가정에서 적용한 사례로 특 수교사와의 상담 시 막막했는데 문의할 목록과 자녀의 특성 메모하기, 기본생활습관과 관련하여 자 녀가 스스로 할 수 있는 기회 제공, 구체적으로 칭찬하기, 기다리고 인내하는 것의 중요성 인식 등 을 언급하였다. 구체적인 사례는 <표 11>과 같다.

온라인으로 진행된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지역, 시간에 구애 없이 교육을 받을 수 있 었으며 자녀를 맡기지 않아도 되는 상황이 좋았다고 하였다. 그러나 쌍방향 온라인 교육이 낯설었 고 가정의 어수선한 분위기여서 집중하기에 어려움도 있었다. 관련 내용은 <표 12>와 같다.

(20)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깨달음과 가정 연계 사례

학교에 대한 이해

초등 학교

교육받은 부분을 참고하여 현재 다니고 있는 어린이집 선생님과 상담하니 아이의 어린이집 생활에 대해 더욱 자세하게 알게 됨.

초등학교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심어주고 있음.

학교에 가기 전 공부 열심히 해야 한다고 하면 책을 먼저 가져와서 공부하자고 하며, 집중력으로 조금씩 늘어가고 있음.

특수 학급

배치 받을 인근 초등학교 특수교사 선생님과 상담과 적극적 문의

입학하고 특수교사에게 자녀의 특성을 자세하게 알려드리려고 아이의 특징 생각날 때마다 메모하기

자녀에 대한 이해

학교 준비 기술

시각적 지원(화장실 이용 카드)을 해주고 선택의 기회 제공

식사 중 돌아다니지 않기, 어른 수저 사용 연습, 가정 욕실에서 옷 입고 벗기

아이에게 쉽게 접근할 수 있으며 급한 것 중심으로 조금씩 실천

아이가 스스로 하는 기본생활습관들이 짧은 기간 동안 많아짐.(세수, 스스로 옷 입기, 밥 혼자 먹기, 식사 후 설거지통에 담기 등)

생활 연령에 맞게 현재의 설정한 과업 세분화

남자 화장실 혼자 가기 연습이 가장 시급함을 알게 됨 심리적

지원

자녀에 대한 격려와 지지

자녀의 강점 바라보기

부모의 역할 이해

양육 기술에

대한 이해

칭찬할 때 ‘잘했어.’ 보다 ‘좋다’, ‘멋지다’ 등 다양한 표현을 쓰려고 함.

구체적으로 칭찬하기, 칭찬에 토 달지 않기, 올바른 방법으로 칭찬하기

아이의 작은 행동에서부터 칭찬 연습하고 있음. 아이와 많이 놀아주고 교감

~하지 말고 ~하자 긍정적 제안하기

제한과 제안을 생각하니 아이에게 더 초점을 맞추어 생각하게 됨.

비언어적 표현이 많이 부족한 것 같아 ‘기다려줄게.’, ‘천천히 해보자.’ 말하며 눈 맞춤과 기다림을 더 많 이 하게 됨

입학 준비할 때 필요한 구체적인 안내 사항을 실천(풀 뚜껑에도 이름표 붙이기, 철 필통 대신 천 필통 준비 등)

심적인 혼란과 준비되지 않은 마음으로 눈물만 쏟고 있을 때가 아니라 마음을 다잡으며 아이에게 필요한 교육과 기다려주는 연습 하고 있음.(이전에 왜 저럴까? 왜 이렇게 힘들게 할까? 라고 생각하였는데 지금 은 문제행동의 이유를 먼저 찾으려고 함)

부모의 역할 이해

부모로서 자신에 대한

이해

아이가 크면서 지능적인 면보다 아이의 마음을 알아주고 바르게 커 갈 수 있도록 정서적 면을 지원하여 주는 것이 중요함을 느낌

일관성 있는 부모

부모의 불안함, 일관성 없음이 아이의 정서와 유치원 생활과 연관됨을 알게됨.

1학년을 유치원과 초등학생의 과도기로 받아들이게 됨.

자녀에 대한 준비뿐만이 아니라 부모로서 마음의 준비를 할 수 있었음.

우리 아이에게 집중적으로 무엇을 연습시켜야 할지 알게 되었으며 학교 보내기 전에 필요한 것을 정리하 다 보니 머릿속에 잡히는 것 같음.

칭찬에 대해 무색했던 자신을 돌아보고 화났을 때 나의 감정을 추스르고 아이를 감정으로 대하지 않 게 됨.

칭찬기술을 배우면서 하나씩 긍정적인 이야기를 하니 점점 해줄 이야기가 많아지고 불안도 조금 옅어짐.

하루 칭찬하는 횟수가 늘어남. 칭찬을 하니 아이가 엄마의 표정을 보면서 더 잘하는 것이 많아지고, 밝아 짐. 그래서 또 칭찬을 하게 됨.

기다려주지 못하고 다그치기만 한 것 같은 생각이 들어서 기다리는 연습, 하나하나 칭찬해주는 연습을 하고 있음.

믿고 기다리고 인내하는 것, 엄마의 멘탈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느낌.

<표 11> 부모교육 참여하면서 깨달음과 가정 연계 사례

(21)

쌍방향 온라인 교육의 강점과 약점

강점

 온라인으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10회기 모두 빠지지 않고 들을 수 있었음.

 교육 장소까지 이동하는 시간, 주차 시간 절약

 아이를 맡기는 경우 불안해서 교육 참여가 어려울 수 있는데 아이를 맡기지 않는 상황.

 아이들도 학교에서 쌍방향 온라인 수업을 하니, 사용법을 미리 경험할 수 있었음.

 지역에 상관없이 교육을 받을 수 있음.

 불가피하게 참여하지 못한 경우 녹화된 파일을 받아서 보충할 수 있었음.

 온라인이지만 얼굴 보는 것만으로도 힘이 되었고 심적으로 의지가 되었음.

약점  쌍방향 온라인 교육이 처음이라 어색하였음.

 집에서 교육을 들으니 어수선한 환경이었음. 장소, 주변 환경의 준비가 필요함.

<표 12> 쌍방향 온라인 교육의 강점과 약점

Ⅳ.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장애 유아의 초등학교 전이 지원을 위한 온라인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부모 효능감과 가족역량강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온라인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부모 효능감과 가족역량강 화에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으며 교육에 참여한 부모들은 프로그램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높은 만족 도를 나타내었다. 연구 결과에 대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 유아 부모와 통합학급 교사의 요구를 반영하여 프로그램 내용을 구성한 것이 부모 효능감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초등학교 전이에 대한 가족 요구 설문지를 통하여 자녀의 학교 적 응에 필요한 기술과 부모의 전이 지원에 필요한 영역의 우선순위를 파악하였다. 이는 초등학교 전 이 시 필요한 정보와 지원을 체계적으로 제공함으로써 부모의 역할에 대한 자신감이 증진되었다고 보고한 선행연구(강혜원, 2011; 김남희, 2019; 허정연, 박승희, 2002)의 결과와 일치한다. 전이 교 육과정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함께 협력해야 하는 장애아동의 부모와 프로그램을 직접 계획하고 실행하는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요구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반영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지연, 2013). 1학년 담임 경력과 특수교육대상자를 지도한 경험이 있는 일반교사를 대상으로 초 등학교 입학 전에 필요한 기술과 학부모의 마음가짐이라는 주제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이는 부모 에게 통합학급 교실 상황을 이해하고, 통합학급에서의 필요한 입학 전후의 준비사항에 대한 구체적 이고 실제적인 정보 제공에 도움이 되었다. 이와 같이 초등학교 전이 지원을 위한 중요 구성원인 부모와 통합학급 교사의 요구에 기반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부모 효능감 향상에 적절한 목표와 중재 전략을 설정하여 부모로서의 효능감을 높이는데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둘째, 특수교육의 전문가인 초등학교 특수교사가 다회성, 쌍방적으로 프로그램을 진행한 점이 부

참조

관련 문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disability awareness program on improving the attitudes of regular elementary schoo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problem solving and programming” area of ​​information subject on perception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employment education program implemented by the Gwangju Education Office Employment Support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of employed opticians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burnou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on professional self-concept among dental hygiene students.. Method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on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state of first aid education completion, knowledge level and abilities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eneral characteristics, health characteristics, mental health characteristics, suicidal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parental rearing attitude on juvenile subjective well-being and examined